KR100773150B1 -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150B1
KR100773150B1 KR1020060062713A KR20060062713A KR100773150B1 KR 100773150 B1 KR100773150 B1 KR 100773150B1 KR 1020060062713 A KR1020060062713 A KR 1020060062713A KR 20060062713 A KR20060062713 A KR 20060062713A KR 100773150 B1 KR100773150 B1 KR 10077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orthodontic
support device
support
orthodontic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택
이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오근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06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급속 견인을 위해 사용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설치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부 및 지지부 사이의 안착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고정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치열 교정, 지지장치, 탄성, 치아 교정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CRIMPABLE SUSPENDER OF ELASTIC MEMBERS FOR DENTAL OCCLUSION}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인 크림퍼블 훅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크림퍼블 훅을 치열 교정용 와이어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에 고리가 형성된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형성된 고정부의 다양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가 치열 교정용 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 설명>
1: 고정부 2: 연결부
3: 고리 5: 치열 교정용 스크루
6: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6a: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걸고리
10: 치열 교정용 와이어 20: 브라켓
100: 고정부 200: 연결부
300: 돌출부 311, 312 : 지지부
320: 안착홈 330 : 고리
본 발명은 치아의 급속 견인을 위해 사용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열 교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치아에 브라켓(20)을 부착하고, 브라켓(20)에 교정용 와이어(10)를 설치하고, 고무링이나 NiTi 코일 스프링 같은 탄성 부재(6)를 이용하여 브라켓(20)에 형성된 훅과 훅을 연결하여 치아에 압력을 가하여 치아의 위치를 다시 배열한다. 근래에는 치열의 급속 교정을 위해, 교정용 와이어(20)에 크림퍼블 훅(Crimpable hook)과 같은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고정시키고, 치열 교정용 스크루(5)를 잇몸 속뼈에 식립하여 치아뿌리를 효과적으로 이동시켜 치료기간을 단축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크림퍼블 훅은 교정용 와이어(20)에 크림퍼블 훅의 고정부(1)가 공 구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부에 형성된 고리(3)에 교정용 탄성 부재(6)를 걸어 사용하는데, 이때 탄성 부재(6)가 비틀리거나, 잇몸에 닿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6)의 장력이 고리(3)에 집중되고, 여러 개의 탄성 부재(6)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얇은 교정용 와이어에 고정시킨 Crimpable Hook에 강한 장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교정용 와이어가 휘어서 브라켓에 마찰력이 증가되고 또 교정용 와이어의 좌우 이동성이 좋지 않아 치아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크림퍼블 훅의 고정부(1)는 단면이 사각형 및 원형이거나,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 및 원형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정용 탄성 부재가 넓은 면적에 고른 힘을 분산하여 받게 하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는 탄성 부재 지지장치 당 하나의 탄성 부재만을 지지하는 것을 개선하여, 여러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지지부에 하나 이상의 고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탄성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장력을 가했을 때 교정용 와이어가 휘는 것을 개선하여 고정부를 두 개로 형성하고 그 고정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치아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고정부로부터 한 개 또는 다수의 돌출부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두 개로 나뉜 고정부에 의하여 장력이 분산되어 교정용 와이어의 휨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고정부 및 돌출부의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설치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부 및 지지부 사이의 안착홈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 고정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를 방사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이다.
또한 돌출부는, 다수의 탄성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연결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부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출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로서, 고정부(100), 돌출부(300), 연결부(20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00)는 브라켓(20)에 설치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10)에 치열 교정용 탄 성 부재 지지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00)는 설치 공구를 통해 치열 교정용 와이어(10)에 부착되며, 그 형상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의 탄성력에 불구하고 치열 교정용 와이어(10)에 단단히 부착, 고정되도록 치열 교정용 와이어(10)를 감싸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의 띠 형상으로 되어있다. 고정부(100)의 일 측에 연결부(200)가 형성되고, 연결부(200)는 돌출부(300)와 고정부(10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100)는 막대형이며,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연결부(100)의 다른 일 측에는 돌출부(300)가 형성되며, 연결부(100)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지지부(311), 연결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지지부(312), 지지부(311)와 지지부(312)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320)으로 이루어진다. 안착홈(320)의 내부 단면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를 방사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부(311, 312)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다격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00)가 고정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1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고정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 연결부(200)의 중심 및 돌출부(300)의 중심이 모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00)의 길이 방향과 돌출부(300)의 돌출 방향이 이루는 각이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300)는 연결부(200)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0)의 지지부(311, 312)에 하나 이상의 고리(3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돌출부(300) 및 하나 이상의 고리(330)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를 여러 개 설치하 게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의 위치를 조절하게 해 주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우측에 형성된 돌출부(300)로부터 좌측에 형성된 돌출부(300)로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를 거는 위치를 조절하여,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가 치아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311, 312)에 형성된 고리(330)에 거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연결부(200)가 둘 이상의 고정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둘 이상의 고정부(100)에 연결되는 경우, 탄성 부재(6)에 의한 탄성력을 교정용 와이어(10)에 둘 이상의 지점에 분산해주므로, 교정용 와이어(10)의 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연결부(200)에 둘 이상의 돌출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00)에 둘 이상의 연결부(200)가 형성되고, 연결부(200)에 각각 하나의 돌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0)에 각각 둘 이상의 돌출부(30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 일 실시예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돌출부(300) 중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고리(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300) 중 둘 이상에 하나 이상의 고리(3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링 및 NiTi 코일스프링 등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는 두께 방향이 잇몸과 수직을 이루고, 너비 방향이 잇몸과 간격을 이루며 평행을 이루도록 안착홈(320)에 설치되고, 지지부(311, 312)에 의해 양면으로 지지를 받는다.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6)가 지지부(311, 312)에 의해 받는 압력을 방사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정부(100)의 단면이 도면과 같은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교정용 와이어(10)의 재질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고정부(100)의 단면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백금, 금, 세라믹 등을 코팅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 지지장치의 강도, 내부식성, 미감 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가 브라켓(20)에 설치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10)에 고정,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탄성 부재(6)로 사용된 스프링의 걸고리(6a)가 안착홈(320) 내에 위치하여 지지부(311, 312)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의 종래 기술에 비해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는, 안착홈과 지지부가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기존의 고리형 지지장치에 비해 탄성 부재가 좀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의 높이가 안착홈의 너비, 즉 지지부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맞닿는 면적이 넓고,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를 방사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안착홈을 따라 가이드되기 때문에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비틀리 지 않고 잇몸과 평행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잇몸에 가해지는 불쾌감을 감소시킨다.
또한 돌출부가 구강내에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열의 정중선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방향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부를 여러 개 형성하거나, 돌출부의 지지부에 고리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하나의 지지장치로 하나 이상의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 개의 돌출부 및 지지부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용 브래킷에 설치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가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부 및 지지부 사이의 안착홈이 형성된 돌출부; 고정부와 돌출부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를 방사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지지부에 형성된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복수 개의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KR1020060062713A 2006-07-04 2006-07-04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KR10077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713A KR100773150B1 (ko) 2006-07-04 2006-07-04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713A KR100773150B1 (ko) 2006-07-04 2006-07-04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150B1 true KR100773150B1 (ko) 2007-11-02

Family

ID=390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713A KR100773150B1 (ko) 2006-07-04 2006-07-04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1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62B1 (ko) 2009-02-11 2009-09-11 주식회사 오솔루션 치아 교정구의 탄성부재 지지 장치
KR101268622B1 (ko) 2011-08-26 2013-05-29 임중기 치열 교정을 위한 슬라이딩 지그
KR101680611B1 (ko) 2016-01-20 2016-11-30 주식회사 디덴탈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US11246683B1 (en) * 2021-10-18 2022-02-15 King Abdulaziz University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34A (ko) * 2001-12-07 2003-06-18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KR100549294B1 (ko) 2005-05-10 2006-02-03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탄성체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34A (ko) * 2001-12-07 2003-06-18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KR100549294B1 (ko) 2005-05-10 2006-02-03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탄성체 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62B1 (ko) 2009-02-11 2009-09-11 주식회사 오솔루션 치아 교정구의 탄성부재 지지 장치
KR101268622B1 (ko) 2011-08-26 2013-05-29 임중기 치열 교정을 위한 슬라이딩 지그
KR101680611B1 (ko) 2016-01-20 2016-11-30 주식회사 디덴탈 치열교정용 후크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어셈블리
US11246683B1 (en) * 2021-10-18 2022-02-15 King Abdulaziz University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5982B2 (ja) 歯列矯正用固定装置
AU779573B2 (en) Unitary metal injection molded orthodontic bracket
US4609349A (en) Activ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straightening teeth
US4880380A (en) Orthodonture appliance which may be manually installed and removed by the patient
US5545037A (en) Interarch orthodontic coil spring
US20080057460A1 (en) Anchor-based fixed retainers
JP2008284365A (ja) 歯科矯正フック装置及び器具システム
KR100773150B1 (ko) 치열 교정용 탄성 부재 지지장치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20080057457A1 (en) Clasp for removable dental appliances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JP3923752B2 (ja) 歯科矯正用リガチャー
US9084649B2 (en) Orthodontic separator
EP1646329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276780B1 (ko) 치열교정용 훅버튼
KR100849457B1 (ko) 치열교정용 탄성체 훅 지지구
KR20110106087A (ko) 치열 교정용 구개부 고정기구
KR20160001380A (ko) 자가 결찰형 슬롯을 구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
JP5530792B2 (ja) 歯列矯正用チューブ
US20050019720A1 (en) Orthodontic wire retainer
US6039564A (en) Buccal sheath and improved orthodontic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JP4332641B2 (ja) 歯科矯正装置
CN219983089U (zh) 一种辅助正畸活动矫治器固位的颊腭侧环绕卡环
KR20120052492A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CN113967090A (zh) 一种双丝托槽矫治装置及矫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