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30B1 -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30B1
KR101679930B1 KR1020140181772A KR20140181772A KR101679930B1 KR 101679930 B1 KR101679930 B1 KR 101679930B1 KR 1020140181772 A KR1020140181772 A KR 1020140181772A KR 20140181772 A KR20140181772 A KR 20140181772A KR 101679930 B1 KR101679930 B1 KR 101679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luid
weight
osp
corrosion inhibitor
metal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231A (ko
Inventor
이가은
이승욱
박재윤
조창열
이홍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30B1/ko
Priority to US14/852,585 priority patent/US20160168502A1/en
Priority to DE102015217799.8A priority patent/DE102015217799B4/de
Priority to CN201510645381.3A priority patent/CN105695051A/zh
Priority to JP2015215004A priority patent/JP2016113609A/ja
Publication of KR2016007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11/00Lubrication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01/00 - C10M10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11/04Lubrication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01/00 - C10M10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10M145/08Vinyl esters of a saturated carboxylic or carbo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10M145/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10M145/1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poly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2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28Polyoxyalkylene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2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2Polyoxyalkylene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4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8Polyoxyalkylenes est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4Ethers; Acetals; Ortho-esters; Ortho-carbonates
    • C10M2207/046Hydroxy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4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only
    • C10M2209/104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only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7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 C10M2209/107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two or more specified different alkylene oxides covered by groups C10M2209/104 - C10M2209/106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10M2209/108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2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2215/223Five-membered rings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9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 C10M2227/061Esters derived from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붕산에스테르 화합물 30 ~ 60중량%;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 30 ~ 60중량%; 및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 0.05 ~ 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을 저감시켜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이 장기간 유지되게 함으로써 브레이크액의 교환 주기를 길게 하고, 부식방지 성능, 금속 내마모성 및 마스터실린더의 작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OSP-CONTAINING COMPOSITION FOR AUTOMOTIVE BRAKE FLUID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붕산에스테르 및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가 일정 함량비를 이루고 있는 혼합용제에, OSP(oil soluble polyalkyleneglycol: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가 일정 함량비로 함유됨으로써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을 저감시켜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이 장기간 유지되게 하여 브레이크액의 교환주기를 길게 하고, 부식방지 성능 및 금속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브레이크액은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한 압력을 휠 실린더까지 정확하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브레이크 응답성의 악화라고 하는 결과가 초래되는데, 이러한 브레이크액에는 그것의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과 관련하여 몇 가지 요건들을 필요로 한다. 그 중 첫 번째는 높은 평형 환류 비등점(Equilibrium Reflux Boiling Point, ERBP)이다. 브레이크액은 그 자체로는 비등하기 어려운 액체이나 브레이크 시에는 고온이 발생되므로 특정 상황에 따라 비등이 일어날 수 있는데, 만약 비등이 일어나면 마스터실린더의 압력은 정확하게 전달될 수 없게 되어 안정된 제동력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잦은 디스크 브레이크 사용시 발생되는 마찰열의 온도는 대략 800℃인데, 이러한 고열이 전달된 브레이크액은 열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방지 성능이 저하되면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브레이크액이 필요로 하는 요건 중 두 번째는 높은 습윤 평형 환류 비등점(Wet Equilibrium Reflux Boiling Point)이다. 브레이크액은 흡습성이 있는 액체로 낮은 흡습성이 요구되지만, 어느 정도 수분을 흡수했을 때에도 비등점을 떨어뜨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대기 중의 수분을 흡습함으로써 비등점이 저하되면 증기 폐쇄 현상(vapor lock)이 발생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광범위한 온도 범위 내에서도 점도의 변화율이 작아야 한다. 또한 브레이크액에는 제동장치 내에 존재하는 각종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여 이들이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금속 부식방지제 및 산화안정제 등이 첨가된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브레이크액은 용제로서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만 사용된 3종(DOT-3) 타입 브레이크액과,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약 30 ~ 60중량% 첨가된 4종(DOT-4) 이상의 브레이크액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DOT-3 타입의 브레이크액은 저분자 물질인 글리콜에테르 화합물만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윤 비등점(wet boiling point)이 낮아지면서 증기 폐쇄(vapor lock) 현상을 야기시켜 제동불능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고, 장기 금속 부식방지 능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DOT-4 타입 이상의 브레이크액은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평형 환류 비등점과 습윤 비등점이 높아 상기 DOT-3 타입에 비해 안전도가 높다. 그러나, 상기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수분과 접촉시 가수분해를 일으키며 붕산이 석출됨에 따라 브레이크액으로서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이물질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붕산 석출을 방지하기 위해 아민 또는 실란계 타입의 안정제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브레이크액의 수분 흡습을 막고, 수분 흡습으로 인한 습윤 비등점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을 저감시켜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이 장기간 유지되게 함으로써 브레이크액의 교환 주기를 길게 하고, 부식방지 성능 및 금속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마스터실린더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의 DOT-4 타입의 브레이크액에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 oil soluble polyalkyleneglycol)를 혼합하였을때 기존 브레이크액과 비교하여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이 감소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붕산에스테르 화합물 30 ~ 60중량%;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 30 ~ 60중량%; 및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 0.05 ~ 10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1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이상의 선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부식방지제 0.1 ~ 2.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1.5중량부와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0.5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메틸 아민, 디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머캡토벤조트리아졸(mercaptobenzotriazole) 및 톨릴트리아졸(tolyltr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이 감소된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을 장기간 유지하도록 하여, OSP를 첨가하지 않은 다른 브레이크액보다 브레이크액 교환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금속 마찰을 저감시키고 금속 부식을 방지하며 마스터실린더를 원활하게 작동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6, 비교예 1~2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사용한 DOT-4 타입 브레이크액의 시간 경과에 따른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브레이크액 4구 내마모성 테스트(four ball wear prevention test) 후의 DOT-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 감소 및 금속 마찰의 저감과 부식방지 성능이 우수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붕산에스테르 및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가 일정 함량비를 이루고 있는 혼합용제를 사용하고, 여기에 OSP가 소정의 함량비로 포함되어 있는데, 추가로 금속 부식방지제 또는 산화방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용제로서 붕산에스테르 및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가 일정 함량비를 이루고 있는 혼합용제를 사용한다. 즉, 용제로서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붕산에스테르 30 ~ 60중량% 및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 30 ~ 60중량%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혼합용제 중에 포함되는 붕산에스테르는 흡습에 의한 비등점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붕산에스테르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30 ~ 60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시킨다. 이때 붕산에스테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조원가 상승 및 붕산(Boric Acid)이 석출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혼합용제 중에 포함되는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는 브레이크 시스템(Brake System) 내 실린더 및 피스톤에서의 윤활작용이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등을 포함하며,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30 ~ 60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상기 혼합용제 이외에 OSP를 포함하며, 추가로, 금속 부식방지제 또는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OSP(oil soluble polyalkyleneglycol)는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을 저감시켜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따라서, 브레이크액의 교환주기를 길게 하고, 부식방지 성능 및 금속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OSP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핵심 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OSP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고분자인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2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이상의 선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OSP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0.05 ~ 1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바, OSP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수분 흡습량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OSP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를 많이 팽윤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들 고무가 많이 팽윤되어 마스터실린더 내의 EPDM 체적을 크게 증가시켜 피스톤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 중 마스터실린더의 EPDM 고무컵이 원할한 피스톤 작동을 하기 위하여 DOT-4 브레이크액 조제시 브레이크액에 OSP를 0.05% ~ 10%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 분류에 해당되는 OSP를 사용하면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기본 기능인 윤활 성능을 갖는 것 이외에, OSP를 0.05 ~ 10% 첨가한 경우에는, 브레이크액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이 통상적인 폴리알킬렌글리콜을 첨가한 것과 비교하였을때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너무 많은 함량을 첨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작동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금속 부식방지제는 용제로 사용된 붕산에스테르 및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에 의하여 마스터실린더, 휠 실린더 등의 금속 재질의 배관이 부식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킬아민계 및 트리아졸계의 금속 부식방지제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형, 분기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 그룹이 1 내지 3개 치환된 아민 화합물로서 메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머캡토벤조트리아졸(mercaptobenzotriazole), 톨릴트리아졸(tolyltriazole)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2.0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바, 금속 부식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부식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마스터실린더 작동 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1.5중량부와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0.5중량부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산화방지제는 산화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성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전체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 2.0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바,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산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너무 많으면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마스터실린더 작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액의 높은 비등점을 장기간 유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극압제로서의 효과도 우수하여 쇠구슬 표면의 마모를 저감시키고, 금속부식을 방지하는 성능도 개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 DOT -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과 성분비로 DOT-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3
상기 표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DOT-4 타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OSP를 각각 비율을 달리하여 첨가한 것이다. OSP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혼합용제 중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을 각각 상기 표 1과 같이 감소시켰으며, 이들 감소분 합계와 OSP 함량의 증가분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OSP를 첨가시키지 않은 종래 DOT-4 타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이 비교예 1이며, 폴리알킬렌글리콜을 10%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이 비교예 2이다. 비교예 2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함유량만큼 비교예 1보다 혼합용제를 적게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예는 상기 표 1의 실시예 1~6의 조성물과 같은 것들이며,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를 아래와 같이 여러 실험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 실험예 ]
실험예 1. 각 조성물의 대기 중 수분 흡습량 테스트
상기 표 1의 DOT-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을 비이커에 100ml 넣은 다음, 상온에 하기 표 2와 같이 15일차가 될 때까지 방치하여 대기 중의 수분 흡습량을 비교 관찰하였다. 테스트 전의 브레이크액을 신액이라 하였으며, 테스트 후 15일이 경과할 때까지 매일 수분 흡습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4
실험예 2. 각 조성물의 비등점 테스트
상기 실험예 1에서 테스트한 각 조성물의 테스트 전 신액과 15일이 경과된 브레이크액의 비등점을 각각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은 상기 표 2의 DOT-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비등점을 비교하는 표이다.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5
실험예 3: 4구 내마모성 테스트( four ball wear prevention test )
차량 주행중 브레이크 제동시 브레이크 시스템 부품 중 ABS/ESP 모듈에서는 금속간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잦은 브레이크 제동시 금속 마찰로 내마모성이 저하되어 브레이크 제동시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조한 DOT-4 타입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액 조성물(실시예 1~6, 비교예 1~2)과 금속 마찰에 대한 극압/내마모성 테스트를 ASTM D 4172 규격에 준한 4구 내마모성 테스트로 실시하였다.
Figure 112014122349640-pat00006
실험예 4: 외관 테스트
상기 표 4의 각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외관을 도 2에 나타내었는데, 각 테스트 후에 OSP 함량이 적은 조성물 및 OSP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은 적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색한 반면, OSP를 5 내지 20중량%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은 브레이크액의 외관이 양호하였다.
상기 실험예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 DOT-4 타입의 브레이크액(비교예 1~2)에 비해 수분 흡습량이 0.7% ~ 7.1% 감소하고(대기 방치 15일차 경우), 비등점은 8℃ ~ 32℃ 높게 유지되었으며, 내마모성 테스트 결과, 쇠구슬의 마모도 적게 발생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관 테스트의 결과도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의 경우에는 적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색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예들을 모두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OSP를 함유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은 모든 실험예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본 발명자들의 추가 연구 결과에 의하면, OSP의 함량이 10중량%를 넘어서는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 OSP가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를 많이 팽윤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마스터실린더의 EPDM 고무컵의 원할한 피스톤 작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수분 흡습량 방지, 높은 비등점 유지 및 내마모성 성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브레이크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OSP의 범위로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Claims (8)

  1. 붕산에스테르 화합물 30 ~ 60중량%;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 30 ~ 60중량%; 및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 0.05 ~ 10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지용성 폴리알킬렌글리콜(OSP)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반복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Figure 112016059789324-pat00010

    (여기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이상의 선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부식방지제 0.1 ~ 2.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 2.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1.5중량부와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 0.05 ~ 0.5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메틸 아민, 디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시클로헥실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머캡토벤조트리아졸(mercaptobenzotriazole) 및 톨릴트리아졸(tolyltr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20140181772A 2014-12-16 2014-12-16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167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72A KR101679930B1 (ko) 2014-12-16 2014-12-16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US14/852,585 US20160168502A1 (en) 2014-12-16 2015-09-13 Osp-containing composition for automotive brake fluid
DE102015217799.8A DE102015217799B4 (de) 2014-12-16 2015-09-17 OSP enthaltende Zusammensetzung für eine Bremsflüssigkeit eines Fahrzeugs sowie ihre Verwendung im Fahrzeug
CN201510645381.3A CN105695051A (zh) 2014-12-16 2015-10-08 用于车辆制动液的含有osp的组合物
JP2015215004A JP2016113609A (ja) 2014-12-16 2015-10-30 自動車用ブレーキ液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72A KR101679930B1 (ko) 2014-12-16 2014-12-16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31A KR20160073231A (ko) 2016-06-24
KR101679930B1 true KR101679930B1 (ko) 2016-11-25

Family

ID=5608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72A KR101679930B1 (ko) 2014-12-16 2014-12-16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68502A1 (ko)
JP (1) JP2016113609A (ko)
KR (1) KR101679930B1 (ko)
CN (1) CN105695051A (ko)
DE (1) DE10201521779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8156B1 (fr) * 2016-10-27 2022-09-16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pour vehicule electrique
US10160926B2 (en) * 2016-11-25 2018-12-25 Hyundai Motor Company Axle oil composition having enhanced fuel efficiency and low viscosity
DE102020111403A1 (de) * 2020-04-27 2021-10-28 Klüber Lubrication München Se & Co. Kg Schmierstoff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CN116240062A (zh) * 2023-02-27 2023-06-09 福建莱克石化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制动液及其制作方法
CN116396792A (zh) * 2023-04-11 2023-07-07 南京工业大学 一种硼酸酯型制动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178B1 (ko) 1996-12-30 1999-04-01 박병재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797A (ja) * 1984-03-14 1985-10-01 Nippon Oil & Fats Co Ltd 作動液
JPH01203500A (ja) * 1988-02-09 1989-08-16 Toho Chem Ind Co Ltd ブレーキ液組成物
KR100600100B1 (ko) * 1999-12-31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EP2205706A1 (en) * 2007-10-15 2010-07-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unctional fluid composition for improving lubricity of a braking system
EP2773731A2 (en) * 2011-11-01 2014-09-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Oil soluble polyalkylene glycol lubricant compositions
EP2888345B1 (en) * 2012-10-25 2020-12-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ubricant composition
BR112015011371A2 (pt) * 2012-12-12 2017-07-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uido metalúrgico concentrado e processo metalúrgico
CA2924730C (en) * 2013-10-10 2022-04-12 Basf Se Functional fluid comprising alkoxylate ethers of fatty ac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178B1 (ko) 1996-12-30 1999-04-01 박병재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31A (ko) 2016-06-24
DE102015217799B4 (de) 2020-12-31
JP2016113609A (ja) 2016-06-23
US20160168502A1 (en) 2016-06-16
CN105695051A (zh) 2016-06-22
DE102015217799A1 (de)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30B1 (ko) Osp를 함유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1466146B1 (ko) 트리아졸과 티아디아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US3972822A (en) Water-insensitive and stable hydraulic fluid compositions
CN113122357A (zh) 一种机动车辆制动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6339050B1 (en) Brake fluid composition for an automobile
US9175238B2 (en) Brake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tartaric acid and imidazole
KR100861969B1 (ko) 방식성이 개선된 유압 작동액
KR101449156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JPH1036869A (ja) 自動車用ブレーキ液組成物
JPS5911639B2 (ja) 作動流体
KR101458630B1 (ko) 타르타릭산과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0232629B1 (ko)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9980057304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JP5851903B2 (ja) 作動液
CN115491184B (zh) 钻井液用抑制润滑剂醇醚聚合物
KR10039129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2405279B1 (ko) 기능성 유체 조성물
EP2784146B1 (en) Brake fluid
CN116286151A (zh) 一种高沸点低腐蚀车辆制动液及其制备方法
KR19980037436A (ko) 브레이크액 조성물
JPS62176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