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588B1 - 트램궤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램궤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588B1
KR101678588B1 KR1020140163674A KR20140163674A KR101678588B1 KR 101678588 B1 KR101678588 B1 KR 101678588B1 KR 1020140163674 A KR1020140163674 A KR 1020140163674A KR 20140163674 A KR20140163674 A KR 20140163674A KR 101678588 B1 KR101678588 B1 KR 10167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m
elastic body
seating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550A (ko
Inventor
이중화
노영채
Original Assignee
빌트원 주식회사
영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트원 주식회사, 영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램 또는 경전철이 주행하는 트램궤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배근된 철근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형이 확인된 철근을 따라 레일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일안착홈에 트램 궤광조립대가 체결된 레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트램 궤광조립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안착홈에서의 상기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안착홈에 안착된 레일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안착홈에 탄성체를 주입 및 경화시켜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램궤도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of tramway}
본 발명은 트램 또는 경전철이 주행하는 트램궤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은 도로상의 일부에 부설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전차이다.
이 트램은 대치할 수 있는 버스에 등장으로 많이 쇠퇴하였으나, 최근에는 차량의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과 도심지로의 인구 집중화로 인해 교통체증이 없어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대량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는 트램의 설치가 다시 논의되고 있다.
한편, 트램은 주행하기 위해 도로에 레일을 부설해야하는 데,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일부분을 굴토하여 지반(10)을 다지고, 다진 지반(10)에 노반(20)을 형성한 뒤, 노반(20)의 상부에 레일이 부설된 콘크리트도상(30)을 형성하는 형태로 레일(40)을 부설하였다.
하지만, 콘크리트도상(3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일(40)를 설치할 위치와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레일(40)의 선형을 확인한 뒤, 레일(40)의 주변으로 와이어메쉬 및 철근(31) 등을 부설하고, 다시 2차적으로 레일(40)의 선형을 확인한 뒤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인건비의 증대로 인한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번 시공된 레일(40)은 콘크리트도상(30)에 묻히기 때문에 레일(40)의 선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도상(30)을 파괴한 뒤 다시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레일(40)의 선형을 조절하기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램의 주행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레일(40)과 콘크리트도상(30)의 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는 데, 탄성체를 설치할 때 탄성체를 레일(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고 본드를 이용하여 레일에 둘레에 일일이 부착해야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탄성체가 레일(40)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1745호(2012.4.6 공고) 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3118호(2009.7.2 공개) 문헌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267호(2010.1.2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크리트도상의 형성 시 필요한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램궤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 후에도 레일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체와 레일을 일체화시켜 탄성체를 부착할 때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탄성체가 레일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램궤도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배근된 철근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형이 확인된 철근을 따라 레일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일안착홈에 트램 궤광조립대가 체결된 레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트램 궤광조립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안착홈에서의 상기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안착홈에 안착된 레일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안착홈에 유체상태의 탄성체를 주입 및 경화시켜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후 상기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레일에 진동기를 부착시켜 상기 레일의 진동에 의해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전, 상기 레일의 그루브홈에 상기 탄성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그루브홈을 씰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후, 상기 탄성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안착홈을 커버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도상을 형성 후, 상기 콘크리트도상에서 하부로 물이 빠지도록 배수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안착홈은 상기 탄성층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보다 상단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램 궤광조립대는 상기 레일을 받쳐 고정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가로방향으로 나사체결되는 좌우조절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로 콘크리트도상을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일정 단면을 가지는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도상에 레일안착홈을 형성한 뒤 레일을 안착시킴으로써, 시공 후 레일의 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레일의 위치를 레일안착홈에서만 조절하고, 나사체결에 의해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트램 궤광조립대를 이용하여 레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레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레일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를 레일안착홈에 주입하는 형태로 탄성층을 형성하여 종래와 같이 탄성체를 레일에 부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과 탄성층을 일체화시켜 탄성층이 레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도상에 레일을 안착시키는 형태이기 때문에 시공 후 레일의 선형을 조절할 때 콘크리트도상의 파손 없이 빠르고 용이하게 레일의 선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램궤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트램궤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 중 레일에 씰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 중 탄성체에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 중 레일안착홈을 커버링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트램은 트램 뿐만 아니라 경전철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철근(310)을 배근하는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철근(310)을 배근하는 단계(S1)는 트램궤도를 설치할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형성된 노반(200)에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초가 되는 철근(310)을 배근할 수 있다.
한편, 철근(310)은 콘크리트를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도상(300)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램퀘도 라인을 따라 배근될 수 있다.
여기서, 철근(310)이 배근되는 노반(200)은 트램궤도를 설치할 트램궤도의 라인을 따라 미리 지반(100)을 다지고, 그 지반(100)을 보강하기 위해 지반(100)의 상부에 콘크리트로 보강한 강화 노반(20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배근된 철근(310)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배근된 철근(310)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S2)는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배근된 철근(310)이 트램궤도 라인과 맞춰 배근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한편, 배근된 철근(310)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S2)는 배근된 철근(310)을 측량장치로 측량하는 형태로 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측량장치는 자, 각도기, 초음파, 레이져, gps, 항공사진, 광학렌즈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측량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측량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하는 단계(S3)는 트램궤도의 레일(400)을 설치하기 위해 레일(400)이 안착되는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도상(300)은 콘크리트피니셔(concrete finisher) 장비를 이용하여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주행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도상(300)을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는 공지된 장치로서,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로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경우, 일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도상(300)을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일(400)을 설치하고, 레일(400)의 선형을 확인한 뒤, 바닥에 와이어 메쉬 및 철근(310)을 설치한 뒤 레일(400)의 위치 변동을 다시 한번 재확인한 상태에서 트램궤도 주변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형태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을 거치고 레일(400)을 콘크리트와 함께 타설하기 때문에 한번 설정된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해야 하고 특히 곡선부분에서는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해야하는 등 복잡한 공정으로 인해 인건비의 증대 및 공사기간이 오래 소요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로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경우,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콘크리트피니셔 장비가 주행하면서, 일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로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할 경우, 트램궤도의 직선구간뿐만 아니라, 곡선구간도 직선구간에서 연속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도상(300)은 상부로 개방되어 레일(400)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3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안착홈(390)은 한 쌍으로 구성된 레일(400)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도상(300)의 양측 부분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안착홈(390)은 하기에 설명될 탄성층(600)이 레일안착홈(39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보다 상부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도상(300)은 단면의 형상이 노반(200)에 지지되는 평편한 바닥부(350)와, 이 바닥부(350)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370)를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을 형성하고, 돌출부(370)의 상부에 레일안착홈(390)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도상(300)에 돌출부(370)를 형성할 경우, 트램궤도가 형성되는 도로와 동일한 재료로 돌출부(370)의 사이를 메울 수 있기 때문에 트램궤도와 도로와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램의 주행 시 진동을 하부로 전달하기 때문에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370)를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반대로 말하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레일(40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하는 단계(S3)는 배수구(330)를 형성하는 단계(S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수구(330)를 형성하는 단계(S3-1)는 콘크리트도 도상에 우천으로 인해 물이 고일 경우, 고인 물을 지반(100)으로 배수할 수 있다.
한편, 배수구(330)는 콘크리트피니셔 장비가 콘크리트도상(300)을 성형한 뒤 콘크리트도상(300)이 양생되기 전 콘크리트도상(300)에 구멍을 뚫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뚫린 구멍에는 배수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배수파이프는 콘크리트도상(300)에서부터 노반(200)까지 천공한 뒤 콘크리트도상(300)에서부터 노반(200)까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레일안착홈(390)에 레일(400)을 안착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400)을 안착시키는 단계(S4)는 콘크리트피니셔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도상(300)의 레일안착홈(390)에 트램이 주행하는 레일(4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한편, 레일(400)은 레일안착홈(390)을 따라 안착될 수 있으며, 레일(400)은 트램이 주행할 수 있도록 트램의 바퀴가 안착되는 그루브홈(410)이 형성된 그루브드 레일(400)(grooved rail)일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400)을 레일안착홈(390)에 안착시킬 때에는 레일(400)에 복수 개의 트램 궤광조립대(500)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안착시킬 수 있다.
이 트램 궤광조립대(500)는 레일안착홈(390)에서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트램 궤광조립대(5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5)는 위에 설명된 트램 궤광조립대(500)를 이용하여 레일안착홈(390)에서의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트램 궤광조립대(500)는 받침플레이트(510), 높이조절부재(530) 및 좌우조절대(5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내지 7 참조).
받침프레이트는 레일(400)의 하부를 받치는 형태로 상부에 레일(400)이 안착되어 고정되고, 높이조절부재(530)는 받침플레이트(510)의 양단 부분에서 상하로 관통하여 받침플레이트(510)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조절대(550)는 받침플레이트(510)의 측방향으로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램 궤광조립대(500)는 레일안착홈(390)에서 높이조절부재(53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530)의 끝단이 레일안착홈(390)의 바닥에 지지되기 때문에 나사체결에 의해 상대적으로 받침플레이트(510)가 높이조절부재(5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레일(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재(530)는 받침플레이트(510)의 양단에 위치되기 때문에 각 높이조절부재(530)의 회전량을 달리할 경우, 받침플레이트(510)의 좌우가 기울어져 레일(400)의 캔트(cant)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좌우조절대(550)는 양단이 레일안착홈(390)의 양 측벽에 각각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좌우조절대(550)를 회전시키면, 나사체결에 의해 상대적으로 받침플레이트(510)가 레일안착홈(390)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레일(400)의 좌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트램 궤광조립대(500)는 좌우조절대(550)와 높이조절부재(530)가 받침플레이트(510)에 나사체결되어 좌우조절대(550)와 높이조절부재(530)를 회전 시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레일안착홈(390)에서의 레일(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램 궤광조립대(500)로 레일(400)의 위치를 조절하면, 나사체결에 의해 레일(400)의 위치가 조절되기 때문에 미세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탄성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6)는 트램이 레일(400)을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레일안착홈(390)과 레일(400) 사이에 탄성층(6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탄성층(600)은 레일안착홈(390)에서 레일(400)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레일안착홈(390)에 탄성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400)은 트램 궤광조립대(500)에 의해 레일안착홈(390)의 바닥와 측벽에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탄성체가 레일안착홈(390)에서 레일(400)의 상단 부분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둘레를 감싸도록 주입하는 형태로 탄성층(600)을 형성한다.
한편, 탄성체는 임의의 온도로 가열하면 겔상 또는 액상으로 상변화되고, 온도가 낮아지면 경화되는 재료이거나, 평상시에는 겔상 또는 액상으로 존재하고 경화재를 혼합하면 경화되는 재료일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우레탄,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00)이 트램의 바퀴가 끼워지는 그루브홈(410)이 형성된 그루브드 레일(400)일 경우, 탄성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6)는 그루브홈(410)을 씰처리하는 단계(S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그루브홈(410)을 씰처리하는 단계(S6-1)는 탄성체는 레일안착홈(390)에 전체적으로 주입되기 때문에 탄성체의 주입 시 탄성체가 튀어 그루브홈(410)에 들어가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경화된 탄성체가 그루브홈(4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체를 제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탄성체가 그루브홈(410)에 채워질 경우, 트램의 주행 시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를 레일안착홈(390)에 주입하기 전 그루브홈(410)에 씰부재(810)를 메우는 형태로 씰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씰부재(810)는 그루브홈(410)에서 씰부재(81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씰부재(810)는 그루브홈(410)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루브홈(410)에 메워질 수 있다.
예컨대, 씰부재(810)는 스폰지, 스티로폼, 우레탄폼과 같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씰부재(810)는 그루브홈(410)에 탄성체를 주입 후 경화되기 전 또는 경화된 후에 레일(4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6)는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S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S6-2)는 탄성체에 기포가 포함된 상태에서 경화될 경우, 탄성층(600)이 강도가 낮아져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레일안착홈(390)에 탄성체를 주입 후, 경화되기 전 레일(40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다.
여기서, 주입된 탄성체에 진동을 발생할 경우,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가 탄성체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탄성체의 상부로 부양되어 소멸된다.
한편, 레일(400)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레일(400)에 진동기(8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기(830)는 임의의 시간동안만 레일(400)에 설치한 후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기(830)는 편심추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진동기(830)일 수 있으며, 진동기(830)는 레일(40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를 주입 후 진동에 의해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더 견고한 탄성층(600)을 형성하여 탄성층(6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층(600)을 형성하는 단계(S6)는 레일안착홈(390)을 커버링하는 단계(S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안착홈(390)을 커버링하는 단계(S6-3)는 레일안착홈(390)에 탄성체를 주입 후, 탄성체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안착홈(390)의 상부를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탄성체는 액상 또는 겔상으로 레일안착홈(390)에 주입되는 데, 탄성체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혼입될 수 있다. 이물질이 혼입될 경우에는 탄성층(600)의 강도가 하락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경화되기 전까지 커버부재(850)로 커버링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토사(700)를 되메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토사(700)를 되메우는 단계는 탄성체가 경화되어 탄성층(600)이 형성되면 노면과 높이가 같아지도록 콘크리트도상(300)의 빈 부분에 토사(700)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토사(700)를 되메우는 단계는 시공되는 트램궤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토사(700)를 되메우는 단계는 토사(700)를 빈 부분에 충전시킨 뒤, 단단해지도록 다지는 작업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노반(200)에 철근(310)을 배근하고, 배근된 철근(310)의 선형을 확인한 뒤,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의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도상(300)에는 레일(400)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390)을 함께 형성한다.
한편, 콘크리트도상(300)이 양생되면, 레일안착홈(390)에서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트램 궤광조립대(500)를 설치하여 레일안착홈(39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트램 궤광조립대(500)를 이용하여 레일안착홈(390)에서 레일(400)의 위치를 조정하고,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레일안착홈(390)에 탄성체를 주입 및 경화시켜 탄성층(600)을 형성한다.
여기서, 레일(400)이 그루브드 레일(400)일 경우, 탄성체를 레일안착홈(390)에 주입하기 전, 탄성체가 그루브홈(41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씰부재(810)를 그루브홈(410)에 끼워넣는 형태로 씰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탄성체가 레일안착홈(390)에 주입되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임의의 시간동안 진동기(830)를 레일(400)에 설치하여 진동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고, 경화되기 전까지 탄성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일안착홈(390)을 커버부재(850)로 커버링한다.
이와 같이 탄성체가 경화되면, 커버부재(850) 및 씰부재(810)를 제거하고, 콘크리트도상(300)에 빈 부분에 토사(700)를 되메워 트램궤도의 시공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램궤도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도상(300)을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하는 등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여러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공사비용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도상(300)에 레일(400)을 매립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도상(300)을 형성 후 레일(400)을 설치하기 때문에 트램궤도 설치 후 콘크리트도상(300)의 파손 없이 레일(400)의 선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레일(400)에 탄성체를 붙이거나,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도상(300)에 레일(400)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체를 주입하는 형태로 탄성층(600)을 형성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레일(400)과 탄성층(600)을 일체화시켜 탄성층(600)이 레일(40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램 궤광조립대(500)는 나사체결에 의해 레일(4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일(400)의 미세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지반 200: 노반
300: 콘크리트도상 310: 철근
330: 배수구 350: 바닥부
370: 돌출부 390: 레일안착홈
400: 레일 410: 그루브홈
500: 트램 궤광조립대 510: 받침플레이트
530: 높이조절부재 550: 좌우조절대
600: 탄성층 700: 토사
810: 씰부재 830: 진동기
850: 커버부재

Claims (8)

  1. 트램궤도 라인을 따라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배근된 철근의 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형이 확인된 철근을 따라 레일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일안착홈에 트램 궤광조립대가 체결된 레일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트램 궤광조립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안착홈에서의 상기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안착홈에 안착된 레일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안착홈에 유체상태의 탄성체를 주입 및 경화시켜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후 상기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레일에 진동기를 부착시켜 상기 레일의 진동에 의해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전, 상기 레일의 그루브홈에 상기 탄성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그루브홈을 씰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안착홈은 상기 탄성층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보다 상단이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궤도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성체의 주입 후, 상기 탄성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안착홈을 커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궤도 시공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도상을 형성 후, 상기 콘크리트도상에서 하부로 물이 빠지도록 배수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궤도 시공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램 궤광조립대는
    상기 레일을 받쳐 고정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상하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가로방향으로 나사체결되는 좌우조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궤도 시공방법.
KR1020140163674A 2014-11-21 2014-11-21 트램궤도 시공방법 KR10167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4A KR101678588B1 (ko) 2014-11-21 2014-11-21 트램궤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4A KR101678588B1 (ko) 2014-11-21 2014-11-21 트램궤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50A KR20160061550A (ko) 2016-06-01
KR101678588B1 true KR101678588B1 (ko) 2016-11-23

Family

ID=5613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74A KR101678588B1 (ko) 2014-11-21 2014-11-21 트램궤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3346A (zh) * 2017-10-16 2018-04-10 广州地铁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新型有轨电车路基结构
KR102537981B1 (ko) * 2021-01-29 2023-05-30 (주)엘더스티앤엘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KR102509161B1 (ko) * 2021-07-16 2023-03-10 박정근 노면트램용 레일의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55Y1 (ko) * 2006-04-05 2006-07-31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동 파렛트용 레일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8803A1 (de) * 2001-08-14 2003-02-27 Boegl Max Bauunternehmung Gmbh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Lagern einer Schiene auf einer festen Fahrbahn sowie Justiereinrichtung und feste Fahrbahn
DE102006043745A1 (de) 2006-09-13 2008-04-03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Fahrwe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ges
KR20090044688A (ko) * 2007-11-01 2009-05-07 (주)엘더스티앤엘 궤도 받침대
KR20100009267A (ko) 2008-07-18 2010-01-27 한국트램(주) 신축성을 갖는 가드레일이 구비된 매립 궤도 선로
KR101131745B1 (ko) 2011-04-21 2012-04-06 주식회사 이알에스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55Y1 (ko) * 2006-04-05 2006-07-31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동 파렛트용 레일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50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955B1 (ko)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KR101678588B1 (ko) 트램궤도 시공방법
CN102653931A (zh) 弹性支撑隔振构件道床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KR101393490B1 (ko) 3차원 프리캐스트 슬래브궤도 제조용 단독지주형 궤도선형조정장치
KR102282821B1 (ko) 레일매립궤도 시공방법
KR100911839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24544B1 (ko)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CN102852066A (zh) 混凝土道路型钢伸缩缝精确安装方法
JP4689272B2 (ja) 鉄道交通機関用の固定軌道の架設方法
KR101114443B1 (ko) 보조궤광을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시공방법
KR101131745B1 (ko)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KR101759692B1 (ko) 콘크리트 도상의 침목 갱환방법
KR101777231B1 (ko) 궤도구조물의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궤도를 시공하는 방법
KR101044340B1 (ko) 보조 레일을 이용한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주행로 시공 장치
KR101705141B1 (ko) 철도 선로 운행 중 도상 개량 공법
KR101019761B1 (ko) 안내 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주행로 배근 시공장치
KR101986794B1 (ko)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KR20140094863A (ko) 자갈 궤도 개량 공법
JP2004324245A (ja) フローティングラダーマクラギ、フローティングラダー軌道及びその敷設方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KR101416157B1 (ko) 교체가 용이한 3차원 입체형상의 궤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이 궤도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궤도 부설방법 및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JP2005256604A (ja) 型枠の支持構造
KR101986787B1 (ko) 일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의 시공방법
EP1496156A2 (en) Railway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