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327B1 -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 Google Patents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327B1
KR101678327B1 KR1020157013081A KR20157013081A KR101678327B1 KR 101678327 B1 KR101678327 B1 KR 101678327B1 KR 1020157013081 A KR1020157013081 A KR 1020157013081A KR 20157013081 A KR20157013081 A KR 20157013081A KR 101678327 B1 KR101678327 B1 KR 10167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liposome
acid block
peptide
pept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378A (ko
Inventor
겐따로 고구레
스스무 하마
Original Assignee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by chemical synth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약산성 pH 환경 중에서 목적 물질을 방출할 수 있는 약물 송달 캐리어를 제작하기 위한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는 펩티드 화합물이며, 〔1〕 펩티드 화합물의 총 아미노산수는 24∼36이고, 〔2〕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4∼10이고, 평균 소수성도가 -3.0∼-1.0이고, 〔3〕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20∼32이고, His을 1개 이상 갖고, 평균 소수성도가 1.0∼2.5인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WEAKLY ACIDIC pH-RESPONSIVE PEPTIDE AND LIPOSOME CONTAINING SAM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0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33011호 명세서(그의 개시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원용됨)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에 관한 것이다.
암의 화학 요법에 있어서, 특이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DDS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지만, 종양 환경에 착안한 것은 거의 없다. 즉, 종양 조직은 생리적 조건 하(pH 7.4 부근)에 비해 낮은 pH(pH 6.5 부근)라는 특수한 환경이지만, 이와 같은 미약한 pH의 변화에 응답하도록 종양 조직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 송달 캐리어는 아직 개발 도상에 있다. 지금까지도, EPR 효과(Enhanced Permeation and Retention Effect)를 기대하고,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리포솜 등의 표면에 수식되어, 항암제 등의 캐리어로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PEG 수식 캐리어는 종양 조직으로 송달 후의 약물 방출이 율속이고, 종양 조직 내에서 효율적으로 약물을 방출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펩티드-리포솜 복합체는 N 말단 영역에 염기성 아미노산(리신 또는 아르기닌)이 존재함으로써 양전하를 갖고 있고, pH에 의존하여 전하가 변화되는 일은 없고, 충분한 혈중 체류성은 기대할 수 없다.
비특허문헌 1은 pH 응답성 영역으로서 His 세그먼트를 사용하고 있고, 외부 환경 pH가 7.4로부터 5.0까지 대폭으로 저하됨으로써 중성이었던 His이 플러스로 하전되고, 그 정전적 반발력의 증대에 의해 미셀을 붕괴시키는 기술이지만, His 단독으로는 pH 6.5라는 미약산성에서는 충분히 프로톤화되지 않으므로, 전하 반전을 발생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pH 6.5에 있어서 미셀의 붕괴를 수반하는 약물 방출은 기대할 수 없다.
비특허문헌 2는 블록 중합체 말단 리신 세그먼트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디메틸말레산이 pH 저하에 의해 탈리되고, 그것에 의해 표면 하전이 마이너스로부터 플러스로 전환하는 pH 응답성의 미셀이다. 비특허문헌 2의 펩티드는 일단 디메틸말레산이 탈리되면, 플러스 전하의 리신 잔기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pH가 상승했다고 해도 원상태로 돌아가는 일은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4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4-523531호 공보
AIChE Journal Vol.56, No.7, 2010, pp.1922-1931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76(2009) 134-140
본 발명은 암 조직과 같은 약산성 pH 환경 중에서 목적 물질을 방출할 수 있는 약물 송달 캐리어를 제작하기 위한 펩티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1)∼(10)의 펩티드 화합물, 상기 펩티드 화합물을 갖는 리포솜 및 상기 리포솜을 사용한 물질 도입제를 제공한다.
(1)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는 펩티드 화합물이며,
〔1〕 펩티드 화합물의 총 아미노산수는 24∼36이고, 〔2〕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4∼10이고, 평균 소수성도가 -3.0∼-1.0이고, 〔3〕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20∼32이고, His을 1개 이상 갖고, 평균 소수성도가 1.0∼2.5인
펩티드 화합물.
(2)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평균 소수성도가 -2.0∼-1.5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평균 소수성도가 1.5∼2.0인 (1)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
(3)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소수성도가 -3.0 이하인 아미노산과 소수성도가 0∼-1.0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His과 소수성도가 0을 초과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인, (1) 또는 (2)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
(4)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His 또는 Glu과 Gly으로 구성되는 아미노산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His과, Leu, Ala, Met, Cys, Phe, Val 및 Il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아미노산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
(5)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0∼5개 갖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1∼8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
(6)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하기 식 (I)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1
(식 중, AA1, AA2, AA3 및 AA4는 임의의 2개가 His 또는 Glu이고, 나머지 2개가 Gly임)로 표시되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유닛을 5∼8개 포함하고, 각 유닛의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는,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2
(식 중, AA5, AA6, AA7 및 AA8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His, Leu 또는 Ala을 나타내되, 단, 식 (II)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His을 1개 또는 2개 포함함)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과 지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8) 리포솜 중의 총 지질량에 대해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을 1 내지 10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리포솜.
(9) 리포솜이 양이온성 리포솜인, (8)에 기재된 리포솜.
(10) 목적 물질을 리포솜에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7)∼(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11)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2)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항종양제.
(13) 포유 동물에 대해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의 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유효량을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4) 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의 용도.
(15)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7)∼(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포솜.
본 발명에 따르면, pH 7.4 부근의 생리 조건 하에서는 내부에 봉입된 저분자의 목적 물질을 방출하지 않고, pH 6.5 부근의 약산성의 세포 환경에서 방출 가능한 리포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이와 같은 약한 산성 영역에서 목적 물질을 방출하여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약물 송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pH 7.4의 생리적 조건에서는 내봉된 목적 물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미약산성(pH 6.5)에서도 민감하게 응답할 수 있으므로, EPR 효과에 의해 종양에 도달한 후에, 종양 주변 환경의 미약산성 조건 하에서 친수성 블록의 정전적 반발 및/또는 소수성 블록의 소수성 상호 작용의 저하가 유도됨으로써 내봉된 목적 물질을 방출한다는 높은 유용성을 갖고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1(서열 번호 1)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b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1(서열 번호 1)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2(서열 번호 2)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b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2(서열 번호 2)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는 실시예 3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3(서열 번호 3)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b는 실시예 3에서 얻은 펩티드 화합물 3(서열 번호 3)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는 비교예 1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1(서열 번호 4)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b는 비교예 1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1(서열 번호 4)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a는 비교예 2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2(서열 번호 5)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b는 비교예 2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2(서열 번호 5)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a는 비교예 3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3(서열 번호 6)의 HPL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b는 비교예 3에서 얻은 비교 화합물 3(서열 번호 6)의 MALDI-TOF-MS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칼세인 봉입 리포솜 1에 대해, 다른 pH 조건에 있어서의 내봉 약물 누출률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텍사스 레드(Texas Red) 표지 덱스트란 봉입 리포솜 1에 대해, 다른 pH 조건에 있어서의 내봉 약물 누출률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칼세인 및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 봉입 리포솜 1에 대해, 다른 pH 조건에 있어서의 내봉 약물 누출률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펩티드 화합물 1 단체 및 펩티드 도입 리포솜의 CD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1은 시험예 5에 있어서의 독소루비신(Dox) 단체 및 Dox 봉입 리포솜의 항종양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펩티드 화합물과 리포솜 형성 성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고, 그의 총 아미노산수로서는 24∼36개, 바람직하게는 24∼32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4∼28개이다.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로서는 4∼10개이고, 바람직하게는 4∼8개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로서는 20∼32개이고, 바람직하게는 20∼24개이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1개의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1개의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펩티드 결합으로 결합된 것이고, 어떤 아미노산 블록이 N 말단측이어도 상관없지만,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N 말단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그의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는 His을 1 이상 갖지만, His을 포함하는 소수성도 -3.0 이하의 아미노산끼리는 인접하지 않는 것이 약산성에 대한 응답성의 관점에서 필수이다. 또한, 펩티드 화합물의 서열 중에 His을 1∼13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 화합물을 구성하는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은 특유의 평균 소수성도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소수성도(hydropathy index)란, 예를 들어 문헌[J.Mol.Biol., (1982) 157, 105-132]에 기재된 것이고, 생체를 구성하는 각 아미노산은 특유의 소수성도를 나타낸다(표 1 참조).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예를 들어 문헌[Molecular Medicine 4:240-257, 1998]에 기재된 것이고, 하기 블록마다의 아미노산의 소수성도의 총합을 아미노산수로 나눈 것이다.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은 소수성도가 0 이하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은 His 및 0을 초과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경계는 His 이외의 아미노산의 소수성도에 의해 결정된다. His이 경계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구성하는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서는, 평균 소수성도가 -3.0∼-1.0, 바람직하게는 -2.0∼-1.5가 되는 아미노산의 조합이면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소수성도가 -3.0 이하인 아미노산과 소수성도가 0∼-1.0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His 또는 Glu과 Gly으로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His과 Gly으로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0∼5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4
[식 중, AA1, AA2, AA3 및 AA4는 임의의 2개가 His 또는 Glu이고, 나머지 2개가 Gly임(특히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2개가 His이고, 나머지 2개가 Gly임)]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구성하는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서는, 평균 소수성도가 1.0∼2.5, 바람직하게는 1.5∼2.0이 되는 아미노산의 조합이면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His과 소수성도가 0을 초과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His과, Leu, Ala, Met, Cys, Phe, Val 또는 Ile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His과, α-helix 구조를 취하기 쉬운 아미노산인 Leu 또는 Ala으로 구성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1∼8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II)로 표시되는 유닛을 5∼8개 포함하고, 각 유닛의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는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5
[식 중, AA5, AA6, AA7 및 AA8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His, Leu 또는 Ala을 나타내되, 단, 각 유닛 사이 또는 유닛 내의 2개의 His은 인접하지 않음]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의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His-Gly-His-Gly-Leu-Ala-Leu-Leu-Ala-His-Ala-Leu-Leu-Ala-His-Ala-Ala-Leu-Ala-His-Ala-Ala-Leu-Ala(서열 번호 1), Gly-His-His-Gly-Leu-Ala-Leu-Leu-His-Ala-Leu-His-Leu-Ala-Ala-Ala-Ala-Leu-His-Ala-Ala-Ala-Leu-Ala(서열 번호 2), Glu-Gly-Glu-Gly-Leu-Ala-Leu-Leu-Ala-His-Ala-Leu-Leu-Ala-His-Ala-Ala-Leu-Ala-His-Ala-Ala-Leu-Ala(서열 번호 3)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상기와 같은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수이다.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만을 포함하는 펩티드 화합물에서는, 리포솜의 소수성부에 도입되어 리포솜 내부에 프로톤이 침입할 수 없으므로, 주위의 환경이 산성으로 치우쳐도 펩티드 화합물은 응답하지 않고, 리포솜의 구조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만을 포함하는 펩티드 화합물에서는 리포솜에 포함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의 C 말단에는 C 말단 보호기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C 말단 보호기로서는, C 말단 카르복실의 탄소 원자로 아미드를 형성하는 기, 또는 카르복실의 산소 원자로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기가 포함된다.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기로서는 알킬기, 특히 탄소수 1∼5의 직쇄 또는 분기쇄 알킬기(C1∼C5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및 프로필기 등이 포함되고, 아미드를 형성하는 기로서는 아미노기와 같은 아민 관능기, 또는 알킬아미노 관능기, 예를 들어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등의 모노 C1∼C5 알킬아미노기 및 디C1∼C5 알킬아미노기가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아미드를 형성하는 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이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공지의 펩티드 합성법, 특히 액상 합성법 또는 고상 합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코딩하는 DNA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숙주 세포에 도입하고, 발현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상 합성법에서는 C 말단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를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Fmoc)기 등의 우레탄형 보호기로 보호한 N-보호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를, 아미노기를 갖는 불용성 수지에 결합시킨 후,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제거하고, N 말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보호 아미노산을 축합시키고, 계속해서 불용성 수지 및 아미노산의 보호기를 탈보호시켜, 본 발명의 펩티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아미노기를 갖는 불용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Fmoc-NH-SAL 수지(4-(2',4'-디메톡시페닐-Fmoc-아미노에틸)페녹시 링커 수지)가 바람직하고, 개열에 의해 직접 목적물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하는 보호 아미노산은 관능기를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공지의 보호기로 보호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시판의 보호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기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기, 2,2,2-트리클로로에틸옥시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 아미노산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DIPCDI(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HOBt(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법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축합 반응은 공지의 용매 중에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가 예시된다. 아미노기의 보호기의 탈리 시약으로서는 한정되지 않고, 피페리딘/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공지의 시약에 의해, Fmoc기 등의 보호기를 절단할 수 있다. 우레탄형 보호기의 탈보호는 접촉 환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른 보호기도 공지의 방법에 의해 탈보호할 수 있다. 합성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축합 반응의 진행의 정도는, 예를 들어 닌히드린 반응법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원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보호 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불용성 수지로서 Fmoc-NH-SAL 수지를 사용한 경우, TMSBr(트리메틸실릴브로마이드)이나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수지 및 보호기를 동시에 탈리시킬 수 있다. 또한, 펩티드 화합물의 C 말단은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COOH 또는 CONH2로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추출, 재결정, 각종 크로마토그래피(겔 여과, 이온 교환, 분배, 흡착), 전기 영동, 향류 분배 등, 공지의 수단에 의해 단리 정제할 수 있고,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리포솜은 지질 이중층 구조를 갖는 폐쇄 소포인 한, 다중막 리포솜(MLV)일 수도 있고, SUV(small unilamellar vesicle; 소형 단층 소포), LUV(large unilamellar vesicle; 대형 단층 소포), GUV(giant unilamellar vesicle; 거대 단층 소포) 등의 1매막 리포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에 있어서,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지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체예로서는, 포스파티딜콜린(예를 들어,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등), 포스파티딜글리세롤(예를 들어,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SPG)),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예를 들어,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카르디올리핀 등의 인지질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시드 등의 당지질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인지질은 난황, 대두 그 밖의 동식물에서 유래되는 천연 지질(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등), 합성 지질 또는 반합성 지질 중 어떤 것이어도 된다. 이들 지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질 이중층에는 지질 이중층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시키거나, 막의 유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숙신산, 라노스테롤, 디히드로라노스테롤, 데스모스테롤, 디히드로콜레스테롤 등의 동물 유래의 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등의 식물 유래의 스테롤(피토스테롤); 티모스테롤, 에르고스테롤 등의 미생물 유래의 스테롤; 글리세롤, 슈크로오스 등의 당류; 트리올레인, 트리옥타노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킬 수 있다.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지질 이중층을 구성하는 총 지질량에 대해 5∼40%(몰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0%(몰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질 이중층에는 토코페롤, 갈산프로필, 팔미트산아스코르빌, 부틸화히드록시톨루엔 등의 항산화제;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등의 양하전을 부여하는 하전 물질; 디세틸포스페이트 등의 음전하를 부여하는 하전 물질; 막 표재성 단백질, 막 내재성 단백질 등의 막 단백질을 함유시킬 수 있고, 그 함유량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에는 양이온성 지질이 포함되는 것(양이온성 리포솜)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DODAC(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octa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OTMA(N-(2,3-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N-(2,3-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DDAB(디도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didodecylammonium bromide)), DOTAP(1,2-디올레오일옥시-3-트리메틸암모니오 프로판(1,2-dioleoyloxy-3-trimethyla㎜onio propane)), DC-Chol(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르바몰 콜레스테롤(3β-N-(N',N',-dimethyl-aminoethane)-carbamol cholesterol)), DMRIE(1,2-디미리스토일옥시프로필-3-디메틸히드록시에틸 암모늄(1,2-dimyristoyloxypropyl-3-dimethylhydroxyethyl ammonium)), DOSPA(2,3-디올레일옥시-N-[2(스페르민카르복사미도)에틸]-N,N-디메틸-1-프로파나미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2,3-dioleyloxy-N-[2(sperminecarboxamido)ethyl]-N,N-dimethyl-1-propanaminum trifluoroacetate)), DSTAP(1,2-디스테아로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stearo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ODAP(디올레오일-3-디메틸암모늄-프로판(dioleoyl-3-dimethylammonium-propane))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지질은 DOTMA, DSTAP 또는 DODAP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DOTAP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지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성 지질에 있어서, DOTMA 및 DSTAP는 4급 아민을 갖고 있고, 항상 양전하를 띠고 있지만, DODAP는 3급 아민을 갖고 있고, 생리적 pH에서 전하를 갖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이온성 지질의 종류, 배합량을 변경함으로써, 양이온성 지질의 구조, 특징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바람직하게는 보조 지질(Helper lipid)이 포함된다. 보조 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EPC(난황 포스파티딜콜린(egg phosphatidylcholine)), DLPC(디리놀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 DMPC(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 DPPC(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DSPC(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distearoylphosphatidylcholine)), POPC(팔미토일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palmitoyloleoylphosphatidylcholine)), DOPC(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dioleoylphosphatidylcholine)), DOPE(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ioleoylphosphatidylethanolamine)), SOPE(스테아릴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stearyloleoylphosphatidylcholin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EPC, DOPC, DOPE, SOPE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구성 성분에 갖는다.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사용할 때,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을 100몰%로 한 경우에 1∼10몰% 정도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친수성 중합체에 의해 수식할 수 있다.
친수성 중합체로서는,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덱스트란, 풀루란, 피콜,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무수말레산 교대 공중합체, 디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교대 공중합체,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키토산, 만난, 시클로덱스트린, 펙틴, 카라기난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공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들 수 있고, 이들 친수성 중합체에 의해 리포솜을 수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EG로서는, DSPE(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PEG2000, DMPE(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imyristoyl phosphatidylethanolamine))-PEG2000, DSG(디스테아로일글리세롤(distearoylglycerol))-PEG2000, DMG(디미리스토일글리세롤(dimyristoylglycerol))-PEG2000, 콜레스테롤 PEG2000, 스테아릴 PEG2000 또는 C8세라마이드-PEG2000, C16세라마이드-PEG2000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스테아릴 PEG2000 또는 C8세라마이드-PEG2000이 바람직하다. PEG의 길이는 500∼10000 정도의 분자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친수성 중합체의 분자량도 마찬가지로 당업자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포솜을 PEG 수식하는 경우, 스테아릴화 PEG(STR-PEG), C8세라마이드-PEG, 콜레스테롤-PEG를 사용하는 것이, 목적 물질(예를 들어, siRNA 등의 핵산 의약)의 기능 발현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솜을 얻으므로 바람직하고, 또한 DSPE-PEG, DSG-PEG, C16세라마이드-PEG 등을 사용하는 것이, 혈중 안정성을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하다. 친수성 중합체는 리포솜을 수식하는 경우,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을 100몰%로 한 경우에 1∼15몰% 정도의 비율로 수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예를 들어 수화법, 초음파 처리법, 에탄올 주입법, 에테르 주입법, 역상 증발법, 동결ㆍ융해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수화법에 의한 리포솜의 제조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지질 이중층의 구성 성분인 지질과,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후, 유기 용제를 증발 제거함으로써 지질막을 얻는다. 이때,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질막을 수화시켜, 교반 또는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 펩티드를 갖는 리포솜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화법에 의한 리포솜의 다른 제조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지질 이중층의 구성 성분인 지질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후, 유기 용제를 증발 제거함으로써 지질막을 얻고, 이 지질막을 수화시켜, 교반 또는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리포솜을 제조한다. 계속해서, 이 리포솜의 외액에,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리포솜에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지질로서 4급 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의 리포솜의 제조는 후술하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 이것에 준한 방법 또는 이들과 통상의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또한 양이온성 지질로서 3급 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의 리포솜 제조는 후술하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 이것에 준한 방법 또는 이들과 통상의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리포솜의 제조 시에, 보조 지질(EtOH 용액)/ 양이온성 지질(EtOH 용액)의 비율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리포솜은 EPC/DOTAP/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 EPC/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 또는 EPC/DSPG/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의 조성을 갖는 리포솜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EPC/DOTAP/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의 조성을 갖는 리포솜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의 제타 전위는 중성 부근의 pH(예를 들어, pH 7 또는 7.4)로 -50∼+50㎷ 정도, 바람직하게는 -40∼+4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30㎷ 정도이다. 제타 전위는 제타 사이저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입자 직경 30∼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200㎚이다.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동적 광산란법, 정적 광산란법, 전자 현미경 관찰법, 원자간력 현미경 관찰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의 내부에는 세포 내에 송달하려고 하는 목적 물질을 봉입할 수 있다.
목적 물질이 수용성인 경우에는, 리포솜의 제조에 있어서 지질막을 수화할 때에 사용되는 수성 용매에 목적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리포솜 내부의 수상에 목적 물질을 봉입할 수 있다. 또한, 목적 물질이 지용성인 경우에는, 리포솜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에 목적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리포솜의 지질 이중층에 목적 물질을 봉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봉입」이란, 리포솜과 같은 중공 입자의 내부에 목적 물질을 포함한다.
목적 물질을 송달해야 할 생물종은 척추 동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유 동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유 동물로서는,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양, 염소, 말, 돼지, 토끼, 개, 고양이, 래트, 마우스, 모르모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예를 들어 분산액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 인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액에는, 예를 들어 당류, 다가 알코올, 수용성 고분자, 비이온 계면 활성제, 항산화제, pH 조절제, 수화 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분산액을 건조(예를 들어,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등)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건조시킨 리포솜은 생리 식염수, 인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가하여 분산액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시험관내(in vitro) 및 생체내(in vivo)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리포솜을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여 경로로서, 예를 들어 정맥 주사, 점적 등을 들 수 있고, 투여량 및 투여 빈도는 본 발명 리포솜에 봉입된 목적 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을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약학적 담체를 배합할 수 있고, 예방 또는 치료 목적에 따라 각종 투여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상기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주사제를 채용할 수 있다. 각종 투여 형태는 각각 당업자에게 공지 관용인 제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주사제를 제조하는 경우는, 목적 물질에 pH 조절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용 주사제를 제조할 수 있다.
pH 조절제 및 완충제로서는,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피로아황산나트륨, EDTA, 티오글리콜산, 티오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서는, 염화나트륨, 포도당, D-만니톨,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또한 체중 감소, 간 장애 모두 보이지 않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 도입제는 목적 물질을 약산성 pH 부위로 송달하기 위해 시험관내 및 생체내의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약산성 pH 부위로서는, 염증 부위, 종양 부위, 감염 부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종양 부위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봉입되는 목적 물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약물, 핵산, 펩티드(옥시토신, 브래디키닌, 티로트로핀 방출 인자, 엔케팔린 등의 생리 활성 펩티드, 펩티드 호르몬 등), 단백질(효소, 인터류킨 등의 각종 사이토카인, 세포 전달 인자, 세포 성장 인자, 항체 등), 당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고, 진단, 치료 등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핵산」에는 DNA 또는 RNA 외에, 이들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예를 들어, siRNA, 펩티드 핵산(PNA), 포스포로티오에이트 DNA 등)가 포함된다. 또한, 핵산은 단일쇄 또는 이중쇄 중 어떤 것일 수도 있고, 선상 또는 환상 중 어떤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포솜에서는 분자량이 상이한 복수종의 목적 물질을 동일 리포솜 내에 봉입하고, 방출 부위에 차이가 생기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자량이 700 이하인 저분자 물질에서는 약산성 pH 특이적으로 방출되지만, 700 이상의 고분자 물질에서는 약산성 pH 환경에서는 방출되지 않고, 종양 세포 내에 도입된 후 방출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목적 물질은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과 펩티드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1∼6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40질량부 포함된다.
목적 물질이 약물인 경우, 약산성 환경(pH 6.5 부근)인 조직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제이면 어떤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암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암제로서, 테가푸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시스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카르보플라틴,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SN-38, 액티노마이신 D,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메토트렉세이트, 아자티오프린, 플루오로우라실, 마이토마이신 C, 도세탁셀, 시클로포스파미드, 카페시타빈, 에피루비신, 겜시타빈, 미토산트론, 류코보린, 비노렐빈, 트라스투주맙, 에토포시드, 에스트라무스틴, 프레드니손, 인터페론 α, 인터류킨-2, 블레오마이신, 이포스파미드, 메스나, 알트레타민, 토포테칸, 시타라빈, 메틸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머캅토퓨린, 티오구아닌, 플루다라빈, 젬투주맙, 이다루비신, 미토산트론, 트레티노인, 알렘투주맙, 클로람부실, 클라드리빈, 이마티닙, 에피루비신, 다카르바진, 프로카르바진, 메클로레타민, 리툭시맙, 데니류킨디프티톡스, 트리메토프림/술파메톡사졸, 알로푸리놀, 카무스틴, 타목시펜, 필그라스팀, 테모졸로마이드, 멜팔란, 비노렐빈, 아자시티딘, 탈리도마이드 및 마이토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증 부위도 약산성 영역이므로, 항염증제도 목적 물질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항염증제로서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디클로페낙, 피록시캄, 아세트아미노펜,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등),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예를 들어,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등)를 들 수 있다.
목적 물질이 핵산인 경우, 예를 들어 부분 이중쇄 RNA(mdRNA), 닉이 들어간 dsRNA(ndsRNA), 갭이 있는 dsRNA(gdsRNA), 단간섭 핵산(siNA), siRNA, 마이크로 RNA(miRNA), 단헤어핀 RNA(shRNA), 단간섭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치환된 단간섭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수식된 단간섭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화학 수식된 dsRNA, 전사 후 유전자 사일런싱 RNA(ptgsRN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중쇄 RNA(dsRNA)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목적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종 이상의 siRNA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치환 및 수식(화학 수식을 포함함)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중쇄 RNA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2개의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티미딘, 아데닌)를 포함하는 오버행 등, 이중쇄 RNA의 3' 말단의 일단 또는 양단에 1∼4 뉴클레오티드의 오버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는 일단 또는 양단에 평활 말단을 가질 수 있다. 일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쇄의 5' 말단은 인산화되어 있다. 이중쇄 RNA의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3' 말단의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은 핵산의 당, 염기 또는 골격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수식된 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의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3' 말단의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은 1개 이상의 보편적인 염기 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의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3' 말단의 뉴클레오티드 오버행은 1개 이상의 비환식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의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dsRNA는 5' 인산염(문헌[Martinez et al., Cell. 110:563-574, 2002; 및 Schwarz et al., Molec. Cell. 10:537-568, 2002]를 참조) 또는 5',3'-이인산염 등의 말단 인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는 2'-데옥시, 2'-O-메틸, 2'-O-메톡시에틸, 2'-O-2-메톡시에틸, 할로겐, 2'-플루오로, 2'-O-알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의 2' 당치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중쇄 RNA는 제1 쇄 또는 1개 이상의 제2 쇄의 일단 또는 양단 위에, 알킬, 탈염기, 데옥시탈염기, 글리세릴, 디뉴클레오티드, 비환식 뉴클레오티드, 반전된 데옥시뉴클레오티드 부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의 말단 캡 치환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중쇄 RNA는 독립하여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키랄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인산트리에스테르, 아미노알킬인산트리에스테르, 메틸포스폰산염, 알킬포스폰산염, 3'-알킬렌포스폰산염, 5'-알킬렌포스폰산염, 키랄포스포네이트, 포스포노아세트산염, 티오포스포노아세트산염, 포스핀산염, 포스포로아미드산염, 3'-아미노포스포로아미드산염, 아미노알킬포스포로아미드산염, 티오노포스포로아미드산염, 티오노알킬포스폰산염, 티오노알킬인산 트리에스테르, 셀레노인산염, 보라노인산 결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의, 적어도 하나의 수식된 뉴클레오티드간 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는 5-메틸시토신; 5-히드록시메틸시토신; 크산틴; 히포크산틴; 2-아미노아데닌; 6-메틸, 2-프로필 또는 아데닌 및 구아닌의 그 밖의 알킬 유도체; 8-치환된 아데닌 및 구아닌(8-아자, 8-할로, 8-아미노, 8-티올, 8-티오알킬, 8-히드록실 등); 7-메틸, 7-데아자 및 3-데아자아데닌 및 구아닌; 2-티오우라실; 2-티오티민; 2-티오시토신; 5-메틸, 5-프로피닐, 5-할로(5-브로모 또는 5-플루오로 등), 5-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다른 5-치환된 우라실 및 시토신; 및 6-아조우라실 등의 핵산 아날로그를 사용함으로써, 치환 내지 수식(화학 수식을 포함함)할 수 있다.
이중쇄 RNA(dsRNA) 등의 RNA는 화학적으로 수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학 수식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뉴클레오티드간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결합, 2'-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2'-O-메틸리보뉴클레오티드, 2'-데옥시-2'-플루오로리보뉴클레오티드, 「비환상」뉴클레오티드, 5'-C-메틸뉴클레오티드 및 말단으로의 글리세릴 및/또는 역방향 데옥시 무염기 잔기의 도입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학 수식은 세포 내에 있어서의 RNAi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리포솜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 예방, 치료의 대상으로 하는 질환은, 목적 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항종양제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암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두경부암, 식도암, 위암, 결장암, 직장암, 간암, 담낭ㆍ담관암, 담도암, 췌장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체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정소 종양, 골ㆍ연부육종, 다발성 골수종, 피부암, 뇌종양, 중피종, 흑색종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시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HGHGLALLAHALLAHAALAHAALA(서열 번호 1, 펩티드 화합물 1)의 합성
Fmoc-Ala-HMP 레진을 스타트로 하여, 0.1mM 스케일로, 아미노산, 축합제(HBTU/HOBt), 반응 촉진제(DIEA)를 각각 레진에 대해 4당량 사용하여 Fmoc 고상 합성법으로 서열 번호 1의 펩티드 합성을 실시하였다(HBTU: M.W.379.2, HOBt, 무수물(Anhydrous): M.W.135.1, DIEA: M.W.129.2). 합성 후의 레진에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칵테일 용액(125ml TFA, 0.25ml H2O, 0.375g 페놀, 0.125ml 에탄디티올 및 0.25ml 티오아니솔)을 가하여 빙냉 하 15분, 실온 2시간 반응시키고 레진으로부터 펩티드를 잘라내어 디에틸에테르 침전시켜 크루드 펩티드를 얻었다. HPLC로 정제 작업을 실시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순도의 검정은 HPLC 및 MALDI-TOF-MS로 실시하였다. 하기 HPLC 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단일 피크로서 원하는 펩티드 화합물 1(서열 번호 1)을 얻었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A 버퍼(Buffer): 0.1% TFA/H2O; B 버퍼: 0.1% TFA/아세토니트릴; 컬럼(Column): SunFire C18 컬럼, 5㎛, 4.6x150㎜; 유속(Flow rate): 1ml/min; 파장(Wavelength): 220㎚.
MALDI-TOF-MS는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즈 보이저 시스템(Applied Biosystems Voyager System)을 사용하였다. 분자량의 계산값: 2320.7, 실측값: 2321.40.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1에 도시한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2020.7)
사용한 레진 Fmoc-Ala-HMP 레진
사용한 레진량 208.0㎎(레진 도입량 0.48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32.3㎎.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228.6㎎(수율 98.4%)
실시예 2 GHHGLALLHALHLAAAALHAAALA(펩티드 화합물 2)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여, 펩티드 화합물 2(서열 번호 2)를 얻었다. 분자량의 계산값: 2320.7, 실측값: 2320.04.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2320.7)
사용한 레진 Fmoc-Ala-HMP 레진
사용한 레진의 양 140.1㎎(레진 도입량 0.72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34.0㎎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95.5㎎(수율 40.8%)
실시예 3 EGEGLALLAHALLAHAALAHAALA(펩티드 화합물 3)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여, 펩티드 화합물 3(서열 번호 3)을 얻었다. 분자량의 계산값: 2304.6, 실측값: 2305.14.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2304.6)
사용한 레진 Fmoc-Ala-HMP 레진
사용한 레진의 양 175.6㎎(레진 도입량 0.60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42.7㎎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240.1㎎(수율 98.9%)
비교예 1 HHGGLLLLHHHAAAAALLLAAAAA(비교 화합물 1)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여, 비교 화합물 1(서열 번호 4)을 얻었다. 분자량의 계산값: 2320.7, 실측값: 2320.65.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4에 도시한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2320.7)
사용한 레진 Fmoc-Ala-HMP 레진
사용한 레진의 양 179.8㎎(레진 도입량 0.58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42.0㎎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233.4㎎(수율 96.4%)
비교예 2 HGHGGGGGGGGGAHALLAHAALAH(비교 화합물 2)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여, 비교 화합물 2(서열 번호 5)를 얻었다. 분자량의 계산값: 2040.1, 실측값: 2040.49.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2040.1)
사용한 레진 H-His(Trt)-Trt(2-Cl)-레진
사용한 레진의 양 217.6㎎(레진 도입량 0.50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22.0㎎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182.9㎎(수율 82.4%)
비교예 3 HGHGLALLAHALLAHAAAAL(비교 화합물 3)의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합성하여, 비교 화합물 3(서열 번호 6)을 얻었다. 분자량의 계산값: 1928.2, 실측값: 1929.58. HPLC 및 MALDI-TOF-MS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평균 소수성도는 후술하는 표 3에 나타냈다.
합성 스케일 0.1mM 스케일(분자량 1928.2)
사용한 레진 Fmoc-Leu-HMP 레진
사용한 레진의 양 208.2㎎(레진 도입량 0.50mmol/g)
이 레진을 사용하여 생기는 펩티드의 이론값 200.7㎎
실제로 취해진 크루드량 111.8㎎(수율 55.7%).
실시예 4 양이온성 리포솜의 제조 및 pH 응답성
(1) 리포솜의 제조는 난황 포스파티딜콜린(EPC)/디올레오일테트라암모늄프로판(DOTAP)=1/1(mol비)의 비율로 혼합한 지질 에탄올 용액을 시험관에 분주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펩티드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을 총 지질량의 5mol%량을 첨가하고, 또한 클로로포름을 등량 혼합한 것에, 질소 가스를 분사하여 증발 건고 시킴으로써 지질 박막을 제조하였다. pH 7.4의 버퍼를 첨가하고, 10분간 실온 조건으로 충분히 수화시켰다. 수화 후, 수조형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관을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EPC/DOTAP/펩티드 화합물 1로 구성된 리포솜 1을 제조하였다(지질 농도 10mM).
(2) 다른 pH의 완충액으로 희석 현탁한 리포솜 1의 입자 직경(size)과 표면 전위(ζpotential)를 말번사제 제타사이저 나노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펩티드 화합물을 도입하고 있지 않은 EPC/DOTAP=1/1(mol비)의 참고 리포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입자 직경과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6
그 결과,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이 도입되어 있지 않은 참고 리포솜에서는, pH 응답성은 입자 직경과 표면 전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변화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도입한 리포솜에 있어서는, pH 7.4에 있어서의 입자 직경은 약 100㎚이고, pH 6.5에 있어서 입자 직경은 증대되어, pH 7.4에 비해 약 2배로 되었다. 또한, 표면 전위는, pH 7.4에서는 -2.0㎷였지만, pH 6.5에 있어서 +9.8㎷로 변화되었다. 이들 결과는, 미소한 pH 변화에 따라 펩티드에 포함되는 히스티딘이 프로톤화됨으로써, 입자 직경 및 표면 전위가 변화되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pH 7.4로부터 6.5로 저하되었을 때의 입자 직경의 증대는 히스티딘이 프로톤화됨으로써, 소수부에 있어서의 소수적 상호 작용의 저하와 친수부에 있어서의 정전적 반발로 인해, 리포솜 구조가 헐거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험예 1 다른 pH 조건에 있어서의 내봉 약물 누출량의 측정
(1)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펩티드 함유 지질 박막을 제조 후, 칼세인(Mw 622.55) 30mM 용액을 첨가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리포솜 1을 제조하였다. 미봉입의 칼세인은 겔 여과(세파덱스(Sephadex) G50)에 의해 제거하였다.
내봉 칼세인의 리포솜으로부터의 누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당해 리포솜을 다른 pH의 버퍼로 희석 현탁한 후,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트하여, 플레이트 리더(infinite M200, TECAN사)를 사용하여 누출된 칼세인의 형광(λex: 488㎚, λem: 517㎚)을 측정하였다. 또한, 당해 리포솜에 1% 트리톤(Triton)-X100을 혼합한 경우에 누출된 칼세인의 형광을 완전 누출량으로 하였다. 누출률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도시한다.
누출률(%)=(F샘플-FpH 7.4)/(F트리톤-FpH 7.4)×100
F샘플: 각 pH 하에서 리포솜으로부터 누출된 칼세인의 형광
FpH 7.4: pH 7.4에서의 리포솜으로부터 누출된 칼세인의 형광
F트리톤: 당해 리포솜에 1% 트리톤-X100을 혼합한 경우의 칼세인의 형광
그 결과, pH 7.4에서는 누출이 완전히 인정되지 않았지만, pH 6.5에 있어서 약 100%의 칼세인의 누출이 인정되었다. 즉, 미약한 pH 변화에 따라, 지질막에 매립한 펩티드 화합물 내의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의 His이 프로톤화됨으로써, 펩티드와 지질 분자 사이의 반발에 의해, 내봉 칼세인이 누출되었다고 시사되었다.
(2)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펩티드 함유 지질 박막을 제조 후,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Mw 3,000) 2㎎/ml 용액을 첨가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덱스트란 봉입 리포솜 1을 제조하였다.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의 리포솜으로의 봉입률을 높이기 위해, 액체 질소로 동결 후, 37℃에서 융해하고, 이 동결 융해를 5회 반복하였다. 미봉입의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은 겔 여과(Sepharose CL-6B)에 의해 제거하였다. 내봉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의 리포솜으로부터의 누출량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그 결과, pH 7.4에서는 누출이 완전히 인정되지 않았지만, pH 6.5 이하에 있어서도 당해 리포솜으로부터의 덱스트란의 누출은 인정되지 않았다. 즉, 당해 리포솜은 미약한 pH 변화에 따라, 고분자는 누출시키지 않고, 저분자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누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시사되었다.
(3)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펩티드 함유 지질 박막을 제조 후, 칼세인(Mw 622.55) 15mM 용액 및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Mw 3,000) 1㎎/ml 용액을 첨가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2성분 봉입 리포솜 1을 제조하였다. 미봉입의 칼세인과 덱스트란은 투석막(분화 분자량 14,000)을 사용하여 투석에 의해 제거하였다. 내봉 텍사스 레드 표지 덱스트란 및 칼세인의 리포솜으로부터의 누출량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그 결과, 칼세인과 덱스트란을 당해 리포솜에 함께 봉입한 경우, 칼세인은 pH 6.5에 있어서 약 60%, pH6.0 이하에서는 약 80% 누출되었다. 한편, 덱스트란은 모든 pH에 있어서 누출은 인정되지 않았으므로, 상기와 같이 당해 리포솜은 미약한 pH 변화에 따라, 저분자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누출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리포솜은 pH 의존성으로 저분자량의 화합물로부터 누출시킬 수 있고, 분자량이 다른 화합물을 봉입한 경우, 분자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화합물을 누출할 수 있다.
시험예 2 다른 pH 조건에 있어서의 펩티드 단체 및 펩티드 도입 리포솜의 CD스펙트럼(spectrum)(pH 응답성 및 막 구조 기반의 필요성의 제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펩티드 화합물 1 단체 및 실시예 4에 준하여 얻어진 펩티드 도입 리포솜(각각 펩티드 농도로 하여 20μM)을 다른 pH의 PBS(-)에 현탁하고, J-720WI(닛본 분코우(주)사제)를 사용하여 CD(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도시한다.
또한, 「α-helix」는 α헬릭스 구조를 의미하고, 「랜덤 코일 구조」는 명확한 2차 구조를 취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 결과, 펩티드 화합물 1 단독의 경우, pH 7.4에서는 α-helix(196㎚ 부근에 양의 피크, 207과 222㎚ 부근에 음의 피크)였지만, pH의 저하에 의존하여, 순차적으로 랜덤 코일형(196㎚ 부근에 음의 피크)으로 변환되었다. 한편, 펩티드 도입 리포솜의 경우, pH 7.4에서는 마찬가지로 α-helix였지만, pH 6.5에 있어서 거의 완전히 랜덤 코일형으로 변환되었다. 이와 같이 펩티드 단독 및 펩티드 도입 리포솜에서는 pH 변화에 수반하는 구조 변환이 달랐다. 이들의 결과는 펩티드의 pH 응답성에는 막 구조 기반이 불가결한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5 지질 조성을 바꾼 리포솜의 제조
(1)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준하여, EPC/펩티드 화합물 1=1/5mol%인 중성의 리포솜 2를 제조하였다.
(2)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준하여, EPC/DSPG/펩티드 화합물 1=1/1/5mol%인 음이온성의 리포솜 3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각종 리포솜에 있어서의 내봉 약물 누출량의 측정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리포솜 1,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리포솜 2, 3에 각각 칼세인을 봉입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응답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어떤 리포솜이든 pH 7.4에서는 칼세인의 누출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pH 6.5에 있어서는 양이온성의 리포솜 1이 가장 양호하고, 음이온성의 리포솜 3, 중성의 리포솜 2의 순서로 누출이 저하되었다. 즉, 당해 리포솜이 미약하게 낮은 pH에 있어서 응답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양이온성 리포솜에 펩티드 화합물을 탑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펩티드 화합물 2를 도입한 리포솜 2를 제작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리포솜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펩티드 화합물 3을 도입한 리포솜 3을 제작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리포솜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비교 화합물 1을 도입한 비교 리포솜 1을 제작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비교 리포솜 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비교 화합물 2를 도입한 비교 리포솜 2를 제작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비교 리포솜 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비교 화합물 3을 도입한 비교 리포솜 3을 제작하고, 시험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칼세인 봉입 비교 리포솜 3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4 펩티드 도입 리포솜의 평균 소수성도와 내봉 약물 누출률
실시예 4, 6, 7 및 비교예 4∼6에서 얻어진 각각의 칼세인 봉입 리포솜에 대해,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7.4 및 pH 6.5에 있어서의 칼세인의 누출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47684559-pct00007
그 결과, 본 발명 펩티드 화합물을 도입한 리포솜에서는, pH 7.4의 생리 조건 하에서는 누출이 완전히 인정되지 않지만, pH 6.5 등의 약산성 pH에 있어서 60% 이상의 양호한 내봉 약물의 누출이 인정되고, 특히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His을 갖는 펩티드 화합물에서는 매우 양호한 내봉 약물의 누출이 인정되었다. 이에 반해, 구성 아미노산이 동일해도, 펩티드의 소수성 블록에 있어서의 히스티딘이 인접하는 비교 화합물 1을 도입한 리포솜, 펩티드 화합물의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의 아미노산수를 1:1로 바꿈으로써 평균 소수성도를 바꾼 비교 화합물 2를 도입한 리포솜에서는, pH 7.4로부터 pH 6.5로 변화되어도 내봉 약물의 누출은 현저하게 저하되고, pH 응답성은 불충분하였다. 또한, 펩티드 화합물 1에 비해 4 잔기가 감소된 비교 화합물 3을 도입한 리포솜을 제조하였지만, pH 6.5 이하에서 현저하게 응집되었다. 또한, 칼세인의 봉입을 시도하였지만, pH 7.4에 있어서도, 트리톤으로 처리한 경우와 동일 정도의 형광 강도가 인정되었으므로, 4 잔기 감소된 서열의 펩티드에서는 리포솜이 불안정하고, 약물을 봉입할 수 없는 것이 시사되었다.
시험예 5 독소루비신(Dox) 봉입 리포솜 4의 항종양 효과
Dox 봉입 리포솜 4는 난황 포스파티딜콜린(EPC):디올레오일테트라암모늄프로판(DOTAP)=1:1(mol비)의 비율로 혼합한 지질 에탄올 용액을 시험관에 분주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펩티드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을 총 지질량의 5mol%량,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G-DSPE)의 에탄올 용액을 총 지질량의 5mol%량 첨가하고, 또한 클로로포름을 등량 혼합한 것에, 질소 가스를 분사하여 증발 건고시킴으로써 지질 박막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250mM 황산암모늄(pH8.5)을 첨가하고, 10분간 실온 조건으로 충분히 수화시켰다. 수화 후, 수조형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관을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EPC/DOTAP/PEG-DSPE/펩티드 화합물 1로 구성된 리포솜 4를 제조하였다(지질 농도 10mM). 제조한 리포솜 4를 10% 수크로오스(pH 8.5)로 평형화한 세파덱스 G-50칼럼을 사용하여 겔 여과를 행하고, 회수한 프랙션 중의 지질 농도는 인지질 테스트 와코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이 리포솜 4에 Dox 용액(2㎎/ml)을 첨가하고, 65℃에서 1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세파덱스 G-50칼럼을 사용하여 겔 여과에 의해, 미봉입의 Dox를 제거하였다. 리포솜 4에 봉입된 Dox량은 트리톤-X 처리에 의해 가용화 후, 플레이트 리더(infinite M200, TECAN사)를 사용하여, 49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하였다.
Dox 봉입 리포솜 4의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B16-F1 세포를 피하로 이식하여 형성한 종양의 크기가 100㎣까지 성장한 암을 갖는 헤어리스 마우스에, Dox 용액 또는 Dox 봉입 리포솜 4를 1회 투여당 Dox 농도 0.5㎎/kg으로 이식 5, 8, 12, 15일 후에 미정맥 내 투여하였다. 종양 체적은 종양의 직경 및 단경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종양 체적)=0.5×(장경)×(단경)2
또한, 상대 종양 체적을,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상대 종양 체적)=(이식 8, 12, 15 또는 19일 후의 종양 체적)/(이식 5일 후에 있어서의 종양 체적)
결과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용량 Dox 투여에 있어서, Dox 봉입 리포솜 4는 Dox 용액에 비해, 높은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SEQUENCE LISTING <110> TAIHO PHARMACEUTICAL CO., LTD. <120> Weakly acidic pH-responsive peptide, and liposome containing thereof <130> P13-137 <150> JP 2012-233011 <151> 2012-10-22 <160> 6 <170> PatentIn version 3.4 <210> 1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His Gly His Gly Leu Ala Leu Leu Ala His Ala Leu Leu Ala His Ala 1 5 10 15 Ala Leu Ala His Ala Ala Leu Ala 20 <210> 2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 Gly His His Gly Leu Ala Leu Leu His Ala Leu His Leu Ala Ala Ala 1 5 10 15 Ala Leu His Ala Ala Ala Leu Ala 20 <210> 3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 Glu Gly Glu Gly Leu Ala Leu Leu Ala His Ala Leu Leu Ala His Ala 1 5 10 15 Ala Leu Ala His Ala Ala Leu Ala 20 <210> 4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 His His Gly Gly Leu Leu Leu Leu His His His Ala Ala Ala Ala Ala 1 5 10 15 Leu Leu Leu Ala Ala Ala Ala Ala 20 <210> 5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 His Gly His Gly Gly Gly Gly Gly Gly Gly Gly Gly Ala His Ala Leu 1 5 10 15 Leu Ala His Ala Ala Leu Ala His 20 <210> 6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 His Gly His Gly Leu Ala Leu Leu Ala His Ala Leu Leu Ala His Ala 1 5 10 15 Ala Ala Ala Leu 20

Claims (15)

  1.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는 펩티드 화합물이며,
    〔1〕 펩티드 화합물의 총 아미노산수는 24∼36이고, 〔2〕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4이고, 평균 소수성도가 -3.0∼-1.0이고, 〔3〕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20∼32이고, His을 1개 이상 갖고, 평균 소수성도가 1.0∼2.5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소수성도가 -3.0 이하인 2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경우,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소수성도가 -3.0 이하인 아미노산끼리는 인접하지 않으며,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하기 식 (I)
    Figure 112016050171409-pct00028

    (식 중, AA1, AA2, AA3 및 AA4는 임의의 2개가 His 또는 Glu이고, 나머지 2개가 Gly임)
    로 표시되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하기 식 (II)
    Figure 112016050171409-pct00029

    (식 중, AA5, AA6, AA7 및 AA8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His, Leu 또는 Ala을 나타내되, 단, 식 (II)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His을 1개 또는 2개 포함함)
    로 표시되는 유닛을 5∼8개 포함하고, 각 유닛의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는 펩티드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평균 소수성도가 -2.0∼-1.5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평균 소수성도가 1.5∼2.0인 펩티드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소수성도가 -3.0 이하인 아미노산과 소수성도가 0∼-1.0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이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His과 소수성도가 0을 초과하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인 펩티드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0∼2개 갖고,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에 있어서의 펩티드 서열 중에 His을 1∼8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 화합물.
  5.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과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으로 구성되는 펩티드 화합물이며,
    〔1〕 펩티드 화합물의 총 아미노산수는 24∼36이고, 〔2〕 친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4∼10이고, 평균 소수성도가 -3.0∼-1.0이고, 〔3〕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의 총 아미노산수가 20∼32이고, His을 1개 이상 갖고, 평균 소수성도가 1.0∼2.5이며,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하기 식 (II)
    Figure 112016050171409-pct00027

    (식 중, AA5, AA6, AA7 및 AA8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His, Leu 또는 Ala을 나타내되, 단, 소수성 아미노산 블록이 His을 2개 이상 갖는 경우, 각 유닛 사이 또는 유닛 내의 2개의 His은 인접하지 않음)
    로 표시되는 유닛을 5∼8개 포함하고, 각 유닛의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는 펩티드 화합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펩티드 화합물과 지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7. 제6항에 있어서, 리포솜 중의 총 지질량에 대해 상기 펩티드 화합물을 1∼10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솜.
  8. 제7항에 있어서, 리포솜이 양이온성 리포솜인 리포솜.
  9. 제6항에 있어서, 목적 물질을 리포솜에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리포솜.
  10. 제6항에 기재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항종양제.
  11. 제6항에 있어서,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리포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7013081A 2012-10-22 2013-10-21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KR101678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3011 2012-10-22
JPJP-P-2012-233011 2012-10-22
PCT/JP2013/078497 WO2014065245A1 (ja) 2012-10-22 2013-10-21 弱酸性pH応答性ペプチド及び該ペプチドを含むリポソ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378A KR20150070378A (ko) 2015-06-24
KR101678327B1 true KR101678327B1 (ko) 2016-11-21

Family

ID=5054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081A KR101678327B1 (ko) 2012-10-22 2013-10-21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6791B2 (ko)
EP (1) EP2910564B1 (ko)
JP (1) JP5931212B2 (ko)
KR (1) KR101678327B1 (ko)
CN (1) CN104755490B (ko)
ES (1) ES2627056T3 (ko)
WO (1) WO2014065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399B1 (ko) 2015-04-13 2017-04-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악시티닙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37694B (zh) 2015-09-18 2022-08-12 慕尼黑工业大学 整合素αvβ6的配体及其合成和应用
US11332498B2 (en) 2017-03-17 2022-05-17 Technische Universitat Munchen Ligands for integrin αVβ8, synthesis and uses thereof
CN115583990B (zh) * 2022-11-22 2023-04-21 潍坊医学院 一种响应性小分子肽、纳米载药载体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24A (ja) 2007-02-28 2008-09-18 Hokkaido Univ ミセル封入リポソー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0196D0 (en) 2001-01-04 2001-02-14 Anmat Technology Ltd Peptides
JP3415131B1 (ja) 2002-06-03 2003-06-09 メビオファーム株式会社 リポソーム製剤
JP5991966B2 (ja) * 2011-04-25 2016-09-14 大鵬薬品工業株式会社 pH応答性ペプチドを含むナノ粒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24A (ja) 2007-02-28 2008-09-18 Hokkaido Univ ミセル封入リポソー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ck Kyte 등. J. Mol. Biol. Vol. 157, No. 1, 페이지 105-132 (1982.)
Mary Jo Turk 등.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Vol. 1559, No. 1, 페이지 56-58 (2002.)
Wei Yu 등. Nucleic Acids Research. Vol. 32, No. 5, 페이지 e48 (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0564A4 (en) 2016-03-30
JP5931212B2 (ja) 2016-06-08
JPWO2014065245A1 (ja) 2016-09-08
KR20150070378A (ko) 2015-06-24
EP2910564B1 (en) 2017-03-22
US9526791B2 (en) 2016-12-27
CN104755490A (zh) 2015-07-01
US20150250893A1 (en) 2015-09-10
ES2627056T3 (es) 2017-07-26
WO2014065245A1 (ja) 2014-05-01
EP2910564A1 (en) 2015-08-26
CN104755490B (zh)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412B2 (ja) リポソーマルホスホジエステル、ホスホロチオエート、およびp−エトキシオリゴヌクレオチド
CN103906503B (zh) 用于无菌制备脂质-核酸颗粒的单次使用系统
US9532950B2 (en) Vector for pulmonary delivery, inducing agent, and uses
CA2622584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mphoteric liposomes
KR101747489B1 (ko) pH 응답성 펩티드를 포함하는 나노 입자
KR101678327B1 (ko) 약산성 pH 응답성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Avitabile et al. Incorporation of naked peptide nucleic acids into liposomes leads to fast and efficient delivery
CN110123830A (zh) 用于抑制Eg5和VEGF基因的表达的脂质配制的组合物和方法
JP5382682B2 (ja) 薬物送達複合体
JPWO2008105178A1 (ja) リポソーム用生体成分抵抗性増強剤及びこれにより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
JP2015110522A (ja) 機能性タンパク質を細胞内に送達するためのキャリア
WO2023093596A1 (zh) 一种用于有效递送核酸的环状多肽载体及其变化形式
JP5914418B2 (ja) 脂質粒子、核酸送達キャリア、核酸送達キャリア製造用組成物、脂質粒子の製造方法及び遺伝子導入方法
US10722599B2 (en) Lipid assemblies and uses thereof and some pH and electrostatic modulating lipids to be used in said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