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658B1 -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658B1
KR101676658B1 KR1020100109375A KR20100109375A KR101676658B1 KR 101676658 B1 KR101676658 B1 KR 101676658B1 KR 1020100109375 A KR1020100109375 A KR 1020100109375A KR 20100109375 A KR20100109375 A KR 20100109375A KR 101676658 B1 KR101676658 B1 KR 10167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steering wheel
snap
snap fit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680A (ko
Inventor
권오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6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Abstract

반복적인 경적음 사용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과,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에어백 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에어백 모듈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경적음이 울릴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토록 상기 에어백 모듈에 배치되는 혼작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Structure for combining steering wheel and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적음을 울리기 위한 혼작동부재가,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석 전방에 운전자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휠이 배치된다.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자동차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 휠에는 상기 자동차의 사고시에 팽창 전개되어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이 포함된 에어백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복적인 경적음 사용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은,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과,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에어백 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에어백 모듈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경적음이 울릴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토록 상기 에어백 모듈에 배치되는 혼작동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한 혼작동부재가,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경적음 사용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냅핏 바디의 상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운팅 플레이트, 스냅핏 바디, 탄성부재 및 혼작동부재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에서 스냅핏 바디와 스냅핏 부쉬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에서 혼작동부재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석 전방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차의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휠(10)이 배치되고, 스티어링 휠(10)의 중앙부에는 자동차 사고시에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모듈(20)이 삽입 장착된다.
도 1에서 에어백모듈(20)은 에어백 하우징(22)만 도시된 것이고, 에어백 하우징(22)의 내부에는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접혀져서 수납되어져 있으며, 에어백 하우징(22)의 하단에는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으로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미도시)가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10)의 내부에는 경적음을 울리기 위한 혼스위치(미도시)가 배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운전자가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에어백 모듈(2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혼스위치가 온(ON)되어 경적음이 울리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냅핏 바디(34)의 상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운팅 플레이트(24), 스냅핏 바디(34), 탄성부재(50) 및 혼작동부재(40)의 결합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은, 스티어링 휠(10)과, 스티어링 휠(10)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20)과, 에어백 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와, 에어백 모듈(20)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혼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경적음이 울릴 수 있도록 에어백 모듈(20)의 하단에 배치된 혼작동부재(40)를 포함한다.
혼작동부재(40)는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티어링 휠(10)에 배치된 상기 혼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경적음이 울릴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혼작동부재(40)는 결합부재(30)에 대해 이동가능토록 배치된다.
즉, 기존에는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혼작동부재(40)가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 때 결합부재(30)도 혼작동부재(4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혼작동부재(40)는 결합부재(30)에 대해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결합부재(30)는 그대로 있고 혼작동부재(40)만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혼스위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반복적인 경적음 사용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20)은 상기 에어백이 접혀져서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22)과, 에어백 하우징(22)의 하측에 배치되고 혼작동부재(40)가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혼작동부재(40)는 결합부재(30)를 관통하여 마운팅 플레이트(24)에 고정되고, 결합부재(3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다.
결합부재(30)는, 스티어링 휠(10)에 고정 배치되는 스냅핏 부쉬(32)와, 스냅핏 부쉬(3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냅핏 바디(34)를 포함한다.
스냅핏 바디(34)의 내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24)에 고정된 혼작동부재(40)가 상하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고, 혼작동부재(40)는 스냅핏 바디(34)를 관통하여 마운팅 플레이트(24)에 고정된다.
스냅핏 바디(34)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냅핏 부쉬(32)에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결합된다.
스냅핏 부쉬(32)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다.
스냅핏 바디(34)가 스냅핏 부쉬(32)에 삽입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스냅핏 바디(34)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돌기(35)가 형성된다.
가이드홈(33)에는 상측에 제1 경사부(33a)가 형성되고, 결합돌기(35)의 하측에는 스냅핏 바디(34)가 스냅핏 부쉬(32)에 삽입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부(33a)를 따라 미끄러지는 제2 경사부(35a)가 형성된다.
마운팅 플레이트(24)와 스냅핏 바디(34) 사이에는 마운팅 플레이트(24)와 스냅핏 바디(34)를 연결하는 탄성부재(50)가 배치된다.
탄성부재(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일단이 마운팅 플레이트(24)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냅핏 바디(34)의 상면에 결합되어, 스냅핏 바디(34)를 탄성지지한다.
또한, 탄성부재(50)는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압착되고, 경적음을 멈추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놓으면 복원되면서 에어백 모듈(20)이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마운팅 플레이트(24)의 하면에는 탄성부재(50)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1 걸림부(25)가 형성되어서, 탄성부재(50)의 일단은 제1 걸림부(25)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스냅핏 바디(34)의 상면에는 탄성부재(50)의 타단이 걸림되는 제2 걸림부(36)가 형성되어서, 탄성부재(50)의 타단은 제2 걸림부(36)에 걸림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에서 스냅핏 바디(34)와 스냅핏 부쉬(32)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냅핏 바디(34)는 스냅핏 부쉬(32)에 삽입되면서 결합돌기(35)가 가이드홈(33)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어 탄성부재(50)를 압착시키고, 결합돌기(35)가 가이드홈(33)을 통과하면 스냅핏 바디(34)는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결합돌기(35)가 스냅핏 부쉬(32)의 하면에 걸림되어 스냅핏 바디(34)는 스냅핏 부쉬(32)에 결합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10)에 에어백 모듈(20)을 결합할 때에는, 스냅핏 바디(34)의 결합돌기(35)를 스냅핏 부쉬(32)의 가이드홈(33)에 일치시키고,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에어백 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에어백 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스냅핏 바디(34)의 결합돌기(35)를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밀어 스냅핏 바디(34)를 회전시켜서 결합돌기(35)를 가이드홈(33)과 일치시킨 후, 스냅핏 바디(34)를 스냅핏 부쉬(32)로부터 탈거함으로서, 에어백 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 모듈(20)이 스티어링 휠(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결합부재(30)는 그대로 있고, 혼작동부재(40)만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티어링 휠(10)에 배치된 상기 혼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경적음이 울리게 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에서 혼작동부재(40)의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6의 (a)도와 같이 에어백 모듈(20)이 스티어링 휠(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누르면, 도 6의 (b)도와 같이 에어백 모듈(2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20)의 하면에 결합된 혼작동부재(40)도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부재(30)인 스냅핏 바디(34)는 그대로 있고, 혼작동부재(40)만이 스냅핏 바디(34)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티어링 휠(10)에 배치된 상기 혼스위치를 작동시켜서 경적음이 울리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경적음을 멈추기 위해 에어백 모듈(20)을 놓으면,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에어백 모듈(20)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혼작동부재(40)도 에어백 모듈(2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스냅핏 바디(34)의 내부 상측에는 제1 걸림턱(38)이 형성되고, 혼작동부재(40)의 하단에는 제1 걸림턱(38)에 걸림되는 제2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모듈(20)은 제2 걸림턱(48)이 제1 걸림턱(38)에 걸림될 때까지만 상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구조물은, 경적음을 울리기 위한 혼작동부재(40)가, 에어백 모듈(20)을 스티어링 휠(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경적음 사용으로 인한 스티어링 휠(10)과 에어백 모듈(20)의 결합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티어링 휠 20: 에어백 모듈
22: 에어백 하우징 24: 마운팅 플레이트
25: 제1 걸림부 30: 결합부재
32: 스냅핏 부쉬 33: 가이드홈
33a: 제1 경사부 34: 스냅핏 바디
35: 결합돌기 35a: 제2 경사부
36: 제2 걸림부 38: 제1 걸림턱
40: 혼작동부재 48: 제2 걸림턱
50: 탄성부재

Claims (9)

  1. 스티어링 휠;
    상기 스티어링 휠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
    상기 에어백 모듈을 상기 스티어링 휠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에어백 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에어백 모듈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경적음이 울릴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토록 상기 에어백 모듈에 배치되는 혼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이 접혀져서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혼작동부재가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혼작동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는 스냅핏 부쉬와,
    상기 스냅핏 부쉬에 삽입되면서 회전되어 결합되는 스냅핏 바디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냅핏 부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냅핏 바디가 상기 스냅핏 부쉬에 삽입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냅핏 바디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스냅핏 바디가 상기 스냅핏 부쉬에 삽입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부를 따라 미끄러지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스냅핏 바디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냅핏 바디는 상기 스냅핏 부쉬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착시키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통과하면 상기 스냅핏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되면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스냅핏 부쉬에 걸림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핏 바디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걸림되는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냅핏 바디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혼작동부재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림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KR1020100109375A 2010-11-04 2010-11-04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KR10167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75A KR101676658B1 (ko) 2010-11-04 2010-11-04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375A KR101676658B1 (ko) 2010-11-04 2010-11-04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680A KR20120047680A (ko) 2012-05-14
KR101676658B1 true KR101676658B1 (ko) 2016-11-16

Family

ID=4626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375A KR101676658B1 (ko) 2010-11-04 2010-11-04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9891A (zh) * 2020-12-14 2021-04-09 浙江梵隆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基于抗菌型转向盘的智能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507A (ja) * 2004-08-05 2006-02-16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43A (ja) * 1993-07-08 1995-01-27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80008099A (ko) * 2006-07-19 2008-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4507A (ja) * 2004-08-05 2006-02-16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680A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8829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装置
JP5790311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484888B2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050236820A1 (en) Steering apparatus
JP4870214B2 (ja) ホーンアクチュエータ及びホーン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自動車用安全装置
JP5095732B2 (ja) 安全装置および安全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2007050876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3118590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ホーンスイッチ装置
KR101676658B1 (ko)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JP200416828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582846B2 (ja) ハンドル
ITMI20041570A1 (it) "macchina smontagomme a singolo utensile plurifunzione"
JP200008558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774697B1 (ko) 혼 스위치를 가진 운전석 에어백장치
JP5582848B2 (ja) ハンドル
KR2008002682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
JP2006218903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671490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39876A (ko) 스티어링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404664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装置
KR101697931B1 (ko) 스티어링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433756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644375B1 (ko)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모듈의 결합구조물
JP3822712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092921A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