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487B1 -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487B1
KR101676487B1 KR1020150135908A KR20150135908A KR101676487B1 KR 101676487 B1 KR101676487 B1 KR 101676487B1 KR 1020150135908 A KR1020150135908 A KR 1020150135908A KR 20150135908 A KR20150135908 A KR 20150135908A KR 101676487 B1 KR101676487 B1 KR 10167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let
descaling header
desca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3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케일링 헤더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스케일링 헤더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어,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압하여 제공하는 오리피스 유닛(orifice unit)을 포함하여, 별도의 동력을 수반한 외부의 장치 없이, 고압수의 저압수로의 변환만으로도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descaling header}
본 발명은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열간 압연시 사용되는 노즐의 디스케일링 헤더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자동으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케일링 헤더에 고압수를 저압수로 변환하도록 하여, 디스케일링 헤더 양측에 축적될 수 있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척 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철강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간 압연시에 압연 소재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케일을 제거하는 디스케일링 공정은 압연 소재의 상면 혹은 하면에 고압수를 분사하게 되는데, 고압수를 분사하는 노즐 혹은 이러한 노즐이 장착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양측에는 불특정한 이물질이 축적되어 노즐의 고압수 분사에 지장을 초래하곤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은 복수 개로 규칙적으로 배치된 노즐에 균일하지 못한 고압수 분사력을 가지도록 하여, 압연 소재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얼룩 무늬를 발생시킴은 물론, 디스케일링 작업 자체의 효율성 역시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2-0030297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100098호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케일링 헤더의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압하여 제공하는 오리피스 유닛(orifice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의 양 측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의 하면과 상기 오리피스 유닛을 상호 플랜지 연결하여, 상기 오리피스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의 누액을 방지하는 입측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로 감압된 액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상기 감압된 액체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의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유입부는, 상기 감압된 액체를 유입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블록; 상기 인렛 블록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렛 블록을 보호하는 인렛 커버; 및 상기 인렛 블록의 관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내주면의 확장에 의해 상기 액체를 감압시키는 오리피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아웃렛 블록; 및 상기 아웃렛 블록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 블록을 보호하는 아웃렛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웃렛 블록의 관로에 연장되어, 상기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웃렛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렛 블록과 상기 아웃렛 커버 사이를 밀착시키는 오 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별도의 동력을 수반한 외부의 장치 없이, 고압수의 저압수로의 변환만으로도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고압수의 분사 즉, 디스케일링 공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가 디스케일링 헤더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가 디스케일링 헤더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리피스(orifice unit, 100)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오리피스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케일링 헤더(descaling header, 21)의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 측에 인접하여 각각 제공되는데, 이러한 오리피스 유닛(100)은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에 제공되는 고압의 액체를 감압시켜,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리피스 유닛(100)에 의해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로 감압된 액체가 제공되는 경우, 고압의 액체만으로는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측에 주로 축적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자연스럽게 반출되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이는 고압의 액체가 이들 이물질을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측으로 지속적으로 몰아가는 현상을 유발하였기 때문인데, 오리피스 유닛(100)은 저압의 액체를 디스케일링 헤더(21) 양측으로 보냄으로써,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측의 이물질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오리피스 유닛(100)은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측이면서 하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물질의 대부분이 제공되는 액체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성 이물질이며, 이로 인해 저압의 액체에서는 하부로 낙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오리피스 유닛(100)은 입측 플랜지(flange)(111)를 포함할 수 있다.
입측 플랜지(111)의 경우, 도 1 및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유닛(100)이 디스케일링 헤더(21)의 하면과 접촉성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감압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오리피스 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유입부(120)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로 감압된 액체를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유입부(120)에 의해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로 유입된 액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압된 상태로 디스케일링 헤더(21)의 양측으로 유입되어 이물질을 함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는 배출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가진다.
유입부(12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블록(inlet block, 121); 인렛 커버(inlet cover, 122); 및 오리피스 링(orifice ring, 1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인렛 블록(121)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로 예컨대 파이프(pipe)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감압된 액체를 상술한 디스케일링 헤더(2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인렛 커버(122)의 경우, 인렛 블록(121)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인렛 블록(121)을 보호하게 된다.
오리피스 링(123)의 경우, 인렛 블록(121)이 형성하는 관로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데, 유입되는 액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확장)하여, 액체를 서서히 감압(감속) 시키게 된다.
한편, 배출부(130)의 경우, 아웃렛 블록(131); 및 아웃렛 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아웃렛 블록(131)의 경우, 파이프와 같은 내부 관로를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아웃렛 커버(133)의 경우, 아웃렛 블록(131)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아웃렛 블록(131)을 보호하게 된다.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는 오리피스 유닛(100)의 내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되어야 한다.
배출구(112)는 아웃렛 블록(131)의 관로에 연장되어,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를 위하여 배출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배출부(130)의 경우, 오 링(O-ring, 13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 링(132)은 아웃렛 블록(13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아웃렛 블록(131)과 아웃렛 커버(133) 사이를 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스케일링 노즐 21: 디스케일링 헤더(descaling header)
22: 헤더 측부 23: 고압수 주입구
100: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오리피스 유닛)
110: 보디부 111: 입측 플랜지(flange)
112: 배출구 120: 유입부
121: 인렛 블록(inlet block) 122: 인렛 커버(inlet cover)
123: 오리피스(orifice) 링 130: 배출부
131: 아웃렛 블록(outlet block) 132: 오 링(O-ring)
133: 아웃렛 커버(outlet cover)

Claims (8)

  1. 디스케일링 헤더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압하여 제공하는 오리피스 유닛(orifice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로 감압된 액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상기 감압된 액체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 내부의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의 양 측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유닛은,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와 상기 오리피스 유닛을 상호 플랜지 연결하여, 상기 오리피스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액체의 누액을 방지하는 입측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감압된 액체를 유입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인렛 블록;
    상기 인렛 블록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인렛 블록을 보호하는 인렛 커버; 및
    상기 인렛 블록의 관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내주면의 확장에 의해 상기 액체를 감압시키는 오리피스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아웃렛 블록; 및
    상기 아웃렛 블록의 외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 블록을 보호하는 아웃렛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웃렛 블록의 관로에 연장되어, 상기 이물질을 함유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아웃렛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렛 블록과 상기 아웃렛 커버 사이를 밀착시키는 오 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0135908A 2015-09-24 2015-09-24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KR10167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08A KR101676487B1 (ko) 2015-09-24 2015-09-24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08A KR101676487B1 (ko) 2015-09-24 2015-09-24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487B1 true KR101676487B1 (ko) 2016-11-15

Family

ID=5752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08A KR101676487B1 (ko) 2015-09-24 2015-09-24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34A (ko) 2019-05-31 2020-12-09 장성욱 스프레이 노즐의 크리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297A (ko) 2000-10-17 2002-04-25 나윤수 스케이트 부츠의 몰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20090100098A (ko) 2008-03-19 2009-09-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KR20130127096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분사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297A (ko) 2000-10-17 2002-04-25 나윤수 스케이트 부츠의 몰드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20090100098A (ko) 2008-03-19 2009-09-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KR20130127096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분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34A (ko) 2019-05-31 2020-12-09 장성욱 스프레이 노즐의 크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442B2 (en) Gas-liquid separator and polishing apparatus
JP5964740B2 (ja) 研磨装置
KR101676487B1 (ko) 디스케일링 헤더의 자동 세척 장치
KR20190027977A (ko) 파동발생장치
JP6938861B2 (ja) ボイラ設備のスケール除去方法
JP4970081B2 (ja) 高炉ガス清浄設備およびその操業方法
CN208098449U (zh) 一种药用软膏管生产用的喷涂枪自动清洗装置
JP2006187707A (ja) 洗浄用2流体ノズル、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207641741U (zh) 一种钢管内壁冲洗喷头
CN204320706U (zh) 一种复合绝缘子金具清洗装置
CN203018747U (zh) 一种防爆自清洁雾化塔装置
CN201017856Y (zh) 喷射装置
CN101823060B (zh) 带钢的除液装置
CN205988926U (zh) 一种变压器加工去锈装置
CN212834045U (zh) 一种应用于线材的酸洗装置
CN203768465U (zh) 一种净浊分区的脱脂液循环罐
CN203197016U (zh) 冷轧带钢清洗用喷管
CN208995600U (zh) 一种镀锌管表面钝化处理设备
CN110983351A (zh) 一种应用于线材的酸洗装置
CN207941362U (zh) 设有紧急喷淋系统的吸收塔
CN204073832U (zh) 一种喷淋塔
CN208809688U (zh) 铝液熔炉废气的喷淋除尘装置
JP6304629B2 (ja) 水管ボイラ内の堆積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2011052245A (ja) 金属部材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表面処理装置
JP4518556B2 (ja) 排ガスの水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