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606B1 -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606B1
KR101675606B1 KR1020117008473A KR20117008473A KR101675606B1 KR 101675606 B1 KR101675606 B1 KR 101675606B1 KR 1020117008473 A KR1020117008473 A KR 1020117008473A KR 20117008473 A KR20117008473 A KR 20117008473A KR 101675606 B1 KR101675606 B1 KR 10167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lutch portion
clutch
fixed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688A (ko
Inventor
크리스천 오만
Original Assignee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8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05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overhea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05Combinations of elements forming a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1Combinations of elements of identical elements, e.g. of identical 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42Combinations of elements arranged in parallel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가구플랩을 움직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작동암(4)을 갖는 작동장치(3)로서, 작동암(4)이 스프링장치(7)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고, 가구플랩이 아직은 결합되지 않은 공 작동암(4)을 위한 조립체고정장치가 제공되며, 조립체고정장치가 공 작동암(4)의 우발적인 개방 또는 편향을 방지하고 이를 위하여 축(R)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제동장치(14)를 갖는 것에 있어서, 개방방향에서 작동암(4)의 회전이동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축(R)의 고회전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상승될 수 있는 점증형 전동장치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RETAINING CLIP FOR AN ACTUATOR OF A FURNITURE FLAP}
본 발명은 가구플랩을 움직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작동암으로 구성된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암이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고, 가구플랩이 아직은 결합되지 않은 공(空) 작동암을 위한 조립체고정장치가 제공되며, 조립체고정장치가 공 작동암의 우발적인 개방 또는 편향을 방지하고 이를 위하여 축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제동 또는 래칭장치(braking or latching device; 이하, '제동장치'라 함)를 갖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종류의 작동장치를 갖는 가구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장치는 예를 들어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작동암에 연결된 가구플랩을 가구본체의 격실이 폐쇄되는 수직위치와 상측으로 이동된 개방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플랩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스프링장치 또는 가스압력저장수단이 제공되고, 작동암에 작용하는 토크가 이동될 플랩의 하중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의 가구플랩의 경우 작동암을 위한 탄지력(biasing force)으로서 매우 큰 토크가 제공된다. 만약 조립과정에서 작동장치가 이미 가구제품에 예비조립되었으나 아직은 플랩이 작동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지는 않은 경우, 작동암은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크게 편향되어 비틀려지면서 조립작업자에게 심각한 부상을 안겨줄 수 있는 큰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의 특허문헌 WO 2006/069412 A1 에서는 아직 가구플랩이 결합되지는 않은 "공(空)" 작동암을 위한 조립체고정장치를 소개하고 있는 바, 이는 공 작동암의 개방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장치의 매우 큰 탄지력이 가하여질 때 작동암의 제어되지 않은 개방 또는 편향을 방지하는 상기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조립체고정장치를 갖는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구성에 있어서, 개방방향에서 작동암의 회전이동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작동암의 회전속도가 축의 고회전속도(a greater rotary speed)까지 단계적으로 상승될 수 있는 점증형 전동장치가 제공된다.
스프링장치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작동암에 작용하여 플랩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었을 때 충분히 높은 레벨의 토크가 플랩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공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작동암에 작용하는 스프링장치의 힘이 크면 클수록 작동암이 반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장치가 제공되어 있다하여도 플랩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작동암이 허용가능한 회전범위에서 편향되는 위험이 그만큼 커진다. 따라서 점증형 전동장치의 구성이 스프링 힘이 증가하여(예를 들어 스프링장치가 증가된 스프링 힘을 가질 때) 보다 빠른 작동암의 제동 또는 정지가 이루어질 때 제동장치의 반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작동암의 제동 또는 정지를 위한 원심클러치로 구성되는 제동장치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점증형 전동장치는 스프링탄지형 작동암의 가벼운 회전운동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되는 축의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작동암이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 이상으로 증가될 때, 제동장치는 통상적인 장치의 경우 보다 매우 빠르게 반응한다.
점증형 전동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더욱 유리한 효과는 제동장치가 작동암의 큰 작용토크를 직접 보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점증형 전동장치는 제동장치에서 일어나는 고정모멘트가 현저히 감소되어 제동장치에 의하여 구성되는 유니트가 소형화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비교적 소형의 제동장치는 특히 작동장치내의 매우 제한된 구조적인 공간을 감안한다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점증형 전동장치의 변속비(i)는 3 이상 좋기로는 5 이상이다. 예를 들어 이는 변속비가 5인 경우 작동암의 회전운동범위가 10°일 때 축(제동장치가 결합된 축)의 회전운동은 그 범위가 50°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높은 변속비는 축의 회전속도와 작동암의 회전속도 사이의 비율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점증형 전동장치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점증형 전동장치는 피니언 기어 전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소위 내부기어쌍은 특히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여기에서 축에 착설된 피니언이 중공형 기어의 내부톱니부분과 결합된다. 변속비는 내부톱니부분의 직경에 대한 피니언의 직경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톱니부분의 길이는 작동암의 회전범위의 길이와 거의 같다.
그러나 다른 구성의 기어 전동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기어 전동장치는 크기가 다른 적어도 제2의 피니언 또는 톱니부분에 결합되는 제1 피니언울 갖는다면 충분할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 제1 피니언이 축에 결합되고 제2 피니언 또는 톱니부분이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이 점에 관하여, 작동암의 회전운동중에 제1 피니언이 작동장치의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배열된 톱니부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점증형 전동장치는 톱니형 벨트 등을 갖춘 구조를 수용할 수 있다.
작동암을 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원심클러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제1 클러치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클러치부분은 휴지위치로부터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제1 클러치부분이 제2 클러치부분에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외부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작동암의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하에서, 제1 클러치부분과 제2 클러치부분이 상대측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암이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클러치부분과 제2 클러치부분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두개의 제1 클러치부분이 관성모멘트가 극복된 후(가능하다면 스프링 힘이 극복된 후) 제1 클러치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클러치부분은 고정톱니(또는 고정요구)를 갖거나 마찰라이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암이 즉시 정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제1 클러치부분은 제2 클러치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구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톱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클러치부분이 다수의 고정톱니를 가지고 제2 클러치부분이 다수의 고정요구를 갖는 경우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동장치는 작동암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부분에 배치되거나 이와 함께 이동한다. 이 점에 관하여, 제동장치는 작동암이 결합된 회전형의 제어캠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제품은 상기 언급된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장치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작동장치가 구비된 캐비넷형의 가구제품을 보인 것으로 작동암에 아직 가구플랩이 결합되지 않은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작동암이 개방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작동장치를 보인 도 1의 가구제품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비고정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의 측면도와 동 부분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고정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의 측면도와 동 부분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작동암의 제어캠에 배열된 제동장치를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비고정상태에 있는 제동장치를 보인 측면도와 동 부분확대도.
도 7a 및 도 7b는 고정상태에 있는 제동장치를 보인 측면도와 동 부분확대도.
도 1은 전형적인 조립상태의 캐비넷 형태인 가구제품(1)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3)는 가구본체(2)에 예비조립되고, 이러한 작동장치(3)는 상향이동형인 가구플랩(도시하지 않았음)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암(4)을 갖는다. 작동암(4)은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폐쇄위치(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작동암(4)은 하우징(5)내에 배치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작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장치는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암(4)을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스프링장치는 플랩의 하중을 보상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작동암(4)은 이에 연결된 플랩의 하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매우 큰 힘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아직 플랩이 결합되지 않은 도시된 조립상태에서 작동암(4)은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장치가 개방방향으로 허용된 회전속도를 초과한 후에 "공" 작동암(4)이 순간회전위치에서 멈춘다. 작동암(4)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가구플랩에 결합되는 부속품에 고정가능한 연결부(6)를 갖는다.
도 3a는 작동장치의 측면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스프링장치(7)는 스프링 팩의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한편으로는 하우징(5)에서 가구제품에 대하여 고정된 부분(8)에 대하여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축선(S)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중간레버(9)에 작용한다. 조절장치(10)는 작동암(4)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스프링 취부대(11)의 위치가 회전축선(S)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중간레버(9)에는 스프링장치(7)의 압력하에 작동암(4)의 회전운동중에 작동암(4)에 결합된 제어곡면(13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압력롤러(12)가 지지되어 있다. 제어곡면(13a)은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제어캠(13)의 주연변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어캠(13)은 작동암(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이는 작동암(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제어캠(13)을 보이고 있다. 실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회전형의 제어캠(13)에 배치되고 제어캠(13)의 회전중에 이와 함께 움직이는 제동장치(14)이다. 제동장치(14)는 축(1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1피니언(15a)으로 구성되는 기어전동장치를 포함하고, 축(16)은 제어캠(13)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작동암(4)의 회전운동중에 제1피니언(15a)은 작동장치(3)의 하우징(5)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톱니부분(15b)을 따라 구른다. 이러한 톱니부분(15b)은 제1피니언(15a)의 직경 보다 커서 증가된 점증비(step-up ratio)를 제공한다. 특히 톱니부분(15b)의 반경이 제1피니언(15a)의 반경 보다 5배 이상 크게 선택되는 경우, 작동암(4)의 10°회전은 제1피니언(15a)의 회전운동이 5배가 되어 제1피니언(15a)는 50°회전하게 된다. 제동장치(14)는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으로 구성되는 원심클러치17)를 포함하고 이들 클러치부분은 작동암(4)이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를 초과할 때 내측휴지위치로부터 방사상 방향의 외측위치로 이동되어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이 내부톱니부분을 갖는 제2클러치부분(17c)에 물린다.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은 제1피니언(15a)의 배후에 배치되고 회전축(1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제1피니언(15a)은 톱니부분(15b)와 함께 작동암(4)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소위 내부기어쌍을 형성하며, 점증변속비는 제1피니언(15a)의 반경과 톱니부분(15b)의 반경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와 유사한 도면으로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더욱 회전되고 제동장치(14)에 의하여 그 회전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작동암(4)을 보인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작동암(4)은 그 제어캠(13)과 함께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도 3b에서 보인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의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경우에 제어캠(13)의 제어곡면(13a)이 압력롤러(12)에 접촉하여 이동한다. 작동암(4)의 이러한 회전운동에서 제1피니언(15a)이 하우징(5)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톱니부분(15b)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축(16)은 작동암(4)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수 배 빠르게 회전된다. 작동암(4)의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 이하에서 축(16)은 원심클러치(17)의 두 제1클러치부분(17a)(17b)이 외부의 제2클러치부분(17c)의 톱니부분에 결합되지 않고 이동되어 작동암(4)은 방해받지 않고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구플랩이 작동암(4)에 정확히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때 플랩의 하중은 스프링장치(7)의 힘에 대항하여 작용한다. 그러나, 가구플랩이 작동암(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허용된 회전속도가 초과할 때 작동암(4)은 제동장치(14)에 의하여 그 순간회전위치에 즉시 정지되고 양 클러치부분(17a)(17b)은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되고 외부의 제2클러치부분(17c)의 내부톱니부분에 고정된다. 고정작용은 폐쇄위치방향으로 작동암(4)에 수동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서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도 5a는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배치되고 결합부(18)에 의하여 작동암(4)(여기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제어캠(13)을 보이고 있다. 제어캠(13)은 이러한 제어캠(13)의 회전운동중에 압력롤러(12)(도 4b)에 접하여 이동하는 제어곡면(13a)을 갖는다. 제동장치(14)는 제어캠(13)의 두 디스크(19a)(19b) 사이에 배치된다. 이 도면에서는 제1피니언(15a)이 배치된 회전축(16)을 볼 수 있다. 도 5b는 제어캠(13)을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각 제1피니언(15a)은 각 디스크(19a)(19b)의 외측에서 공통의 축(1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축(16)에는 로터(21)가 회전되지 않게 배치되고 이에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이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허용된 속도 이상일 때에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은 제2 클러치부분(17c)의 톱니부분에 결합되어 두개의 제1피니언(15a)이 제동되어 더 이상 톱니부분(17c)(도 4c)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됨으로서 작동암(4)이 이러한 순간회전위치에서 정지된다.
도 6a는 제어캠(13)에 배치된 제동장치(14)의 측면을 보인 것으로, 로터(21)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제1클러치부분(17a)(17b)은 외부 톱니부분(17c)에 고정되지 않는다.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의 이러한 휴지위치에서 회전축선(R)을 중심으로 하는 제어캠(13)(그리고 작동암 4와 함께)의 회전운동은 방해받지 않으므로 제동장치(14)는 작동암(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가구플랩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b는 도 6a에서 보인 제동장치(14)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이 도면에서 휴지위치에 놓인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서는 그 톱니부분(22a)(22b)이 외부 클러치부분(17c)의 고정요구(23)에 결합되지 않는다. 작동암(4)의 개방운동시에 로터(21)와 이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클러치부분(17a)(17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7a는 제동장치(14)의 고정상태를 대비하여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설명될 것이다. 도 7a와 확대도면을 보인 도 7b로부터 두개의 제1클러치부분(17a)(17b)에서 단 하나(즉, 클러치부분 17b)만이 외부의 제2클러치부분(17c)에 고정된다. 제1클러치부분(17a)의 고정톱니(22a)는 다른 제1클러치부분(17b)의 고정톱니(22b)에 대하여 톱니폭의 약 반 정도 이동된 위치에 놓이므로 클러치부분(17b)의 고정톱니(22b)가 외부 클러치부분(17c)의 고정톱니(23)에 결합고정될 때 클러치부분(17a)이 제2클러치부분(17c)의 고정톱니(23)에 고정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상황이 도 7b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클러치부분(17b)의 반발이 있는 경우에도 클러치부분(17b)은 "대기"위치에 그대로 놓여 있고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허용된 속도를 초과할 때에 제2클러치부분(17c)의 고정결합용 요구(23)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허용된 속도를 초과할 때에, 양 클러치부분(17a)(17b)은 동시에 외부 클러치부분(17c)의 고정결합용 요구(23)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모든 변형실시형태 및 기술적으로 동등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본문에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예를 들어, 상부, 하부, 측부 등의 용어는 통상적으로 설치된 위치나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되는 것이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적당히 새로운 위치로 용어가 변경될 수 있다.
1: 가구제품, 2: 가구본체, 3: 작동장치, 4: 작동암, 5: 하우징, 6: 연결부, 7: 스프링장치, 9: 중간레버, 10: 조절장치, 11: 스프링취부대, 12: 압력롤러, 13: 제어캠, 13a: 제어곡면, 14: 제동장치, 15a: 제피니언, 15b: 톱니부분, 16: 축, 17: 원심클러치, 17a, 17b: 제1클러치부분, 18: 연결부, 19a, 19b: 디스크, 21: 로터, 22a, 22b: 톱니부분, 23: 고정요구.

Claims (19)

  1. 하우징(5);
    가구플랩을 움직이기 위하여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작동암(4);
    작동암(4)에 작용하기 위한 스프링장치(7); 및
    작동암(4)에 가구플랩이 장착되지 않았을 때 작동암(4)의 우발적인 개방 또는 편향을 방지하도록 작동암(4)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체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작동장치(3)로서,
    상기 조립체고정장치는,
    작동암(4)에 연결된 회전가능한 축(16)과,
    축(16)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축(16)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초과될 때 축(16)의 회전 및 작동암(4)의 회전 운동을 멈추도록 구성되는 제동장치(14)와,
    축(16)에 배치되는 피니언(15a)과 하우징(5)에 배치되는 톱니부분(15b)을 포함하는 기어 전동장치를 갖는 점증형 전동장치를 포함하고,
    피니언(15a)은 톱니부분(15b)과 다른 크기를 가짐과 아울러 톱니부분(15b)과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점증형 전동장치는 개방방향에서 적어도 작동암(4)의 회전이동영역에 걸쳐 작동암(4)의 회전속도가 미리 결정된 변속비에 기반한 축(16)의 고회전속도까지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제동장치(14)는 축(16)의 회전과 작동암(4)의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하여 축(16)의 고회전속도가 미리 결정된 회전속도를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점증형 전동장치의 변속비(i)가 3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점증형 전동장치가 내부기어쌍 전동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피니언(15a)이 작동암(4)의 회전운동중에 톱니부분(15b)을 따라 굴러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톱니부분(15b)이 작동장치(3)의 하우징(5)에 고정적으로 형성되거나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피니언(15a)의 회전축선이 제동장치(14)의 회전축선과 동축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동장치(14)가 원심클러치(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원심클러치(17)가 적어도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제1클러치부분(17a)을 가지고 이 제1클러치부분(17a)이 휴지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제2클러치부분(17c)에 고정될 수 있는 외부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작동암(4)의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하에서 제1클러치부분(17a)과 제2클러치부분(17c)이 상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작동암(4)의 사전에 결정된 회전속도가 초과될 때에는 제1클러치부분(17a)과 제2클러치부분(17c)이 서로 접촉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클러치부분(17a)이 제2클러치부분(17c)에 형성되거나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구(23)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톱니(22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클러치부분(17a)이 다수의 고정톱니(22a)를 가지고 제2클러치부분(17c)이 다수의 고정요구(2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1클러치부분(17a, 17b)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1클러치부분(17a)의 고정톱니(22a)가 다른 하나의 제1클러치부분(17b)의 고정톱니(22b)에 대하여 톱니폭의 반 정도 이동된 위치에 놓이므로서 클러치부분(17b)의 고정톱니(22b)가 제2클러치부분(17c)의 고정톱니(23)에 고정될 때 다른 제1클러치부분(17a)의 고정톱니(22a)가 제2클러치부분(17c)의 고정톱니(23)에 고정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제동장치(14)가 작동암(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부분에 배치되고 이와 함께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부분이 작동암(4)에 결합된 회전형 제어캠(13)에 형성되거나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1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제품.
  19. 제2항에 있어서, 점증형 전동장치의 변속비(i)가 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플랩의 작동장치.
KR1020117008473A 2008-11-06 2009-09-07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KR101675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72608A AT507527A1 (de) 2008-11-06 2008-11-06 Montagesicherung für einen stellantrieb einer möbelklappe
ATA1726/2008 2008-11-06
PCT/AT2009/000349 WO2010051569A1 (de) 2008-11-06 2009-09-07 Montagesicherung für einen stellantrieb einer möbelklap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688A KR20110086688A (ko) 2011-07-29
KR101675606B1 true KR101675606B1 (ko) 2016-11-11

Family

ID=4126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473A KR101675606B1 (ko) 2008-11-06 2009-09-07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90107B2 (ko)
EP (1) EP2342409B1 (ko)
JP (1) JP5571092B2 (ko)
KR (1) KR101675606B1 (ko)
CN (1) CN102197187B (ko)
AT (2) AT15281U1 (ko)
ES (1) ES2626640T3 (ko)
HU (1) HUE034788T2 (ko)
WO (1) WO2010051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5555A1 (de) 2010-08-26 2012-03-01 Linrot Holding Ag Elektromotorischer Schwenkantrieb, insbesondere für Klappen, beispielsweise an Möbeln
ITGO20110006A1 (it) * 2011-10-20 2013-04-21 N E M Nord Est Meccanica S N C Sistema di apertura a rinvio angolare per banchi e vetrine
TR201904888T4 (tr) * 2012-01-30 2019-05-21 Blum Gmbh Julius Bir mobilyanın kapağına yönelik tahrik düzeneği.
AT16472U1 (de) * 2013-03-04 2019-10-15 Blum Gmbh Julius Stellantrieb für eine Möbelklappe
AT515492B1 (de) * 2014-03-14 2020-01-15 Blum Gmbh Julius Stellantrieb für Möbelklappen
AT515661B1 (de) 2014-11-21 2015-11-15 Blum Gmbh Julius Stellantrieb für bewegbare Möbelteile
DE102015102393A1 (de) 2015-02-19 2016-08-25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Schwenkbeschlag
DE102015113427A1 (de) * 2015-08-14 2017-02-16 Form Orange Produktentwicklung Wandschrank, insbesondere Küchen-Wandschrank
AT518430B1 (de) * 2016-04-15 2017-10-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ssystem
AT518535B1 (de) 2016-04-28 2017-11-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AT518078B1 (de) * 2016-05-09 2017-07-15 Blum Gmbh Julius Möbel
CN107918448B (zh) * 2016-10-11 2019-09-13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枢轴机构及便携式电子装置
US10697220B2 (en) * 2018-10-29 2020-06-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Counterbalance door dampen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uplexing units
AT522109A1 (de) * 2019-01-31 2020-08-15 Blum Gmbh Julius Stellantrieb zum Bewegen einer Möbelklappe
AT524381B1 (de) * 2020-10-22 2022-07-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zum Bewegen eines relativ zu einem Möbelkorpus bewegbar gelagerten Möbelteiles
AT524340B1 (de) * 2020-10-22 2023-08-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CN114704175B (zh) * 2022-02-28 2023-08-11 蚌埠学院 家具驱动系统和家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673A (ja) * 2004-12-28 2008-07-17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ーエムベーハー 少なくとも1本の作動アームを有した作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3219A (en) * 1919-12-22 1920-09-21 Thomas E Collins Door check and closer
US3421605A (en) * 1966-02-01 1969-01-14 Melvin O Hansen Locking mechanism for seat belts
KR890002514A (ko) * 1987-07-10 1989-04-10 야마다 로꾸이찌 도어 체크(door closer)
JP3339837B2 (ja) * 1999-05-28 2002-10-2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回動扉をもったオーバーヘッドキャビネット
JP2001227237A (ja) * 2000-02-17 2001-08-24 Tok Bearing Co Ltd ダンピング機構
DE10063266C2 (de) * 2000-12-19 2003-06-18 Bulthaup Gmbh & Co Kg Kuechens Scharnier
JP3833925B2 (ja) *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JP3900259B2 (ja) * 2002-02-04 2007-04-04 株式会社ニフコ 小物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673A (ja) * 2004-12-28 2008-07-17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ーエムベーハー 少なくとも1本の作動アームを有した作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34788T2 (en) 2018-02-28
US8590107B2 (en) 2013-11-26
JP5571092B2 (ja) 2014-08-13
EP2342409B1 (de) 2017-03-15
US20110193458A1 (en) 2011-08-11
JP2012507644A (ja) 2012-03-29
AT507527A1 (de) 2010-05-15
ES2626640T3 (es) 2017-07-25
KR20110086688A (ko) 2011-07-29
AT15281U1 (de) 2017-04-15
WO2010051569A1 (de) 2010-05-14
EP2342409A1 (de) 2011-07-13
CN102197187B (zh) 2014-09-10
CN102197187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606B1 (ko)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JP4902548B2 (ja) 少なくとも1本の作動アームを有した作動装置
JP5734973B2 (ja) 可動家具部の駆動装置
EP1831494B1 (en) Winding and anti-drop assembly for door counterbalance system
EP3326952B1 (en) Remote triggering device, overspeed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JP4519856B2 (ja) シートベルトテンショナー
US20030093873A1 (en) Infinitely variable door arrester
JP7216217B2 (ja) 家具フラップを運動させるための駆動装置
EP0720702A1 (fr) Mecanisme d'embrayage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4616280B2 (ja) シートベルトテンショナー
US20040011601A1 (en) Implement for driving a tool and including a brake for braking the tool
JP5474144B2 (ja) シートベルト引き込みデバイス
EP2158531A2 (fr) Dispositif d'assistance a l'actionnement d'une pedale d'embrayage
CN113423911B (zh) 制动装置
JP4515464B2 (ja) シートベルトテンショナー
US8973729B2 (en) Coupling device
JP2013542884A (ja) 車両シートの調節装置用自動ロック段階的切替機構
DE202011102011U1 (de)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unkontrollierter Fahrkorbbewegung
WO2001000954A1 (en) Motor vehicle latching assembly
CN114930057A (zh) 执行器和具有这种执行器的用于接合机动车自动变速器的驻车锁止器的设备以及配备有该设备的机动车
JPH04185982A (ja) 仕切弁の開閉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