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029B1 - 기능성 발열 찜질팩 - Google Patents

기능성 발열 찜질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029B1
KR101675029B1 KR1020150176006A KR20150176006A KR101675029B1 KR 101675029 B1 KR101675029 B1 KR 101675029B1 KR 1020150176006 A KR1020150176006 A KR 1020150176006A KR 20150176006 A KR20150176006 A KR 20150176006A KR 101675029 B1 KR101675029 B1 KR 10167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eat
cover
heat storag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나은떠블유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나은떠블유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나은떠블유앤비
Priority to KR102015017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발열 찜질팩에 관한 것으로서, 겔상의 축열제(C)가 충진되는 납작한 형태의 팩커버(10)와; 팩커버(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것으로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커버(20)와;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의 가장자리를 재봉에 의하여 상호 연결하는 재봉단(30)과; 상호 연결된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출입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발열 찜질팩{self heating foment pack}
본 발명은 기능성 발열 찜질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동안 찜질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발열 찜질팩에 관한 것이다.
찜질팩이란 신체의 일부분을 온열 또는 냉열 찜질함으로써, 질병의 호전과 자각증상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찜질팩은 통상적 비닐팩에 축열제가 내장된 구조로 구현되는데, 고령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찜질팩 사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통상 찜질팩은 가장자리가 접합된 2 장의 합성수지 시트 사이에 겔 타입의 축열제가 내장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8-5549호에 찜질팩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찜질팩의 경우, 축열제를 전자레인지등에 의하여 가열시킴으로써 찜질 기능을 하므로, 축열제에 축열된 열이 모두 발산되면 더 이상 찜질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축열제는 겔 타입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있으므로, 찜질 도중 찜질팩이 눌리게 되면 축열제가 한곳으로 쏠리게 되고, 이에 따라 축열제가 없는 부분에서는 찜질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축열제가 한곳으로 쏠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과도한 힘을 받게 되면서 찜질팩이 터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시간동안 찜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발열 찜질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열 찜질팩은,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5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겔상의 축열제(C)가 충진되는 납작한 형태의 팩커버(10)와, 상기 발열패드(5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직조원단으로 이루어져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제(C)가 충진되는 상기 팩커버(10)와 상기 직조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통기커버(20)는 그들 가장자리가 재봉단(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측단에 형성된 출입구(40)를 통하여 상기 발열패드(50)가 출입되는 포대를 이루며; 상기 팩커버(10)는, 상기 축열제(C)가 충진되는 축열패드(11)와; 상기 통기커버(20)의 반대측에서 상기 축열패드(11)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모층(12a)이 형성되는 패드시트(12)와; 상기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동시에 열접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열제(C)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상호 부착시키는 다수의 포인트접합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패드(11)는, 상호 포개어진 상부신트(11a)와 하부시트(11b)의 가장자리를 상호 열접합하는 테두리접합단(11c)과, 상기 테두리접합단(11c)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테두리접합단(11c) 보다 작은 폭의 입구접합단(11d)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발열패드(50)가 포대형태의 상기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출입구(40)를 개폐하는 암수벨크로(41)가 설치되고; 상기 재봉단(30)은, 수지재질로 된 상기 팩커버(10)와 직조원단으로 된 상기 통기커버(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그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의 가장자리에 덧대어진 띠 형태의 천부재가 재봉에 의하여 박음질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제가 내장된 팩커버와 직조원단으로 통기커버가 포대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발열패드를 내장함으로써, 장시간동안 찜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축열패드를 구성하는 상,하부시트와 패드시트를 동시에 포인트 열접합시키는 포인트접합단을 채용함으로써, 축열패드에 충진된 축열제 한쪽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패드와 패드시트를 상호 부착시킨다.
그리고 축열제에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찔짐도중에 은은한 아로마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열 찜질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팩커버가 전면에 보이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통기커버가 전면에 보이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팩커버가 축열패드와 패드시트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축열패드가 수지 재질의 상,하부 시트가 열접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측열패드와 패드시트가 다수의 포인트접합부에 의하여 부분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열 찜질팩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열 찜질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팩커버가 전면에 보이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통기커버가 전면에 보이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2의 팩커버가 축열패드와 패드시트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축열패드가 수지 재질의 상,하부 시트가 열접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측열패드와 패드시트가 다수의 포인트접합부에 의하여 부분 접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발열 찜질팩은. 겔상의 축열제(C)가 충진되는 납작한 형태의 팩커버(10)와; 팩커버(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것으로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커버(20)와;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의 가장자리를 재봉에 의하여 상호 연결하는 재봉단(30)과; 상호 연결된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출입구(40)와; 출입구(40)를 통하여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 사이로 내장되는 발열패드(50)를 포함한다.
팩커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제(C)가 충진되는 축열패드(11)와, 통기커버(20)의 반대측에서 축열패드(11)의 표면에 밀착되는 패드시트(12)와,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동시에 열접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축열제(C)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상호 부착시키는 다수의 포인트접합부(13)를 포함한다.
축열패드(11)는 겔상의 축열제(C)가 저장되도록 수지재질로 된다. 이러한 축열패드(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재질로 된 상,하부시트(11a)(11b)를 상호 포갠 상태에서 지그테이블상의 구획테두리(B)에 배치하고, 구획테두리(B) 상부측의 히터플레이트(미도시)가 상,하부시트(11a)(11b)를 가압하여 구획테두리(B)에 대응되는 테두리접합단(11c)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구획테두리(B) 및 히터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축열패드(11)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부시트(11a)(11b)를 상호 열접합하는 테두리접합단(11c)이 형성되어 주머니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테두리접합단(11c)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제(C)가 투입될 수 있도록 테두리접합단보다 작은 폭의 입구접합단(11d)이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입구접합단(11d)으로는 축열제(C)가 투입되며, 투입 이후에 입구접합단(11d)을 열접합(11d')을 시킴으로써 축열제(C)는 축열패드(11)에 충진된다.
본원발명의 찜질팩은 대형의 크기,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60cm 및 세로 40cm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축열패드(11)에 충진되는 축열제은 상당히 많아야 하며, 축열제(C)가 충진된 상태로 축열패드(11)를 제조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많은 양의 축열제(C)를 축열패드(11)에 충진하기 위하여 입구접합단(11d)을 형성하는 것이다.
패드시트(12)는 통기커버(20)의 반대측에서 축열패드(11)의 표면에 접합되는 것으로서, 표면에 기모층(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모층(12a)은 본원의 찜질팩을 사용할 때 찜질팩이 피부에 달라붙는 방지함과 동시에 쾌적함을 제공한다.
포인트접합부(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패드를 구성하는 상,하부시트(11a)(11b)와 패드시트(12)를 동시에 포인트 열접합시켜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포인트접합부(13)는 축열패드(11)에 충진된 축열제(C)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고른 찜질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찜질도중에 축열제가 한곳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터지는 것을 방지하며, 더불어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상호 부착시킨다.
축열제(C)는 겔 상으로 이루어져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찜질팩을 사용하는 도중에 특정 부분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쪽으로 축열제(C)가 유동된다. 이 경우 찜질팩(11)이 축열제(C)가 많은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구획되어 고른 찜질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포인트접합부(13)를 채용함으로써, 축열제(C)가 축열패드(11) 내부에서 과도하게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도분포가 일정한 고른 찜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통기커버(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커버(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포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직조원단으로 되며, 따라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커버(20)는 축열패드(11)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이슬이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팩커버(10)는 수지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이 매우 매끄럽고, 또한 축열제(C)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천천히 가열되거나 천천히 식게 된다. 따라서 팩커버(10)와 후술할 발열패드(50) 사이에서 항상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되고, 특히 추운 환경에서 축열제(C)가 완전히 식었을 때 발열패드(50)를 작동시키면 상대적으로 차가운 팩커버(10)의 표면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되어 이슬이 맺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기커버(20)를 채용함으로써, 상기한 이슬이 발생되었을 때 배출되도록 한다. 만약 통기커버(20)가 통기기능을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한 이슬은 팩커버(10)가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점점 많아지고, 결국 물처럼 흐르게 되거나 발열패드를 흠뻑 적시게 된다.
재봉단(30)은,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띠 형태의 천부재를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의 가장자리에 덧댄후 재봉에 의하여 박음질됨으로써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팩커버(10)는 수지재질로 되고 통기커버(20)는 직조원단으로 된다. 따라서 수지재질의 팩커버(10)와 직조원단으로 된 통기커버(20)를 열접합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봉단(30)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출입구(40)는 후술할 발열패드(50)가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 사이로 출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출입구(40)의 내주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탈부착되는 암수벨크로(41)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암수벨크로(41)를 탈부착함에 따라 출입구(40)를 개폐할 수 있다.
발열패드(50)는, 한쌍의 패드 사이에 전기를 공급하였을 때 발열하는 발열체가 내장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발열체는 열선 형태일 수도 있고,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이러한 발열패드(50)는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발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220v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본원의 찜질팩이 장시간동안 발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팩커버(10)의 축열패드(11)에 내장되는 측열제(C)는, 열을 축열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열제(C)는 순수한 물에, 얼지 않는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부동물질과, 물을 50~100배까지 흡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polymer)를 첨가하여 구현됨으로써 콜로이드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축열제(C)는 부동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을 시키더라도 딱딱하게 얼지 않고 슬러시(곤죽) 형태로 유지되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입자가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어 축열성이 우수하다. 이때 사용되는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현재 상용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예를 들어, 헨켈코포레이션(Henkel Corporation)의 "SGP147", 제네랄밀스케미칼스(General Mills Chemicals)의 "SGP502S", 그레인프로세싱코포레이션(Grain Processing Corporation)의 "워터록(Water Lock)"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축열제(C)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부동물질 10~30 중량부, 고흡수성 폴리머 3~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부동물질 20 중량부와, 고흡수성 폴리머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구현된다.
축열제(C)에 홍삼등 특정 아로마향을 발생하는 아로마 발생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아로마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로마향의 입자크기는 축열제를 이루는 입자 크기보다 매우 작으므로 수지재질로 된 축열패드(11)에 형성된 수많은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고, 이에 따라 찜질을 하는 동안 아로마향을 느끼게 된다.
축열패드를 이루는 상,하부시트(11a)(11b)는 수지액을 롤러를 통과시킨 후 냉각시킴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때 상,하부시트(11a)(11b)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율의 불균형에 의하여 상,하부시트(11a)(11b)에는 미세한 수많은 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공은 매우 작기 때문에 액체는 통과할 수 없으나, 액체 입자보다 매우 작은 아로마향을 통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제(C)가 내장된 팩커버(10)와 직조원단으로 통기커버(20)가 포대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발열패드(50)를 내장함으로써, 장시간동안 찜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축열패드를 구성하는 상,하부시트(11a)(11b)와 패드시트(12)를 동시에 포인트 열접합시키는 포인트접합단(13)을 채용함으로써, 축열패드(11)에 충진된 축열제(C)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상호 부착시킨다.
그리고 축열제에 아로마향을 발생하는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찔짐도중에 은은한 아로마향이 발생된다. 따라서 찜질도중 심리적인 안정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팩커버 11 ... 축열패드
11a, 11b ... 상,하부시트 11c ... 테두리접합단
11d ... 입구접합단 12 ... 커버시트
12a ... 기모층 13 ... 포인트접합부
20 ... 통기커버 30 ... 재봉단
40 ... 출입구 50 ... 발열패드

Claims (6)

  1.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발열되는 발열패드(5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겔상의 축열제(C)가 충진되는 납작한 형태의 팩커버(10)와, 상기 발열패드(5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직조원단으로 이루어져 습기가 배출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제(C)가 충진되는 상기 팩커버(10)와 상기 직조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통기커버(20)는 그들 가장자리가 재봉단(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측단에 형성된 출입구(40)를 통하여 상기 발열패드(50)가 출입되는 포대를 이루며;
    상기 팩커버(10)는, 상기 축열제(C)가 충진되는 축열패드(11)와; 상기 통기커버(20)의 반대측에서 상기 축열패드(11)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모층(12a)이 형성되는 패드시트(12)와; 상기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동시에 열접합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열제(C)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열패드(11)와 패드시트(12)를 상호 부착시키는 다수의 포인트접합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패드(11)는, 상호 포개어진 상부신트(11a)와 하부시트(11b)의 가장자리를 상호 열접합하는 테두리접합단(11c)과, 상기 테두리접합단(11c)과 연결된 것으로서 그 테두리접합단(11c) 보다 작은 폭의 입구접합단(11d)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발열패드(50)가 포대형태의 상기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출입구(40)를 개폐하는 암수벨크로(41)가 설치되고;
    상기 재봉단(30)은, 수지재질로 된 상기 팩커버(10)와 직조원단으로 된 상기 통기커버(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그 팩커버(10)와 통기커버(20)의 가장자리에 덧대어진 띠 형태의 천부재가 재봉에 의하여 박음질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열 찜질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76006A 2015-12-10 2015-12-10 기능성 발열 찜질팩 KR10167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006A KR101675029B1 (ko) 2015-12-10 2015-12-10 기능성 발열 찜질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006A KR101675029B1 (ko) 2015-12-10 2015-12-10 기능성 발열 찜질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029B1 true KR101675029B1 (ko) 2016-11-10

Family

ID=5748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006A KR101675029B1 (ko) 2015-12-10 2015-12-10 기능성 발열 찜질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806B1 (ko) * 2022-11-11 2023-05-09 주성호 기능성 에어찜질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27Y1 (ko) * 2002-07-12 2002-11-02 유태우 찜질용 백
JP2009131486A (ja) * 2007-11-30 2009-06-18 Ooshin Mlp:Kk 冷却又は加温用シート
KR20120047459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주 찜질기
KR20120005778U (ko) * 2011-02-07 2012-08-17 (주)지엘 목 찜질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27Y1 (ko) * 2002-07-12 2002-11-02 유태우 찜질용 백
JP2009131486A (ja) * 2007-11-30 2009-06-18 Ooshin Mlp:Kk 冷却又は加温用シート
KR20120047459A (ko) * 2010-11-04 2012-05-14 김영주 찜질기
KR20120005778U (ko) * 2011-02-07 2012-08-17 (주)지엘 목 찜질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806B1 (ko) * 2022-11-11 2023-05-09 주성호 기능성 에어찜질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8845T3 (es)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un gradiente de respirabilidad.
WO2006006652A1 (ja) 発熱体
WO2006006655A1 (ja) 発熱パッド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526306A (ja) 温度低下のための装置
CN104093382A (zh) 发热器具
WO2006006662A1 (ja) 発熱体
CN101756762A (zh) 热治疗装置
US7056335B2 (en) Thermal therapy sleeve
TW201711645A (zh) 發熱器具及其製造方法
TW201804969A (zh) 蒸氣溫熱器具及其使用方法
KR101675029B1 (ko) 기능성 발열 찜질팩
US11583437B2 (en) Reusable warming blanket with phase change material
KR20170099624A (ko) 기능성 발열 찜질팩
JP5059007B2 (ja) ヒートクッション
TW200302715A (en) Laminated heating device
JPH01250252A (ja) 温湿布構造物
JP4841363B2 (ja) 蒸気温熱具
KR101379326B1 (ko) 온수 발열 매트
TWI782978B (zh) 溫熱器具
KR101598974B1 (ko) 다기능 찜질팩
KR200448728Y1 (ko) 찜질 밴드
KR20180090075A (ko) 기능성 찜질패드
TWM604586U (zh) 恆溫控制溫水墊
JP2009072404A (ja) 冷却又は加温用シート
KR101618962B1 (ko) 여성용 찜질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