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805B1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805B1
KR101674805B1 KR1020150065278A KR20150065278A KR101674805B1 KR 101674805 B1 KR101674805 B1 KR 101674805B1 KR 1020150065278 A KR1020150065278 A KR 1020150065278A KR 20150065278 A KR20150065278 A KR 20150065278A KR 101674805 B1 KR101674805 B1 KR 10167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fluid
change
plunger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환
정충표
이길세
이성훈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6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는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키는 점도 변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변화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유체의 유속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DAMPER}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점도 변화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현가(Suspension) 방식은 스프링(Spring)요소와 댐퍼(Damper)요소[차량에서는 쇽업소버, Shock-Absorber라고 불림]로 구성이 되며, 장착 위치는 차량 하부 Frame(unsprung mass)과 차량 상부 Body(sprung mass) 사이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가시스템은 노면에서 발생되는 진동요소를 감쇄시켜 운전자의 승차감을 극대화하는데 사용이 된다.
즉 (1)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승객의 안락한 승차감(Ride Comfort)을 제공하고, (2) 운전자의 운전행위나,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고, (3)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의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기존의 현가 시스템에서는 스프링 계수와 댐핑 계수가 고정된 상수 값을 가지는 형태로 차량에 구현이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조종안정성과 승차감은 반비례되는 관계를 가진다. 일례로 고급 세단의 경우 승차감을 강화시켜 상대적으로 조종안정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스포츠카의 경우 조종안전성을 강화시켜 상대적으로 승차감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즉 고정된 스프링 계수와 댐핑 계수를 가지는 경우 조종안정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 들어 댐핑 계수를 가변시키는 능동 또는 반능동 현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고급 차량을 중심으로 장착이 되고 있다.
이러한 능동 및 반능동 현가장치들의 적용 방식은 다음과 같다. (1) 현가시스템에 가벼운 하중이 가해 질 때,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자동차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딱딱해지도록 하고, (2) 바퀴가 돌출 등에 부딪혔을 때, 서스펜션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쇽 업소버가 부드러워지게 한다. (3) 갑작스럽게 차선을 변경한 경우,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서스펜션이 다시 딱딱해지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2006년 3월 31일에 출원된 KR2006-0029251호에서는 "자기 유동성 유체 댐퍼의 다이어프램"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기유변(MR) 유체의 사용을 줄이면서, 유체량 대비 큰 점도 변화 범위를 가질 수 있어, 비용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블레이드를 추가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소량의 자기유변 유체를 사용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으로 동일한 점도 변화량을 생성시킬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블레이드 및 전자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요구되는 점도 변화량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차량 현가 시스템뿐만 아니라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댐핑 효과를 획득하도록 요구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는,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키는 점도 변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변화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유체의 유속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은 상기 플런저와 연통되어, 상기 플런저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에는 각각 모터 및 구동 축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 및 구동 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작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플런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플런저 및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체의 총 점도 변화량은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유속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한 전자기력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의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유속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 또는 상기 전자석에 의한 전자기력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는,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유체 수용부; 상기 유체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유체 수용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전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전자기력 생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또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에 의해 상기 유체 수용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가 변화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체에 요구되는 점도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 유체에 요구되는 점도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는 상기 유체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거나 상기 유체 수용부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에 의하면, 자기유변(MR) 유체의 사용을 줄이면서, 유체량 대비 큰 점도 변화 범위를 가질 수 있어, 비용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추가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소량의 자기유변 유체를 사용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으로 동일한 점도 변화량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에 의하면, 블레이드 및 전자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요구되는 점도 변화량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에 의하면, 차량 현가 시스템뿐만 아니라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댐핑 효과를 획득하도록 요구되는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한다.
도 2는 유관 내 유속 프로파일과 유속 방향으로의 변형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서 유속 변화 요소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의 배치가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도시하고, 도 2는 유관 내 유속 프로파일과 유속 방향으로의 변형력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서 유속 변화 요소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의 배치가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는 유체 수용부(100) 및 점도 변화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수용부(100)는 플런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스톤 및 실린더의 조합에 의하여 유체의 압축이나 압력 전달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플런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단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수용부(100)의 내부에는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예를 들어 MR(Magneto-Rheological, 자기유변) 유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체는 MR 유체에 국한되지 않고, 자기장 또는 전기장에 의하여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MR 유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MR 유체는 실리콘 오일과 같은 전기 절연성의 액체 중에 수 ㎛ 크기의 강자성체 입자들을 분산시킨 것으로서, MR 유체에 인가된 자기장에 반응하여 입자들이 서로 밀집되어 체인 구조와 같은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입자 구조의 변화에 의하여 MR 유체가 고체와 같이 변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체에 외력이 가해져도 그 외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MR 유체에 인가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MR 유체 점도가 증가하게 될 수 있고, MR 유체에 인가된 전자기력의 세기가 커질수록 MR 유체의 점도 변화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MR 유체는 비교적 응답속도를 빠르다는 점에서, 댐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수용부(100)가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실린더 내부에 ER 유체가 채워질 수 있고, 피스톤이 MR 유체를 누름으로써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 내에 MR 유체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면, MR 유체의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이동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실린더 내에 ER 유체의 점도가 증가되지 않는다면,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서 수월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MR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의 댐핑 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체 수용부(100), 예를 들어 플런저의 외측에는 점도 변화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도 변화부(200)는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 변화부(200)는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속 변화 요소(210)는 유체에 유속을 발생시킴으로써 유체의 점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한 유체의 점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의 점도 변화, 특히 유속 변화 요소(210)에 의한 유체 점도 변화 효과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설명된다.
유체역학적으로 유관 내 점도의 변화량은 유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변형력에서 유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유관 내 유속 프로파일은 유관면에서는 유체와 관의 마찰에 기인하여 유속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마찰 또는 저항이 작은 유관의 중심에서는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유속 방향으로의 변형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1
여기서 x축은 유관의 유체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x축의 직교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x축 방향으로의 유속은 u로, y축 방향으로의 유속은 v로 나타내질 수 있다. 그러므로, x축 방향으로의 변형력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2
은 유체 점도 η에 y축 방향으로의 유속 v의 구배에 비례한다.
전술된 수식을 유체의 점도 η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3
결과적으로 유속 방향으로의 변형력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4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5
의 구배를 발생시키면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속의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는 ηstream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에서 이러한 유속의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는 유속 변화 요소(210), 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에서는 전자기력에 따라 변화되는 점도의 변화 또한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도 변화는 ηMR로 명명될 수 있고,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 예를 들어 전자석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를 구비함으로써 유도되는 댐퍼(10)의 총 댐핑 계수 변화, 다시 말해서 유체의 총 점도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Figure 112015044800141-pat00006
따라서, 유체에 작은 점도 변화가 요구되는 경우,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보다 에너지 소모가 작은 유속 변화 요소(210)의 작동에 의하여 점도 변화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유속 변화 요소(210)에 의한 점도 변화 이상의 점도 변화가 요구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를 작동시켜 MR 유체의 점도를 추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에 의하여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의 작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유속 변화 요소(210)에 의한 유속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에 의한 전자기력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유체의 점도 변화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이 되었으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에 포함되는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의 배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속 변화 요소(210)는 블레이드(212), 블레이드 수용실(214), 모터(216) 및 구동 축(2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2)는 블레이드 수용실(2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수용실(214)은 유체 수용부(100), 예를 들어 플런저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플런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MR 유체가 블레이드 수용실(214)을 통과하여 플런저 내부에 반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의 하부 측면에는 블레이드 수용실(214)와 연통되는 제1 연통홀(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통홀(102)로부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는 제2 연통홀(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MR 유체는 제1 연통홀(102)을 통해 플런저로부터 블레이드 수용실(214)로 배출되고, 블레이드 수용실(214)을 통과하여 제2 연통홀(104)을 통해 플런저로 반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MR 유체는 블레이드(212)의 회전에 의하여 순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속 변화가 유발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21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2)는 플런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수용실(214) 또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212)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2)의 작동을 위하여 블레이드 수용실(214)에는 모터(216) 및 구동 축(21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216)는 저가의 스텝 모터(step moto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는 전자석으로 마련되어, 유체 수용부(10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자석이 플런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은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MR 유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MR 유체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석은 전류를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비교적 쉽게 자기장의 세기 또는 전자기력의 세기를 바꿀 수 있으므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MR 유체의 점도 변화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전술된 전자석은 블레이드(216)로부터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의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구성은 플런저 내부에 채워진 MR 유체가 플런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는 점도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에서는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로서 전자석 및 블레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키도록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고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0)에서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의 배치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는 유체 수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는 유체 수용부(100)의 방사상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 요소(210) 및 전자기력 생성 요소(220)의 배치에 의하여 커플링(coupling) 효과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체의 점도 변화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중심부까지 발생되어야 하는 전자기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전자석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는 차량 안정성 또는 차량 승차감을 높이기 위한 주행 상황에 따른 댐핑 계수 변화의 요구에 대하여, 보다 소량의 MR 유체를 사용하면서 에너지 효율적으로 동일한 점도 변화량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차량 현가 시스템 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댐퍼
100: 유체 수용부
102: 제1 연통홀
104: 제2 연통홀
200: 점도 변화부
210: 유속 변화 요소
212: 블레이드
214: 블레이드 수용실
216: 모터
218: 구동축
220: 전자기력 생성 요소

Claims (11)

  1.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키는 점도 변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변화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유체의 유속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에는 모터 및 구동 축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모터 및 구동 축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작동될 수 있는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실은 상기 플런저와 연통되어, 상기 플런저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댐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플런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댐퍼.
  5.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런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키는 점도 변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변화부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유체의 유속 변화가 유도되고 상기 유체의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변화부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플런저의 방사상 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자석은 상기 플런저 및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총 점도 변화량은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유속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한 전자기력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의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댐퍼.
  7. 제6 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유속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 또는 상기 전자석에 의한 전자기력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량을 제어할 수 있는 댐퍼.
  8. 내부에 자기장에 의해 점도가 변화될 수 있는 유체가 채워진 유체 수용부;
    상기 유체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유체 수용부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전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전자기력 생성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또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에 의해 상기 유체 수용부 내에 채워진 유체의 점도가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유속 변화 요소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수용실에는 모터 및 구동 축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 및 구동 축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작동될 수 있는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에 요구되는 점도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댐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는 상기 유체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거나 상기 유체 수용부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는 댐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변화 요소 및 상기 전자기력 생성 요소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유체 수용부의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 댐퍼.
KR1020150065278A 2015-05-11 2015-05-11 댐퍼 KR10167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78A KR101674805B1 (ko) 2015-05-11 2015-05-11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78A KR101674805B1 (ko) 2015-05-11 2015-05-11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805B1 true KR101674805B1 (ko) 2016-11-09

Family

ID=5752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278A KR101674805B1 (ko) 2015-05-11 2015-05-11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8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127B2 (ja) * 1995-07-31 1996-12-25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JP2005291338A (ja) * 2004-03-31 2005-10-20 Hitachi Ltd ダンパ
JP2008038980A (ja) * 2006-08-03 2008-02-21 Sanwa Tekki Corp 油圧・磁性流体複合型制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127B2 (ja) * 1995-07-31 1996-12-25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JP2005291338A (ja) * 2004-03-31 2005-10-20 Hitachi Ltd ダンパ
JP2008038980A (ja) * 2006-08-03 2008-02-21 Sanwa Tekki Corp 油圧・磁性流体複合型制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120B2 (en) Suspension with hydraulic preload adjust
JP6346620B2 (ja) エネルギー利用の最適化を伴う受動的及び能動的なサスペンション
US6471018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
US9261160B2 (en)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JP4972440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US7340334B2 (en) Control device of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US7770701B1 (en) Suspension strut for use with a compressible magnetorheological fluid
US20120247888A1 (en) Suspension apparatus
US8311704B2 (en) Control apparatus of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JP2009236139A (ja) 減衰力可変装置
BR112019009644B1 (pt) Dispositivo de suspensão para um eixo de veículo compreendendo rodas apropriadas a circular
JP6368433B2 (ja) シリンダ装置
CN108466543B (zh) 车辆振动隔离系统和装置
JP200923432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6802404B1 (en) Electro-rheological or magneto-rheological controlled hydraulic restriction
WO2017068601A1 (en) Magnetic suspension system for automobiles
KR101674805B1 (ko) 댐퍼
JP2005096587A (ja) 車両懸架装置
JP201114377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200992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
KR20180068799A (ko) 현가장치용 스프링 유닛
JP2006273225A (ja) 可変減衰力ダンパーの制御装置
JP2007046733A (ja) アッパーマウント
JP4987762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CN217873958U (zh) 一种内置磁流变阻尼器的可调悬架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