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71B1 - 축분 급속 콤포스트 - Google Patents

축분 급속 콤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71B1
KR101673871B1 KR1020160045321A KR20160045321A KR101673871B1 KR 101673871 B1 KR101673871 B1 KR 101673871B1 KR 1020160045321 A KR1020160045321 A KR 1020160045321A KR 20160045321 A KR20160045321 A KR 20160045321A KR 101673871 B1 KR101673871 B1 KR 10167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ipe
dust
dri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호 filed Critical 문성호
Priority to KR102016004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05F17/02
    • C05F17/0258
    • C05F17/0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분 급속 콤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교반 중공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축분(계분, 돈분 등)을 급속으로 자연발효 퇴비화하여 재활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축분 발효기의 구동장치는 구동실린더의 작동부하가 받침지주의 부착면에 수직으로 작용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작용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받침지주가 틀어지거나 외부로 이탈하면서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동실린더와 받침지주의 부착면이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받침지주를 틀어지게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부하가 받침지주의 부착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면서 받침지주는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함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축분 급속 콤포스트{Livestock excretions rapid compost}
본 발명은 교반 중공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축분(계분, 돈분 등)을 급속으로 자연발효 퇴비화하여 재활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농가, 양계농가에서 발생하는 축분(畜糞; 축산분뇨)의 발상량 대부분이 정화방법으로 처리되어 하천이나 강 등의 수계로 배출되거나 퇴비화, 액비화 등으로 일부가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퇴비화의 경우에는 퇴비화시 수분 조절재인 톱밥의 가격이 비싸고 시설운영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축산농가의 시설관리 기술 부족 등의 이유로 가동 중인 시설이 극히 제한되고 있으며, 일부 농가에서는 축산퇴비에 비해 값싸고 사용이 편리한 화학비료를 선호하는 한편 퇴비 생산업자는 생산비가 높아 적자를 보고 있는 현실이다.
이와 같이 축분을 자원화하기 위한 방법은 퇴비화와 액비화가 사용되고는 있지만 경제성이 부족하고 소요 부지면적이 넓으며 액비의 경우 추가의 2차 설비가 불가피함으로 농가에 적용하여 설치 운영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악취 발생에 대해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축분 처리에 관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자에는 축분 발효기를 이용하여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축산분뇨를 단시간에 발효 및 분해하여 유기질 비료로 만들고 있고, 이러한 축분 발효기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668620호, 명칭/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축분 발효기는 교반날개를 통해 열풍이 발효조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구동장치에 의해 중공 교반축이 회전함으로써 교반날개가 상기 발효조의 내부에 저장된 축분을 교반시켜 호기성 세균에 의해 발효 및 분해가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 교반축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1)는 도 11과 같이 사각형 베이스 프레임(2)의 중앙에 중공 교반축의 하부와 결합되는 구동축(3)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3)에 일체로 설치된 래칫 휠(4)의 상하 양측에는 왕복레버(5)가 구동축(3)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왕복레버(5)와 베이스프레임(2)의 사방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지주(6)에 각각 구동실린더(7)의 양측이 연결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구동장치(1)는 실린더브라켓(7a)이 부착되는 받침 지주(6)의 부착면이 구동실린더(7)와 직교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둔각을 형성함으로써 구동실린더(7)의 작동부하가 받침지주(6)의 부착면에 수직으로 작용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작용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받침지주(6)가 틀어지거나 외부로 이탈하면서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를 통해서만 발효조의 내부로 열풍이 공급됨으로써 발효조의 내면에 인접하는 지점에는 열풍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발효 시간이 오래 걸려 처리능력이 저하된다.
아울러 발효건조시 발생하는 가스, 비산먼지가 발효조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됨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동실린더와 받침지주의 부착면이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받침지주를 틀어지게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조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열풍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 덕트에는 열풍기를 통과하면서 발생한 열풍을 공급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건조시 발생하는 가스, 비산먼지가 발효조의 상단에 설치된 분진 제거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충돌판에 부딪치면서 분진이 제거된 깨끗한 배기가스만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실린더와 받침지주의 부착면이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부하가 받침지주의 부착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면서 받침지주는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함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조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열풍 덕트를 통해 발효조의 내면에 인접하는 지점에도 빠짐없이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급속으로 축분을 발효건조하며, 최대의 처리능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효건조시 발생하는 가스, 비산먼지가 발효조의 상단에 설치된 분진 제거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판에 부딪치면서 제거됨으로써 대기중으로 분진이 배출됨을 방지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급속 콤포스트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지주 및 구동실린더의 연결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열풍 덕트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열풍 덕트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열풍기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열풍기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분진 제거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분진 제거기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점검구 커버의 배면도
도 11은 종래 축분 발효기의 구동장치 평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발효조(10), 구동장치(2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조(10)는 수직 원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소의 설치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사각형 베이스프레임(11)의 사방에 직립 설치된 받침지주(12)(12a)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과 발효조(10)의 사이에는 발효조(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 교반축(1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중공 교반축(13)에는 수평상으로 다수의 교반날개(13a)가 부착됨으로써 구동장치(20)의 작동에 따라 중공 교반축(13) 및 교반날개(13a)가 회전하면서 발효조(10) 내의 축분을 발효건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20)는 상기 중공 교반축(13)의 하부와 결합되는 구동축(21)이 베이스프레임(1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1)의 외측에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래칫 휠(22)이 일체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래칫 휠(22)의 상하 양측에는 왕복레버(23)가 구동축(21)에 일체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축(21), 래칫 휠(22) 및 왕복레버(23)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연동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레버(23)에는 힌지핀(23a)을 매개로 구동실린더(24)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실린더(24)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1)의 사방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지주(12)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24a)에 힌지핀(23a)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24)의 작동에 따라 왕복레버(23)가 왕복 회전하면서 래칫 휠(22)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구동축(21)을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받침지주(12)(12a)가 모두 동일한 위치로 설치되지 않고, 구동실린더(24)가 연결되는 받침지주(12)의 경우 도 3과 같이 실린더브라켓(24a)이 부착되는 부착면(25)이 구동실린더(24)와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즉 구동실린더(24)가 연결되지 않는 받침지주(12a)는 도 2와 같이 수평상으로 설치됨에 반해 구동실린더(24)가 연결되는 받침지주(12)는 구동실린더(24)가 연결되지 않는 받침지주(12a)보다 틀어지게 경사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받침지주(12)의 부착면(25)과 구동실린더(24)는 상호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24)의 작동부하가 받침지주(12)의 부착면(25)에 수직으로 작용함으로써 받침지주(12)는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함을 유지하여 구동장치(20)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반날개(13a)를 통해 발효조(10)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열풍 사각지대인 발효조(10)의 내면에 인접한 지점에도 골고루 빠짐없이 열풍을 공급하여 발효건조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발효조(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열풍노즐(31)(31a)이 형성된 열풍 덕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열풍 덕트(30)에는 열풍 공급관(32)을 통해 열풍기(40)에 의해 생성된 열풍이 공급되며, 상기 열풍기(40)에는 블로워(33)가 생성한 바람이 송풍관(34)을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발효조(10)의 내면에 인접하는 지점에도 빠짐없이 열풍 덕트(30)를 통해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급속으로 축분을 발효건조할 수 있어 최대의 처리능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풍노즐(31)(31a)은 열풍 덕트(30)의 내면 상하에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2단 설치됨으로써 열풍의 공급량을 더욱 높일 수 있고, 상기 열풍노즐(31)(31a)은 상하 지그재그로 반복하여 설치됨으로써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최대한 촘촘하게 열풍을 공급하면서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열풍노즐(31)(31a)이 설치되는 열풍 덕트(30)의 내면은 일반적인 평면으로 형성됨을 탈피하여 도 4와 같이 열풍의 흐름 방향을 상하에 설치된 열풍노즐(31)(31a)로 각각 분할하여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곡면부(35)로 형성됨으로써 열풍은 가이드 곡면부(35)를 타고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상하에 설치된 열풍노즐(31)(31a)로 유도 공급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풍기(40)는 블로워(33)에 의해 생성된 바람이 열풍기 하우징(41)의 내부를 장시간 유동하면서 더욱 빠르게 열풍으로 변화되어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특수한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열풍기(40)는 상판(41-1) 및 하판(41-2)의 사이에 내관(41-3) 및 외관(41-4)의 이중자켓으로 구성된 열풍기 하우징(41)이 설치되고, 상기 하판(41-2)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내관(41-3)의 내부 중앙으로 송풍 유입관(43)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송풍 유입관(43)의 하단에는 송풍관(34)이 연결됨으로써 블로워(33)가 일으킨 바람은 송풍 유입관(43)을 통해 열풍기 하우징(4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 유입관(43)의 개방된 상단부와 열풍기 하우징(41)의 상판(41-1) 사이에는 상향으로 이동한 바람이 히팅공간(44)으로 터닝하여 하부로 유동할 수 있는 터닝 유로(45)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41-1)을 관통하여 다수의 핀 히터(46)가 송풍 유입관(43)과 내관(41-3)의 사이에 형성된 히팅공간(44)으로 노출 설치됨으로써 상기 송풍 유입관(43)을 통과하는 바람은 핀 히터(46)에 1차적으로 간접 가열된 후 터닝 유로(45)를 경유하여 히팅공간(4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직접 가열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41-1)에는 제어박스(47)가 안착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47)의 상단에는 핀 히터(46)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48)가 설치됨으로써 온도조절기(48)를 이용하여 핀 히터(46)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은 물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핀 히터(46)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하여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풍기 하우징(41)의 하측에는 내관(41-3) 및 외관(41-4)을 관통하여 히팅공간(44)과 연통 가능한 열풍 토출관(49)이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상기 열풍 토출관(49)의 일측 선단에는 열풍 공급관(32)이 연결됨으로써 열풍을 열풍 덕트(30)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풍기(40)는 보온성을 극대화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관(41-3) 및 외관(41-4)의 사이에는 보온재인 그라스울(41-5)이 채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효건조시 발효조(10)에서 발생하는 가스, 비산먼지, 오염물질 등이 대기 중으로 배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제거기(5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분진 제거기(50)는 발효조(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상부에 배기구(52)가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 형성된 흡기구(53)는 발효조(10)의 상단에 형성된 배기로(15)와 연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분진 제거기 본체(51)는 전, 후면판(51a)(51b)의 내면에 각각 다수의 충돌판(54)(54a)이 중앙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충돌판(54)(54a)은 상호 지그재그로 반복하여 설치되고, 상기 충돌판(54)(54a)의 중첩부위 사이사이에는 배기 유로(55)가 형성됨으로써 흡기구(53)를 통해 유입된 가스, 분진, 이물질 등은 일측의 충돌판(54a)에 부딪힌 후 배기 유로(55)를 통과하여 타측의 충돌판(54)에 부딪치면서 지그재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스나 분진, 이물질 등은 분진 제거기(5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충돌판(54)(54a)에 부딪치면서 제거됨과 아울러 순수한 가스만 대기중으로 배출될 뿐 분진이나 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하며, 특히 지그재그의 형태로 설치된 충돌판(54)(54a)의 구조적인 특성상 가스, 분진, 이물질 등이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내부를 빠르게 통과하지 않고 지그재그의 이동경로를 따라 장시간을 체류함으로써 분진제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전면판(51a)에는 점검구(56)가 개방 설치되고, 상기 점검구(56)에는 점검구 커버(5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점검구(56)를 개방하여 내부를 확인하거나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검구 커버(57)는 전면 상하에 고정바(57-1)가 부착되고, 상기 전면판(51a)의 양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고정볼트(57-2)는 상기 고정바(57-1)의 양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57-3)가 나사결합 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점검구(56)를 막아주어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점검구 커버(57)의 내면에 별도의 보관함(58)이 설치되고, 상기 보관함(58)에는 스크래퍼(59)와 같은 청소도구를 넣어서 보관함으로써 작업자가 점검구 커버(57)를 개방한 후 별도의 청소도구를 챙기지 않고서도 보관함(58)에 보관된 스크래퍼(59)를 꺼내어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내면 및 충돌판(54)(54a)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청소도구를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분실의 우려를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1, 20: 구동장치 2, 11: 베이스프레임
3, 21: 구동축 4, 22: 래칫 휠
5, 23: 왕복레버 6, 12, 12a: 받침지주
7, 24: 구동실린더 7a, 24a: 실린더브라켓
10: 발효조 13: 중공 교반축
15: 배기로 25: 부착면
30: 열풍 덕트 31, 31a: 열풍노즐
32: 열풍 공급관 33: 블로워
34: 송풍관 35: 가이드 곡면부
40: 열풍기 41: 열풍기 하우징
41-3: 내관 41-4: 외관
43: 송풍 유입관 44: 히팅공간
45: 터닝 유로 46: 핀 히터
48: 온도조절기 49: 열풍 토출관
50: 분진 제거기 51: 분진 제거기 본체
52: 배기구 53: 흡기구
54, 54a: 충돌판 55: 배기 유로
56: 점검구 57: 점검구 커버
58: 보관함 59: 스크래퍼

Claims (9)

  1. 사각형 베이스프레임(11)의 사방에 직립 설치된 받침지주(12)(12a)의 상단에 안착 설치된 발효조(10)와;
    상기 발효조(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 교반축(13)의 하부와 결합되는 구동축(21)이 베이스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1)에 일체로 설치된 래칫 휠(22)의 상하 양측에는 왕복레버(23)가 구동축(21)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왕복레버(23)와 베이스프레임(11)의 사방에 설치된 한 쌍의 받침지주(12)에 각각 구동실린더(24)의 양측이 연결된 구동장치(2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구동실린더(24)와 받침지주(12)의 부착면(25)은 상호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받침지주(12)는 구동실린더(24)가 연결되지 않은 받침지주(12a)와 틀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발효조(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열풍 덕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열풍 덕트(30)에는 열풍기(40)에 의해 생성된 열풍이 열풍 공급관(32)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열풍기(40)에는 블로워(33)가 생성한 바람이 송풍관(34)을 통해 공급되고,
    상기 열풍 덕트(30)는 내면의 상하에 각각 다수의 열풍노즐(31)(31a)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열풍노즐(31)(31a)은 상하 지그재그로 반복하여 설치되며;
    상기 열풍 덕트(30)의 내면은 열풍의 흐름 방향을 상하에 설치된 열풍노즐(31)(31a)로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곡면부(3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40)는 내관(41-3) 및 외관(41-4)의 이중자켓으로 구성된 열풍기 하우징(41)과;
    상기 열풍기 하우징(41)의 하판(41-2) 내, 외부를 관통하여 내관(41-3)의 내부 중앙에 삽입 설치되고, 하단부에 송풍관(34)이 연결되는 송풍 유입관(43)과;
    상기 송풍 유입관(43)의 개방된 상단부와 열풍기 하우징(41)의 상판(41-1) 사이에 형성되는 터닝 유로(45)와;
    상기 상판(41-1)을 관통하여 송풍 유입관(43)과 내관(41-3)의 사이에 형성된 히팅공간(44)으로 노출 설치된 다수의 핀 히터(46)와;
    상기 열풍기 하우징(41)의 하측에 내관(41-3) 및 외관(41-4)을 관통하여 히팅공간(44)과 연통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일측 선단에 열풍 공급관(32)이 연결되는 열풍 토출관(4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41-3) 및 외관(41-4)의 사이에는 그라스울(41-5)이 채움 설치되고, 상기 상판(41-1)에는 제어박스(47)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제어박스(47)의 상단에 핀 히터(46)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4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10)의 상단에는 분진 제거기(50)가 설치되고, 상기 분진 제거기(50)는,
    상, 하부에 각각 배기구(52) 및 흡기구(53)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53)는 발효조(10)의 상단에 형성된 배기로(15)와 연통된 분진 제거기 본체(51)과;
    상기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전, 후면판(51a)(51b) 내면에 각각 중앙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호 지그재그로 반복하여 설치된 다수의 충돌판(54)(54a)과;
    상기 충돌판(54)(54a)의 중첩부위 사이사이에 형성된 배기 유로(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전면판(51a)에는 점검구(56)가 개방 설치되고, 상기 점검구(56)에는 점검구 커버(5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점검구 커버(57)의 전면 상하에 부착된 고정바(57-1)의 양측은 전면판(51a)에 부착된 고정볼트(57-2)가 관통되고, 상기 고정볼트(57-2)에 너트(57-3)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커버(57)의 내면에는 보관함(58)이 설치되고, 상기 보관함(58)에는 작업자가 분진 제거기 본체(51)의 내면 및 충돌판(54)(54a)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래퍼(59)를 넣어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급속 콤포스트.
KR1020160045321A 2016-04-14 2016-04-14 축분 급속 콤포스트 KR10167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21A KR101673871B1 (ko) 2016-04-14 2016-04-14 축분 급속 콤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21A KR101673871B1 (ko) 2016-04-14 2016-04-14 축분 급속 콤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871B1 true KR101673871B1 (ko) 2016-11-08

Family

ID=5752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321A KR101673871B1 (ko) 2016-04-14 2016-04-14 축분 급속 콤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1481A (zh) * 2017-12-31 2018-06-22 邵真 一种采用绿色能源的有机肥料搅拌装置
CN108218489A (zh) * 2017-12-31 2018-06-29 邵真 一种采用清洁能源的有机肥料发酵装置
WO2018132645A1 (en) * 2017-01-13 2018-07-19 Medal Technologies, LLC Compost bin
KR20210048692A (ko) * 2019-10-24 2021-05-04 나누리안(주) 수분 및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펠릿 교반장치
CN113716992A (zh) * 2021-09-18 2021-11-30 机科发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层堆肥系统的物料垂直降落装置
CN117623814A (zh) * 2024-01-25 2024-03-01 山东中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有机肥发酵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613A (ko) * 2002-06-21 2002-10-19 (주)유이티엔지니어링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KR100668620B1 (ko) * 2005-12-29 2007-01-12 (주)태창공업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613A (ko) * 2002-06-21 2002-10-19 (주)유이티엔지니어링 도장 부스의 분진 및 가스 제거장치
KR100668620B1 (ko) * 2005-12-29 2007-01-12 (주)태창공업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2645A1 (en) * 2017-01-13 2018-07-19 Medal Technologies, LLC Compost bin
CN108191481A (zh) * 2017-12-31 2018-06-22 邵真 一种采用绿色能源的有机肥料搅拌装置
CN108218489A (zh) * 2017-12-31 2018-06-29 邵真 一种采用清洁能源的有机肥料发酵装置
KR20210048692A (ko) * 2019-10-24 2021-05-04 나누리안(주) 수분 및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펠릿 교반장치
KR102379928B1 (ko) 2019-10-24 2022-03-29 나누리안(주) 수분 및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펠릿 교반장치
CN113716992A (zh) * 2021-09-18 2021-11-30 机科发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层堆肥系统的物料垂直降落装置
CN113716992B (zh) * 2021-09-18 2024-04-16 机科发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层堆肥系统的物料垂直降落装置
CN117623814A (zh) * 2024-01-25 2024-03-01 山东中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粪便有机肥发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871B1 (ko) 축분 급속 콤포스트
CN209685635U (zh) 一种农业废弃物快速发酵处理装置
KR101984395B1 (ko)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CN112624810A (zh) 一种具有搅拌结构的牛粪有机肥发酵罐
CN103232274A (zh) 滚筒式发酵装置
KR2013014185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180087822A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CN208338567U (zh) 一种湿度可调的洁净养猪房
KR100798818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제조장치.
JP2008023450A (ja) 有機性廃棄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WO2011046162A1 (ja) 湿潤有機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TWI668200B (zh) 有機廢棄物倉式腐熟發酵方法
JP2003019477A (ja) 食品残渣の処理装置
CN208362205U (zh) 一种环保型立式塔筒式鸡粪发酵罐
CN203212489U (zh) 滚筒式发酵装置
CN209702515U (zh) 一种用于奶牛养殖的粪便处理装置
Shakerkhan et al. Development of an industrial-scale bioreactor in the context of a global pandemic
TWM572899U (zh) Organic waste warehouse decomposing fermentation equipment
JP3183148U (ja) 堆肥舎構造
KR102426866B1 (ko) 퇴비화 처리 시설의 악취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악취처리 방법
RU2786923C1 (ru) Ферментер для ускорен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животноводства в органическое удобрение
JP2002020188A (ja) バイオガス生産方法およびバイオガス生産装置
CN212158090U (zh) 一种有机肥加工用烘干除臭装置
RU22470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ерментацион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навоза и помета
CN221044067U (zh) 一种用于黑水虻养殖的生物除臭及新风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