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620B1 -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620B1
KR100668620B1 KR1020050133478A KR20050133478A KR100668620B1 KR 100668620 B1 KR100668620 B1 KR 100668620B1 KR 1020050133478 A KR1020050133478 A KR 1020050133478A KR 20050133478 A KR20050133478 A KR 20050133478A KR 100668620 B1 KR100668620 B1 KR 10066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ermenter
cylinder
drive shaft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재천
Original Assignee
(주)태창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창공업 filed Critical (주)태창공업
Priority to KR102005013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주기적으로 부품교체가 필요한 구동부위가 손쉽게 분해 및 조립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발효조의 내부에서 구비되고 하단에 다각형홈을 갖는 중공축과, 상기 다각형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형돌기를 상단에 갖고 외주면에 원형턱부와 다각형부을 갖는 구동축으로 구성되는 결합축부와; 상기 원형턱부에 상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다각형부에 삽입되고, 외측부의 치형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을 갖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레버부와, 상기 왕복레버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를 갖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래칫휠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부시와, 상기 서포팅부시의 하면을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축분, 축산분뇨, 발효, 구동, 실린더

Description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cattle excreta fermentation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 발효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축분 발효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5의 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10 : 결합축부
11 : 중공축
111 : 다각형홈
12 : 구동축
121 : 다각형돌기 122 : 원형턱부
123 : 다각형부
20 : 래칫휠
21 : 래칫
30 : 유압구동부
31 : 왕복레버부
311 : 제1상부레버 312 : 제2상부레버
313 : 제1하부레버 314 : 제2하부레버
32 : 제1실린더 33 : 제2실린더
40 : 지지부
41 : 서포팅부시
42 : 베어링부
421 : 회전베어링 422 : 스러스트베어링
본 발명은 축산분뇨를 발효시키는 축분 발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부품교체가 필요한 구동부위가 손쉽게 분해 및 조립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 발효기는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축산분뇨를 단시간에 발효 및 분해하여 유기질 비료로 만드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축분 발효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축분 발효기는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발효조(100)와, 상기 발효조(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공축(200)과, 상기 중공축(200)의 외주면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중공된 교반날개(300)와, 상기 중공축(200)의 하단으로 상기 중공축(200)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400)와, 상기 교반날개(300)를 통해 열풍이 분사되도록 상기 중공축(200)의 상단과 관로상으로 연통되게 설치되는 송풍기(5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축분 발효기는 교반날개(300)를 통해 열풍이 발효조(100)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구동장치(400)에 의해 중공축(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날개(300)가 상기 발효조(100)의 내부에 저장된 축산분뇨를 교반시킴으로써, 상기 발효조(100)의 내부에 수용된 축산분뇨가 호기성 세균에 의해 발효 및 분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효조(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장치(400)는 중공축(200)의 하단을 외주면에 장착되고 외측부의 치형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402)을 갖는 래칫휠(401)과, 상기 래칫(40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래칫휠(401)의 상하로 상기 중공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레버(403) 및 하부레버(404)와, 상기 상부레버(403) 및 하부레버(404)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실린더(405) 및 제2실린더(406)와, 상기 하부레버(404)의 하측으로 상기 중공축(200)의 둘레로 형성되는 원형지지턱(40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00)는 래칫휠(401)과 상부레버(403) 및 하부레버 (404)와 원형지지턱(407)의 상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판베어링(408)과, 상기 중공축(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40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판베어링(408)과 회전베어링(409)은 중공축(200)의 축방향 하중과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동장치(400)는 제1실린더(405)와 제2실린더(406)가 작동되면서 상부레버(403)와 하부레버(404)를 왕복 각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레버(403)와 하부레버(404)에 장착된 래칫(402)이 왕복 각운동을 하면서 래칫휠(401)을 회전시켜 상기 래칫휠(401)이 장착된 중공축(20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형지지턱으로 인해 상기 구동장치만을 별도로 분해하지 못하고, 상기 구동장치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발효조 및 중공축을 비롯한 축분 발효기를 전체적으로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가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가 래칫을 통해 상기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를 동시에 밀어 래칫휠을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상기 실린더의 작동력이 서로 일치되지 않거나 래칫의 가공피치가 누적되거나 조립상 누적된 공차로 인하여 구동부위에 극심한 편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극심한 편하중은 원판베어링 등과 같은 주요부품에 과도한 부하를 걸어 손상을 일으키거나 기계적인 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기적으로 부품교체가 필요한 구동부위가 손쉽게 분해 및 조립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위의 극심한 편하중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왕복레버부와 다른 부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현저히 저감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동축의 회전 및 축방향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는 발효조의 내부에서 구비되고 하단에 다각형홈을 갖는 중공축과, 상기 다각형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형돌기를 상단에 갖고 외주면에 원형턱부와 다각형부를 갖는 구동축으로 구성되는 결합축부와; 상기 원형턱부에 상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다각형부에 삽입되고, 외측부의 치형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을 갖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레버부와, 상기 왕복레버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를 갖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다각형부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부시와, 상기 서포팅부시의 하면을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원형턱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상부레버와, 상기 제1상부레버의 하측으로 상기 원형턱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상부레버와, 상기 서포팅부시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하부레버와, 상기 제1하부레버의 하측으로 상기 서포팅부시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하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제1상부레버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고정링의 하면과 상기 제1상부레버의 상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제2상부레버의 하면과 상기 래칫휠의 상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에 삽입되는 상부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제1하부레버의 상면과 상기 래칫휠의 하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에 삽입되는 하부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는, 상기 제1상부레버 및 제1하부레버의 사이와 상기 제2상부레버 및 제2하부레버의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과,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베어링의 상면과 상기 서포팅부시의 하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회전베어링과 스러스트베어링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베어링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 발효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1)는 중공축(11)의 하단에 구동축(12)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축부(10)와, 상기 구동축(12)을 회전시키는 래칫휠(20)과, 상기 래칫휠(20)을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30)와, 상기 구동축(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축부(10)는 발효조(2)의 내부로 구비되고 하단에 다각형상의 다각형홈(111)을 갖는 중공축(11)과, 상기 다각형홈(11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 각형상의 다각형돌기(121)를 상단에 갖고 외주면에 원형턱부(122)와 다각형상의 다각형부(123)를 갖는 구동축(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축부(10)는 중공축(11)의 하단에 형성된 다각형홈(111)에 구동축(12)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돌기(121)가 삽탈됨으로써, 상기 구동축(12)의 회전력이 상기 중공축(11)에 원활히 전달되는 상태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공축(11)의 하단으로 발효조(2)의 하부에 위치는 구동장치(1)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진다.
상기 원형턱부(122)는 래칫휠(20)의 상면이 밀착되면서 지지되어 상기 래칫휠(20)이 원활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다각형부(123)는 상기 래칫휠(20)의 중앙부위가 삽입되어 상기 래칫휠(20)이 슬립되지 않는 상태로 구동축(12)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칫휠(20)은 구동축(12)의 원형턱부(122)에 상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구동축(12)의 다각형부(123)에 삽입되고, 외측부의 치형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21)을 갖는 것이다. 상기 래칫휠(20)은 유압구동부(30)에 의한 래칫(21)의 왕복 각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각형부(123)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동축(1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압구동부(30)는 래칫(21)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레버부(31)와, 상기 왕복레버부(31)의 양측에 각각 선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부프레임(34)에 끝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실린더(32) 및 제2실린더(33)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구동부(30)는 왕복레버부(31)에 각각 로드가 힌지결합된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를 왕복 각운동시켜 상기 왕복레버부(31)에 장착된 래칫(21)을 왕복 각운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래칫(21)에 맞물린 래칫휠(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12)을 중심으로 왕복 각운동되면서 내측에 장착된 래칫(21)을 왕복 각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원형턱부(12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실린더(32)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상부레버(311)와,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하측으로 상기 원형턱부(12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실린더(33)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상부레버(312)와, 구동축(12)에 결합된 서포팅부시(4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32)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하부레버(313)와, 상기 제1하부레버(313)의 하측으로 상기 서포팅부시(4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33)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하부레버(314)를 포함한다.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제1실린더(32)에 제1상부레버(311)와 제1하부레버(313)가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제1실린더(32)와 분리된 상태로 제2실린더(33)에 제2상부레버(312)와 제2하부레버(314)가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32)에 의해 가해지는 작동력과 상기 제2실린더(33)에 의해 가해지는 작동력이 개별적으로 작용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 (33)의 작동력의 간섭에 의한 과도한 편하중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는 왕복레버부(31)에 부가되는 작동력이 서로 일치되지 않더라도 그 작동력이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작용됨으로써 편하중의 발생이 방지되고 구동부위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제1상부레버(31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동축(1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링(315)과, 상기 고정링(315)의 하면과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상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판(316)과, 제2상부레버(312)의 하면과 래칫휠(20)의 상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상부칼라(317)와, 제1하부레버(313)의 상면과 상기 래칫휠(20)의 하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하부칼라(318)와, 상기 제1상부레버(311) 및 제1하부레버(313)의 사이와 상기 제2상부레버(312) 및 제2하부레버(314)의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핀(319)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링(315)은 제1상부레버(311)가 구동축(12)의 상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딩판(316)은 상기 고정링(315)의 하면과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링(315)과 제1상부레버(311)의 직접적인 마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마찰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칼라(317)와 하부칼라(318)는 슬라이딩판(316)과 마찬가지로 제2상부레버(312)의 하면과 래칫휠(20)의 상면 사이 및 래칫휠(20)의 하면과 제1하부레 버(313)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상부래버 및 제1하부레버(313)와 래칫휠(20)의 직접적인 마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마찰을 저감시켜 상기 래칫휠(20)의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319)은 제1상부레버(311) 및 제1하부레버(313)와 제2상부레버(312) 및 제2하부레버(314)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견고히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구동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부시(41)와, 상기 서포팅부시(41)의 하면을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2)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부시(41)는 구동축(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다각형부(123)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포팅부시(41)가 구동축(12)에서 분리 가능함으로써, 상기 구동축(12)에 결합되는 래칫휠(20) 및 왕복레버부(31)가 상기 구동축(12)의 하단을 통해 손쉽게 분해 및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부(42)는 구동축(12)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12)의 회전과 축방향의 하중을 원활히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베어링부(42)는 구동축(12)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421)과, 상기 회전베어링(421)의 상면과 서포팅부시(41)의 하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422)과, 상기 회전베어링(421)과 스러스트베어링(422)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베어링하우징(42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베어링(421)은 구동축(12)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스러스트베어링(422)은 상기 구동축(12)의 축방향으로 부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23)은 회전베어링(421)과 스러스트베어링(42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34)에 끝단이 각각 힌지결합된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가 작동되면서 상기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의 로드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면 상기 제1실린더(32)의 로드에 힌지결합된 제1상부레버(311)와 상기 제2실린더(33)의 로드에 힌지결합된 제2상부레버(312)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12)을 중심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왕복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32)와 제2실린더(33)에 의해 부가되는 작동력에 의해 제1상부레버(311)와 제2상부레버(312)가 개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작동력의 간섭에 의한 편하중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레버(311)와 제2상부레버(312)가 왕복 각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상부레버(311)와 제2상부레버(312)에 각각 장착된 래칫(21)이 래칫휠(20)을 반복해서 일방향으로 밀고 상기 래칫휠(20)의 외측에 설치된 휠스토퍼(22)가 상기 래칫휠(20)의 역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래칫휠(20)이 회전되면서 구동축(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부품교체가 필요한 구동부위가 손쉽 게 분해 및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주요 부품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유지 보수 및 고장 수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위의 극심한 편하중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편하중의 발생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 및 수명의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고 작동상의 안정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왕복레버부와 다른 부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현저히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작동 부위의 마찰에 의한 구동력의 손실이 방지되고 작동상의 안정성과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동축의 회전 및 축방향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부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고 작동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발효조의 내부에서 구비되고 하단에 다각형홈(111)을 갖는 중공축(11)과, 상기 다각형홈(111)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각형돌기(121)를 상단에 갖고 외주면에 원형턱부(122)와 다각형부(123)를 갖는 구동축(12)으로 구성되는 결합축부(10)와;
    상기 원형턱부(122)에 상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다각형부(123)에 삽입되고, 외측부의 치형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21)을 갖는 래칫휠(20)과;
    상기 래칫(2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왕복레버부(31)와, 상기 왕복레버부(31)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실린더(32) 및 제2실린더(33)를 갖는 유압구동부(30)와;
    상기 다각형부(123)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부시(41)와, 상기 서포팅부시(41)의 하면을 밀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2)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42)를 갖는 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원형턱부(12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32)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상부레버(311)와,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하측으로 상기 원형턱부(122)의 외주면에 회전 가 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33)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상부레버(312)와,
    상기 서포팅부시(4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실린더(32)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1하부레버(313)와,
    상기 제1하부레버(313)의 하측으로 상기 서포팅부시(4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실린더(33)에 외측단이 장착되는 제2하부레버(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구동축(1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링(3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고정링(315)의 하면과 상기 제1상부레버(311)의 상면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판(3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제2상부레버(312)의 하면과 상기 래칫휠(20)의 상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상부칼라(3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제1하부레버(313)의 상면과 상기 래칫휠(20)의 하면의 사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에 삽입되는 하부칼라(3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레버부(31)는,
    상기 제1상부레버(311) 및 제1하부레버(313)의 사이와 상기 제2상부레버(312) 및 제2하부레버(314)의 사이에 결합되는 고정핀(31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42)는,
    상기 구동축(1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상기 구동축(12)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베어링(421)과,
    상기 구동축(12)의 축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베어링(421)의 상면과 상기 서포팅부시(41)의 하면에 밀착되게 상기 구동축(1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42)는,
    상기 회전베어링(421)과 스러스트베어링(422)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베어링하우징(4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KR1020050133478A 2005-12-29 2005-12-29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KR10066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78A KR100668620B1 (ko) 2005-12-29 2005-12-29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78A KR100668620B1 (ko) 2005-12-29 2005-12-29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620B1 true KR100668620B1 (ko) 2007-01-12

Family

ID=3786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478A KR100668620B1 (ko) 2005-12-29 2005-12-29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62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8158A (zh) * 2013-11-29 2014-03-26 麦行 一种立式搅拌的发酵罐
KR101512374B1 (ko) * 2013-10-30 2015-04-22 태창바이오(주) 이중 중공축 축분 발효기
KR101587265B1 (ko) * 2015-06-04 2016-01-21 (주)엔티스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KR101673871B1 (ko) * 2016-04-14 2016-11-08 문성호 축분 급속 콤포스트
KR101688855B1 (ko) * 2016-05-10 2016-12-22 윤기호 축분 발효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884008B1 (ko) * 2018-02-20 2018-08-30 이난영 축분 발효장치
KR102341617B1 (ko) 2021-04-20 2021-12-2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송풍 히터
KR102393275B1 (ko) 2021-04-20 2022-05-0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패킹 구조
KR20220144564A (ko)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파쇄기 일체형 투입 호퍼가 구비된 축분 발효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74B1 (ko) * 2013-10-30 2015-04-22 태창바이오(주) 이중 중공축 축분 발효기
CN103658158A (zh) * 2013-11-29 2014-03-26 麦行 一种立式搅拌的发酵罐
KR101587265B1 (ko) * 2015-06-04 2016-01-21 (주)엔티스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KR101673871B1 (ko) * 2016-04-14 2016-11-08 문성호 축분 급속 콤포스트
KR101688855B1 (ko) * 2016-05-10 2016-12-22 윤기호 축분 발효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884008B1 (ko) * 2018-02-20 2018-08-30 이난영 축분 발효장치
WO2019164184A1 (ko) * 2018-02-20 2019-08-29 이난영 축분 발효장치
KR102341617B1 (ko) 2021-04-20 2021-12-2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송풍 히터
KR102393275B1 (ko) 2021-04-20 2022-05-02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축분 발효기용 패킹 구조
KR20220144564A (ko)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파쇄기 일체형 투입 호퍼가 구비된 축분 발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620B1 (ko) 축분 발효기용 구동장치
RU2007123186A (ru) О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для поворотной лопатки статора, лопатка направляющего аппарата лопаточной машины, содержащая вышеуказанный подшипник (варианты), лопаточная машина (варианты)
CN201219462Y (zh) 卧式畜禽脱毛机
NZ620849A (en) Food based homogenizer
KR101512374B1 (ko) 이중 중공축 축분 발효기
CA2740475A1 (en) Adjusting device and turbomachine having such an adjusting device
CN208229792U (zh) 一种有机肥施肥用搅拌装置
KR20060120515A (ko) 발효교반장치의 에스컬레이터용 체인 장력 조절장치
CN103462573B (zh) 一种具有清洗装置的拖把桶
EP1683561A4 (en) filtering
CN217016327U (zh) 一种胶液搅拌配置装置
CN202302662U (zh) 改进的动力打黄油机
CN219352282U (zh) 一种改进型松土装置
CN211537412U (zh) 一种可提高搅拌效果的高混机
KR101392425B1 (ko) 양돈분뇨 속성 분해발효용 소포 장치
CN201196590Y (zh) 一种组合称料斗用的关节连杆
ATE360755T1 (de) Rotor eines spaltmotors für eine spaltrohrmotorpumpe
TWM492320U (zh) 發酵槽的軸承構造
CN216589783U (zh) 一种旋转驱动机构总成
ATE368416T1 (de) Reibe
CN2316111Y (zh) 滚筒一体结构快速拆装小型搅拌机
KR20150014048A (ko) 교반기용 회전축 밀봉장치
CN220634289U (zh) 一种液态肥料反应釜
CN214270715U (zh) 一种改进型立式好氧反应装置的驱动装置
CN207308600U (zh) 一种防漏型模盒搅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