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543B1 -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543B1
KR101673543B1 KR1020140098600A KR20140098600A KR101673543B1 KR 101673543 B1 KR101673543 B1 KR 101673543B1 KR 1020140098600 A KR1020140098600 A KR 1020140098600A KR 20140098600 A KR20140098600 A KR 20140098600A KR 101673543 B1 KR101673543 B1 KR 10167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tunnel
tunnel unit
cylindrical portion
underwater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203A (ko
Inventor
문형석
서승일
사공명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5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3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assembled from sections individually sunk onto, or laid on, the water-bed, e.g. in a preformed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중간 원통부 및 제1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중간 원통부 및 제2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과 맞물리는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중 터널 단위체를 3중 구조로 형성하고 그 연결부위에 요철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들을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면서도 단순한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바닥, 강 또는 하천의 바닥을 지나가는 해저 터널에는, 터널 함체를 수중 바닥에 침설하거나, 또는 수중바닥에 설치한 기초 구조물 위에 얹어 물속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해저 터널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해저 터널은, 해저 암반 속을 굴착하는 형태와는 달리, 수중 바닥 위에 안착되거나 수중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터널 함체를 물속에 가라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연구되고 있다.
즉,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건설됨으로써,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하므로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중 터널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7795호 및 제079779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때, 종래 해중 터널은 통상 해중 터널 단위체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고,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이웃한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해중 터널 연결방법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여서 조류에 의한 변형이나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연결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0797795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07977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터널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켜 해중 터널을 좀더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중간 원통부 및 제1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중간 원통부 및 제2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과 맞물리는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는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중 터널 단위체를 3중 구조로 형성하고 그 연결부위에 요철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해중 터널 단위체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의 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내측 및 외측 원통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원통부의 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어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더욱 향상되도록 하여 해중 터널을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에 볼트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지지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서 연결부위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용 와이어로 연결 고정함으로서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어 해중 터널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1)은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해중 터널(1)은 복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해중 터널(1)은 열차나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양단부는 육지에 각각 위치하고 중간부분은 해수 중에 위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해중 터널(1)의 내측에는 레일 등이 설치됨으로써, 열차가 통행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되거나 자동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해중 터널(1)의 중앙에는 비상시 승객이 대피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로의 상부 및 하부에도 비어 있는 여분의 통로가 더 형성하여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중 터널(1)을 구성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주면은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로 감싸게 되며,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의 양단은 수중 바닥에 설치된 고정 블록(20)에 고정된다. 이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에 복수의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수상(水上)으로 상승하려고 하는 해중 터널(1)을 수중에 일정 깊이로 계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블록(20)은 상기 해중 터널(1)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수중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 블록(20)에는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고정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1)은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일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라 하며, 타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라 한다.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관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2 관통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는 제1 내측 원통부(101)와 제1 중간 원통부(102) 및 제1 외측 원통부(103)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측 원통부(101)와 제1 외측 원통부(103)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101a,103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102)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10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와 대응되도록 제2 내측 원통부(201)와 제2 중간 원통부(202) 및 제2 외측 원통부(203)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내측 원통부(201)와 제2 외측 원통부(203)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201a,20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202)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202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타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요철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일단부에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요철과 동일한 구조가 적용됨은 당연하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와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를 결합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제1 요철(101a,102a,103a)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제2 요철(201a,202a,203a)과 서로 맞물리게 되어 결합부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향상되어 해중터널(1)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스켓(미도시됨)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제1 지지부(410) 표면으로 제1 돌출부(4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1 돌출부(420)가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제1 지지공(120)을 형성하고, 그 제1 지지공(120)을 통해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지지부(410)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제1 관통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제2 지지부(510) 표면으로 제2 돌출부(5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2 돌출부(520)가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제2 지지공(220)을 형성하고, 그 제2 지지공(220)을 통해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지지부(520)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제2 관통부(2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복수를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이상의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에는 제1 지지공(422)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에는 제2 지지공(522)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6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용 와이어(60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부분에 요철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단부에는 볼트 형상의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을 지지용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해중 터널(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과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지지용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작업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순한 구성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은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지부(410,510)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제1 및 제2 관통부(110,210)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에 제1 및 제2 지지공(422,52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지공(422,522)을 통해 지지용 와이어(600)가 연결 설치되게 되어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중 터널 100: 제1 해중 터널 단위체
110: 제1 관통부 101: 제1 내측 원통부
102: 제1 중간 원통부 103: 제1 외측 원통부
101a,102a,203a: 제1 요철 120: 제1 지지공
200: 제2 해중 터널 단위체 201: 제1 내측 원통부
202: 제1 중간 원통부 203: 제1 외측 원통부
201a,202a,203a: 제1 요철 210: 제2 관통부
220: 제2 지지공 400: 제1 콘크리트 구조물
410: 제1 지지부 420: 제1 돌출부
500: 제2 콘크리트 구조물 510: 제2 지지부
520: 제2 돌출부 600: 지지용 와이어

Claims (9)

  1.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주면에는 고정 와이어가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 와이어의 양단은 수중 바닥에 설치된 고정 블록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중간 원통부 및 제1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중간 원통부 및 제2 외측 원통부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요철과 맞물리는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측 원통부와 제1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1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내측 원통부와 제2 외측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둘레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원통부의 일단부에는 단면방향으로 물결무늬 형상의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에는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98600A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10167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03A KR20160017203A (ko) 2016-02-16
KR101673543B1 true KR101673543B1 (ko) 2016-11-08

Family

ID=5544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600A KR101673543B1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20A (ja) * 2002-08-30 2004-03-25 Taisei Corp 水底トンネルの構造及び水底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0892134B1 (ko) * 2007-10-15 2009-04-09 전영진 해저터널용 블록
KR101109320B1 (ko) *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96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KR100797795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및 부유식 수중교량 시공방법
KR101334373B1 (ko) * 2012-04-13 2013-11-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해중 터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20A (ja) * 2002-08-30 2004-03-25 Taisei Corp 水底トンネルの構造及び水底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0892134B1 (ko) * 2007-10-15 2009-04-09 전영진 해저터널용 블록
KR101109320B1 (ko) * 2011-06-27 2012-02-08 주식회사 한양피씨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03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91B1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1647820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밀봉 연결 구조
KR101334380B1 (ko) 해중터널
WO2009051357A2 (en) Block for submarine tunnel
JP2016148175A (ja) 沈埋函体同士の接続構造、海底トン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沈埋函体
KR20130115923A (ko) 해중 터널 장치
KR10231013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673543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101231134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해상 근접계류를 위한 와이어 시스템
KR20160017204A (ko) 해중 터널의 연결 구조
KR20160017264A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KR101232854B1 (ko)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101830963B1 (ko) 부잔교
KR20160017202A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102365694B1 (ko) 부잔교의 연결장치
KR20160066611A (ko) 해중터널 단위체 결합 구조
KR101676842B1 (ko) 해중터널의 긴급 차단장치
JP5458441B2 (ja) 環境配慮型海上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60065400A (ko) 해중터널 단위체의 접합 구조
JPH0748849A (ja) 水中トンネル
KR102617305B1 (ko) 수중 케이블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및 그 시공법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KR101995467B1 (ko) 부유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