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202A -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202A
KR20160017202A KR1020140098598A KR20140098598A KR20160017202A KR 20160017202 A KR20160017202 A KR 20160017202A KR 1020140098598 A KR1020140098598 A KR 1020140098598A KR 20140098598 A KR20140098598 A KR 20140098598A KR 20160017202 A KR20160017202 A KR 20160017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tunnel
tunnel unit
concrete structure
submerged floating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석
서승일
사공명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202A/ko
Publication of KR20160017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3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assembled from sections individually sunk onto, or laid on, the water-bed, e.g. in a preformed tren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안착부에는 가스켓이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용 와이어에는 장력 조절을 위한 턴버클이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중 터널 단위체의의 일측 단부를 볼록하게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터널 단위체가 서로 결합시 좀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조류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중 터널 단위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비하고 지지용 와이어로 지지하며 턴버클을 통해 지지용 와이어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Submerged Floating Tunnel Unit}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해중 터널 단위체들을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면서도 그 연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바닥, 강 또는 하천의 바닥을 지나가는 해저 터널에는, 터널 함체를 수중 바닥에 침설하거나, 또는 수중바닥에 설치한 기초 구조물 위에 얹어 물속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해저 터널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해저 터널은, 해저 암반 속을 굴착하는 형태와는 달리, 수중 바닥 위에 안착되거나 수중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터널 함체를 물속에 가라앉힌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연구되고 있다.
즉,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이 건설됨으로써,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하므로 건설 비용 및 건설 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중 터널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7795호 및 제079779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이때, 종래 해중 터널은 통상 해중 터널 단위체의 사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고,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이웃한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해중 터널 연결방법은, 해중 터널 단위체의 단부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여서 조류에 의한 변형이나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연결작업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0797795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07977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중 터널을 구성하며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부위를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해중 터널 단위체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시 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안착부에는 가스켓이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단부가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용 와이어에는 장력 조절을 위한 턴버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중 터널 단위체의의 일측 단부를 볼록하게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터널 단위체가 서로 결합시 좀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조류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중 터널 단위체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비하고 지지용 와이어로 지지하며 턴버클을 통해 지지용 와이어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해중 터널 단위체 간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수중 일정 깊이에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해중 터널(1)은 해상의 파도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수중에서 조립되는 것으로, 해중 터널(1)은 복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해중 터널(1)은 열차나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양단부는 육지에 각각 위치하고 중간부분은 해수 중에 위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해중 터널(1)의 내측에는 레일 등이 설치됨으로써, 열차가 통행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되거나 자동차 등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해중 터널(1)의 중앙에는 비상시 승객이 대피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로의 상부 및 하부에도 비어 있는 여분의 통로가 더 형성하여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중 터널(1)을 구성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외주면은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로 감싸게 되며,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의 양단은 수중 바닥에 설치된 고정 블록(20)에 고정된다. 이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에 복수의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수중에서 부력에 의해 수상(水上)으로 상승하려고 하는 해중 터널(1)을 수중에 일정 깊이로 계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블록(20)은 상기 해중 터널(1)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수중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 블록(20)에는 상기 고정 체인 또는 고정 와이어(10)가 고정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연결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중 터널(1)은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일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라 하며, 타측에 연결되는 해중 터널 단위체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라 한다.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관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2 관통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양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는 볼록하게 형성하고,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는 오목하게 형성하여 서로 이웃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돌기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착부(20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02)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안착부(202)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타단부에는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안착부(202)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일단부에는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102)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30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가스켓(300)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돌기부(102)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안착부(202) 사이에 가스켓(300)의 양측이 밀착되도록 하여 해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300)은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제1 지지부(410) 표면으로 제1 돌출부(4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1 돌출부(420)가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에 제1 지지공(120)을 형성하고, 그 제1 지지공(120)을 통해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지지부(410)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제1 관통부(1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100)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는 볼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가 돌출구비된다.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제2 지지부(510) 표면으로 제2 돌출부(520)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으로 상기 제2 돌출부(520)가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에 제2 지지공(220)을 형성하고, 그 제2 지지공(220)을 통해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지지부(520)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제2 관통부(210)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은 복수를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200)의 타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이상의 제1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1 돌출부(420)에는 제1 지지공(422)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500)의 제2 돌출부(520)에는 제2 지지공(522)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6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용 와이어(600)는 강선, 복합 재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용 와이어(600)에는 턴버클(610)이 설치되어, 턴버클(610)의 회전에 따라 지지용 와이어(600)의 장력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해중 터널(1)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연결부분에 가스켓(300)을 설치하고,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100,200)의 단부에는 볼트 형상의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20,520)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제1 및 제2 콘크리트 구조물(400,500)을 지지용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해중 터널(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중 터널 100: 제1 해중 터널 단위체
110: 제1 관통부 120: 제1 지지공
200: 제2 해중 터널 단위체 210: 제2 관통부
220: 제2 지지공 300: 가스켓
400: 제1 콘크리트 구조물 410: 제1 지지부
420: 제1 돌출부 500: 제2 콘크리트 구조물
510: 제2 지지부 520: 제2 돌출부
600: 지지용 와이어 610: 턴버클

Claims (9)

  1. 해중 터널을 구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의 제1 및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와 안착부에는 가스켓이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는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에는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나란하게 설치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단부가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와이어에는 장력 조절을 위한 턴버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 지지부 표면으로 제1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1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2 지지부 표면으로 제2 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공을 통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제2 관통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은 복수를 상기 제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일단부 외주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기 제2 해중 터널 단위체의 타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과 나란하게 동심원상으로 복수가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1 돌출부에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고, 제2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2 돌출부에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어 지지용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와이어는 강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1020140098598A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20160017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98A KR20160017202A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598A KR20160017202A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202A true KR20160017202A (ko) 2016-02-16

Family

ID=554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598A KR20160017202A (ko) 2014-07-31 2014-07-31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20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95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및 부유식 수중교량 시공방법
KR100797796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95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및 부유식 수중교량 시공방법
KR100797796B1 (ko) 2007-04-13 2008-0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부유식 수중교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91B1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34109B1 (ko) 부유식 풍력 터빈용 계선 부표
US8037838B2 (en) Mooring system
CN108407987B (zh) 一种水上张拉的海上风电浮式基础及其施工方法
KR102159559B1 (ko) 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부유식 플랫폼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CN109537631B (zh) 一种自潜悬浮式水下隧道装置
KR20140102111A (ko)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1647820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밀봉 연결 구조
KR20130115923A (ko) 해중 터널 장치
KR20180108194A (ko) 해상 부유체 계류장치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US20070022934A1 (en) Shallow water mooring system using synthetic mooring lines
KR20160017202A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20160017264A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KR101219483B1 (ko) 해양 구조물의 계류 시스템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KR20160017204A (ko) 해중 터널의 연결 구조
WO2015038003A1 (en) A floating hull with a stabilizing portion
KR101673543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연결 구조
CN108316335B (zh) 一种张紧式系泊潜式浮式基础及其施工方法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232854B1 (ko) 수륙 연결용 부력 장치
KR20160066611A (ko) 해중터널 단위체 결합 구조
US3394672A (en) Apparatus for mooring floating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