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392B1 - 이격공간 단열주택 - Google Patents

이격공간 단열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392B1
KR101673392B1 KR1020160042962A KR20160042962A KR101673392B1 KR 101673392 B1 KR101673392 B1 KR 101673392B1 KR 1020160042962 A KR1020160042962 A KR 1020160042962A KR 20160042962 A KR20160042962 A KR 20160042962A KR 101673392 B1 KR101673392 B1 KR 10167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door
closing
tempera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래
Original Assignee
박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응래 filed Critical 박응래
Priority to KR102016004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5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with ventilation means for the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와;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과;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과; 제1통기공(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이격공간(13)에 흡배기압을 형성하는 흡배기유니트(400)와; 제2통기공(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2통기공(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니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격공간 단열주택{Separation space insulate house}
본 발명은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부 및/또는 천정부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격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강세 순환시킴으로써 냉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조립판넬로 주택을 시공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주택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골조를 세우고, 이후 골조의 측벽 및 천정에 조립판넬을 부착하여 주택몸체를 만들고, 이후 주택몸체 내측에 각목을 고정한 후 석고보드와 같은 내장제를 각목에 고정함으로써 시공된다. 이후 각종 전등이나 콘센트와 같은 전기시설을 주택몸체 내부에 설치한 후 그 콘센트 및 전기시설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내장제 후방측에서 각목과 다른 각목 사이의 공간을 경유케함으로써 주택을 완성한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조립판넬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은 물론 시공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컨테이너 주택의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2590호에 컨테이너 주택용 벽면 적층판넬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주택에 사용되는 조립판넬은 단열제의 양면으로 철판이 부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한여름에 철판이 달구어짐에 따라 외측 조립판넬의 온도가 70~80℃ 까지 상승하고, 이러한 온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택몸체 내부로 전달되어 결국 주택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갔고, 이에 따라 해가진 늦은 밤까지 주택 내부가 달구어진 상태가 되어 거주를 위하여 에어컨을 과도하게 작동시켜야 하였다.
특히 여름에는 컨테이너 주택의 외측벽이 70~80℃ 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고열이 전기배선에 그대로 전달되어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가 촉진되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한겨울에는 외부의 냉기가 조립판넬을 통하여 주택 내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매우 추었고, 따라서 거주를 위하여 히터를 과도하게 작동시켜야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측벽부 및/또는 천정부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격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한여름이나 겨울에도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냉난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격공간 단열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격공간 단열주택은,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 상기 제1통기공(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에 흡배기압을 형성하고, 상기 제1통기공(2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배기유니트(400); 및 상기 제2통기공(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통기공(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니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흡배기유니트(400)는, 상기 제1통기공(2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출입구(410a)가 형성된 제1프레임(410)과; 상기 제1프레임(4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4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1도어(420)와; 상기 제1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출입구(4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도어개폐부(430)와; 상기 제1프레임(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410a)에 흡배기압을 형성하는 팬(44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니트(500)는, 상기 제2통기공(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출입구(510a)가 형성된 제2프레임(510)과; 상기 제2프레임(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출입구(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2도어(520)와; 상기 제2도어(520)를 회동시켜 상기 제2출입구(5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도어개폐부(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510)에는 상기 제2도어(520)가 제2출입구(510a)를 개방하였을 때 벌레가 상기 제2출입구(510a)를 통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13)으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5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2도어(420)(520)는, 상기 제1,2프레임(410)(510)을 관통하는 제1,2회전축(421)(521)과, 상기 제1,2회전축(421)(521)이 중심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2날개(422)(522)와, 상기 제1,2날개(422)(522)의 가장자리에 길게 설치되는 제1,2패킹단(423)(5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프레임(410)(510)의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제1,2도어 중 양측에 위치된 제1,2도어 가장자리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밀착되는 밀착날개(415)(5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0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을 가지는 천정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격공간(23)은 상기 제1,2통기공(200)(300)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은 한쌍의 철판(11a)(12a) 사이에 단열제(11b)(1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1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600); 및 상기 온도센서(6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70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600)는 상기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1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1온도센서(610)와,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2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620)로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700)는, 상기 제1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와, 상기 제2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 차이가 설정온도 이내가 될 경우, 상기 제1,2출입구(410a)(510a)를 폐쇄하도록 제1,2도어개폐부(430)(530)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팬(440)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몸체의 측벽부 및/또는 천정부 내부에 제1,2이격공간을 형성하고, 흡배기유니트 및 개폐유니트를 이용하여 제1,2이격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한여름에 태양열에 의하여 측벽부 및 천정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600) 및 콘트롤러(700)를 채용함으로써, 콘트롤러(700)는 외기의 온도에 따라 제1,2출입구(410a)(510a)를 개방하도록 제1,2도어개폐부(430)(530)를 제어함과 동시에 팬(4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공기와 제1,2이격공간(13)(23) 내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항상 작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이상의 외부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을 순환하지 않도록 하여 팬(440)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한여름에도 전기배선이 위치되는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의 촉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더라도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겨울에는 흡배기유니트(400)의 제1도어(420)가 제1출입구(410a)를 폐쇄하고, 개폐유니트(500)의 제2도어(520)가 제2출입구(510a)를 폐쇄함으로써, 제1,2이격공간(13)(23)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가운 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공간 단열주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있어 외부공기를 제1,2이격공간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측벽부 및 천정부 단면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채용되는 흡배기유니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흡배기유니트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흡배기유니트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채용되는 개폐유니트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흡배기유니트 및 개폐유니트에 있어, 제1,2도어의 회동에 따라 제1,2출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격공간 단열주택 및 그 이격공간 단열주택용 흡배기유니트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공간 단열주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있어 외부공기를 제1,2이격공간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측벽부 및 천정부 단면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격공간 단열주택은,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 및/또는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이 형성된 천정부(2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와;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과;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과; 제1통기공(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이격공간(13)(23)에 흡배기압을 형성하는 흡배기유니트(400)와; 제2통기공(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2통기공(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니트(500)와;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600)와; 온도센서(6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벽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부재(14)를 사이에 두고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이 배치됨으로서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다.
천정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이격부재(24)를 사이에 두고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이 배치됨으로써 제2내측벽(21)과 외측벽(12) 사이에 상기 제2이격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이격부재(14)는 측벽부(10) 내측에 제1이격공간(13)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제1이격공간(13)을 순환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고; 제2이격부재(24)는 측벽부(20) 내측에 제2이격공간(23)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제2이격공간(23)을 순환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와류를 좀더 활발히 형성할 수 있도록, 제1,2이격공간(13)(23) 각각의 내부에서 다수의 제1이격부재(14)와 제2이격부재(24)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측벽부(10) 및 천정부(20) 사이에서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이나, 제2내측벽(21) 및 제2외측벽(22)은 한쌍의 철판(11a)(12a)(21a)(22a)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글라스울과 같은 단열제(11b)(12b)(21b)(2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일 수 있다. 이 경우, 측벽부(10) 및 천정부(20)는 조립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제2내측벽(21) 및 제2외측벽(22)에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의 와류를 유도하여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측벽부(10) 및 천정부(20) 사이에서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통기공(200)과 제2통기공은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형성되며, 측벽부(10) 및 천정부(20)에 형성된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된다.
상기 제1통기공(200) 및 제2통기공(300)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흡배기유니트(400)와 개폐유니트(500)를 별도로 제작한 후 제1,2통기공(200)(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배기유니트(400) 또는 개폐유니트(500)가 고장날 경우, 그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를 제1,2통기공(200)(3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수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상기한 측벽부(10) 및 천정부(20)의 외측은 나무나 벽돌등으로 마감함으로써 주택몸체(100)가 완성된다.
도 6은 도 2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채용되는 흡배기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흡배기유니트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흡배기유니트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흡배기유니트 및 개폐유니트에 있어, 제1,2도어의 회동에 따라 제1,2출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배기유니트(400)는, 제1통기공(2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출입구(410a)가 형성된 제1프레임(410)과; 제1프레임(4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출입구(4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1도어(420)와; 제1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출입구(4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도어개폐부(430)와; 제1프레임(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410a)에 흡배기압을 형성하는 팬(44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410)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를 가지며, 내측에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되는 제1출입구(410a)가 형성된다.
제1도어(420)는 제1출입구(4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3 개로 구성되고 각각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제1도어(420)는, 제1프레임(410)을 관통하는 제1회전축(421)과, 제1회전축(421)이 중심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날개(422)와, 제1날개(422)의 가장자리에 길게 설치되는 제1패킹단(4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도어(420)가 일열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1날개 양측에 설치되는 제1패킹단(423)은 상호 밀착되어 제1출입구(410a)를 완전히 폐쇄한다.
한편, 제1프레임(410)의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도어중 양측에 위치된 제1도어 가장자리와 선택적으로 걸어져 밀착되는 밀착날개(4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제1도어(420)가 일렬로 배치될 때, 양측에 위치된 제1도어의 제1날개가 밀착날개(415)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밀착됨으로써, 제1출입구(410a)를 더욱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즉 제1날개(422)의 양측에 제1패킹단(423)을 설치하고, 제1프레임(410)의 내측에 밀착날개(415)를 형성함으로써, 제1도어와 다른 제1도어가 일렬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1패킹단이 상호 밀착됨으로서, 제1출입구(410a)를 완벽하게 ??쇄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어개폐부(430)는, 제1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제1도어(420)를 정역회전시켜 제1출입구(4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도어개폐부(430)는, 예를 들면, 제1프레임(410)의 상부측에서 각각의 제1도어의 회전축(421)에 편향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다수의 회전레버(431)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레버와, 연결레버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기어드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팬(440)은 제1프레임(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그 제1출입구(410a)에 흡배기압을 형성함으로써 그 제1출입구(410a)와 연통된 제1,2이격공간(13)(23)에 흡배기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9는 도 3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채용되는 개폐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니트(500)는, 제2통기공(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출입구(510a)가 형성된 제2프레임(510)과; 제2프레임(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출입구(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2도어(520)와; 제2도어(520)를 회동시켜 상기 제2출입구(5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도어개폐부(530)와; 제2프레임(510)에 설치되는 방충망(540);을 포함한다.
제2프레임(510)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출입구(510a)가 형성된다.
제2도어(520)는 제2출입구(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3 개로 구성되고 각각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제2도어(520)는, 제2프레임(510)을 관통하는 제2회전축(521)과, 제2회전축(521)이 중심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제2날개(522)와, 제2날개(522)의 가장자리에 길게 설치되는 제2패킹단(5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도어(520)가 일열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2날개 양측에 설치되는 제2패킹단(523)은 상호 밀착되어 제2출입구(510a)를 완전히 폐쇄한다.
한편, 제2프레임(510)의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2도어중 양측에 위치된 제2도어 가장자리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밀착되는 밀착날개(5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제2도어(520) 각각이 회동되어 일렬로 배치될 때, 양측에 위치된 제2도어의 제2날개가 밀착날개(515)에 걸어져 밀착됨으로써, 제2출입구(510a)를 더욱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즉 제2날개(522)의 양측에 제2패킹단(523)을 설치하고, 제2프레임(510)의 내측에 밀착날개(515)를 형성함으로써, 제2도어와 다른 제2도어가 일렬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2패킹단이 상호 밀착됨으로서, 제2출입구(5410a)를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어개폐부(530)는, 제2프레임(510)에 설치되어 제2도어(520)를 정역회전시켜 제2출입구(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도어개폐부(530)는, 예를 들면, 제2프레임(510)의 상부측에서 각각의 제2도어의 회전축(521)에 편향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와, 다수의 회전레버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레버와, 연결레버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기어드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방충망(540)은 제2도어(520)가 제2출입구(510a)를 개방하였을 때 벌레나 조그만 야생동물들이 제2도어(520) 사이 및 제2출입구(510a)를 통하여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2도어(420)(5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호 일렬로 배치되거나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2출입구(410a)(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제1,2도어(420)(520)가 일렬로 배치될 때, 각각의 제1,2도어의 제1,2패킹단(423)(523) 및 제1,2밀착날개(415)(515)가 상호 밀착됨으로써 제1,2출입구(410a)(510a)를 완전히 밀폐하고,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는 진공에 근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주택몸체(100) 외부의 온도변화가 커지더라도 주택몸체 내부 및 외부로의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한겨울에 많은 바람이 불더라도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바람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온도센서(600)는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한다.
콘트롤러(700)는, 온도센서(600)에서 발생된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흡배기유니트(400)의 제1도어개폐부(430) 및 팬(440)과, 개폐유니트(500)의 제2도어개폐부(530)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600)에서 발생된 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50℃ 보다 높을 때, 콘트롤러(700)는 제1도어개폐부(430)가 다수의 제1도어(420)를 개방하도록 하고, 팬(440)이 작동되게 하며, 제2도어개폐부(5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콘트롤러(700)는 팬(440)을 작동시키지 않을 때, 제1도어개폐부(430)가 제1출입구(410a)를 폐쇄하게 하고, 제2도어개폐부(530)가 제2출입구(510a)를 폐쇄하게 한다.
한편 온도센서(600)는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1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1온도센서(610)와,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2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6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트롤러(700)는, 제1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와, 제2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 차이가 설정온도 이내가 될 경우, 예를 들면 제1온도센서(610)에 의하여 측정된 제1,2이격공간(13)(23) 내부공기의 온도와, 제2온도센서(620)에 의하여 측정된 외기공기의 온도가 5 ℃ 가 될 때, 제1,2출입구(410a)(510a)를 폐쇄하도록 제1,2도어개폐부(430)(530)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팬(440)을 정지시킨다.
이는 외부공기가 흡배기유니트(400)에 의하여 제1,2이격공간(13)(23)을 순환함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가 냉각되고,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온도와 외부공기와의 온도차가 설정된 온도인 5℃ 이하가 될 경우, 흡배기유니트(400)의 제1도어(420)와 개폐유니트(500)의 제2도어(520)가 제1,2출입구(410a)(510a)를 폐쇄하고, 팬(440)을 정지시키게 함으로써,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에서 공기를 필요이상으로 순환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몸체(100)의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 내부에 제1,2이격공간(13)(23)을 형성하고,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를 이용하여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한여름에 태양열에 의하여 측벽부(10) 및 천정부(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600) 및 콘트롤러(700)를 채용함으로써, 콘트롤러(700)는 외기의 온도에 따라 제1,2출입구(410a)(510a)를 개방하도록 제1,2도어개폐부(430)(530)를 제어함과 동시에 팬(4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외부의 공기와 제1,2이격공간(13)(23) 내부공기 사이의 온도차를 항상 작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이상의 외부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을 순환하지 않도록 하여 팬(440)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측벽부(10) 및 천정부(20) 자체의 온도가 외부공기와 비슷해지도록 함으로써 주택몸체(100)가 태양열에 의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여름에도 전기배선이 위치되는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의 촉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더라도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겨울에는 흡배기유니트(400)의 제1도어(420)가 제1출입구(410a)를 폐쇄하고, 개폐유니트(500)의 제2도어(520)가 제2출입구(510a)를 폐쇄함으로써, 제1,2이격공간(13)(23)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가운 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2도어(420)(520)를 구성하는 제1,2날개의 양 가장자리에 제1,2패킹단(423)(523)이 설치됨으로써 제1,2도어 각각이 일렬로 배치될 때 제1,2출입구(410a)(420a)를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특정 방향에서 강한 바람이 불때에도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된다. 이에 따라 차가운 외기온도에 의하여 주택몸체가 냉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주택몸체
10 ... 측벽부 11 ... 제1내측벽
12 ... 제1외측벽 13 ... 제1이격공간
14 ... 제1이격부재 20 ... 천정부
21 ... 제2내측벽 22 ... 제2외측벽
23 ... 제2이격공간 24 ... 제2이격부재
200 ... 제2통기공 300 ... 제2통기공
400 ... 흡배기유니트 410 ... 제1프레임
410a ... 제1출입구 420 ... 제1도어
421 ... 제1회전축 422 ... 제1날개
423 ... 제1패킹단 430 ... 제1도어개폐부
440 ... 팬 500 ... 개폐유니트
510 ... 제2프레임 510a ... 제2출입구
520 ... 제2도어 521 ... 제2회전축
522 ... 제2날개 523 ... 제2패킹단
530 ... 제2도어개폐부 540 ... 방충망
600 ... 온도센서 610, 620 ... 제1,2온도센서
700 ... 콘트롤러

Claims (8)

  1.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
    상기 제1통기공(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에 흡배기압을 형성하고, 상기 제1통기공(2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배기유니트(400); 및
    상기 제2통기공(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통기공(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니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흡배기유니트(400)는, 상기 제1통기공(2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출입구(410a)가 형성된 제1프레임(410)과; 상기 제1프레임(4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4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1도어(420)와; 상기 제1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출입구(4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도어개폐부(430)와; 상기 제1프레임(4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출입구(410a)에 흡배기압을 형성하는 팬(44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유니트(500)는, 상기 제2통기공(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출입구(510a)가 형성된 제2프레임(510)과; 상기 제2프레임(5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출입구(5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제2도어(520)와; 상기 제2도어(520)를 회동시켜 상기 제2출입구(510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도어개폐부(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510)에는 상기 제2도어(520)가 제2출입구(510a)를 개방하였을 때 벌레가 상기 제2출입구(510a)를 통하여 상기 제1이격공간(13)으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망(540)이 설치되며;
    상기 제1,2도어(420)(520)는, 상기 제1,2프레임(410)(510)을 관통하는 제1,2회전축(421)(521)과, 상기 제1,2회전축(421)(521)이 중심에 위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2날개(422)(522)와, 상기 제1,2날개(422)(522)의 가장자리에 길게 설치되는 제1,2패킹단(423)(5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프레임(410)(510)의 내측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제1,2도어 중 양측에 위치된 제1,2도어 가장자리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밀착되는 밀착날개(415)(5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 단열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0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을 가지는 천정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격공간(23)은 상기 제1,2통기공(200)(300)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 단열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은 한쌍의 철판(11a)(12a) 사이에 단열제(11b)(1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 단열주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격공간(1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600); 및
    상기 온도센서(6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흡배기유니트(400) 및 개폐유니트(50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 단열주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600)는 상기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1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1온도센서(610)와, 외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2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제2온도센서(620)로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700)는, 상기 제1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와, 상기 제2온도신호에 대응되는 온도 차이가 설정온도 이내가 될 경우, 상기 제1,2출입구(410a)(510a)를 폐쇄하도록 제1,2도어개폐부(430)(530)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팬(440)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공간 단열주택.
KR1020160042962A 2016-04-07 2016-04-07 이격공간 단열주택 KR10167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62A KR101673392B1 (ko) 2016-04-07 2016-04-07 이격공간 단열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62A KR101673392B1 (ko) 2016-04-07 2016-04-07 이격공간 단열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392B1 true KR101673392B1 (ko) 2016-11-07

Family

ID=5752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62A KR101673392B1 (ko) 2016-04-07 2016-04-07 이격공간 단열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3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34B1 (ko) * 2017-11-03 2018-05-09 진우건철(주)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KR101957878B1 (ko) * 2017-12-22 2019-03-14 이기열 목구조물이 매립된 황토주택
CN111794560A (zh) * 2020-06-03 2020-10-20 北京工业大学 一种控温装配式板房
KR102291394B1 (ko)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단열 및 환기가 용이한 이동식 건축물
KR102363160B1 (ko) * 2021-09-27 2022-02-15 주식회사 유니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363161B1 (ko) * 2021-09-27 2022-02-15 주식회사 유니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26U (ja) * 1993-02-16 1994-09-09 大倉工業株式会社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ー
KR101491418B1 (ko) * 2014-07-31 2015-02-12 주식회사 유니트하우스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726U (ja) * 1993-02-16 1994-09-09 大倉工業株式会社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ー
KR101491418B1 (ko) * 2014-07-31 2015-02-12 주식회사 유니트하우스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34B1 (ko) * 2017-11-03 2018-05-09 진우건철(주)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KR101957878B1 (ko) * 2017-12-22 2019-03-14 이기열 목구조물이 매립된 황토주택
CN111794560A (zh) * 2020-06-03 2020-10-20 北京工业大学 一种控温装配式板房
KR102291394B1 (ko) * 2021-03-23 2021-08-20 한성모듈러주식회사 단열 및 환기가 용이한 이동식 건축물
KR102363160B1 (ko) * 2021-09-27 2022-02-15 주식회사 유니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363161B1 (ko) * 2021-09-27 2022-02-15 주식회사 유니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392B1 (ko) 이격공간 단열주택
US8490293B2 (en) Flat surface dryer
JP690579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658644B1 (ko)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CA2178938A1 (en) Energy recovery ventilator: means for defrosting heat exchanger medium and damper motor actuation means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KR20130081982A (ko) 냉난방 모듈을 갖는 시스템 창호
JP5757260B2 (ja) ダブルスキン構造
JP2005273970A (ja) 建物空調システム
KR101653519B1 (ko)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CN106546074A (zh) 一种车间及厂房内使用的烘房
CN108218256B (zh) 一种防火玻璃固化机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JP3837015B2 (ja) 快適性体験装置
KR102602514B1 (ko)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실 보조도어
KR100583940B1 (ko) 건축물 천장 환기시설물
JP2012167883A (ja) 暖冷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2462181B1 (ko)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KR101313865B1 (ko) 창호 결합형 스마트 환기 시스템 및 그 환기 방법
JPS622666B2 (ko)
KR20030059888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842250B2 (ja) 倉庫,工場の環境整備装置
JPH063315Y2 (ja) 電話ボックス用空調装置
KR20220086141A (ko) 결로방지를 위한 제어가 가능한 지중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