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519B1 -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 Google Patents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519B1
KR101653519B1 KR1020160042964A KR20160042964A KR101653519B1 KR 101653519 B1 KR101653519 B1 KR 101653519B1 KR 1020160042964 A KR1020160042964 A KR 1020160042964A KR 20160042964 A KR20160042964 A KR 20160042964A KR 101653519 B1 KR101653519 B1 KR 10165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side wall
air
valve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래
Original Assignee
박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응래 filed Critical 박응래
Priority to KR102016004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J3/0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40Geothermal collectors operated without external energy sources, e.g. using thermosiphonic circulation or heat pipes
    • F24J2003/08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02E10/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와;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과;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제2이격공간(2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과;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제1통기공(200)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1공기튜브(510) 및 상기 제2통기공(300)과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2공기튜브(520)와; 제1,2공기튜브(510)(5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주택몸체(100)와 열교환부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Separation space insulate house}
본 발명은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부 및/또는 천정부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격공간으로 지중을 경유한 공기를 강세 순환시킴으로써 냉난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조립판넬로 주택을 시공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주택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골조를 세우고, 이후 골조의 측벽 및 천정에 조립판넬을 부착하여 주택몸체를 만들고, 이후 주택몸체 내측에 각목을 고정한 후 석고보드와 같은 내장제를 각목에 고정함으로써 시공된다. 이후 각종 전등이나 콘센트와 같은 전기시설을 주택몸체 내부에 설치한 후 그 콘센트 및 전기시설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내장제 후방측에서 각목과 다른 각목 사이의 공간을 경유케함으로써 주택을 완성한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조립판넬을 이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은 물론 시공비용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컨테이너 주택의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2590호에 컨테이너 주택용 벽면 적층판넬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주택에 사용되는 조립판넬은 단열제의 양면으로 철판이 부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한여름에 철판이 달구어짐에 따라 외측 조립판넬의 온도가 70~80℃ 까지 상승하고, 이러한 온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택몸체 내부로 전달되어 결국 주택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갔고, 이에 따라 해가진 늦은 밤까지 주택 내부가 달구어진 상태가 되어 거주를 위하여 에어컨을 과도하게 작동시켜야 하였다.
특히 여름에는 컨테이너 주택의 외측벽이 70~80℃ 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고열이 전기배선에 그대로 전달되어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가 촉진되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한겨울에는 외부의 냉기가 조립판넬을 통하여 주택 내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매우 추었고, 따라서 거주를 위하여 히터를 과도하게 작동시켜야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측벽부 및/또는 천정부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그 이격공간으로 지중을 경유하는 공기를 강제 강세 순환시킴으로써, 여름에는 냉방능력을 향상시키고, 겨울에는 난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은,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2이격공간(2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제1통기공(200)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1공기튜브(510) 및 상기 제2통기공(300)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2공기튜브(520); 및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주택몸체(100)와 열교환부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0); 및 상기 제1공기튜브(510)에 설치되어 그 제1공기튜브(510)를 경유하는 유로를 형성하거나 그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벨브유니트(9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니트(900)는, 상기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이 연결되는 밸브유니트몸체(910)와; 상기 밸브유니트몸체(910)에 형성된 2개의 제1,2밸브통기공(920)(930)과; 상기 밸브몸체(9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밸브통기공(920)(930)을 동시에 폐쇄하거나, 상기 제1밸브통기공(920)과 제2밸브통기공(930) 사이를 분리하는 밸브단(9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0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을 가지는 천정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격공간(23)은 상기 제1,2통기공(200)(300)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은 한쌍의 철판(11a)(12a) 사이에 단열제(11b)(1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700); 및 상기 온도센서(7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순환팬(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800);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1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덕트(4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20)는, 상기 제1공기튜브(5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분배단(421a)이 형성된 제1매니홀드(421)와; 상기 제2공기튜브(52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분배단(422a)이 형성된 제2매니홀드(422)와;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분배단(421a)과 제2분배단(422a)을 연결하는 다수의 열교환관(4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3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열교환탱크(431)와; 상기 열교환탱크(431) 내부에서 상기 액체에 잠겨지는 것으로서, 비선형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관(4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몸체(100)의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 내부에 제1,2이격공간(13)(23)을 형성하고,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부(410)(420)(430)와, 주택몸체의 제1,2통기공(200(300)과 열교환부(410)(420)(430)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2공기튜브(510)(520)를 채용함으로써, 한여름에는 지열에 의하여 15℃ 내외를 유지함에 따라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열에 의하여 측벽부(10) 및 천정부(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한겨울에는 지열에 의하여 15℃ 내외를 유지함에 따라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측벽부(10) 및 천정부(20)가 차가운 외기에 의하여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여름에도 전기배선이 위치되는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의 촉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더라도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줄일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택몸체에 제1,2이격공간과 연통된 제1,2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측벽부 및 천정부 단면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있어 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를 제1,2이격공간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채용되는 밸브유니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밸브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열교환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열교환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열교환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택몸체에 제1,2이격공간과 연통된 제1,2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의 측벽부 및 천정부 단면구조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이격공간 단열주택에 있어 열교환기를 경유한 공기를 제1,2이격공간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채용되는 밸브유니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밸브유니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은,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 및/또는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이 형성된 천정부(2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와;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과;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과;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제1통기공(200)과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1공기튜브(510) 및 제2통기공(300)과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2공기튜브(520)와; 제1공기튜브(510)에 설치되어 주택몸체(100)와 열교환부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0)과; 상기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700)와; 온도센서(7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순환팬(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800)와; 제1공기튜브(510)에 설치되어 그 제1공기튜브(510)를 경유하는 유로를 형성하거나 그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벨브유니트(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벽부(10)는, 제1이격부재(14)를 사이에 두고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이 배치됨으로서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다.
천정부(20)는,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이격부재(24)를 사이에 두고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이 배치됨으로써 제2내측벽(21)과 외측벽(12) 사이에 상기 제2이격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이격부재(14)는 측벽부(10) 내측에 제1이격공간(13)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제1이격공간(13)을 순환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고; 제2이격부재(24)는 측벽부(20) 내측에 제2이격공간(23)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제2이격공간(23)을 순환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와류를 좀더 활발히 형성할 수 있도록, 제1,2이격공간(13)(23) 각각의 내부에서 다수의 제1이격부재(14)와 제2이격부재(24)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측벽부(10) 및 천정부(20) 사이에서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이나, 제2내측벽(21) 및 제2외측벽(22)은 한쌍의 철판(11a)(12a)(21a)(22a)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글라스울과 같은 단열제(11b)(12b)(21b)(2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일 수 있다. 이 경우, 측벽부(10) 및 천정부(20)는 조립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제2내측벽(21) 및 제2외측벽(22)에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다수의 요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의 와류를 유도하여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와 측벽부(10) 및 천정부(20) 사이에서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통기공(200)과 제2통기공은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형성되며, 측벽부(10) 및 천정부(20)에 형성된 제1,2이격공간(13)(23)과 연통된다.
상기한 측벽부(10) 및 천정부(20)의 외측은 나무나 벽돌등으로 마감함으로써 주택몸체(100)가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지중의 온도는 해당 토양의 토질이나 수분의 상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1~2m 깊이에서는 1일 중의 변화가 거의 없고, 5~6m 깊이에서는 계절의 변화도 거의 없으며, 더 나아가 5m 깊이 이상에서는 15℃ 내외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열교환부는 약 15℃ 를 유지하는 깊이에 매설하여 지열과의 지속적인 열교환을 하여 여름에는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얻을 수 있고, 겨울에는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유니트(9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기튜브(510)를 경유하는 유로를 형성하거나 그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서,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이 연결되는 밸브유니트몸체(910)와; 밸브유니트몸체(910)에 형성된 2개의 제1,2밸브통기공(920)(930)과; 밸브몸체(910) 내부에 설치되어 제1,2밸브통기공(920)(930)을 동시에 폐쇄하거나, 제1밸브통기공(920)과 제2밸브통기공(930) 사이를 분리하는 밸브단(940)과; 밸브유니트몸체(910)에 설치되는 습도센서(9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평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단(940)이 제1,2통기공(920)(930)을 동시에 폐쇄하여 순환팬(600)에 의하여 주택몸체(100) 및 열교환부(410)(420)(430)를 순환하도록 한다.
한편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부(410)(420)(430)를 구성하는 관로에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물이 고일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방해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950)는 밸브몸체(910)를 경유하는 공기가 과습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여 후술할 콘트롤러(8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콘트롤러(800)는 밸브단(940)과 연결된 솔레노이드(미도시)를 작동시키거나, 관리자에게 경고알람을 전송하여 밸브단(940)이 제1밸브통기공(920)과 제2밸브통기공(930) 사이를 폐쇄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팬(600)을 경유하는 습한 공기를 제1밸브통기공(920)으로 배출되게 하고, 외부의 상대적으로 건조한 공기를 제2밸브통기공(930)을 통하여 열교환부(410)(420)(430)를 순환하게 하며, 이 과정에서 습한 공기는 건조한 공기로 대체된다. 따라서 결로 현상에 의하여 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설령 물이 발생되었더라도 추후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열교환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교환부(410)의 제1실시예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덕트(411)를 포함한다. 이때 열교환덕트(411) 내부에 그 열교환덕트(411)를 경유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와류형성날개(4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열교환덕트(411)는 거의 15℃ 를 유지하므로, 그 열교환덕트(411)를 경유하면서 와류형성날개(412)에 의하여 와류를 일으키는 공기는 여름이나 겨울에도 15℃ 에 수렴한다.
도 8은 도 1의 열교환부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교환부(420)의 제2실시예는, 제1공기튜브(5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분배단(421a)이 형성된 제1매니홀드(421)와; 제2공기튜브(52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분배단(422a)이 형성된 제2매니홀드(422)와;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제1분배단(421a)과 제2분배단(422a)을 연결하는 다수의 열교환관(4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공기튜브(510)(520)를 경유하는 공기는 제1,2매니홀드(421)(422)를 통하여 다수의 열교환관(423)으로 분배된 후 순환하고, 이때 지중에 매설된 다수의 열교환관(423)은 거의 15℃ 를 유지하므로 그 열교환관(423)을 경유하는 공기는 여름이나 겨울에도 15℃ 에 수렴된다.
도 9는 도 1의 열교환부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열교환부(430)의 제3실시예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채워지는 열교환탱크(431)와; 열교환탱크(431) 내부에서 상기 액체에 잠겨지는 것으로서, 비선형적 형태, 예를 들면 지그재그형태나 나선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관(43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탱크(431)에 채워진 물과 같은 액체는 약 15℃ 를 유지하는데, 이때 액체는 물리적으로 비열이 가장 큰 물질이므로 그 액체에 잠겨진 열교환관(432) 역시 약 15℃ 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그 열교환관(423)을 경유하는 공기는 여름이나 겨울에도 15℃ 에 수렴된다.
상기한 열교환부의 제1,2,3실시예를 경유하는 공기의 온도는 대략 15℃에 수렵되고, 이러한 공기는 제1,2공기튜브(510)(520) 및 송풍팬(600)을 통하여 측벽부(10) 및/또는 천전부(20)의 제1,2이격공간(130(23)을 순환한다. 이러한 공기는 한여름에 태양열에 의하여 뜨겁게 달구어지는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를 냉각시킴으로써 주택몸체(100)를 냉각시키고, 한편 한겨울에는 영하의 온도를 가지는 외기에 의하여 차가워진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를 가온시킴으로써 주택몸체(100)를 난방시키는 것이다.
순환팬(600)은 제1,2공기튜브(510)(5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주택몸체(100)와 열교환부(410)(420)(430)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한다. 예를 들면, 순환팬(600)은 제1,2통기공(200)(300)에 설치되고, 제1,2공기튜브(510)(520)가 순환팬(600)과 열교환부(410)(420)(4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700)는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한다.
콘트롤러(800)는 온도센서(7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순환팬(60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주택몸체(100)가 태양열에 가열됨에 따라 온도센서(700)에 의하여 측정되는 제1,2이격공간(13)(23) 내부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40℃ 보다 높아질 때, 콘트롤러(800)는 순환팬(600)을 작동시켜 열교환부(410)(420)(430)를 경유하는 공기가 제1,2이격공간(13)(23)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열교환부에 의하여 15℃ 내외를 유지하는 공기는 순환팬(600) 및 제1,2공기튜브(510)(520)에 의하여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순환되고, 이에 따라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는 냉각되어 결과적으로 주택몸체(100)를 냉각시키게 된다.
콘트롤러(800)는 상기한 순환팬(600)이 고장날 때,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람음이나 알람광을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택몸체(100)의 측벽부(10) 및/또는 천정부(20) 내부에 제1,2이격공간(13)(23)을 형성하고,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부(410)(420)(430)와, 주택몸체의 제1,2통기공(200(300)과 열교환부(410)(420)(430)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2공기튜브(510)(520)를 채용함으로써, 한여름에는 지열에 의하여 15℃ 내외를 유지함에 따라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순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열에 의하여 측벽부(10) 및 천정부(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한겨울에는 지열에 의하여 15℃ 내외를 유지함에 따라 외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를 제1,2이격공간(13)(23)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측벽부(10) 및 천정부(20)가 차가운 외기에 의하여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여름에도 전기배선이 위치되는 부분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을 감싸는 절연층이 파손되거나 경화의 촉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더라도 절연층의 경화에 따른 전기쇼트의 가능성이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주택몸체
10 ... 측벽부 11 ... 제1내측벽
12 ... 제1외측벽 13 ... 제1이격공간
14 ... 제1이격부재 20 ... 천정부
21 ... 제2내측벽 22 ... 제2외측벽
23 ... 제2이격공간 24 ... 제2이격부재
200 ... 제2통기공 300 ... 제2통기공
410 ... 열교환부의 제1실시예 411 ... 열교환덕트
412 ... 와류형성날개
420 ... 열교환부의 제2실시예 421, 422 ... 제1,2매니홀드
421a, 422a ... 제1,2분배단 423 ... 열교환관
430 ... 열교환부의 제3실시예 431 ... 열교환탱크
432 ... 열교환관
510, 520 ... 제1,2공기튜브 600 ... 순환팬
700 ... 온도센서 800 ... 콘트롤러
900 ... 밸브유니트 910 ... 밸브유니트몸체
920, 930... 제1,2밸브통기공 940 .... 밸브단
950 ... 습도센서

Claims (8)

  1. 제1내측벽(11)과 제1외측벽(12) 사이에 제1이격공간(13)이 형성된 측벽부(10)를 가지는 주택몸체(1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이격공간(13)과 연통되는 제1통기공(200);
    상기 주택몸체(100)의 측부 타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제2이격공간(23)과 연통되는 제2통기공(300);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부;
    상기 제1통기공(200)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1공기튜브(510) 및 상기 제2통기공(300)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제2공기튜브(520); 및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주택몸체(100)와 열교환부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600); 및
    상기 제1공기튜브(510)에 설치되어 그 제1공기튜브(510)를 경유하는 유로를 형성하거나 그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벨브유니트(9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니트(900)는, 상기 제1공기튜브(510)의 양단이 연결되는 밸브유니트몸체(910)와; 상기 밸브유니트몸체(910)에 형성된 2개의 제1,2밸브통기공(920)(930)과; 상기 밸브몸체(9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밸브통기공(920)(930)을 동시에 폐쇄하거나, 상기 제1밸브통기공(920)과 제2밸브통기공(930) 사이를 분리하는 밸브단(9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00)는,
    상기 측벽부(10)의 상부측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제2내측벽(21)과 제2외측벽(22) 사이에 제2이격공간(23)을 가지는 천정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격공간(23)은 상기 제1,2통기공(200)(300)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벽(11) 및 제1외측벽(12)은 한쌍의 철판(11a)(12a) 사이에 단열제(11b)(12b)가 개제된 조립판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격공간(13)(23) 내부의 공기온도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온도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700); 및
    상기 온도센서(700)에서 발생되는 온도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순환팬(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1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덕트(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20)는,
    상기 제1공기튜브(5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분배단(421a)이 형성된 제1매니홀드(421)와; 상기 제2공기튜브(52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2분배단(422a)이 형성된 제2매니홀드(422)와;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분배단(421a)과 제2분배단(422a)을 연결하는 다수의 열교환관(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43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체가 채워지는 열교환탱크(431)와; 상기 열교환탱크(431) 내부에서 상기 액체에 잠겨지는 것으로서, 비선형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2공기튜브(510)(520)와 연결되는 열교환관(4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KR1020160042964A 2016-04-07 2016-04-07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KR101653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64A KR101653519B1 (ko) 2016-04-07 2016-04-07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964A KR101653519B1 (ko) 2016-04-07 2016-04-07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519B1 true KR101653519B1 (ko) 2016-09-01

Family

ID=5694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964A KR101653519B1 (ko) 2016-04-07 2016-04-07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518A1 (en) * 2017-06-12 2018-12-20 Civis-Therm Kft. Geo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38885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지중 열저감 시설
GB2624473A (en) * 2022-08-21 2024-05-22 David Collingwood Brian Modular Reinforced Insulated Panel RIPs Housing Struc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70A (ja) * 2000-10-06 2002-04-19 Takikawa Mokuzai Kk 地熱を利用した空気循環システム
KR20080056943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20080093247A (ko) * 2007-04-16 2008-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491418B1 (ko) * 2014-07-31 2015-02-12 주식회사 유니트하우스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70A (ja) * 2000-10-06 2002-04-19 Takikawa Mokuzai Kk 地熱を利用した空気循環システム
KR20080056943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20080093247A (ko) * 2007-04-16 2008-10-21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1491418B1 (ko) * 2014-07-31 2015-02-12 주식회사 유니트하우스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518A1 (en) * 2017-06-12 2018-12-20 Civis-Therm Kft. Geo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US11619404B2 (en) 2017-06-12 2023-04-04 Civis-Therm Kft. Geo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38885A (ko) * 2020-09-21 2022-03-29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지중 열저감 시설
KR102417540B1 (ko) * 2020-09-21 2022-07-06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지중 열저감 시설
GB2624473A (en) * 2022-08-21 2024-05-22 David Collingwood Brian Modular Reinforced Insulated Panel RIPs Housing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8415A (zh) 特别适用于建筑物的隔热壳层
KR101653519B1 (ko)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JPS63271045A (ja) 建物室内への給気装置
JP2012225517A (ja) 輻射冷暖房装置及び除加湿冷暖房システム
CN207936294U (zh) 一种吊顶板辐射空调系统
JP3156275U (ja) エアコンを用いた快適居住空間を有する家屋
JP3562527B1 (ja) 地熱利用の空調システム
KR101836168B1 (ko) 공동주택 확장 발코니 단열 복합구조
JP3150126U (ja) エコハウス
JP2010230200A (ja) 冷暖房システム及び冷暖房方法
JP2005042511A (ja) Rc蓄熱冷暖房システム及びその工法
US20210095896A1 (en)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JP2905417B2 (ja) 空気循環建物
JPS63290335A (ja) 家屋
JP4049380B2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2014142151A (ja) 地中熱利用空調システム
JP7045710B2 (ja) 輻射熱利用建築物
JP2019500529A (ja) モジュール式居住用建物の冷暖房システム
JP2003343884A (ja) 地中熱(地熱)を利用した建築物の循環式冷暖房の方法
JP3727229B2 (ja) 空気循環式空調システム
JPS637604Y2 (ko)
JPH0351640A (ja) 住宅用通気装置
JPH0612466Y2 (ja) 空調装置
KR101319067B1 (ko) 건물환기용 급기장치
JP3898483B2 (ja) エアーアクト構造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