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34B1 -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 Google Patents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34B1
KR101855934B1 KR1020170146076A KR20170146076A KR101855934B1 KR 101855934 B1 KR101855934 B1 KR 101855934B1 KR 1020170146076 A KR1020170146076 A KR 1020170146076A KR 20170146076 A KR20170146076 A KR 20170146076A KR 101855934 B1 KR101855934 B1 KR 10185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e
ceiling
air circul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진우건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우건철(주) filed Critical 진우건철(주)
Priority to KR102017014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5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with ventilation means for the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Abstract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를 개시한다. 상기 컨테이너 하우스는 사각의 바닥부, 사각의 천정부 및 상기 바닥부 및 천정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부들을 구비하여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컨테이너본체; 상기 측벽부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내부벽체들 및 상기 내부벽체들의 상단부를 덮는 내부천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벽체들은 상기 측벽부들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측벽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부천정은 상기 천정부(112)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천정부와 이격되어 있는 내부하우스; 상기 측벽부들 및 상기 내부벽체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들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벽체들을 에워싸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상기 천정부 및 상기 내부천정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천정의 위로 분포되는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을 향해 자유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그릴; 및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 내의 공기를 자유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CONTAINER HOUSE THAT PREVENTS CONDENSATION INSIDE AND IMPROVES INSULATION EFFECT BY FREE AIR CIRCULATION LAYER FORMA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하우스 내외의 공기 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하우스란, 컨테이너 내부에 전기배선을 하고, 거주를 위한 가구들을 설치함으로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주거공간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측벽부에 단열재를 조립 부착함으로써 컨테이너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단열시키게 된다. 이때 단열재를 부착하는 방식은, 먼저 측벽부에 다수개의 보강용 각목을 철편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각목 사이로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를 절단하여 삽입한 후 석고 보드를 못등으로 보강용 각목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된 컨테이너 하우스의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72590호에 컨테이너 하우스용 벽면 적층판넬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컨테이너 하우스의 경우, 보강용 각목 사이에 단열재를 절단하여 삽입하였기 때문에, 보강용 각목과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생기거나 또는 어긋남에 의하여 단열이 잘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애물 없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가 자연 순환하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에 의해 단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사각의 바닥부, 사각의 천정부 및 상기 바닥부 및 천정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부들을 구비하여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컨테이너본체; 상기 측벽부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내부벽체들 및 상기 내부벽체들의 상단부를 덮는 내부천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벽체들은 상기 측벽부들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측벽부들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부천정은 상기 천정부(112)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천정부와 이격되어 있는 내부하우스; 상기 측벽부들 및 상기 내부벽체들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들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벽체들을 에워싸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상기 천정부 및 상기 내부천정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천정의 위로 분포되는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을 향해 자유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그릴; 및 상기 측벽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 내의 공기를 자유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측벽부들은 파형 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상기 내부하우스 방향으로 오목한 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볼록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의 전방측 및 상부측은 차폐하고 상기 공기배출구의 하부측은 노출되키도록 구성된 차폐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컨테이너본체는 상기 바닥부에 적층된 단열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바닥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골조프레임; 상기 골조프레임 상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부에 대향하는 마감판; 및 상기 바닥부 및 마감판의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내부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흡입팬; 및 상기 내부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제2 흡입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상기 공기유입그릴은 상기 측벽부들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들에 구비되는 각각의 공기유입그릴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측벽부들 일부를 에워싸는 열풍순환박스; 및 상기 열풍순환박스의 일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열풍순환박스의 내부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기를 통해 상기 열풍순환박스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 열풍은 상기 열풍순환박스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공기유입그릴로 자유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에 의하면, 장애물 없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가 자연 순환하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에 의해 단열 효과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여름철에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의 온도를 항시 일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온도로 인한 불쾌감 없이 여름철에도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이 쾌적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역시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에 의해 실내하우스 주변이 공기층으로 둘러싸이므로 단열층을 형성하게 되어 보온 효과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겨울철 역시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공간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의 바닥부에 단열층이 구비되므로 컨테이너 하우스가 놓이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겨울철에 보온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의 내외로 공기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이슬이 맺히는 등의 이유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컨테이너본체(110), 내부하우스(120),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공기유입그릴(150) 및 공기배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본체(110)는 사각의 바닥부(111), 사각의 천정부(112) 및 상기 바닥부(111) 및 천정부(112)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부들(113)을 구비하여 박스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측벽부들(113)은 파상형 강판으로 구성된다.
내부하우스(120)는 상기 측벽부들(113)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내부벽체들(121) 및 상기 내부벽체(121)의 상단부를 덮는 내부천정(122)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벽체들(121)은 상기 측벽부들(113)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측벽부들(113)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천정(122)은 상기 천정부(112)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천정부(112)와 이격된다. 상기 내부벽체들(121) 및 내부천정(122)은 난연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하우스(120)가 상기 측벽부들(113)과 이격되기 위해 4개의 U자형의 벽체지지용 앵글(123)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벽체지지용 앵글(123)을 상기 컨테이너본체(110)의 내부 바닥에서 상기 바닥부(111)의 각변에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바닥부(111)의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111)의 가장자리 안쪽에 배치되고,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벽체지지용 앵글(123)을 상기 측벽부들(113)과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벽체지지용 앵글(123)에 상기 내부벽체들(121)의 하단부를 상기 벽체지지용 앵글(123)에 고정하면 상기 내부벽체들(121)은 상기 측벽부들(113)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천정(122)이 상기 천정부(112)와 이격되기 위해 상기 내부벽체들(121)의 높이가 상기 측벽부들(1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내부벽체들(121)의 상단부에 상기 내부천정(122)을 고정하면 상기 내부천정(122)이 상기 천정부(112)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은 상기 측벽부들(113) 및 상기 내부벽체들(121)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들(113)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벽체들(121)을 에워싼다. 이러한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은 상기 내부벽체들(121)이 상기 측벽부들(11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구비된다.
상기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은 상기 천정부(112) 및 상기 내부천정(122)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정부(112)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천정(122)의 위로 분포된다. 이러한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은 상기 내부천정(122)이 상기 천정부(1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구비되며,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과 소통된다.
상기 공기유입그릴(150)은 상기 측벽부들(1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10)의 외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을 향해 자유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공기유입그릴(150)은 사각프레임(151) 및 상기 사각프레임(151)의 내측에서 상기 사각프레임(15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로플레이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로플레이트(152)는 하향 경사져서 배열되어 빗물은 외부로 유도하고, 외부공기는 컨테이너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60)는 상기 측벽부들(1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내의 공기를 자유 배출시킨다. 일 예로, 공기배출부(160)는 공기배출구(161) 및 차폐덮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60)는 상기 컨테이너본체(110)를 구성하는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상기 내부하우스(120) 방향으로 오목한 면에 형성된다. 일 예로, 공기배출부(16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덮개(162)는 상기 공기배출구(161)에 대향하도록 상기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볼록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61)의 전방측 및 상부측은 차폐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61)의 하부측은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우천시 상기 공기배출구(161)로 빗물은 유입되지 않고, 공기배출구(161)의 하부측을 통해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부터 공기가 자유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컨테이너본체(110)는 상기 바닥부(111)에 적층된 단열층(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열층(180)은 골조프레임(181), 마감판(182) 및 단열부재(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조프레임(181)은 상기 컨테이너본체(110)의 상기 바닥부(111)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골조프레임(181)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H빔 또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판(182)은 상기 골조프레임(181) 상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대향한다. 마감판(182)의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목재 또는 금속재일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83)는 상기 바닥부(111) 및 마감판(182)의 사이에 충진된다. 단열부재(183)의 재료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제1 흡입팬(171) 및 제2 흡입팬(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팬(171)은 상기 내부천정(122) 상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흡입팬(171)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내부천정(122) 상에 2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팬(172)은 상기 내부벽체들(12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흡입팬(172)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내부벽체들(121) 중 하나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흡입팬(171) 및 제2 흡입팬(172)은 송풍기제어수단(미도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제어수단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서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면,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공기 순환 과정을 설명한다.
컨테이너본체(110)의 외부의 외부공기는 컨테이너본체(110)의 측벽부(113)에 구비된 공기유입그릴(150)을 통해 자유 유입된다.
공기유입그릴(15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및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으로 공급되어,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의 공기는 내부하우스(120)의 내부벽체들(121)을 에워싸게 되며,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의 공기는 내부하우스(120)의 내부천정(122)을 덮도록 넓게 분포하게 된다.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내에 계속적으로 머무르지 않고 공기배출구(161)를 통해 컨테이너본체(110)의 외부로 자유 배출된다. 따라서,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유입된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는 일 없이 일정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에 의해 내부하우스(120)가 유입된 외부 공기로 둘러싸여서 일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여름철에는 온도가 상승한 내부하우스(120) 주변의 온도를 저하시켜서 결론적으로 상기 내부하우스(120)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여름철 폭염 등으로 인해 외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유입된 공기도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도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천정(122)에 설치된 제1 흡입팬(171) 및 내부벽체(121)에 설치된 제2 흡입팬(172)을 가동시켜서 상기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160)를 통해 컨테이너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내부하우스(120)의 실내공간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하우스 전체의 온도를 빠르게 낮춰서 내부하우스(120) 실내의 상승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를 이용하면, 장애물 없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가 자연 순환하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에 의해 단열 효과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여름철에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의 온도를 항시 일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온도로 인한 불쾌감 없이 여름철에도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이 쾌적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겨울철 역시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에 의해 내부하우스(120) 주변이 공기층으로 둘러싸이므로 단열층을 형성하게 되어 보온 효과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겨울철 역시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공간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컨테이너본체(110)의 바닥부(111)에 단열층(180)이 구비되므로 컨테이너 하우스가 놓이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겨울철에 보온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110)의 내외로 공기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이슬이 맺히는 등의 이유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기유입그릴(150)이 컨테이너본체(110)의 측벽부들(113)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들(113)에 구비되는 각각의 공기유입그릴(15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측벽부들(113) 일부를 에워싸는 열풍순환박스(191); 및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일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내부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1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우스 내외의 공기 순환이 자유로운 컨테이너 하우스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상기 열풍공급기(192)를 통해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 열풍은 열풍순환박스(191) 내에 가두어지고, 가두어진 열풍은 상기 열풍순환박스(191)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공기유입그릴(150)로 자유 유입되며, 상기 공기유입그릴(150)을 통해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전달되어,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에 의해 내부하우스(120)는 고온의 공기로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공기배출부(160)를 통해 외부로 자유 배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온의 공기는 자유 순환되어 항시 일정 수준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열풍공급기(192)에 의한 고온의 공기의 순환 과정은 겨울철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는 겨울철에 컨테이너 하우스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켜서 더욱 따뜻한 실내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내부벽체들(121) 및 내부천정(122)의 외부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수산화나트륨 및 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 0.1 몰 및 알킬 베타인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본체(110)에 비해 청소가 쉽지 않은 내부하우스(120)의 외부 표면의 오염이 방지되므로 내부하우스(120)를 장기간 오염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하우스(120)를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의 컨테이너본체(110)의 측벽부들(113) 및 천정부(112)의 외부 표면에는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는 벤조트리아졸 35중량%, 보론 5중량%, CMC(Carboxy Methyl Cellulose) 5중량%, 지르코늄 5중량%, 티타늄 5중량%, 산화알루미늄(Al₂O₃) 45중량%로 구성된다.
벤조트리아졸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되며, 보론은 탈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CMC(Carboxy Methyl Cellulose)는 흡수성이 큰 백색 또는 미백색의 분말로서 물에 용이하게 녹아 점성을 나타내며, 피막을 형성하고 분산제 등의 역할을 한다.
지르코늄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 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티타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배합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컨테이너본체 120 : 내부하우스
130 :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 140 :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
150 : 공기유입그릴 160 : 공기배출부
171 : 제1 흡입팬 172 : 제2 흡입팬
180 : 단열층

Claims (3)

  1. 사각의 바닥부(111), 사각의 천정부(112) 및 상기 바닥부(111) 및 천정부(112)에 수직하게 연결된 측벽부들(113)을 구비하여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컨테이너본체(110);
    상기 측벽부들(113)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내부벽체들(121) 및 상기 내부벽체들(121)의 상단부를 덮는 내부천정(122)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벽체들(121)은 상기 측벽부들(113)과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측벽부들(113)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부천정(122)은 상기 천정부(112)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천정부(112)와 이격되어 있는 내부하우스(120);
    상기 측벽부들(113) 및 상기 내부벽체들(121)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부들(113)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벽체들(121)을 에워싸는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상기 천정부(112) 및 상기 내부천정(122)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정부(112)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천정(122)의 위로 분포되는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상기 측벽부들(1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본체(110)의 외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을 향해 자유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그릴(150); 및
    상기 측벽부들(1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 및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 내의 공기를 자유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들(113)은 파형 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160)는,
    상기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상기 내부하우스(120) 방향으로 오목한 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61); 및
    상기 공기배출구(161)에 대향하도록 상기 파형 강판의 파형 패턴 중 볼록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61)의 전방측 및 상부측은 차폐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61)의 하부측은 노출되키도록 구성된 차폐덮개(162)를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본체(110)는 상기 바닥부(111)에 적층된 단열층(1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층(180)은,
    상기 바닥부(111)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골조프레임(181);
    상기 골조프레임(181) 상에 적층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대향하는 마감판(182); 및
    상기 바닥부(111) 및 마감판(182)의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부재(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천정(122)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천정공기순환층(140)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흡입팬(171); 및
    상기 내부벽체들(12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스(120) 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스측면공기순환층(130)으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제2 흡입팬(17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그릴(150)은 상기 측벽부들(113)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1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들(113)에 구비되는 각각의 공기유입그릴(150)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측벽부들(113) 일부를 에워싸는 열풍순환박스(191); 및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일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내부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기(1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기(192)를 통해 상기 열풍순환박스(191)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 열풍은 상기 열풍순환박스(191)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공기유입그릴(150)로 자유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KR1020170146076A 2017-11-03 2017-11-03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KR10185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76A KR101855934B1 (ko) 2017-11-03 2017-11-03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76A KR101855934B1 (ko) 2017-11-03 2017-11-03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934B1 true KR101855934B1 (ko) 2018-05-09

Family

ID=6220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76A KR101855934B1 (ko) 2017-11-03 2017-11-03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3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58A (ko) 2018-07-11 2020-01-21 스튜디오쓰리에스 리미티드컴퍼니 스마트 컨테이너 시스템
KR102128916B1 (ko) * 2019-10-29 2020-07-02 주식회사 휴먼씨앤디 개선된 단열 성능과 울림 소음 감쇄 기능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
KR102164523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양압 컨테이너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KR20210132757A (ko) * 2020-04-07 2021-11-05 엽성식 단열성과 내구성 및 하중 강도가 우수한 컨테이너
KR102367750B1 (ko) * 2021-07-23 2022-02-25 한별(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공장제작 조립식 건물 단위 모듈러
KR20220050718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블루웜 조립식 다용도실
KR102463897B1 (ko) * 2021-08-05 2022-11-04 주식회사 우리종합건설 폐선박 구조물을 활용한 건축물의 건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건축된 건축물
KR20230000238A (ko) * 2021-06-24 2023-01-02 김진한 양압순환 단열 컨테이너
KR102572359B1 (ko) * 2022-06-03 2023-08-30 (주)진우아이엔씨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결로 방지용 친환경 이동식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577A (ja) * 2001-12-26 2003-07-09 Max Co Ltd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20130051674A (ko) * 2011-11-10 2013-05-21 김철환 열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건축물
KR101673392B1 (ko) * 2016-04-07 2016-11-07 박응래 이격공간 단열주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577A (ja) * 2001-12-26 2003-07-09 Max Co Ltd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20130051674A (ko) * 2011-11-10 2013-05-21 김철환 열에너지 절감형 이동식 건축물
KR101673392B1 (ko) * 2016-04-07 2016-11-07 박응래 이격공간 단열주택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58A (ko) 2018-07-11 2020-01-21 스튜디오쓰리에스 리미티드컴퍼니 스마트 컨테이너 시스템
KR102128916B1 (ko) * 2019-10-29 2020-07-02 주식회사 휴먼씨앤디 개선된 단열 성능과 울림 소음 감쇄 기능을 갖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주택
KR20210132757A (ko) * 2020-04-07 2021-11-05 엽성식 단열성과 내구성 및 하중 강도가 우수한 컨테이너
KR102337446B1 (ko) * 2020-04-07 2021-12-08 엽성식 단열성과 내구성 및 하중 강도가 우수한 컨테이너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KR102164523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양압 컨테이너
KR20220050718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블루웜 조립식 다용도실
KR102458331B1 (ko) * 2020-10-16 2022-10-24 주식회사 블루웜 조립식 다용도실
KR20230000238A (ko) * 2021-06-24 2023-01-02 김진한 양압순환 단열 컨테이너
KR102662105B1 (ko) * 2021-06-24 2024-04-29 김진한 양압순환 단열 컨테이너
KR102367750B1 (ko) * 2021-07-23 2022-02-25 한별(주)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공장제작 조립식 건물 단위 모듈러
KR102463897B1 (ko) * 2021-08-05 2022-11-04 주식회사 우리종합건설 폐선박 구조물을 활용한 건축물의 건축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건축된 건축물
KR102572359B1 (ko) * 2022-06-03 2023-08-30 (주)진우아이엔씨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결로 방지용 친환경 이동식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934B1 (ko) 자유로운 공기순환층 형성으로 내부의 결로 방지 및 단열 효과를 증대시킨 컨테이너 하우스
JPS5812935A (ja) 縦型ル−ムエアコンデイシヨナ−ユニツト用分割式キヤビネツト
TW201944009A (zh) 外氣空調機及換氣系統
KR102079618B1 (ko) 식물재배용 하우스
WO2021009999A1 (ja) 換気空調構造、および、換気空調方法
US6374822B1 (en) Framed fireplace and method
EP2098654B1 (en) Heating or cooling ceiling with corrugated steel sheet
CN208904484U (zh) 一种通风降噪的箱式变电站
AU2016273806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JP2005201601A (ja) 建物の暖房システム。
CN105674389B (zh) 一种踢脚线智能暖气片
KR200368316Y1 (ko) 결로방지용 문틀 프레임
KR102572359B1 (ko) 태양열집열판이 설치된 결로 방지용 친환경 이동식 모듈
JP5279319B2 (ja) 住戸および集合住宅
KR101176038B1 (ko) 그린 공조 시스템용 기류 가변볼륨장치 및 기류 가변볼륨장치를 갖는 그린 공조 시스템
JP6678980B1 (ja) 浴室
KR102662105B1 (ko) 양압순환 단열 컨테이너
KR101206806B1 (ko) 화이버 그라스 pvc 난연코팅 필름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패널과 기류 가변볼륨장치를 갖는 수영장용 그린 공조장치
CN211341229U (zh) 一种分仓式防火保温板
KR200184367Y1 (ko) 학교 건물의 내부 벽면(壁面) 부설용 패널형 난방구조
KR20200022148A (ko) 주택용 벽체
KR100186967B1 (ko) 통기구조를 이용한 고층건축물의 외벽단열구조
Peterson et al. Humidity and condensation control in cold climate housing
JPH035786Y2 (ko)
Smith Condensa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