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160B1 -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160B1
KR102363160B1 KR1020210127069A KR20210127069A KR102363160B1 KR 102363160 B1 KR102363160 B1 KR 102363160B1 KR 1020210127069 A KR1020210127069 A KR 1020210127069A KR 20210127069 A KR20210127069 A KR 20210127069A KR 102363160 B1 KR102363160 B1 KR 10236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re
cover bodies
hous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트
Priority to KR10202101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철판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주택몸체(1)와, 상기 주택몸체(1)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2)와, 상기 주택몸체(1)에 설치되는 창틀(3a) 내측에서 이송되게 설치되는 창문(3b)으로 구성되는 창호(3)를 가지는 조립식 주택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용 창문방화장치는, 창호(3) 양측의 주택몸체(1)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2출입구(10a)(20a)가 형성되고, 나머지면이 폐쇄된 금속 박스로 된 제1,2커버몸체(10)(20)와; 호(3)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30)과; 창호(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40)과;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몰입될 때 창호(3)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제1,2커버몸체(10)(20)에서 빠져나올 때 상기 창호(3)를 덮는 제1,2방화문(50)(60)와; 제1,2방화문(50)(60)과 연결되는 구동벨트를 이송시킴으로써 제1,2방화문(50)(60)을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시키거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벨트구동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fire prevention apparatus for prefabricated house}
본 발명은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주택 측벽에 구조변경 없이 범용적으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화재나 강풍에 의하여 창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주택이란, 육면체 형태의 철골뼈대에 철판을 덧대어 박스 형태로 구현된 컨테이너를 단독 혹은 여러개 조립되어 구현되며, 내부에 전기배선을 하고 마감함으로서 구현되는 주택을 의미한다. 조립식 주택은 공장에서 제작한 후 특정 장소로 운반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시공되므로, 시공 기간은 물론 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주택은 거주는 물론 휴식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후나 지진관측용도, 또는 홍수통제소등의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조립식 주택은, 주로 산이나 숲과 같이 자연과 근접된 장소에 설치되므로 산불과 같은 화재에 직접 노출되고, 주위에 바람을 막을 건물이 없는 경우가 많아 태풍이나 강풍에 직접 노출되며, 이러한 화재나 강풍은 조립식 주택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창문을 파손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바람이나 화염이 파손된 창문을 통하여 조립식 주택 내부로 유입되어 2차 화재를 유발하거나 주택 내부를 심하게 손상시키는 2 차 피해로 연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화재나 강풍 발생시 창문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택이 2 차 피해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조립식 주택에 구조 변경없이 설치할 수 있어 범용적인 보급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유니트화되어 대량 생산 및 보급이 가능하며,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나 강풍 발생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창문을 보호할 수 있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는,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철판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주택몸체(1)와, 상기 주택몸체(1)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2)와, 상기 주택몸체(1)에 설치되는 창틀(3a) 내측에서 이송되게 설치되는 창문(3b)으로 구성되는 창호(3)를 가지는 조립식 주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호(3) 양측의 주택몸체(1)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2출입구(10a)(20a)가 형성되고, 나머지면이 폐쇄된 금속 박스로 된 제1,2커버몸체(10)(20); 상기 창호(3)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30); 상기 창호(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40); 상기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몰입될 때 상기 창호(3)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제1,2커버몸체(10)(20)에서 빠져나올 때 상기 창호(3)를 덮는 제1,2방화문(50)(60); 및 상기 제1,2방화문(50)(60)과 연결되는 구동벨트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제1,2방화문(50)(60)을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시키거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벨트구동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트구동부(70)는, 상기 제1방화문(50)을 상기 제1커버몸체(10) 내측에서 상기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1벨트이송유니트(71)와, 상기 제2방화문(60)을 상기 제2커버몸체(20) 내측에서 상기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2벨트이송유니트(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창호(3)가 끼어지는 제1창호끼움공(8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창호끼움공(81)의 좌우측에서 제1,2커버몸체(10)(20)를 마주보게 지지하고, 상기 제1창호끼움공(81) 상하부측에서 상기 제1,2방화문(50)(6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부레일(30)(4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상,하부 레일(30)(40)을 한몸체로 유니트화시키는 베이스보드(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보드(80)를 상기 주택몸체(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창호(3)가 끼어져 관통되는 제2창호끼움공(91) 및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보드(80)로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절곡지지단(93)을 가지는 매개결합보드(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몸체(10)(20)의 출입구(10a)(20a)에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평소 먼지가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외부 화염이 제1,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상기 제1,2방화문(50)(60) 사이와의 틈새를 막는 방염브러쉬(1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 근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 및 상기 온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때 상기 벨트구동부(70)의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신호(S1)를 발생하는 제1작동신호발생부(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 근처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130); 및 상기 풍속센서(130)에서 측정된 풍속이 설정된 풍속 이상일 때 상기 벨트구동부(70)의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하는 제2작동신호발생부(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야간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야간화재감지부(150); 및 상기 야간화재감지부(150)가 야간에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제3작동신호발생부(16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3)를 기준으로 주택몸체(1) 양측벽에 제1,2커버몸체(10)(20)가, 그리고 창호(3)의 상,하부측에 상부 및 하부레일(30)(40)이 위치되고, 상부 및 하부레일(30)(40)을 따라 창호(3)와 제1,2커버몸체(10)(20) 사이에서 이송되는 제1,2방화문(50)(60)을 포함함으로서,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강풍이 발생할 때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어 화염이나 강풍에 의하여 창문(3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주택에 구조변경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범용적인 보급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도록 유니트화되어 대량 생산 및 보급이 가능하며, 주택의 구조변경이 요구되지 않아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화재나 강풍 발생을 자동을 감지하여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자동으로 덮어 보호함으로써, 거주자가 집을 비우거나 외출한 상황이 되더라도 창호(3)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방화장치가 조립식 주택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주택에 설치되는 창문 방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2커버몸체로부터 빠져나온 제1,2방화문이 닫혀져 창호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창문 방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창문 방화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창문 방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제1,2방화문의 마주보는 면에 상호 치합되는 제1,2치합단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제1,2커버몸체 내주면에 제1,2방화문 표면과 밀착되는 방화브러쉬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창문 방화장치에 온도센서, 제1작동신호발생부, 풍속센서, 제2작동신호발생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주택몸체에 설치되는 야간화재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6의 창문 방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방화장치가 조립식 주택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주택에 설치되는 창문 방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2커버몸체로부터 빠져나온 제1,2방화문이 닫혀져 창호를 덮어 보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1의 창문 방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창문 방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창문 방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제1,2방화문의 마주보는 면에 상호 치합되는 제1,2치합단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제1,2커버몸체 내주면에 제1,2방화문 표면과 밀착되는 방화브러쉬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창문 방화장치에 온도센서, 제1작동신호발생부, 풍속센서, 제2작동신호발생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주택몸체에 설치되는 야간화재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6의 창문 방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는,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철판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주택몸체(1)와, 상기 주택몸체(1)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2)와, 상기 주택몸체(1)에 설치되는 창틀(3a) 내측에서 이송되게 설치되는 창문(3b)으로 구성되는 창호(3)를 가지는 조립식 주택에 설치된다.
이러한 창문 방화장치는, 창호(3) 양측의 주택몸체(1)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2출입구(10a)(20a)가 형성되고, 나머지면이 폐쇄된 금속 박스로 된 제1,2커버몸체(10)(20)와; 창호(3)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30)과; 창호(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40)과;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몰입될 때 창호(3)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제1,2커버몸체(10)(20)에서 빠져나올 때 창호(3)를 덮는 제1,2방화문(50)(60)과; 제1,2방화문(50)(60)과 연결되는 구동벨트를 이송시킴으로써 제1,2방화문(50)(60)을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시키거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벨트구동부(70)와;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창호(3)가 끼어지는 제1창호끼움공(8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창호끼움공(81)의 좌우측에서 제1,2커버몸체(10)(20)를 마주보게 지지하고, 제1창호끼움공(81) 상하부측에서 제1,2방화문(50)(6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레일(30)(40)을 지지함으로써, 제1,2커버몸체(10)(20), 상,하부 레일(30)(40)을 한몸체로 유니트화시키는 베이스보드(80)와; 베이스보드(80)를 상기 주택몸체(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창호(3)가 끼어져 관통되는 제2창호끼움공(91) 및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베이스보드(80)로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절곡지지단(93)을 가지는 매개결합보드(90)와; 제1,2커버몸체(10)(20)의 출입구(10a)(20a)에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평소 먼지가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외부 화염이 제1,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상기 제1,2방화문(50)(60) 사이 틈새를 막는 방염브러쉬(100)와; 주택몸체(1) 근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와; 상기 온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때 상기 벨트구동부(70)의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신호(S1)를 발생하는 제1작동신호발생부(120)와; 주택몸체(1) 근처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130)와; 풍속센서(130)에서 측정된 풍속이 설정된 풍속 이상일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하는 제2작동신호발생부(140)와; 야간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야간화재감지부(150)와; 야간화재감지부(150)가 야간에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제3작동신호발생부(160);를 포함한다.
주택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 골조를 이루고, 육면체 골조로 굴곡면을 가지는 철판이 덧대어진 후 단열재 및 마감재로 마감되고, 도어(2) 및 창호(3)를 설치함으로서 사람이 거주할 수 있게 된다.
제1,2커버몸체(10)(20)는, 창호(3) 양측의 주택몸체(1)에 위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 제1,2방화문(50)(60)이 출입되는 제1,2출입구(10a)(20a)가 형성되고 나머지면이 폐쇄된 금속 박스 형태를 이룬다.
제1,2커버몸체(10)(20)는 제1,2출입구(10a)(20a)를 제외한 나머지면이 폐쇄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면을 특성 색상이나 패턴으로 도색함으로써 조립식 주택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2커버몸체(10)(20)는, 평소 투박한 형태의 제1,2방화문(50)(60)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제1,2방화문(50)(60)에 의하여 주택의 미려함이 손상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부레일(30) 및 하부레일(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3)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위치되어 제1,2방화문(50)(6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사각 바아 형태를 가진다.
상부 레일(30) 및 하부레일(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방화문(50)(60)이 끼어지는 상부가이드홈(31) 및 하부가이드홈(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2방화문(50)(60)은 상부가이드홈(31) 및 하부가이드홈(41)에서 이송 도중에 상부 및 하부레일(30)(4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제1,2방화문(50)(60)은 화재 발생시 화염에도 방화 기능을 유지하도록 철판 재질로 된다. 제1,2방화문(50)960)은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송되며, 이를 위하여 제1,2방화문(50)(60)의 상부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홈(31)에 끼어지는 제1,2가이드베어링(51)(61)이 설치되고, 제1,2방화문(50)(60)의 바닥측에는 하부가이드홈(41)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제1,2구름베어링(52)(62)이 설치된다.
제1,2방화문(50)(6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2가이드베어링(51)(61)은 상부가이드홈(31)에 끼어지는 돌기에 원통형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제1,2가이드베어링(51)(61)은 도어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방화문(50)(6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2구름베어링(52)(62)은 하부가이드홈(41)을 끼어지며, 제1,2방화문(50)(60)의 하중을 지탱한 상태에서 제1,2방화문(50)(60)의 하부측을 하부레일(40)에서 분리되지 않게 이송시킨다. 이러한 제1,2구름베어링(52)(62) 역시 도어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2방화문(50)(60)의 마주보는 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치합되는 제1,2치합단(53)(63)이 형성된다. 제1치합단(53)은 단면이 뾰족한 삼각뿔 형상을 이루고, 제2치합단(63)은 삼각홈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2방화문(50)(60)이 닫힐 때, 삼각뿔 단면 형상의 제1치합단(53)이 삼각홈 단면 형상의 제2치합단(63)에 치합되면서 제1,2방화문(50)(60)을 정렬시키면서 제1,2치합단(53)(63)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외부의 화염이나 강한 바람이 창호(3)로 유입되는 것을 철저히 막을 수 있다.
제1,2방화문(50)(6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을 때 창문(3b)을 통하여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염에도 견딜 수 있는 제1,2방화유리(55)(65)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완전히 덮는 상황에서도, 주택몸체(1) 내측에 있는 사람은 제1,2방화유리(55)(65)를 통하여 외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방화문(50)(60)은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 슬라이딩 이송되게 지지되어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되거나, 제1,2커버몸체(10)(20)에서 돌출되어 창호(3)를 완전히 덮으며, 창호(3)를 덮은 상태에서 외부 화염이나 강한 바람이 창호(3)로 전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금속재질로 된 투박한 제1,2방화문(50)(60)이 평소에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립식주택의 미려한 외관 디자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택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벨트구동부(70)는, 제1,2방화문(50)(60)을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시키거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화문(50)을 제1커버몸체(10) 내측에서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1벨트이송유니트(71)와, 제2방화문(60)을 제2커버몸체(20) 내측에서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2벨트이송유니트(72)와,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3)를 포함한다.
제1벨트이송유니트(71)는, 제1커버몸체(10) 내측 및 입구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1내,외측풀리(71a)(71b)와, 제1내측풀리(71a)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71c)와, 제1내,외측풀리(71a)(71b)에 감겨진 제1구동벨트(71d)와, 제1구동벨트(71d)의 일측을 제1방화문(50)의 상단과 연결시키는 제1연결브라켓(71e)을 포함한다.
제1내,외측풀리(71a)(71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1톱니홈이 형성되고, 제1구동벨트(71d)에는 상기 제1톱니홈에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71c)가 제1내측풀리(71a)를 회전시킬 때 제1구동벨트(71d)는 제1내,외측풀리(71a)(71b)에서 헛돌지 않고 이송되고, 이에 따라 제1구동벨트(71d)의 이송 방향에 따라 제1연결브라켓(71e)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방화문(50)은 전후진 이송된다.
제2벨트이송유니트(72)는, 제2커버몸체(20) 내측 및 입구에 설치되는 한쌍의 제2내,외측풀리(72a)(72b)와, 제2내측풀리(72a)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72c)와, 제2내,외측풀리(72a)(72b)에 감겨진 제2구동벨트(72d)와, 제2구동벨트(72d)의 일측을 제2방화문(60)의 상단과 연결시키는 제2연결브라켓(72e)을 포함한다.
제2내,외측풀리(72a)(72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2톱니홈이 형성되고, 제2구동벨트(72d)에는 상기 제2톱니홈에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72c)에 의하여 제2내측풀리(72a)가 회전시킬 때 제2구동벨트(72d)는 제2내,외측풀리(72a)(72b)에서 헛돌지 않고 이송되고, 이에 따라 제2구동벨트(72d)의 이송 방향에 따라 제2연결브라켓(72e)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방화문(50)은 전후진 이송된다.
배터리(73)는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73)는 상용전원과 독립적으로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화재 발생에 의하여 정전이 되더라도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벨트구동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커버몸체(10)(2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74)는 배터리(73)로 전원을 공급한다. 벨트구동부(70)가 태양전지(74)를 포함할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한전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원선과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벨트이송유니트(71)는 제1커버몸체(10) 내측 상단과 상부레일(3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2벨트이송유니트(72)는 제2커버몸체(20) 내측 상단과 상부레일(30) 사이에 공간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조립식 주택의 미려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화염이나, 빗물이나 눈이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줄여 전기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73)는 상용전원과 독립적으로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화재 발생에 의하여 정전이 되더라도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벨트구동부(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커버몸체(10)(2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74)는 배터리(73)로 전원을 공급한다. 벨트구동부(70)가 태양전지(74)를 포함할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한전에서 공급하는 상용전원선과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베이스보드(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창호(3)가 끼어지는 제1창호끼움공(8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측에는 다수의 보드체결공(82)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이다.
제1창호끼움공(81)을 기준으로 베이스보드(80)의 좌우측에는 입체적인 형태의 제1커버몸체(10) 및 제2커버몸체(20)가 용접되어 지지되고, 제1창호끼움공(81)의 상하부측에는 입체적인 형태의 상부레일(30) 및 하부레일(40)이 용접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보드(80)는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 레일(30)(40)은 물론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를 한 몸체로 유니트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베이스보드(80) 상에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 레일(30)(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를 한 몸체로 조립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식 주택을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직접 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보드(80)의 상부 및 하부측에는 입체적 형태의 기다란 상부레일(30) 및 하부레일(40)이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는 입체적인 내구성을 가지게 되고, 베이스보드(80)의 좌우측에 입체적 박스 형태의 제1,2커버몸체(10)(20)가 용접으로 고정됨으로서 세로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는 입체적인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상부 및 하부 레일(30)(40)은 초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제1,2방화문(50)(60)은 상부 및 하부 레일(30)(40)을 타고 부드러운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매개결합보드(90)는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 레일(30)(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가 한몸체가 되도록 유니트화시키는 베이스보드(80)를 주택몸체(1)에 고정시키는 매개 부재가 된다. 매개결합보드(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창호(3)가 끼어져 관통되는 제2창호끼움공(91)과,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베이스보드의 보드체결공(82)에 관통된 후 너트(N)에 체결되는 보드볼트단(9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문 방화장치를 조립식 주택에 설치하기 위하여, 주택몸체(1)에 매개결합보드(90)를 미리 고정하고, 이후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레일(30)(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를 한몸체로 지지하는 베이스보드(80)의 보드체결공(82)을 매개결합보드(90)에 고정되어 있는 보드볼트단(92)에 끼어넣은 후 너트(N)를 보드볼트단(92)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용접 과정없이, 본 발명의 창문 방화장치를 주택몸체(1)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매개결합보드(90)의 하단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절곡된 절곡지지단(93)이 형성된다. 절곡지지단(93)은,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레일(30)(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가 한 몸체로 조립된 베이스보드(80)의 하단을 지지하여 매개결합보드(90)로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이에 따라 베이스보드(80)를 통하여 인가되는 하중에 의하여 보드볼트단(9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진등의 상황에서도 베이스보드(80)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매개결합보드(90)와 베이스보드(80) 사이에는 이격부재(95)가 설치될 수 있다. 이격부재(95)는, 베이스보드(80)를 매개결합보드(90)에 고정할 때, 창호(3)가 제1,2창호끼움공(81)(91)을 통하여 과도하게 돌출되어 제1,2방화문(50)(60)의 이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격부재(95)는 매개결합보드(90)와 베이스보드(80) 사이에 간격을 가변함으로써, 창호(3)가 제1,2방화문(50)(60)의 이송을 방해할 정도로 베이스보드(80) 표면에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보드(80) 및 매개결합보드(90)를 채용함으로써, 별도의 용접 과정없이 제1,2커버몸체(10)(20), 상부 및 하부 레일(30)(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조립식 주택을 구조변경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용이한 조립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제1,2커버몸체(10)(20), 상부레일(30), 하부레일(40), 제1,2방화문(50)(60) 및 벨트구동부(70)가 한몸체가 되는 베이스보드(80)를 공장에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어 대량 보급이 가능하여 기존에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조립식 주택을 화재, 강풍 및 태풍등의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1,2커버몸체(10)(20), 상부레일(30) 및 하부레일(40)이 베이스보드(80)에 한몸체로 용접되므로 입체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즉, 베이스보드(80)의 상부 및 하부측에 용접되는 상부레일(30) 및 하부레일(40)에 의하여 베이스보드(80)는 가로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는 입체적인 내구성을 가지게 되고, 베이스보드(80) 좌우측에 용접되는 제1,2커버몸체(10)(20)에 의하여 베이스보드(80)는 세로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는 입체적인 내구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방염브러쉬(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커버몸체(10)(20)의 출입구(10a)(20a)에 내주면에 설치되어 제1,2방화문(50)(60) 측으로 늘어지게 연장된다. 방염브러쉬(100)는 화염에 타지 않는 재질, 예를 들면 브러쉬 형태로 된 방염플라스틱으로 되며, 브러쉬 형태를 가짐으로써 굽어지는 연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방염브러쉬(100)는 제1,2커버몸체(10)(20)로부터 출입하는 제1,2방화문(50)(6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1,2방화문(50)(60)이 출입하는 동안에 항상 제1,2방화문(50)(6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화재 발생시 외부 화염이 제1,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평소에 외부 먼지가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먼지나 화염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벨트구동부(70)나 작동을 위한 각종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도센서(110)는 주택몸체(1) 근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화재상황이 아니면 도달하기 위한 이상 온도인 60℃ 이상인지를 측정한다. 온도센서(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그늘진 위치, 예를 들면 제1커버몸체(20)의 바닥측에 설치되어 평소 주택몸체(1) 근처의 대기온도를 측정한다.
제1작동신호발생부(120)는 온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때 상기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신호(S1)를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센서(110) 및 제1작동신호발생부(120)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이 근처까지 접근하였을 때, 온도센서(110)는 평소보다 현저히 높은 대기온도(예를 들면 60℃)를 측정하게 되고, 이 경우 온도센서(110)와 연동되는 제1작동신호발생부(120)는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작동신호(S1)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는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도록 제1,2커버몸체(10)(20)로부터 빠져나오게 이송시킨다.
풍속센서(130)는 주택몸체(1) 근처의 풍속을 측정하여 설정된 풍속, 예를 들면 15m/s 이상인지를 측정한다. 풍속센서(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에 노출되는 위치, 예를 들면 제1커버박스(10) 상부에 위치되어 창호(3) 전방측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한다.
제2작동신호발생부(140)는 풍속센서(130)에서 측정된 풍속이 설정된 풍속 이상일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한다.
이러한 풍속센서(130) 및 제2작동신호발생부(140)에 의하여, 강풍이 불거나 태풍이 접근할 때 풍속센서(130)는 평소보다 현저히 높은 풍속(예를 들면 15m/s 이상)을 측정하게 되고, 이 경우 풍속센서(130)와 연동되는 제2작동신호발생부(140)는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는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도록 제1,2커버몸체(10)(20)로부터 빠져나오게 이송시킨다.
야간화재감지부(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늘을 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수직관(151)과, 수직관(151)에 내장되어 하늘의 조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가 될 때 야간환경임을 의미하는 야간환경신호(S3)를 발생하는 제1조도센서(152)와, 수평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서 야간환경신호(S3)가 발생된 상태에서 조도변화가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0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될 때 이벤트신호(S4)를 발생하는 제2조도센서(153)를 포함한다.
수직관(151)은 제1조도센서(152)가 하늘을 향하도록 조도측정 위치를 구속한다. 이에 따라 제1조도센서(152)는 주위의 생활광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하늘의 조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 환경 여부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제2조도센서(153)는 상기 야간환경신호(S3)가 발생된 상태에서 조도변화가 설정된 시간, 예를 들면 10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될 야간화재경고신호(S4)를 발생한다.
통상 화재가 발생되면 최소 수시간 이상 유지되기 때문에, 야간환경신호(S3)가 발생된 상태에서 이벤트신호(S4)가 발생되면 원거리에서 화재가 진행되고 있다라는 의미가 된다.
제3작동신호발생부(160)는 야간화재감지부(150)에서 이벤트신호(S4)가 발생되었을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신호(S5)를 발생한다.
이러한 야간화재감지부(150) 및 제3작동신호발생부(160)에 의하여, 야간에 거주자가 취침하더라도 야간화재감지부(150)는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야간화재감지부(150)와 연동되는 제3작동신호발생부(160)는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는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도록 제1,2커버몸체(10)(20)로부터 빠져나오게 이송시킨다.
이러한 온도센서(110), 제1작동신호발생부(120), 풍속센서(130) 및 제2작동신호발생부(140), 야간화재감지부(150) 및 제3작동신호발생부(160)에 의하여 화재나 강풍 발생을 자동을 감지할 수 있고, 야간에 원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자동으로 덮도록 작동됨으로서 거주자가 집을 비우거나 외출한 상황이 되더라도 창호(3)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3)를 기준으로 주택몸체(1) 양측벽에 제1,2커버몸체(10)(20)가, 그리고 창호(3)의 상,하부측에 상부 및 하부레일(30)(40)이 위치되고, 상부 및 하부레일(30)(40)을 따라 창호(3)와 제1,2커버몸체(10)(20) 사이에서 이송되는 제1,2방화문(50)(60)을 포함함으로서,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강풍이 발생할 때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덮어 화염이나 강풍에 의하여 창문(3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주택에 구조변경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범용적인 보급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도록 유니트화되어 대량 생산 및 보급이 가능하며, 주택의 구조변경이 요구되지 않아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화재나 강풍 발생을 자동을 감지하여 제1,2방화문(50)(60)이 창호(3)를 자동으로 덮어 보호함으로써, 거주자가 집을 비우거나 외출한 상황이 되더라도 창호(3)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20 ... 제1,2커버몸체 10a, 20a ... 제1,2출입구
30 ... 상부레일 31 ... 상부가이드홈
40 ... 하부레일 41 ... 하부가이드홈
50, 60 ... 제1,2방화문 51, 61 ... 제1,2가이드베어링
52, 62 ... 제1,2구름베어링 53, 63 ... 제1,2치합단
55, 65 ... 제1,2방화유리 56, 66 ... 제1,2연결브라켓
70 ... 벨트구동부 71 ... 제1벨트이송유니트
72 ... 제2벨트이송유니트 73 ... 배터리
74 ... 태양전지 80 ... 베이스보드
81 ... 제1창호끼움공 82 ... 보드체결공
90 ... 매개결합보드 91 ... 제2창호끼움공
92 ... 보드볼트단 93 ... 절곡지지단
95 ... 이격부재 100 ... 방염브러쉬
110 ... 온도센서 120 ... 제1작동신호발생부
130 ... 풍속센서 140 ... 제2작동신호발생부
150 ... 야간화재감지부 151 ... 수직관
152 ... 제1조도센서 153 ... 제2조도센서
160 ... 제3작동신호발생부

Claims (8)

  1.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에 철판이 덧대어져 구현되는 주택몸체(1)와, 상기 주택몸체(1)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도어(2)와, 상기 주택몸체(1)에 설치되는 창틀(3a) 내측에서 이송되게 설치되는 창문(3b)으로 구성되는 창호(3)를 가지는 조립식 주택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호(3) 양측의 주택몸체(1)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2출입구(10a)(20a)가 형성되고, 나머지면이 폐쇄된 금속 박스로 된 제1,2커버몸체(10)(20);
    상기 창호(3)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레일(30);
    상기 창호(3)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레일(40);
    상기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몰입될 때 상기 창호(3)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제1,2커버몸체(10)(20)에서 빠져나올 때 상기 창호(3)를 덮는 제1,2방화문(50)(60); 및
    상기 제1,2방화문(50)(60)과 연결되는 구동벨트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제1,2방화문(50)(60)을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에 몰입시키거나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벨트구동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구동부(70)는,
    상기 제1방화문(50)을 상기 제1커버몸체(10) 내측에서 상기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1벨트이송유니트(71)와, 상기 제2방화문(60)을 상기 제2커버몸체(20) 내측에서 상기 창호(3) 측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제2벨트이송유니트(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창호(3)가 끼어지는 제1창호끼움공(8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창호끼움공(81)의 좌우측에서 제1,2커버몸체(10)(20)를 마주보게 지지하고, 상기 제1창호끼움공(81) 상하부측에서 상기 제1,2방화문(50)(6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부 부레일(30)(4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상,하부 레일(30)(40)을 한몸체로 유니트화시키는 베이스보드(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보드(80)를 상기 주택몸체(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주택몸체(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창호(3)가 끼어져 관통되는 제2창호끼움공(91) 및 하단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보드(80)로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절곡지지단(93)을 가지는 매개결합보드(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몸체(10)(20)의 출입구(10a)(20a)에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평소 먼지가 상기 제1,2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외부 화염이 제1,커버몸체(10)(20)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상기 제1,2방화문(50)(60) 사이와의 틈새를 막는 방염브러쉬(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 근처의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 및
    상기 온도센서(1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때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1작동신호(S1)를 발생하는 제1작동신호발생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택몸체(1) 근처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130); 및
    상기 풍속센서(130)에서 측정된 풍속이 설정된 풍속 이상일 때 상기 벨트구동부(70)의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2작동신호(S2)를 발생하는 제2작동신호발생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야간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야간화재감지부(150); 및
    상기 야간화재감지부(150)가 야간에 화재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벨트구동부(70)의 제1,2벨트이송유니트(71)(72)를 작동시키는 제3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제3작동신호발생부(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0210127069A 2021-09-27 2021-09-27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36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69A KR102363160B1 (ko) 2021-09-27 2021-09-27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69A KR102363160B1 (ko) 2021-09-27 2021-09-27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160B1 true KR102363160B1 (ko) 2022-02-15

Family

ID=8032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069A KR102363160B1 (ko) 2021-09-27 2021-09-27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97Y1 (ko) * 2000-11-14 2001-05-15 김봉근 방음 방열용 가리개 프레임
KR20100004187U (ko) * 2008-10-14 2010-04-22 정창웅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는 이동형 창문 가림 구조물
KR101673392B1 (ko) * 2016-04-07 2016-11-07 박응래 이격공간 단열주택
KR20190061623A (ko) * 2017-11-28 2019-06-05 (주)거광기업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97Y1 (ko) * 2000-11-14 2001-05-15 김봉근 방음 방열용 가리개 프레임
KR20100004187U (ko) * 2008-10-14 2010-04-22 정창웅 인테리어 효과를 가지는 이동형 창문 가림 구조물
KR101673392B1 (ko) * 2016-04-07 2016-11-07 박응래 이격공간 단열주택
KR20190061623A (ko) * 2017-11-28 2019-06-05 (주)거광기업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aack et al. Façades: principles of construction
EP2707556B1 (en) Modular roof system for a building
KR102149326B1 (ko) 방화 및 단열 창호
KR102363160B1 (ko)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363161B1 (ko)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JP5140535B2 (ja) 建具
KR101251709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을 위한 평지붕형 커튼 월 마운트 조립체
JP2008196144A (ja) 住宅
JP2012251294A (ja) 建物
KR102424612B1 (ko) 내화성과 방화성 및 단열성이 강화된 기능성 창호의 구조
KR101325837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5781740B2 (ja) 蓄電池を備えた集合住宅
KR101067221B1 (ko) 빌딩 외벽의 층간 방화구조체 겸용 태양전지모듈 설치대
JPH0849378A (ja) 太陽電池パネルを備えた屋根構造
CN116290393A (zh) 模块化住宅建筑的供暖和冷却系统
GB2474333A (en) Roof covering including wind turbines
KR102391200B1 (ko) 다목적 태양광 모듈형 파빌리온
KR101333890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CN109607354A (zh) 一种耐低温钢带电梯
KR102239502B1 (ko) 태양광패널 덧문이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및 이의 제작방법
JP3859519B2 (ja) 高機能手摺および換気装置
PL217768B1 (pl) Sposób wytwarzania okien i okiennic solarnych oraz okno solarne i okiennica solarna
CN211666344U (zh) 一种建筑工程管理用的入口岗亭结构
JP6052963B2 (ja) 集合住宅
KR102483939B1 (ko) 화염 차단 장치를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