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370B1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3370B1 KR101673370B1 KR1020150074964A KR20150074964A KR101673370B1 KR 101673370 B1 KR101673370 B1 KR 101673370B1 KR 1020150074964 A KR1020150074964 A KR 1020150074964A KR 20150074964 A KR20150074964 A KR 20150074964A KR 101673370 B1 KR101673370 B1 KR 101673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locking member
- bar
- moved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G07D11/0006—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자동화기기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부 및 출금부를 포함하고,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링부; 상기 핸들링부 아래에 배치되고, 도어가 구비되는 금고; 지폐가 저장되는 카세트가 수용되고, 상기 금고 내부에 위치하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고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카세트 수용부; 상기 금고의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걸리며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가 걸리는 걸림유닛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링부 및 상기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1 셔터; 및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2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또 은행 직원의 도움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이다.
근래에 와서는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뿐 아니라, 금융기관 내부적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업무 종료 후 정산 작업 등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계원(teller)을 위한 금융자동화기기도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는 계원의 책상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지폐의 저장을 위한 금고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계원의 조작에 의해 입금 또는 출금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간으로 지폐의 계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는 계원의 조작에 의해 지폐의 입출금이 이루어지는 핸들링부(10)와, 지폐를 저장 및 보호하기 위한 금고(2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링부에는 입금부(11), 출금부(12), 반송부(13), 지폐감별장치(1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금고(20)는 핸들링부(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금고(20) 내부에는 지폐가 저장되는 복수의 카세트(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세트(40)는 카세트 수용부(30)에 수용될 수 있다. 금고(20)의 일측에는 금고(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5)가 구비될 수 있다. 지폐는 핸들링부(10)와 금고(20)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한편, 핸들링부(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금부(11), 출금부(12) 및 반송부(13) 등이 포함되는바 지폐의 반송 과정 중에 잼(jam)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핸들링부(10)에 포함되는 부품의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잼 제거 또는 부품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핸들링부(10)를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1)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나, 매번 핸들링부(10)를 분리시킬 수는 없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부(10)를 금고(20)에 대하여 일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핸들링부(10)가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계원은 핸들링부(10)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핸들링부(10)에 대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금고(20) 내부의 카세트(40)에 대한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40)는 교체되거나 유지보수될 수 있고, 지폐가 카세트(40)에 보충되거나 카세트(40)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되기 위하여 카세트(40)가 수용된 카세트 수용부(30)는 금고(2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원은 도어(25)를 열고 카세트 수용부(30)를 금고(20) 외부로 슬라이딩시킨 후(예를 들어, 카세트 수용부(30)를 당김) 카세트(4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카세트(40)와 관련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계원은 무지(無知) 또는 실수로 핸들링부(10)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25)를 열고 카세트 수용부(30)를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카세트 수용부(3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핸들링부(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핸들링부(10)와 카세트 수용부(30)가 동시에 전방으로 돌출되면 순간적인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해 금융자동화기기(1)가 전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핸들링부(10)를 돌출시킨 후 핸들링부(10)의 하부커버를 열어 작업을 하는 와중에 카세트 수용부(30)를 돌출시킨다면 구성들 간의 물리적 충돌에 의해 파손 위험성이 있다. 카세트 수용부(30) 및 카세트(40)에 대한 작업 중 핸들링부(10)를 돌출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택적으로 핸들링부와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핸들링부와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부 및 출금부를 포함하고,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링부; 상기 핸들링부 아래에 배치되고, 도어가 구비되는 금고; 지폐가 저장되는 카세트가 수용되고, 상기 금고 내부에 위치하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고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카세트 수용부; 상기 금고의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걸리며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가 걸리는 걸림유닛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링부 및 상기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1 셔터; 및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2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1 바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는 상기 제 1 바의 하단부에 걸리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는 상기 제 1 바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단은 상기 걸림유닛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신장되어 상기 걸림유닛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이동을 허용하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1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에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기설정된 높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는 핀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방 이동하며, 상기 핀이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기설정된 높이에 이르면, 상기 이동 블록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제 1 위치일 때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셔터는,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제 1 차단부재; 및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 1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제 1 차단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상기 금고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에는 제 1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상기 금고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탭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2 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바는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3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셔터는,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제 2 차단부재; 및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 2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셔터는, 상기 제 2 차단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링부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를 가지고, 상기 핸들링부에는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핸들링부가 후방으로 복귀할 때 상기 제 2 탭이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1 바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는 상기 제 1 바의 하단부에 걸리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는 상기 제 1 바의 상단부에 걸리며,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바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1 바는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4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핸들링부와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핸들링부와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된 도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었을 때의 잠금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된 도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었을 때의 잠금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X 방향은 전방을, -X 방향은 후방을, Y 및 Y 방향은 상하 방향을, Z 및 Z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핸들링부와 카세트 수용부가 모두 X 방향, 즉 전방으로 이동(돌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된 도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에서 설명한 금융자동화기기(1)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금융자동화기기(100)는 핸들링부(110), 금고(120), 카세트 수용부(130), 카세트(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링부(110)에는 입금부와 출금부를 비롯하여 반송부, 지폐감별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핸들링부(110)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금고(1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140)가 수용된 카세트 수용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지폐는 핸들링부(110)와 금고(120)(더 구체적으로는 카세트(140)) 사이에서 양방향 반송될 수 있다. 금고(120)는 핸들링부(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금고(120)의 일측에는 도어(1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링부(110)와 카세트 수용부(130)는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카세트 수용부(130)가 전방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금고(120)의 도어(125)는 열릴 수 있다. 역시 상술하였듯이, 핸들링부(110)와 카세트 수용부(130) 중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무지(無知) 또는 실수로 인해 다른 하나도 전방으로 이동된다면 무게중심의 이동으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전도 가능성이 있고, 각 구성/부품의 파손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잠금모듈(150)은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핸들링부(110)의 이동은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핸들링부(110)는 자유롭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핸들링부(110)가 전방에 위치할 때 카세트 수용부(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시도가 있더라도 카세트 수용부(13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잠금모듈(150)은 핸들링부(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은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카세트 수용부(130)는 자유롭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카세트 수용부(1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금고(120)의 외부에 위치할 때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시도가 있더라도 핸들링부(11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잠금모듈(150)은 이동, 더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핸들링부(110) 또는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핸들링부(110)와 카세트 수용부(130)는 잠금모듈(150)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이동이 불가할 수 있다. 잠금모듈(150)의 일부가 핸들링부(110) 또는 카세트 수용부(130)를 막을 수도 있고, 잠금모듈(150)의 일부가 핸들링부(110) 또는 카세트 수용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모듈(150)은 금고(120)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는 금고(120)의 상부 모서리 쪽의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모듈(150)의 일부는 금고(12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금고(120)의 안팎으로 이동하여 핸들링부(11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잠금모듈(150)의 초기상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을 수 있다. 즉, 초기상태에서 잠금모듈(150)은 금고(120) 내부의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하고, 핸들링부(110)의 자유로운 이동은 보장할 수 있다. 카세트 수용부(130)를 금고(120) 외부로 이동시키려면 도어(125)의 개방이라는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동작은 없게 되고, 카세트 수용부(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125)를 개방(다이얼 등의 조작)하면서 잠금모듈(150)을 함께 조작하여 잠금모듈(150)이 도 4의 상태에서 도 5와 같은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초기상태,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모듈(150)이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하고 핸들링부(110)의 이동은 제한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잠금모듈(15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6은 도 4에서 잠금모듈(150) 부분을 확대도시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은 잠금모듈(150)을 전방 위, 그리고 Z 방향 쪽으로부터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잠금모듈(150)을 전방 위, 그리고 Z 방향 쪽으로부터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금고(120)는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모듈(150)은 브라켓(160), 걸림유닛(170), 이동블록(1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60)의 하부에는 제 1 셔터(210)가, 금고(120)의 상면(외측면)에는 제 2 셔터(220)가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160)은 금고(120)의 내측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브라켓(160)은 금고(120)의 상부 모서리 쪽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브라켓(160)에 후술할 걸림유닛(170) 및 이동블록(18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60)에는 제 1 탄성부재(190)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편(162)이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걸림유닛(170)은 브라켓(16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유닛(17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유닛(170)에는 제 1 바(171)가 구비되는데, 제 1 바(171)는 걸림유닛(170)에 결합되어 걸림유닛(17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유닛(170)이 하방 이동했을 때 카세트 수용부(130)는 제 1 바(171)의 하단부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했을 때 핸들링부(110)는 제 1 바(171)의 상단부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 1 바(171)의 상단부는 금고(12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123)을 관통하며, 제 1 바(171)는 상기 통공(123)을 통해 금고(120)의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링부(110)가 자유로운 초기상태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171)의 상단부는 통공(123) 내에 존재하되 상단은 금고(120)의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핸들링부(110)가 제 1 바(171)의 상단부에 걸려서 그 이동이 제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 1 바(171)의 상단은 금고(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0 참조).
걸림유닛(170)에는 노브(172)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17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노브(172)를 들어올려 걸림유닛(170)(제 1 바(171) 등 포함)이 상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노브(172)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유닛(170)에는 핀(173)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90)의 상단은 상기 핀(173)에 걸릴 수 있다. 상술하였다시피, 제 1 탄성부재(190)의 하단은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60)의 걸림편(162)에 걸리는바,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했을 때 제 1 탄성부재(190)는 신장될 수 있고, 핀(173)을 매개로 걸림유닛(170)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핀(173)은 걸림유닛(170)에서 금고(120)의 내측벽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핀(173)은 후술할 이동블록(180)의 중공부(182)를 관통할 수 있다.
걸림유닛(170)에는 제 2 바(17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바(174)는 제 1 바(171)와 마찬가지로 걸림유닛(170)에 결합되어 걸림유닛(17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 2 바(174)가 제 1 셔터(210)에 막혀서 하방 이동이 제한되면 걸림유닛(170) 전체의 하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바(174)가 제 1 셔터(210)에 막히지 않은 상태, 즉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림유닛(170) 전체의 하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동블록(180)은 브라켓(16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유닛(170)과 이동블록(180)의 이동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걸림유닛(170)이 상하로 이동하므로 이동블록(180)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블록(18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위해, 이동블록(180)과 브라켓(160) 사이에는 제 2 탄성부재(200)가 제공될 수 있고, 제 2 탄성부재(200)는 이동블록(180)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블록(180)에는 중공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182)는 제 1 부분(183)과 제 2 부분(1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183)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2 부분(184)은 제 1 부분(183)의 기설정된 높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부분(183)과 제 2 부분(184)에 의하여 중공부(182)에는 일종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걸림유닛(170)의 핀(173)은 중공부(182)를 관통할 수 있고, 걸림유닛(170)의 이동에 따라 중공부(18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블록(180)은 제 1 위치를 가질 때에는 걸림유닛(170)의 이동을 허용하며, 제 2 위치를 가질 때에는 걸림유닛(17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블록(180)은 걸림유닛(170)이 하방 이동했을 때 제 1 위치를 가짐으로써 걸림유닛(170)이 향후 상방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했을 때에는 제 2 위치를 가짐으로써 제 1 탄성부재(190)가 제공하는 하방으로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걸림유닛(170)이 하방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이동블록(180)은 제 1 위치를 가진다. 따라서 걸림유닛(170)은 상방 이동 가능하며, 걸림유닛(170)의 상방 이동 시 핀(173)은 중공부(182)의 제 1 부분(183)을 따라 상방 이동할 수 있다. 이후, 핀(173)이 제 1 부분(183)에서 기설정된 높이에 이르면 후방으로 연장된 제 2 부분(184)에 마주할 수 있다. 이 때 핀(173)이 이동블록(180)에 가하던 전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억제력이 없어지면서 이동블록(180)은 제 2 탄성부재(20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동블록(180)이 제 2 위치를 가질 때 핀(173)은 제 2 부분(184)에 위치하게 되고, 앞서 설명한 단턱에 의해 핀(173)의 하방 이동은 제한되며, 결국 걸림유닛(170)의 하방 이동 또한 제한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9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걸림유닛(170)의 핀(173) 및 브라켓(160)의 걸림편(16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90)는 도 8과 같은 상태, 즉 잠금모듈(150)이 카세트 수용부(130)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초기상태에서 초기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후,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하면, 브라켓(160)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탄성부재(190)는 신장될 수 있고, 그 결과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걸림유닛(170)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00)의 양단은 각각 브라켓(160) 및 이동블록(18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00)는 이동블록(180)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블록(180)은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하여 핀(173)에 의한 이동 억제력이 없어지는 순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핀(173)이 제 2 부분(184)에 위치하여 다시 이동블록(180)에 억제력을 가하면 이동블록(18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잠금모듈(150)의 하부, 예를 들어 브라켓(160)의 하부에는 제 1 셔터(21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셔터(210)는 걸림유닛(170)의 하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제 1 셔터(210)는 제 1 차단부재(211)(도 9 내지 도 11 참조, 또는 제 2 차단부재(221) 참조), 가이드구조(212) 및 제 3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단부재(211)는 예를 들어 전후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 1 위치에서는 걸림유닛(170)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걸림유닛(170)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에 있다는 것은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바(174)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위치에 있다는 것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구조(212)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를 가져 제 1 셔터(210)의 외곽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 1 차단부재(211)는 가이드구조(212)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차단부재(211)의 이동은 가이드구조(21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구조(212)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 3 탄성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는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제 1 차단부재(21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를 가질 경우 제 3 탄성부재는 초기길이를 갖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2 위치를 가질 경우 제 3 탄성부재는 압축되어 제 1 차단부재(211)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차단부재(211)의 전단은 제 2 바(174)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 바(174)의 입장에서 보면, 제 2 바(174)는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3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차단부재(211)에는 제 1 탭(2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탭(213)은 제 1 차단부재(211)의 전단에서 하방 돌출된 것으로 예시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제 1 탭(213)이 제 2 바(174)에 밀착될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 1 탭(213)은 카세트 수용부(130)에 구비되는 제 1 돌출부(미도시)와 물리적으로 간섭될 수 있고, 따라서 카세트 수용부(130)가 금고(120)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금고(120) 내부로 복귀할 때 제 1 탭(213)은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고, 이는 제 1 차단부재(21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잠금모듈(150)의 상부, 예를 들어 금고(120)의 상면(외측면)에는 제 2 셔터(2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 셔터(220)는 걸림유닛(170)의 상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제 2 셔터(220)는 제 2 차단부재(221), 가이드구조(222) 및 제 4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차단부재(221)는 예를 들어 전후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 1 위치에서는 걸림유닛(170)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걸림유닛(170)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위치에 있다는 것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바(171)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2 위치에 있다는 것은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구조(222)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를 가져 제 2 셔터(220)의 외곽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 2 차단부재(221)는 가이드구조(222)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2 차단부재(221)의 이동은 가이드구조(22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구조(222)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 4 탄성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제 4 탄성부재는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제 2 차단부재(22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위치를 가질 경우 제 4 탄성부재는 초기길이를 갖고, 도 10과 같이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2 위치를 가질 경우 제 4 탄성부재는 압축되어 제 2 차단부재(221)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차단부재(221)의 전단은 제 1 바(171)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 바(171)의 입장에서 보면, 제 1 바(171)는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4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한편, 제 2 차단부재(221)에는 제 2 탭(22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탭(223)은 제 2 차단부재(221)의 전단에서 상방 돌출된 것으로 예시한다. 따라서 도 10에서 제 2 탭(223)이 제 1 바(171)에 밀착될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 2 탭(223)은 핸들링부(110)에 구비되는 제 2 돌출부(미도시)와 물리적으로 간섭될 수 있고, 따라서 핸들링부(110)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정위치로 복귀할 때 제 2 탭(223)은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고, 이는 제 2 차단부재(22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었을 때, 즉 핸들링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초기상태에서의 잠금모듈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걸림유닛(170)은 하방 이동해 있는 상태일 수 있고, 따라서 카세트 수용부(130)는 제 1 바(171)의 하단부에 걸려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반면, 제 1 바(171)는 핸들링부(110)는 간섭하지 않는바 사용자는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 탄성부재(190)는 초기길이를 갖는바 걸림유닛(170)에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180)은 제 1 위치를 가져 걸림유닛(170)의 상방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셔터(210)의 제 1 차단부재(211)는 제 2 위치를 가져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3 탄성부재는 제 1 차단부재(211)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 1 차단부재(211)는 제 2 바(174)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174)는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셔터(220)의 제 2 차단부재(221)는 제 1 위치를 가져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4 탄성부재는 초기길이를 가져 제 2 차단부재(221)에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핸들링부(11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가 금고(120)의 도어(125)를 열고 카세트 수용부(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 상술하였듯이 카세트 수용부(130)는 제 1 바(171)의 하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세트 수용부(130)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해 노브(172)를 들어올림으로써 제 1 바(171)를 포함한 걸림유닛(170)을 상방 이동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에도 걸림유닛(170)은 상방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셔터(220)의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1 위치를 가져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걸림유닛(170)을 상방 이동시키려면 우선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2 위치를 가져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도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던 핸들링부(11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핸들링부(110)에 구비된 제 2 돌출부와 제 2 셔터(220)의 제 2 탭(223) 간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제 2 탭(223)이 제 2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에 의하여 제 2 차단부재(221)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제 2 차단부재(221)는 제 2 위치를 가져 제 1 바(171)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노브(172)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노브(172)가 상방 이동됨에 의하여 제 1 바(171), 제 2 바(174) 등을 포함하는 걸림유닛(170)은 상방 이동될 수 있다. 핸들링부(110)는 제 1 바(171)의 상단부에 걸려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 1 바(171)의 상단은 제 2 차단부재(221)가 제 4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제 1 바(171)가 상방 이동하면서 카세트 수용부(130)는 더 이상 제 1 바(171)에 걸리지 않는바, 사용자는 카세트 수용부(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걸림유닛(170)이 상방 이동함에 따라 핀(173) 역시 상방 이동하고, 핀(173)은 중공부(182)의 제 1 부분(183)을 따라 상방 이동하다가 제 1 부분(183)의 기설정된 높이에 이르면 제 2 부분(184)으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173)이 제 1 부분(183)의 기설정된 높이에 이르러 제 2 부분(184)으로 진입하면 순간적으로 핀(173)이 이동블록(180)에 가하던 이동 억제력이 없어지므로, 이동블록(180)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탄성부재(20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핀(173)은 제 1 부분(183)과 제 2 부분(184)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신장된 제 1 탄성부재(190)가 제공하는 하방으로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걸림유닛(170)은 하방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2 바(174)가 상방 이동함에 따라 제 1 차단부재(211)는 제 3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카세트 수용부(1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가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 상술했듯이 핸들링부(110)는 제 1 바(171)의 상단부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들링부(110)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해 노브(172)를 내리거나 이동블록(180)을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제 1 바(171)를 포함한 걸림유닛(170)을 하방 이동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에도 걸림유닛(170)은 하방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셔터(210)의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를 가져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시 도 9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즉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금고(120) 외부로 이동되어 있는 카세트 사용부(130)가 다시 금고(120) 내부로 이동되어 정위치되어야 한다.
도 11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핸들링부의 이동이 제한되다가 카세트 수용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이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면,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던 카세트 수용부(130)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카세트 수용부(130)에 구비된 제 1 돌출부와 제 1 셔터(210)의 제 1 탭(213) 간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제 1 탭(213)이 제 1 돌출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제 1 차단부재(211)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제 1 차단부재(211)는 제 2 위치를 가져 제 2 바(174)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다.
카세트 수용부(130)가 정위치된 후, 금고(120)의 도어(125)가 닫힐 수 있다. 이때,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 2 위치를 가지던 이동블록(180)은 도어(125)에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되어 다시 제 1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25)의 내측면에도 이동블록(180)을 누를 수 있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블록(180)이 제 1 위치를 가지게 되었으므로 핀(173)이 더 이상 중공부(182)의 단턱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핀(173)은 중공부(182)의 제 1 부분(183)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유닛(170)은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신장되어 있던 제 1 탄성부재(190)는 걸림유닛(170)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걸림유닛(170)은 제 1 탄성부재(190)가 초기길이로 복귀할 때까지 하방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바(171) 역시 하강하여 카세트 수용부(130)는 제 1 바(171)의 하단부에 걸려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바(174)도 하방 이동하여 제 1 차단부재(211)가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바(171)의 하방 이동에 의해 핸들링부(110)는 더 이상 제 1 바(171)의 상단부에 걸리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링부(1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차단부재(221)는 제 4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제 1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100)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teller cash recycler)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이외의 금융자동화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 1 바(171)가 제 2 셔터(220)와 연동하고, 제 2 바(174)가 제 1 셔터(210)와 연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 2 바는 생략되고, 제 1 바의 하부 측에 제 1 셔터가 배치되어, 제 1 바가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 모두와 연동할 수도 있다.
100: 금융자동화기기 110: 핸들링부
120: 금고 130: 카세트 수용부
140: 카세트 150: 잠금모듈
160: 브라켓 170: 걸림유닛
180: 이동블록 190: 제 1 탄성부재
200: 제 2 탄성부재 210: 제 1 셔터
220: 제 2 셔터
120: 금고 130: 카세트 수용부
140: 카세트 150: 잠금모듈
160: 브라켓 170: 걸림유닛
180: 이동블록 190: 제 1 탄성부재
200: 제 2 탄성부재 210: 제 1 셔터
220: 제 2 셔터
Claims (16)
- 입금부 및 출금부를 포함하고,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핸들링부;
상기 핸들링부 아래에 배치되고, 도어가 구비되는 금고;
지폐가 저장되는 카세트가 수용되고, 상기 금고 내부에 위치하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금고 외부에 위치할 수 있는 카세트 수용부;
상기 금고의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걸리며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가 걸리는 걸림유닛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링부 및 상기 카세트 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1 셔터; 및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 2 셔터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1 바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는 상기 제 1 바의 하단부에 걸리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는 상기 제 1 바의 상단부에 걸리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걸림유닛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신장되어 상기 걸림유닛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이동을 허용하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블록을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1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에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기설정된 높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는 핀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핀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방 이동하며,
상기 핀이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기설정된 높이에 이르면, 상기 이동 블록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블록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제 1 위치일 때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도어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위치를 가지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하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제 1 차단부재; 및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 1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는, 상기 제 1 차단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상기 금고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를 가지고,
상기 카세트 수용부에는 제 1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카세트 수용부가 상기 금고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탭이 상기 제 1 돌출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를 가지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2 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1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바는 상기 제 1 차단부재가 상기 제 3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는,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유닛의 상방 이동 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제 2 차단부재; 및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초기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 2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셔터는, 상기 제 2 차단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링부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위치를 가지고,
상기 핸들링부에는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핸들링부가 후방으로 복귀할 때 상기 제 2 탭이 상기 제 2 돌출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위치를 가지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유닛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는 제 1 바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유닛이 하방 이동했을 때 상기 카세트 수용부는 상기 제 1 바의 하단부에 걸리고,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핸들링부는 상기 제 1 바의 상단부에 걸리며,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1 바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질 때 상기 제 2 차단부재는 상기 제 2 바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금융자동화기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2 위치를 가져 상기 걸림유닛이 상방 이동했을 때, 상기 제 1 바는 상기 제 2 차단부재가 상기 제 4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해하는 금융자동화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4964A KR101673370B1 (ko) | 2015-05-28 | 2015-05-28 | 금융자동화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4964A KR101673370B1 (ko) | 2015-05-28 | 2015-05-28 | 금융자동화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3370B1 true KR101673370B1 (ko) | 2016-11-07 |
Family
ID=5752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4964A KR101673370B1 (ko) | 2015-05-28 | 2015-05-28 | 금융자동화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337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425B1 (ko) * | 2000-12-25 | 2004-03-24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지폐입출금기 |
KR20090093698A (ko) | 2008-02-29 | 2009-09-0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KR100980151B1 (ko) * | 2008-08-12 | 2010-09-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 |
KR20140148139A (ko) * | 2013-06-21 | 2014-12-31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
-
2015
- 2015-05-28 KR KR1020150074964A patent/KR1016733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4425B1 (ko) * | 2000-12-25 | 2004-03-24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지폐입출금기 |
KR20090093698A (ko) | 2008-02-29 | 2009-09-0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KR100980151B1 (ko) * | 2008-08-12 | 2010-09-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 |
KR20140148139A (ko) * | 2013-06-21 | 2014-12-31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58125B1 (en) | Cash box provided with self-locking mechanism | |
JPS60244720A (ja) | 紙葉類収納装置 | |
EP3032506B1 (en) | Teller cash recycler | |
KR101590714B1 (ko) | 금융기기 | |
RU259694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осителей | |
WO2017211251A1 (zh) | 一种实现安全联锁的卡箱和自动售票机 | |
JP5831010B2 (ja) | ロック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 |
KR101170559B1 (ko) |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 |
KR101673370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US9396601B2 (en) | Cash box with two locking units | |
KR101468139B1 (ko) | 매체관리장치 | |
JP6891924B2 (ja) | 媒体処理装置 | |
KR100487821B1 (ko)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 |
KR101001689B1 (ko) | 지폐카세트 전원단속장치 및 방법 | |
KR100613834B1 (ko) |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 |
KR100951487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628204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649955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310422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 구조 | |
KR20160077908A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678983B1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JP6554939B2 (ja) | 媒体処理装置 | |
JP7197860B2 (ja) |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 |
KR20140148139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 |
JP4899673B2 (ja) | 紙幣識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