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821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821B1
KR100487821B1 KR10-2002-0075675A KR20020075675A KR100487821B1 KR 100487821 B1 KR100487821 B1 KR 100487821B1 KR 20020075675 A KR20020075675 A KR 20020075675A KR 100487821 B1 KR100487821 B1 KR 10048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edia
collection box
main body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448A (ko
Inventor
안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2-007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821B1/ko
Priority to US10/721,322 priority patent/US6901239B2/en
Publication of KR2004004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매체회수함(60)을 매체자동지급기(5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매체회수함(60)의 입구부(61')가 개방된다. 반대로, 매체회수함(60)을 매체자동지급기(50)에서 빼내는 과정에서 입구부(61')가 폐쇄되고 잠금상태로 된다. 이를 위해 매체회수함(60)의 본체(61) 내부에는 개방마그네트(66)를 구비하는 록킹플레이트(65)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플레이트(65)와 대응되는 매체자동지급기(50)의 위치에 해제마그네트(54)가 설치된다. 상기 개방마그네트(66)와 해제마그네트(54)는 서로 동일한 극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척력을 발휘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5)에는 상기 입구부(61')를 개폐하는 도어유니트(70)의 일측이 지지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회수함(60)의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이 높아짐이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A locking apparatus for reject box}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자동지급기에서 회수되는 매체를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회수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회수함을 구비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개략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측에는 피드모듈부(1)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모듈부(1)에 인접한 위치에는 지급되는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보관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모듈부(1)는 매체보관부에 보관된 매체를 딜리버리모듈부(3)로 전달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부(3)는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딜리버리모듈부(3)에는 분기부(5)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기부(5)는 딜리버리모듈부(3)에서 이송되는 매체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매체중 불량인 것이나, 고객에게 지급되지 않고 회수되는 것을 매체회수경로(6)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매체회수함(1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매체회수함(10)은 매체중에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고객에게 지급되지 않고 회수되는 것을 보관하는 것으로, 소정 형상의 본체(11)의 내부에 저장공간(1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12)은 회수되는 매체가 모여지는 공간이다.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연통공(15)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통공(15)은 회수함(10)이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었을 때, 개폐레버(7)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곳으로, 상기 개폐레버(7)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상기 저장공간(12)과 상기 매체회수경로(6)가 연통되게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진입구(17)가 형성된다. 상기 진입구(17)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진입구(17)에 그 표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그 일부가 절제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도어(20)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20)에는 연동레버(2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동레버(23)는 상기 개폐레버(7)와 연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수함(10)이 매체자동지급기의 딜리버리모듈부(3)에 장착될 때, 상기 연통공(15)을 통해 회수함(10)의 내부로 삽입된 개폐레버(7)와 연동되어 상기 도어(20)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동레버(23)에는 스프링(25)이 연결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어(20)를 항상 상기 진입구(1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함(10)에는 상기 연동레버(23)를 체결시켜 주는 체결구(2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27)는 일종의 잠금장치로서, 상기 연동레버(23)가 임의로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회수함(10)은 그 내부에 회수된 매체를 보관하였다가, 이를 수거하는 작업자가 빼내어 회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회수함(10)을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빼내었을 때, 상기 회수함(10)은 상기 도어(20)만이 자동으로 닫혀지고, 상기 체결구(27)는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상기 회수함(10)의 도어(20)를 상기 체결구(27)를 조작하여 잠궈야 한다. 이때, 상기 매체가 경제적인 가치가 있는 지폐 등인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한 도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에 의한 잠금동작없이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분리되면 잠금이 이루어지고,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본체 내부에 매체가 보관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입구부가 형성된 매체회수함과, 상기 매체회수함이 장착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방부재에 걸려져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부를 개방하고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입구부를 차폐하는 도어유니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유니트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도어유니트가 개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록킹플레이트와, 자기력으로 상기 록킹플레이트를 구동하여 록킹플레이트가 도어유니트를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도어유니트가 개방가능하게 하는 개방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와 개방구동부에는 각각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도어유니트의 일측과 간섭되는 위치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도어유니트는, 상기 본체의 입구부를 차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록킹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도어잠금레버와, 상기 도어본체가 상기 입구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발휘하는 도어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와 도어잠금레버는 상기 본체의 내측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매체회수함의 본체 선단에 대응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위치에는 본체를 자기력으로 고정시키는 부착마그네트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회수함을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하면 매체회수함의 입구부가 개방되고 매체회수함을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분리하여 내면 입구부가 폐쇄되면서 잠금상태로 되어 매체의 회수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회수함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개략 구성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매체회수함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5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매체회수함(60)이 장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공간의 양단을 프레임(51)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51)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매체회수함(60)이 안착되는 공간의 상방에는 개방부재(52)가 설치된다. 상기 개방부재(52)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상이다. 상기 개방부재(5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재(52)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유니트(70)의 개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양측의 프레임(51)에는 해제마그네트(54)가 설치된다. 상기 해제마그네트(54)는 마그네트홀더(56)에 의해 상기 프레임(51)에 장착된다. 상기 해제마그네트(54)의 도어유니트(70)의 잠김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매체회수함(60)이 안착되는 상기 매체자동지급기(50) 내의 공간에는 매체회수함(60)을 자기력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마그네트(58)가 설치된다. 상기 부착마그네트(58)는 상기 매체회수함(60)을 자기력으로 부착시켜 매체회수함(60)이 보다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매체회수함(60)의 외관을 소정 형상의 본체(61)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61)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61)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는 입구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부(61')는 본체(61)내부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입구부(61')가 형성된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61)의 양단에는 안내레일(62)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62)은 상기 매체자동지급기(50) 내의 공간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안내되면서 매체회수함(6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61)의 양측 내벽에는 록킹플레이트(65)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5)는 상기 본체(61)의 양측 내벽에 힌지핀(67)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5)의 일측에는 개방마그네트(66)가 설치된다. 상기 개방마그네트(66)는 상기 해제마그네트(54)와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플레이트(65)는 힌지핀(67)을 중심으로 그 양단이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5)는 그 힌지핀(67)에 복원스프링(68)을 구비하는데, 상기 복원스프링(68)의 탄성력에 상기 개방마그네트(66)가 설치된 부분이 상기 본체의 내벽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본체(61)의 입구부(61')는 도어유니트(70)가 개폐한다. 상기 도어유니트(70)는 상기 입구부(61')보다는 큰 면적을 가져, 입구부(61)를 폐쇄하는 도어본체(71)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본체(71)는 도어링크(72)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측면에서 볼 때 라운드지게 형성된 입구부(61')를 폐쇄한다. 상기 도어본체(71)는 그 양단이 상기 본체(61)에 구비되는 별도의 안내를 위한 구성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도어본체(71)의 일측에는 상기 개방부재(52)의 선단이 안착되어 도어유니트(70)와 연동되게 하는 요홈부(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61)에는 상기 개방부재(5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개방부재(50)가 상기 요홈부(73)에 걸어지도록 하는 안내슬롯(74)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슬롯(74)의 길이는 도어본체(71)의 이동행정과 같다.
한편, 상기 도어본체(7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61)의 록킹플레이트(65)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도어잠금레버(75)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잠금레버(75)는 상기 본체(61)의 양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길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잠금레버(75)는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록킹플레이트(65)에 그 끝단부가 걸어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본체(71)는 도어복귀스프링(76)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복귀스프링(76)은 상기 도어본체(71)의 양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61)의 내부 일측에 걸어져,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지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체회수함(60)은 매체자동지급기(5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차폐한다. 이때, 상기 도어본체(71)의 일측에서 연장된 상기 도어잠금레버(75)의 끝단부가 상기 록킹플레이트(65)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진 상태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도어본체(71)에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도어본체(71)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매체회수함(60)은 상기 매체자동지급기(50)에 장착하면 상기 도어본체(71)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상기 입구부(61')를 개방하여 회수되는 매체가 본체(61)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는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매체회수함(60)을 매체자동지급기(50)에 장착할 때는, 상기 본체(61)의 입구부(61')측이 먼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게 한다. 상기 매체회수함(60)이 상기 공간의 내부로 일정 이상 삽입되면, 상기 개방부재(52)가 상기 안내슬롯(74)으로 들어가, 상기 요홈부(73)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해제마그네트(54)와 상기 록킹플레이트(65)의 개방마그네트(66)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제마그네트(54)와 개방마그네트(66)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어서 척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플레이트(65)가 상기 힌지핀(67)을 중심으로 상기 복원스프링(6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플레이트(65)가 회전되면 상기 도어잠금레버(75)가 더 이상 록킹플레이트(65)에 걸어지지 않아, 도어잠금레버(75)가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5a의 상태에서 상기 매체회수함(60)을 화살표 방향으로 더 밀어 넣으면, 상기 개방부재(52)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71)와 도어잠금레버(75)가 동시에 상기 도어복귀스프링(7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 계속하여 매체회수함(60)을 밀어 넣게 되면, 상기 개방부재(52)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부(61')를 통해 상기 본체(61)의 내부와 매체자동지급기(50)의 매체 회수경로가 연통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회수함(60)이 완전히 매체자동지급기(50)의 내부로 장착되면, 상기 부착마그네트(58)가 상기 본체(61)에 부착되어 매체회수함(60)이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61)는 전체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상 문제가 없다면 금속이외의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부착마그네트(58)와 부착되는 부분에는 별도로 금속판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매체회수함(60)을 매체자동지급기(50)에서 빼내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매체회수함(60)에 힘을 가하면, 상기 부착마그네트(58)와 본체(61) 사이의 부착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매체회수함(60)은 매체자동지급기(50)의 외부로 빠져나오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재(52)는 상기 요홈부(73)내에서 더 이상 상기 도어본체(71)를 지지하지 않게 되어, 상기 도어복귀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닫기 시작한다.
매체회수함(60)이 계속하여 매체자동지급기(50)의 외부로 빠져나오면, 상기 도어본체(71)는 입구부(61')를 점차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플레이트(65)의 일단, 즉 상기 개방마그네트(66)가 구비된 부분은 상기 도어잠금레버(75)의 외면 일측에 상기 복원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록킹플레이트(65)는 상기 도어잠금레버(75)의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게 된다.
상기 매체회수함(60)이 매체자동지급기(50)의 외부로 일정 이상 빠져나오면, 상기 도어본체(71)가 상기 입구부(61')를 상기 도어복귀스프링(76)의 탄성력으로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잠금레버(75)는 그 끝단부가 상기 록킹플레이트(65)를 지나게 되고, 상기 록킹플레이트(65)는 상기 복원스프링(6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힌지핀(6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플레이트(65)의 선단, 즉 상기 개방마그네트(66)가 구비된 부분이 상기 본체(61)에 밀착되면서, 상기 도어잠금레버(75)의 끝단부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본체(71)는 입구부(61')를 개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매체회수함(60)을 상기 매체자동지급기(50)에서 빼내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도어본체(71)에서 연장된 상기 도어잠금레버(75)가 상기 록킹플레이트(65)에 걸어지므로, 도어본체(71)는 잠금상태가 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매체를 꺼낼 수 없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에 매체회수함을 장착함에 의해 본체의 입구부가 개방되고, 매체회수함을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분리함에 의해 본체의 입구부가 폐쇄되고 도어본체가 잠금상태가 된다. 따라서 매체회수함의 취급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체회수함의 도어본체를 잠그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게 되므로 작업자가 부주의로 매체회수함의 도어본체가 잠기지 않은 상태로 취급하지 않게 되고, 매체의 분실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회수함 잠금장치의 바람직할 실시예가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매체회수함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회수함이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회수함이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매체자동지급기 51: 프레임
52: 개방부재 54: 해제마그네트
56: 마그네트홀더 58: 부착마그네트
60: 매체회수함 61: 본체
61': 입구부 62: 안내레일
65: 록킹플레이트 66: 개방마그네트
67: 힌지핀 68: 복원스프링
70: 도어유니트 71: 도어본체
72: 도어링크 73: 요홈부
75: 도어잠금레버 76: 도어복귀스프링

Claims (6)

  1. 소정 형상의 본체 내부에 매체가 보관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일측에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입구부가 형성된 매체회수함과,
    상기 매체회수함이 장착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방부재에 걸려져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부를 개방하고 매체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입구부를 차폐하는 도어유니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유니트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도어유니트가 개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록킹플레이트와,
    자기력으로 상기 록킹플레이트를 구동하여 록킹플레이트가 도어유니트를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도어유니트가 개방가능하게 하는 개방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와 개방구동부에는 각각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복원스프링에 의해 상기 도어유니트의 일측과 간섭되는 위치로 회전되려는 경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니트는,
    상기 본체의 입구부를 차폐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록킹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도어잠금레버와,
    상기 도어본체가 상기 입구부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발휘하는 도어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와 도어잠금레버는 상기 본체의 내측 양단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회수함의 본체 선단에 대응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위치에는 본체를 자기력으로 고정시키는 부착마그네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KR10-2002-0075675A 2002-11-30 2002-11-30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KR10048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75A KR100487821B1 (ko) 2002-11-30 2002-11-30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US10/721,322 US6901239B2 (en) 2002-11-30 2003-11-26 Media reject device of media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75A KR100487821B1 (ko) 2002-11-30 2002-11-30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48A KR20040047448A (ko) 2004-06-05
KR100487821B1 true KR100487821B1 (ko) 2005-05-06

Family

ID=3238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675A KR100487821B1 (ko) 2002-11-30 2002-11-30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01239B2 (ko)
KR (1) KR100487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320B1 (ko) 2005-07-28 2011-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장치
KR101443393B1 (ko) 2008-12-17 2014-09-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카세트 착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69B1 (ko) * 2003-12-31 2005-11-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 개폐장치
JP4474274B2 (ja) * 2004-12-21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745771B1 (ko) * 2005-12-16 2007-08-02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셔터장치
KR100926856B1 (ko) * 2007-08-08 2009-11-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100926857B1 (ko) * 2007-08-08 2009-11-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1400A (en) * 1978-02-20 1979-08-3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utomatic closing device of banknotes containing port in banknote containing box
KR20010047558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20010047736A (ko) * 1999-11-23 2001-06-15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20030054206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엔시스(주)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974A (en) * 1997-07-07 1999-04-27 Gamemax Corporation Paper money exchanger
JPH11263482A (ja) * 1998-03-19 1999-09-28 Fujitsu Ltd 媒体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幅寄せ機構
JP3666395B2 (ja) * 1998-03-27 2005-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質判別センサ及び損券仕分け装置
US6145737A (en) * 1998-04-02 2000-11-14 Fujitsu Limited Automatic teller apparatus
JP3571986B2 (ja) * 1999-07-06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471693B2 (ja) * 2000-01-25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A2360260C (en) * 2000-11-01 2007-06-26 Lg Electronics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edia dispen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1400A (en) * 1978-02-20 1979-08-3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utomatic closing device of banknotes containing port in banknote containing box
KR20010047558A (ko) * 1999-11-22 2001-06-15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20010047736A (ko) * 1999-11-23 2001-06-15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20030054206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엔시스(주) 무인자동화기기용 밀폐박스의 입구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320B1 (ko) 2005-07-28 2011-10-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장치
KR101443393B1 (ko) 2008-12-17 2014-09-2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카세트 착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48A (ko) 2004-06-05
US6901239B2 (en) 2005-05-31
US20040105712A1 (en)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6035B2 (ja) 紙幣取扱装置
US463874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sh container
KR10149070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차단판 개폐장치
KR10100169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WO2018019040A1 (zh) 金融自助系统的发卡、换卡设备及其方法、金融自助终端
US6843409B2 (en) Media container modul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KR10048782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NL8103179A (nl) Automatisch werkzame verzilvermachine voor het uitge- ven van geld.
US8356703B2 (en) Drop safe with access to interior components
EP1550625B1 (en) Media dispenser comprising media cassette with internal lock
JP5157288B2 (ja) 金庫筐体の閂構造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09268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20070028052A (ko)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US11315391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a note storage unit with a door capable of being locked and unlocked
KR101615088B1 (ko)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EP1703475A1 (en) Security apparatus
KR10098455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매체카세트 자동개폐장치
CN110570580A (zh) 闸门机构、钞箱及自助设备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KR20070068550A (ko) 지폐보관박스 고정장치
KR200233419Y1 (ko) 티켓발매기용동전보관함의부정방지장치
KR10059710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S63397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