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88B1 -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 Google Patents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88B1
KR101615088B1 KR1020140054791A KR20140054791A KR101615088B1 KR 101615088 B1 KR101615088 B1 KR 101615088B1 KR 1020140054791 A KR1020140054791 A KR 1020140054791A KR 20140054791 A KR20140054791 A KR 20140054791A KR 101615088 B1 KR101615088 B1 KR 10161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bus fare
opening
storage box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054A (ko
Inventor
김승기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4005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0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에 현금 보관함이 장착되는 공간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을 마련하여 현금 보관함의 수납함과 수납 덮개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어 현금 보관함에 저장된 현금의 분실 또는 도난의 우려가 없으며, 현금 보관함을 버스 요금 수납기에 장착 또는 분리함에 따라 개폐판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이루어지며, 버스 요금 수납기에 탈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현금 보관함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Cash Deposit of Bus Fare Accepter}
본 발명은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요금 수납기에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 등 현금의 분실 또는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고객의 요금을 수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버스 요금함이 사용되고 있다. 버스 요금함은 요금 투입구로 요금을 넣으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고, 별도의 레버를 작동시켜 요금 투입함의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요금 투입함의 하측 개구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요금 수거함으로 요금을 최종 수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는 요금함 본체에 요금 투입함, 요금 차액 지불함, 요금 수거함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 투입함에 승객이 투입한 요금을 확인하기 위한 1차 요금 수거통이 구비된 버스 요금함으로서, 상기 1차 요금 수거통의 하부에 힌지축으로 하측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1차 요금받이, 상기 1차 요금 수거통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1차 요금받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버스 문에 인접한 차체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버스문의 자동 개폐 동작을 감지하며 그 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로 전달하는 버스 문 개폐 감지수단, 상기 1차 요금받이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1차 요금받이를 항시 일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2127호(2000년 11월 18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는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 사이의 요금받이는 힌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데, 요금받이는 힌지 결합만 되어 있으므로 요금투입구 측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쉽게 개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요금이 최종 투입된 요금수거함의 경우 버스 요금함은 버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금 수거함이 버스요금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운행이 끝난 버스에서 버스 운전자가 직접 이를 분리하여 운반하므로 요금을 임의로 꺼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요금 수납기로부터 투입된 현금을 도난 또는 분실 되지 않도록 잠금(록킹) 상태를 유지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현금 보관함을 버스 요금 수납기에 장착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 요금 수납기에서 징수된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이 장착되는 공간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금 보관함은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잠금장치, 상기 개폐판이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 상기 덮개 본체의 양측에 상기 개폐판이 닫히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장착된 수납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의 상측에 상기 개폐판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소정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요동부재, 상기 개폐판의 일면에 상기 요동부재의 걸림홈에 걸리는 이동핀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동부재는 상기 덮개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 본체의 내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이동핀이 왕복 이동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홈부가 형성된 이동핀, 상기 이동핀의 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이동핀과 직교되게 장착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이 탄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상기 이동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 버튼, 상기 이동핀이 수평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잠금장치에 돌출된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핀을 해정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에 의하면, 현금 보관함의 수납함과 수납 덮개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어 현금 보관함에 저장된 현금의 분실 또는 도난의 우려가 없으며, 현금 보관함을 버스 요금 수납기에 장착 또는 분리함에 따라 개폐판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이루어지며, 버스 요금 수납기에 탈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현금 보관함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보인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 및 현금 보관함을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수납 덮개를 보인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잠금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이 닫힌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개폐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을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 및 현금 보관함을 보인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10),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되는 공간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2)에 의해 개폐판(43)이 개폐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10)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30)을 포함한다.
버스 요금 수납기(10)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 차량에 장착되어 탑승자가 현금으로 버스 요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 투입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교통카드 등으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카드 단말기(14)가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현금 투입구(13)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되며,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이 탈착 되도록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공간부(11)의 내측에는 현금 보관함(30)의 탈착 시 현금 보관함(30)의 개폐판(43)을 개방시키는 고정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는 개폐판(43)의 돌출판(44)이 걸리도록 공간부(11)의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수납 덮개를 보인 저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현금 보관함의 잠금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은 현금이 보관되는 수납함(31)과 상면이 개방된 수납함(31)을 개폐시킴은 물론 개폐되는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개폐판(43)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수납 덮개(40)를 포함한다.
또 수납함(31)에는 수납 덮개(40)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32)가 마련되며, 수납함(31)의 전면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현금 보관함(30)을 분리시키는 탈착 버튼(33)이 마련된다.
또한 수납 덮개(40)는 개폐판(43)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와 개방된 개폐판(43)이 닫히도록 잠금장치(50)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를 포함한다.
수납 덮개(40)는 수납함(31)과 대응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덮개 본체(41)로 이루어지며, 개폐판(43)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부(42)는 개폐판(43)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되면 개폐판(43)이 폐쇄됨은 물론 개폐판(43)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개폐판(43), 잠금장치(50) 및 고정구(70)는 모두 덮개 본체(41)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열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개폐판(43), 잠금장치(50) 및 고정구(70)는 모두 현금 보관함(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아울러 현금 보관함(30)은 외부에서 힘을 가하더라도 손쉽게 파손되거나 해체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되어 있는 현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개폐판(43)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고정부재(12)에 대응되는 돌출판(44)이 돌출 형성되며, 돌출판(44)은 고정부재(12)에 걸려 현금 보관함(30)의 장착에 따라 개폐판(43)을 개방되게 한다.
또 덮개 본체(41)의 저면에는 개폐판(43)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개폐판(43)이 보다 안정되면서도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부재(45)가 고정되며, 안내부재(45)는 덮개 본체(41)의 저면에 맞대는 제1 부재(45a)와 제1 부재(45a)의 저면에 맞댄 상태에서 볼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되는 제2 부재(45b)를 포함한다.
즉, 제1 부재(45a)는 제2 부재(45b)에 의해 고정되며, 제2 부재(45b)는 덮개 본체(4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며, 안내부재(45)는 덮개 본체(41)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 덮개 본체(41)의 양측 내측면에는 각각 일정 폭을 갖는 고정판(46)이 고정되며, 덮개 본체(41)와 고정판(46) 사이에는 다수의 롤러(47)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들 롤러(47)에는 스프링(48)이 장착된다.
스프링(48)의 일단은 덮개 본체(41)에 걸리게 되고, 스프링(48)의 타단은 개폐판(43)에 걸리게 되며, 스프링(48)은 개폐판(43)을 항시 원위치 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스프링(48)은 개폐판(43)이 항시 개폐부(42)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43)을 초기 위치(닫힌 상태)로 끌어 당기게 된다.
또한 개폐판(43)에는 2개의 잠금장치(50)가 마련되며, 잠금장치(50)는 개폐판(43)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임의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개폐판(43)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장치(50)는 덮개 본체(41)에 고정되는 요동부재(51)와 개폐판(43)에 고정되는 잠금부재(60)를 포함한다.
요동부재(51)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板) 형상으로 이루어진 요동판(52), 요동판(5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53), 요동판(52)을 덮개 본체(41)에 고정시킴과 함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핀(55) 및 요동판(52)을 항상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56)을 포함한다.
요동판(52)에는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려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홈(53)이 형성되며,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54)이 형성된다.
또 토션 스프링(56)의 일단은 요동판(52)에 고정되며, 토션 스프링(56)의 타단은 덮개 본체(41)에 고정된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56)은 요동판(52)을 수평 위치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 이동될 때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되도록 탄성을 부여한다.
잠금부재(60)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길이 방향 양측에 구멍(61a)이 형성된 케이스(61), 케이스(61)의 좌우 양측으로 이동되는 이동핀(62), 이동핀(62)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걸림판(63), 걸림판(63)의 하측에 장착되어 걸림판(63)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1 스프링(64), 걸림판(63)의 상측에 장착되어 걸림판(63)을 해정시키는 누름 버튼(65) 및 이동핀(62)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2 스프링(66)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60)의 케이스(61)에는 길이 방향의 좌우 양측에 구멍(61a)이 형성되고, 케이스(6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이동핀(62)이 구멍(61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핀(62)에는 소정 위치에 걸림판(63)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홈부(62a)가 형성되며, 걸림판(63)에는 홈부(62a)보다 큰 구멍(63a)이 형성된다.
즉, 홈부(62a)는 걸림판(63)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판(63)이 하강됨에 따라 이동핀(62)은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핀(62)이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걸림판(63)의 장착되는 제1 스프링(64)은 걸림판(63)이 항상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며, 누름 버튼(65)은 관리자에 의해 이동핀(62)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걸림판(63)의 상측에 장착된다.
또한 제2 스프링(66)은 이동핀(62)의 일측에 장착되며, 이동핀(62)에 탄성을 부여하며, 미 설명된 도면부호 67은 제2 스프링(66)의 탄성이 가해지도록 이동핀(62)에 끼워지는 와셔이다.
또한 덮개 본체(41)의 저면 내측에는 개폐판(43)의 이동에 따라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을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가 고정된다. 고정구(70)는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릴 수 있도록 원위치시키는 것으로, 2개의 이동핀(62)이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71), 2개의 잠금부재(60)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이동핀(62)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72) 및 수납 덮개(40)를 수납함(31)에 록킹 되도록 록킹장치(32)에 대응되는 잠금구멍(73)이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현금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현금 보관함(30)이 장착된다.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현금 보관함(30)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11)를 형성하며, 공간부(11)에는 현금 보관함(30)의 개폐판(43)을 이동시키는 고정부재(12)를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2)는 도 2에서와 같이 공간부(11)의 상측에 마련한다.
또 버스 요금 수납기(10)에는 탑승자가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을 투입하는 현금 투입구(13)를 형성하며, 교통카드 등으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카드 단말기(14)를 장착한다.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은 동전 또는 지폐 등의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31)과 상면이 개방된 수납함(31)의 상측에 개폐되는 수납 덮개(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의 수납함(31)에는 수납 덮개(40)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32) 및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탈착하는 탈착 버튼(33)을 마련한다. 즉, 록킹장치(32)는 수납 덮개(40)를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며, 탈착 버튼(33)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현금 보관함(30)이 이탈되지 않고서 안정되적으로 장착되게 한다.
또한 수납 덮개(40)는 저면이 개방된 덮개 본체(41)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43), 개폐판(43)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 및 잠금장치(50)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70)를 포함한다.
즉, 수납 덮개(40)는 관리자 외에 버스 운전자 등이 임의로 열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록킹장치(32)는 관리자가 보유한 열쇠(키)에 의해서만 제한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덮개 본체(41)의 내측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됨에 따라 개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에서 분리됨에 따라 폐쇄되는 개폐판(43)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개폐판(43)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50)를 설치한다.
잠금장치(50)는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요동부재(51)와 요동부재(51)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여 개폐판(43)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부재(60)를 포함한다.
요동부재(51)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요동판(52)을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회전핀(55)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일측에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걸리도록 걸림홈(53)을 형성하며,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면(54)을 형성한다.
이러한 요동부재(51)에는 항상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토션 스프링(56)을 설치한다. 토션 스프링(56)의 일단은 요동판(52)에 고정하고 토션 스프링(56)의 타단은 덮개 본체(41)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이에 토션 스프링(56)은 요동판(52)을 항상 정 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요동판(52)은 이동핀(62)이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될 때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는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잠금장치(50)에 의한 잠금(록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잠금부재(60)는 개폐판(43)의 일면 즉, 고정구(70)와 대응되는 면에 고정하는데, 개폐판(43)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한다. 이러한 잠금부재(6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케이스(61)의 구멍(61a)을 관통하여 이동핀(62)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걸림판(63)의 구멍(63a)에는 이동핀(62)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걸림판(63)은 이동핀(62)의 이동에 따라 걸림판(63)의 구멍(63a)이 이동핀(62)의 홈부(62a)에 걸리게 된다.
걸림판(63)은 그 하측에 제1 스프링(64)을 설치하며, 걸림판(63)의 상측에는 누름 버튼(65)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걸림판(63)은 누름 버튼(65)에 의해 하강되며, 누름 버튼(65)을 누르지 않게 되면, 걸림판(63)은 제1 스프링(64)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된다.
또 이동핀(62)에는 제2 스프링(66)이 장착되며, 제2 스프링(66)은 이동핀(62)을 항상 일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덮개 본체(41)에는 수납함(31)의 록킹장치(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70)를 고정하며, 고정구(70)에는 잠금부재(60)의 케이스(61)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핀(6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경사면(71)을 형성하며, 경사면(71)의 끝단에는 이동핀(6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72)를 형성한다.
아울러 고정구(70)에는 록킹장치(32)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멍(73)을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은 버스 요금 수납기에서 징수된 현금을 현금 보관함(30)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 운전자 등에 의해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된 현금을 도난 또는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되면, 수납 덮개(40)의 개폐판(4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잠금장치(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전환된다.
즉,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금이 투입되도록 개폐판(43)이 개방되고, 버스 요금 수납기(10)에서 분리됨과 함께 개폐판(43)이 폐쇄된다.
이러한 현금 보관함(30)의 록킹장치(32)의 열쇠는 관리자만이 소유하게 되며, 버스 운전자 등에게는 록킹장치(32)의 열쇠가 지급되지 않음으로써 현금 보관함(30)을 항시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관리자 외에는 록킹장치(32)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여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되어 있는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록킹장치(32)를 조작하여 수납함(31)으로부터 수납 덮개(40)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관리자는 수납 덮개(40)의 내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50)를 조작하여 개폐판(43)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의 해제는 잠금장치(50)의 잠금부재(6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버튼(65)를 눌러 해제하게 된다. 도 5 및 도 7은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 개폐판(43)은 이동핀(62)이 걸림홈(53)에 걸려 있어 외부에서 개폐판(43)을 개방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동핀(62)이 걸림홈(53)으로부터 이탈되어야 개폐판(43)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은 홈부(62a)가 걸림판(63)에 의해 걸린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케이스(61) 저면(도 3 참조)에 설치된 누름 버튼(65)를 누르게 되면, 걸림판(63)이 이동핀(62)의 홈부(62a)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걸림판(63)이 누름 버튼(65)에 의해 하강(도 4 참조)됨에 따라 이동핀(62)을 가압하고 있는 제2 스프링(66)의 탄성에 의해 이동핀(62)은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
즉, 이동핀(62)은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개폐판(43)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개폐판(43)은 고정판(46)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48)에 의해 탄력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개폐판(43)은 도 5의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될 때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도면상 하측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력을 갖게 된다.
이에 스프링(48)은 개폐판(43)이 초기 위치 즉,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탄력을 제공하게 된다.
관리자는 버스의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현금 보관함(30)의 잠금장치(50)를 해제시킨 상태로 버스 운전자에게 현금 보관함(30)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판(43)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운전자에게 전해지게 되고, 버스 운전자는 현금 보관함(30)을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11)에 끼워 장착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공간부(11) 내측으로 밀어 넣어 장착되며, 이때 공간부(11)의 내부에는 고정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에는 현금 보관함(30)을 밀어 넣어줌에 따라 개폐판(43)에 돌출 형성된 돌출판(44)이 걸리게 되고, 현금 보관함(30)을 계속 밀어 넣음에 따라 돌출판(44)에 의해 개폐판(43)이 개방된다.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이 완료되면, 개폐판(43)은 완전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43)은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잠금부재(60)의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경사면(71)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 6의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왼쪽에 설치된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왼쪽으로 이동되며, 오른쪽에 설치된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즉,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경사면(71)을 따라 서서히 좌우로 이동되며, 이동핀(62)은 고정구(70)의 복귀부(72)에 도달됨에 따라 이동핀(62)이 초기 위치 상태인 도 5에서와 같이, 잠금장치(50)의 요동부재(51) 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덮개 본체(41)의 개폐부(42)가 개방되며,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이 완료됨에 따라 탈착 버튼(33)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 본체(41)의 개폐부(42)가 개방된 상태로 현금 보관함(30)이 버스 요금 수납기(10)에 장착되며,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현금 투입구(13)로 투입된 현금은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현금 이동로(미도시)를 따라 현금 보관함(30) 내부로 투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버스 운행이 종료됨에 따라 버스 운전자는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현금 보관함(30)을 분리하게 되는데, 현금 보관함(30)에 설치되어 있는 탈착 버튼(33)을 눌러 버스 요금 수납기(10)로부터 현금 보관함(30)을 분리하게 된다.
이에 버스 운전자는 현금 보관함(30)을 버스 요금 수납기(10)의 전면으로 끌어당겨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금 보관함(30)이 분리됨에 따라 개폐판(43)은 수납 덮개(40)의 스프링(48) 탄력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
즉, 개폐판(43)은 고정부재(12)에 의해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현금 보관함(30)이 분리됨과 함께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개폐판(43)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잠금장치(50)의 이동핀(62)은 도 6에서와 같이 요동부재(51)의 걸림홈(53)에 걸릴 수 있도록 각각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개폐판(43)은 스프링(48)의 탄력에 의해 개방되기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판(43)이 이동되면서 이동핀(62)은 요동부재(51)의 경사면(54)을 따라 이동되며, 이때 요동부재(51)는 회전핀(55)을 중심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도면상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이동핀(62)은 경사면(54)을 지나 걸림홈(53)에 걸리게 되며, 개폐판(43)은 잠금장치(50)에 의해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현금 보관함(30)은 수납함(31)에 수납 덮개(4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개폐판(43)은 잠금장치(5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버스 운전자 등에 의해 임의로 열 수 없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현금 보관함(30)에 저장된 현금의 도난 또는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버스 요금 수납기 11: 공간부
12: 고정부재 13: 현금 투입구
14: 카드 단말기 30: 현금 보관함
31: 수납함 32: 록킹장치
33: 탈착 버튼
40: 수납 덮개 41: 덮개 본체
42: 개폐부 43: 개폐판
44: 돌출판 45: 안내부재
45a; 제1 부재 45b: 제2 부재
46: 고정판 47: 롤러
48: 스프링 50: 잠금장치
51: 요동부재 52: 요동판
53: 걸림홈 54: 경사면
55: 회전핀 56: 토션 스프링
60: 잠금부재 61: 케이스
61a: 구멍 62: 이동핀
62a: 홈부 63: 걸림판
63a: 구멍 64: 제1 스프링
65: 누름 버튼 66: 제2 스프링
70: 고정구 71: 경사면
72: 복귀부 73: 잠금구멍

Claims (8)

  1. 현금 또는 카드로 버스 요금을 정산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이 장착되는 공간부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의 공간부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어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현금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현금 보관함은 상기 버스 요금 수납기로 투입된 현금이 저장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상면이 폐쇄되도록 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판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잠금장치, 상기 개폐판이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잠금장치를 원위치 시키는 고정구, 상기 덮개 본체의 양측에 상기 개폐판이 닫히도록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장착된 수납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상측에 상기 개폐판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판이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덮개 본체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소정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된 요동부재,
    상기 개폐판의 일면에 상기 요동부재의 걸림홈에 걸리는 이동핀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재는 상기 덮개 본체에 고정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요동판,
    상기 요동판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덮개 본체의 내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양측에 상기 이동핀이 왕복 이동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홈부가 형성된 이동핀,
    상기 이동핀의 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이동핀과 직교되게 장착되는 걸림판,
    상기 걸림판이 탄력을 갖도록 상기 걸림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상기 이동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누름 버튼,
    상기 이동핀이 수평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잠금장치에 돌출된 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과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핀을 해정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KR1020140054791A 2014-05-08 2014-05-08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KR10161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ko) 2014-05-08 2014-05-08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ko) 2014-05-08 2014-05-08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54A KR20150128054A (ko) 2015-11-18
KR101615088B1 true KR101615088B1 (ko) 2016-04-25

Family

ID=5483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791A KR101615088B1 (ko) 2014-05-08 2014-05-08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670A (ko) * 2018-03-15 2019-09-25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4423A (zh) * 2016-11-04 2017-02-08 钦州学院 公交车用的钱币分拣装置
CN106600807B (zh) * 2016-12-07 2019-02-05 东北大学 一种自动分类式公交投币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28Y1 (ko) * 2000-08-17 2001-02-15 삼원에프에이주식회사 버스 요금함
KR101095281B1 (ko) 2009-12-09 2011-12-16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요금 수납기
KR101170559B1 (ko) 2005-09-07 2012-08-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128Y1 (ko) * 2000-08-17 2001-02-15 삼원에프에이주식회사 버스 요금함
KR101170559B1 (ko) 2005-09-07 2012-08-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KR101095281B1 (ko) 2009-12-09 2011-12-16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요금 수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670A (ko) * 2018-03-15 2019-09-25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KR102074355B1 (ko) 2018-03-15 2020-02-06 (주)한틀시스템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054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8125B1 (en) Cash box provided with self-locking mechanism
US463874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ash container
US5941364A (en) Coin box assembly
KR101615088B1 (ko)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US8844705B2 (en) Cash box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8181766B2 (en) Roller storage system
AU758997B2 (en) Media cassette for automatic dispenser
WO2017211251A1 (zh) 一种实现安全联锁的卡箱和自动售票机
US8887986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vouchers and method for closing container having a housing part and a cover for receiving vouchers
US20090101724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banknotes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70559B1 (ko)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JP3308106B2 (ja) 硬貨処理装置
CN111512348A (zh) 具有媒体储存部的自动柜员机及其控制方法
KR10048782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함 잠금장치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KR101468139B1 (ko) 매체관리장치
KR20140052583A (ko) 봉투 입출 장치
CN110880215B (zh) 回收箱、票据发放机及金融设备
US4493454A (en) Cash collection receptacle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US20090127064A1 (en) Machine for dispensing paid-in-cash products and/or services
KR102074355B1 (ko) 개량된 지폐수거함을 구비한 지폐입금기
JPS5913076B2 (ja) 現金箱の受入口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