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281B1 - 버스요금 수납기 - Google Patents

버스요금 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281B1
KR101095281B1 KR1020090121866A KR20090121866A KR101095281B1 KR 101095281 B1 KR101095281 B1 KR 101095281B1 KR 1020090121866 A KR1020090121866 A KR 1020090121866A KR 20090121866 A KR20090121866 A KR 20090121866A KR 101095281 B1 KR101095281 B1 KR 10109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box
cover
opening
f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039A (ko
Inventor
장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09012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2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투입함의 하부 개구와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버스요금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요금 수납기에는 상기 요금수거함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요금수거함의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요금수거함 개폐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버스기사가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요금수거함을 분리되면서 커버를 가압하여 커버가 닫힘과 동시에 요금수거함이 잠기게 되므로,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분리된 요금수거함 속에 수납된 버스요금을 임의로 꺼낼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버스요금 수납기, 요금수거함, 요금투입함, 시건장치

Description

버스요금 수납기 { Receipt apparatus for bus fare }
본 발명은 버스요금 수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요금이 최종수납된 요금수거함이 버스요금 수납기로부터 분리되면서 자동으로 잠금되고, 버스요금이 최초투입되는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 사이의 개폐를 조절하여 외부에서 물리적으로 개방할 수 없는 버스요금 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버스에는 고객의 요금을 수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버스 요금함이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인 버스 요금함은 요금 투입구로 요금을 넣으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고, 별도의 레버를 작동시켜 요금투입함의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요금투입함의 하측 개구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요금수거함으로 요금을 최종수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버스요금함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2127호 ( 명칭 : 버스 요금함의 1차 요금받이 구동장치 )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 사이의 요금받이는 힌지 결합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요금받이는 힌지결합만 되어 있으므로 요금투입구 측에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쉽게 개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금이 최종투입된 요금수거함의 경우 버스 요금함은 버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요금수거함이 버스요금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운행이 끝난 버스에서 버스 운전자가 직접 이를 분리하여 운반하므로 요금을 임의로 꺼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외부에서 물리적으로 개방할 수 없고, 요금수거함은 자동으로 잠금되는 버스요금함이 요구되는 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금수거함을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분리할 때 자동으로 요금수거함의 커버가 닫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금수거함을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분리할 때 요금수거함과 슬라이딩 브라켓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커버가 닫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브라켓의 마찰력으로 커버의 돌출부를 가압하여 커버가 닫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돌출부를 가압함과 아울러, 커버가 닫히면 돌출부를 가압하는 것을 멈추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가 전방측으로 밀릴 때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상부걸림부재가 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걸림부재에 걸려 커버가 닫히면서 잠기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걸림부재와 하부걸림부재가 대응되는 면이 걸리지 않고 상부걸림부재가 하부걸림부재를 가압하면서 지나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닫힌 커버를 개방시킬 때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가 인장되거나 복원될 때, 탄성부재의 인장이나 복원을 안내하여 탄성부재가 다른 부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가 복원될 때, 탄성부재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복원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금투입함의 개구와 연통되게 개구가 설치된 요금 수거함에 요금이 수납될 때에만 개방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축이 고정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멈출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의 내부에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투입함의 하부 개구와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버스요금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요금 수납기에는 상기 요금수거함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요금수거함의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요금수거함 개폐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금수거함 개폐유닛은 상기 요금수거함과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브라켓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요금수거함의 수납개구를 상기 커버가 폐쇄시킬 때 상기 커버를 잠그는 잠금부와, 상기 커버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커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요금수거함에 위치되어 내부에 상기 잠금부와 상기 안내부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가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커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면을 커버하는 수용부 커버가 구비된 수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그 끝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요금수거함의 개구가 형성된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설치되되 중심부가 가이드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부재 노출홀에 의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려 상기 커버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커버가압부재 및 상기 가이드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가이드 롤러 노출홀에 의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요금수거함이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압가이드 롤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바에는 상기 가압가이드 롤러가 가압되도록 비틀림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버의 저면 전방에 형성된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걸림부재에 걸리는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승하강 탄성부재에 의해 승하강 하며 일측에 상기 승하강 탄성부재를 작동시키는 가압작동부재가 구비된 하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작동부재를 누르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요금수거함의 외측에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회동키가 삽입되는 회동키삽입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요금수거함의 개구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작동을 복원하도록 일측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 전방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커버의 저면에 내설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탄성보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설치는 탄성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회전하는 탄성가이드 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요금투입함과 상기 요금수거함 사이에는 요금이 투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는 요금투입구 개폐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금투입구 개폐유닛은 상기 요금수거함의 수납개구와 연통되게 위치된 상기 요금투입함의 하부개구 사이에 설치되되, 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수납개구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동홀을 중심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의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외부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축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외부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축은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버스기사가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요금수거함을 분리되면서 커버를 가압하여 커버가 닫힘과 동시에 요금수거함이 잠기게 되므로, 버스요금 수납함으로부터 분리된 요금수거함 속에 수납된 버스요금을 임의로 꺼낼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금수거함을 분리할 때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요금수거함과 슬라이딩 브라켓과의 마찰력에 의해 커버를 닫을 수 있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금수거함의 커버와, 요금수거함이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커버가 개폐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의 개폐가 간단한 구조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라인에 가이드 홈이 형성됨에 따라 요금수거함의 커버를 가압하는 커버가압부재가 자동으로 커버의 돌출부에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걸림부재와 하부걸림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면에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됨에 따라 상부걸림부재가 하부걸림부재가 부드럽게 하부걸림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탄성보호부재의 내부에 내설됨에 따라 탄성부재가 인장되거나 수축될 때 탄성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금수거함에 설치된 탄성가이드라인과 탄성가이드라인을 따라 회동되는 탄성가이드 롤러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부재가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안내하므로 탄성부재가 복원될 때 너무 빨른 속도로 복원되어 사람의 손이 끼거나 탄성부재가 손상되면서 커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금수거함과 요금투입함의 개구 사이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홀을 중심으로 곡선을 갖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개폐부재가 회동될 때 개폐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축이 구비됨에 따라 개폐부재는 외부에서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개방되지 않으므로 요금투입함에 투입된 요금을 임의로 꺼내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축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홀의 끝단에 걸려 스토퍼 역할을 함에 따라 물리적인 힘으로 개폐부재를 열 수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요금 수납함(10)은 수납함 본체(20)와, 수납함 본체(20)를 커버하는 본체 도어(21)가 구비된다.
수납함 본체(20)의 상면에는 버스 요금을 투입하기 위한 지폐투입구(3)와 동전투입구(7)가 각각 구비되고, 카드인식을 통해 버스 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카드 인식부(2)가 구비되며 카드 인식부(2)에서 인식한 금액을 보여주는 승객용 디스플레이(6)가 구비된다.
수납함 본체(2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요금투입함(30)이 위치되고, 하부에 요금수거함(60)이 위치된다.
여기서, 요금투입함(30)은 상하부가 개구되어 지폐투입구(3)와 동전투입구(7)에서 투입된 버스 요금들을 후술될 요금수거함(60)으로 수납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따라서, 요금투입함(30)의 하부개구(31)는 요금수거함(60)의 수납개구(62)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요금수거함을 일부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의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의 잠금부가 작동되어 하강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금수거함(60)은 요금투입함(30)으로부터 요금들이 모두 수납되고 버스의 운행이 끝나면 수납함 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서, 본체(61)와, 본체(61)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개구(62)와, 수납개구(62)를 커버하는 커버(63)와, 본체(61)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커버(63)가 인입되며 본체(61) 의 수납개구(62)와, 본체(61)의 정면에 설치되어 본체(61)를 수납함 본체(20)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본체(6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67) 그리고, 요금수거함(60)이 수납함 본체(20)로부터 분리될 때 자동으로 커버(63)가 닫히도록 하는 요금수거함 개폐유닛(1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요금수거함 개폐유닛(100)은 커버(63)가 개폐되도록 커버(63)를 가압하는 슬라이딩부(120)와, 커버(63)가 폐쇄되면 이를 잠그는 잠금부(130) 그리고, 커버(63)의 개폐를 안내하는 안내부(15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61)에는 수납개구(62)가 형성되지 않은 본체(61)의 타측에 상부에 본체(6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잠금부(130) 및 안내부(150)가 일부 설치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부는 내부에 설치된 수용브라켓(68)에 의해 그 공간이 확보되고, 수납개구(62)의 반대편이 되는 수용브라켓(68)의 상부는 수용부 커버(65)에 의해 커버된다.
안내부(150)는 일측은 수용브라켓(68)의 내면 전방에 설치되고 타측은 커버(63)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151)와, 탄성부재(151)를 감싸도록 커버(63)의 저면에 설치되어 탄성부재(151)를 내설시키는 탄성보호부재(153)를 포함한다.
이에, 탄성부재(151)는 커버(63)가 수납개구(62)를 폐쇄시킬 때 인장되고, 커버(63)가 수납개구(62)를 개방시킬 때 수축되는데, 탄성부재(151)의 인장과 수축은 탄성보호부재(153) 내부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다른 부재들과 간섭이 일어나 손상되거나,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63)의 저면 전방에는 탄성가이드롤러(157)가 설치되고, 수용브라켓(103)의 바닥면에는 탄성가이드롤러(157)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가이드 라인(155)이 설치되어, 탄성부재(151)가 수축되거나 인장될 때 탄성부재(151)가 인장되는 것을 안내하고 너무 빠른 속도로 복원되어 탄성부재(151)가 불규칙적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130)는 커버(63)의 저면 전방측에 설치된 상부걸림부재(131)와, 수용브라켓(1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63)가 폐쇄되었을 때 상부걸림부재(131)가 후방측으로 이동한 것을 지지하는 하부걸림부재(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걸림부재(131)와 하부걸림부재(133)는 서로 마주보게 대응되는 면이 대응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부걸림부재(131)가 하부걸림부재(133)를 가압하며 이동할 때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부걸림부재(133)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가압작동부재(137)가 설치되고, 하부걸림부재(133)의 하부에는 승하강 탄성부재(135)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걸림부재(13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1)의 커버(63)가 수납개구(62)를 폐쇄하기 위해 닫히면서 커버(63)의 저면 전방측에 설치된 상부걸림부재(131)가 가압작동부재(137)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승하강 탄성부재(135)가 수축되면서 하부걸림부재(133)가 하강한다. 반면, 가압작동부재(137)를 가압하는 것을 중단하면 승하강 탄성부재(135)가 복원되어 하부걸림부재(133)의 위치가 다시 승강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의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120)는 본체(61)의 상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브라켓(110)과, 그 중심부가 가이드바 고정구(123)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한 가이드 바(124)와, 가이드 바(124)의 전방에 설치된 가압가이드 롤러(127)와 가이드 바(124)의 후방에 설치된 커버가압부재(129) 및 가이드 바(124)에 설치되어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하강하도록 그 위치를 복원시키는 비틀림 탄성부재(125)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본체(61)의 상면에는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121)가 마련되고, 가이드 로드(121)에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22)은 수납개구(62)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이드 롤러(127)가 가이드 홈(122)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 바(124)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라이딩 브라켓(110)에는 가압가이드 롤러(127)와 커버가압부재(129)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가압부재 노출홀(111)과 가압가이드롤러 노출홀(113)이 각각 형성되어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본체 프레임(65)의 가이드 로드(121)를 따라 이동하고, 커버가압부재(129)가 커버(63)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되기 전 상태를 일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요금 수납기(10)는 수납함 본체(20)의 내부에 고정된 슬라이딩 브라켓(110)을 중심으로 하측에 요금수거함(60)이 삽입되되, 커버(63)가 닫히지 않아 수납개구(62)가 개방된 상태로 준비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20)의 가압가이드 롤러(127)는 비틀림 탄성부재(125)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 브라켓(110)의 가압가이드롤러 노출홀(113)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바(124)의 타측에 설치된 커버가압부재(129)는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하강한 만큼 승강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 브라켓(110)에는 후술될 요금투입 개폐유닛(170)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금수거함(60)가 버스요금 수납기(10)의 수납함 본체(20)의 하부에 인입될 때 요금수거함(60)은 슬라이딩 브라켓(110)에 설치된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본체(61)의 상부에 있는 가이드 로드(121)를 따라 안내된다.
이때, 가압가이드 롤러(127)는 요금수거함(60)을 장착하기 위해 가압되는 외압에 의해 커버(63)의 돌출부(64) 위를 지나면서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어 하강하면서 비틀림 탄성부재(125)가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설치된 측의 가이드 바(124)를 가압하면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하강하면서 가이드 바(124)의 타측에 설치된 커버가압부재(129)는 승강하면서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가이드 홈(122)을 지난다.
여기서, 본체(61)의 커버(63)는 요금수거함(60)이 수납함 본체(20)에 인입되 는 최초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용브라켓(68)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51)가 탄성보호부재(153)의 내측에서 수축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과정을 통해 요금수거함(60)이 수납함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면, 커버가압부재(129)는 개방되어 있는 커버(63)의 돌출부(64)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때, 수용브라켓(68)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51)가 탄성보호부재(153)의 내측에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커버(63)의 저면 전방에 설치된 탄성가이드 롤러(157)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브라켓(68)의 내면에 설치된 탄성가이드 라인(155)의 전방에 위치된다.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면서 커버가 닫히면서 잠기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요금수거함(60)의 본체(61)에 설치된 손잡이부(67)를 잡고 수납함 본체(20)의 외측으로 당기면, 요금수거함(60)이 수납함 본체(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가압부재(129)가 커버(63)의 돌출부(64)에 걸리도록 위치되므로 커버(63)가 본체(61)의 수납개구(62)를 폐쇄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수용브라켓(68)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151)는 일단이 수용브라켓(68)의 내부 전방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버(63)의 저면 후방에 고정되므로 커버(63)가 이동하면, 커버(63)의 이동거리만큼 인장된다.
이때, 커버(63)의 저면에 위치한 상부 걸림부재(131)는 수용브라켓(68)의 내면에 설치된 하부걸림부재(133)를 누른다. 여기서, 상부걸림부재(131)와 하부걸림부재(133)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경사면을 타고 지나면서 상부걸림부재(131)가 하부걸림부재(133)를 가압하면, 하부걸림부재(133)의 하측에 위치한 승하강 탄성부재(135)는 하강한다.
또한, 커버(63)가 이동할 때, 탄성부재(151)는 탄성보호부재(153)의 내부에서 인장되므로 외부와 접촉되는 간섭이 없으므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3)의 저면에 설치된 탄성가이드 롤러(157)가 수용브라켓(68)의 내면에 설치된 탄성가이드 라인(155)을 따라 이동하므로 탄성부재(151)의 인장경로가 안정적이게 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부걸림부재(131)가 하부걸림부재(133)를 누르면서 지나가면 하부걸림부재(133)는 승하강 탄성부재(135)가 하강하였다가 복원되면서 다시 상승하므로 상부걸림부재(131)는 하부걸림부재(133)에 걸려 커버(63)가 수납개구(62)를 폐쇄하면서 인장된 탄성부재(151)가 복원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버(63)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0b를 참조하면, 커버(63)의 저면에 설치된 탄성가이드 롤러(157)는 탄성가이드 라인(155)의 끝단까지 따라 이동한 상태이고, 커버가압부재(129)는 여전히 커버(63)의 돌출부(64)에 걸려있으므로 요금수거함(60)과 수납함 본체(2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을 개방시키는 것을 일부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부(67)를 더 당기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가이드 롤러(127)는 가이드 로드(121)를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므로 비틀림 탄성부재(125)는 가압가이드 롤러(127)가 설치된 측의 가이드 바(124)를 가압하므로 가이드바 고정구(123)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한 가이드 바(124)는 가압가이드 롤러(127)는 하강하고, 반대편이 되는 커버가압부재(129)측은 승강하게 되어 커버(63)의 돌출부(64)에 걸린 커버가압부재(129)가 돌출부(64)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수납함 본체(20)로 부터 분리된 요금수거함(60)은 회동키(143)를 회동키 삽입부(141)에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39)가 회동하면서 가압작동부재(137)를 가압하여 승하강 탄성부재(135)가 하강하므로 하부걸림부재(133)가 하강하면서 하부걸림부재(133)에 걸린 상부걸림부재(131)의 탄성부재(151)가 복원되면서 커버(63)가 열리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151)는 복원되면서 탄성보호부재(153)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커버(63)의 탄성가이드 롤러(157)가 탄성가이드 라인(155)을 따라 복원되므로 탄성부재(151)의 복원을 안내하여 너무 빠른 속도로 복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a,1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과 요금수납함의 개폐부재가 폐쇄된 것을 도면이고, 도 14a,1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함에 요금수거함과 요금수납통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것을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금투입함(30)의 하부개구(31)와 연통되게 수납되는 요금수거함(60)의 수납개구(62) 사이에는 요금이 투입될 때만 개방되는 요금투입구 개폐유닛(1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금투입구 개폐유닛(170)은 하부개구(31)와 수납개구(62)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개폐부재(171)와, 하부개구(31)와 수납개구(62)가 연통되게 안내함과 아울러, 개폐부재(171)를 회동시키도록 슬라이딩 브라켓(1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수납개구(6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설치부재(173)와, 설치부재(173)의 측면에 회동축(175)이 삽입되는 회동홀(175)과, 고정축(177)이 삽입되는 고정홀(178) 그리고, 개폐부재(171)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개폐부재(171)를 구동하는 구동부(161) 및 구동축(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홀(178)은 회동홀(175)의 하측에서 회동홀(175)을 감싸도록 전방고정홀(178a)과 후방고정홀(178b)을 연결하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고정축(178)은 그 양단면이 타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전방고정홀(178a)이나 후방고정홀(178b)에 삽입되면 쉽게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구동부(161)가 작동되어 구동축(163)이 고정축(177)을 가압하면 개폐부재(171)는 회동홀(175)에 양단이 삽입되는 회동축(176)에 의해 설치부재(173)의 상면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하부개구(31)와 수납개구(62) 사이를 폐쇄시킨다.
이때, 도 13b를 참조하면, 고정축(177)은 고정홀(178)의 후방 즉, 후방고정홀(178b)로 이동된다. 여기서, 고정축(177)은 그 양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후방고정홀(178b)로 이동되었을 때 쉽게 후방고정홀(178b)을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개폐부재(171)의 상면을 가압하여도 타원형의 고정축(177)이 후방고정홀(178b)에 끼어 있으므로 개폐부재(171)의 회동축(176)이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요금투입함(30)에 요금이 투입되었을 때, 버스운전자가 투입된 요금을 확인하면, 버튼 등을 이용하여 구동부(161)에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구동부(161)는 개폐부재(171)를 가압하던 구동축(163)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도 14a,14b를 참조하면, 고정축(177)이 고정홀(17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전방고정홀(178b)에 삽입됨에 따라 회동축(176)이 회동되어 개폐부재(171)가 아래로 향하여 하부개구(31)와 수납개구(62) 사이가 개방된다.
이에, 요금투입함(30)으로 투입된 요금은 요금투입함(30)의 하부개구(31)와 요금수거함(60)의 수납개구(62)를 통해 요금수거함(60)으로 투입된다.
요금이 요금수거함(60)으로 투입되면 개폐부재(171)는 그 위치가 종전과 같이 복원되므로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요금수거함을 일부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의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의 잠금부가 작동되어 하강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수거함이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되기 전 상태를 일부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면서 커버가 닫히면서 잠기는 것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이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3a,1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과 요금수납통의 개폐부재가 폐쇄된 것을 도면.
도 14a,14b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요금 수납기에 요금수거함과 요금수납통의 개폐부재가 개방된 것을 도면.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버스요금 수납기 20 : 수납함 본체
21 : 본체 도어 30 : 요금투입함
31 : 하부개구 60 : 요금수거함
61 : 본체 62 : 수납개구
63 : 커버 64 : 돌출부
65 : 수용부 커버 100 : 요금수거함 개폐유닛
110 : 슬라이딩 111 : 가압부재 노출홀
113 : 가압가이드 롤러 노출홀 120 : 슬라이딩부
121 : 가이드 로드 122: 가이드 홈
123 : 가이드바 고정구 124 : 가이드 바
125 : 비틀림 탄성부재 127 : 가압가이드 롤러
129 : 커버가압부재 130 : 잠금부
131 : 상부걸림부재 133 : 하부걸림부재
135 : 승하강 탄성부재 137 : 가압작동부재
139 : 회동부재 143 : 회동키 삽입부
150 :안내부 151 : 탄성부재
153 : 탄성보호부재 155 : 탄성 가이드라인
157 : 탄성 가이드롤러 161 : 구동부
163 : 제어부 170 : 요금투입구 개폐유닛
171 : 개폐부재 173 : 설치부재
175 : 회동홀 176 : 회동축
177 : 고정축 178 : 고정홀

Claims (13)

  1. 본체의 내부에 요금투입함과 요금수거함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투입함의 하부 개구와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부 개구가 연통되게 설치된 버스요금 수납기에 있어서,
    상기 버스요금 수납기에는 상기 요금수거함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요금수거함의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요금수거함 개폐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요금수거함 개폐유닛은 상기 요금수거함과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브라켓이 슬라이딩 되어 상기 커버가 닫히도록 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요금수거함의 수납개구를 상기 커버가 폐쇄시킬 때 상기 커버를 잠그는 잠금부;와,
    상기 커버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상기 커버의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요금수거함에 위치되어 내부에 상기 잠금부와 상기 안내부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가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커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면을 커버하는 수용부 커버가 구비된 수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끝단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요금수거함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요금수거함의 개구가 형성된 위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설치되되 중심부가 가이드바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회동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부재 노출홀에 의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려 상기 커버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커버가압부재; 및
    상기 가이드 바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가이드 롤러 노출홀에 의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요금수거함이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압가이드 롤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에는 상기 가압가이드 롤러가 가압되도록 비틀림 탄성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커버의 저면 전방에 형성된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걸림부재에 걸리는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승하강 탄성부재에 의해 승하강 하며 일측에 상기 승하강 탄성부재를 작동시키는 가압작동부재가 구비된 하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작동부재를 누르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요금수거함의 외측에서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도록 회동키가 삽입되는 회동키삽입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부재와 상기 하부걸림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요금수거함의 개구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작동을 복원하도록 일측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 전방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의 저면 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커버의 저면에 내설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탄성보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설치는 탄성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회전하는 탄성가이드 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요금투입함과 상기 요금수거함 사이에는 요금이 투입될 경우에만 개방되는 요금투입구 개폐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투입구 개폐유닛은 상기 요금수거함의 수납개구와 연통되게 위치된 상기 요금투입함의 하부개구 사이에 설치되되, 하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수납개구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회동홀을 중심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의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외부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그 양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요금 수납기.
KR1020090121866A 2009-12-09 2009-12-09 버스요금 수납기 KR101095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66A KR101095281B1 (ko) 2009-12-09 2009-12-09 버스요금 수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66A KR101095281B1 (ko) 2009-12-09 2009-12-09 버스요금 수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39A KR20110065039A (ko) 2011-06-15
KR101095281B1 true KR101095281B1 (ko) 2011-12-16

Family

ID=4439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66A KR101095281B1 (ko) 2009-12-09 2009-12-09 버스요금 수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088B1 (ko) 2014-05-08 2016-04-25 (주)에이텍티앤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088B1 (ko) 2014-05-08 2016-04-25 (주)에이텍티앤 버스 요금 수납기의 현금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39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KR20060132509A (ko) 지폐 처리장치
KR100926856B1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101095281B1 (ko) 버스요금 수납기
KR100442497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KR101046821B1 (ko)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KR20070028052A (ko) 지폐회수박스 잠금장치
JP3038625U (ja) 紙幣支払装置
US20030080495A1 (en) Automatic bank note pushing device for a storing device
KR20110079353A (ko) 보충회수박스의 위치 고정장치
JP3113847B2 (ja) 自動販売機用紙幣投入口の開閉構造
JPH0431658Y2 (ko)
JP3094628B2 (ja) 紙幣識別装置
KR200212128Y1 (ko) 버스 요금함
JP3884794B2 (ja) 紙幣識別機
KR200240966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분리형현금보관함
KR101764508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0414295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잔류지폐 회수장치
JPS5834537Y2 (ja) 紙幣放出機におけるリジェクトボックス
CN208985248U (zh) 一种存款机内存钞容器闸门的开闭及锁定装置
KR100781802B1 (ko) 수직이송장치
JP2621527B2 (ja) 紙幣収納装置
KR200425527Y1 (ko) 수직이송장치
JP2000113279A (ja) 紙葉類収納装置
JP2000011234A (ja) 紙葉類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