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5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55B1
KR101672955B1 KR1020130079891A KR20130079891A KR101672955B1 KR 101672955 B1 KR101672955 B1 KR 101672955B1 KR 1020130079891 A KR1020130079891 A KR 1020130079891A KR 20130079891 A KR20130079891 A KR 20130079891A KR 101672955 B1 KR101672955 B1 KR 10167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ertion port
terminal
rib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282A (ko
Inventor
최재호
이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7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7Low voltage devices, i.e. safe to touch live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면에 따라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의 일 단이 드러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 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전단 전면에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되고, 부품수 및 조립작업 공정수를 줄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의 일 단은 드러나있다. 이때, 단자가 수용되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는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가진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로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가진 지그가 삽입되면서 커넥터의 단자와 작업자가 접촉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단자 끝단부에 도통이 불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커버를 덮어 단자가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대커넥터가 커넥터와 연결될 경우에만 이동하는 방식으로 커넥터의 단자 전방에 별도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단자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단자의 두께는 매우 얇기 때문에 단자의 끝단부에 플라스틱 커버를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커넥터에 이동식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메커니즘과,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커넥터 조립을 위한 부품 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실용 제20-0348647호 (2004.04.1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의 신체와 작업자가 가진 부품과의 통전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 필요한 부품 수, 조립 공수를 줄여 제조성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일 단이 드러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 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전단 전면에 형성된 리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삽입구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삽입구의 내경이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구비한 지그가 삽입구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구비한 지그 등이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감전 사고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삽입구에 리브를 형성하여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구비한 지그 등이 삽입구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커넥터 제조에 필요한 부품 공수, 조립 공수 등을 최소화하여 커넥터 제조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1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2실시예이고,
도 5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3실시예이고,
도 6은 도 1의 A영역에 따른 4실시예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1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2실시예이고, 도 5는 도 1의 A영역에 따른 3실시예이고, 도 6은 도 1의 A영역에 따른 4실시예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상대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2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120)의 일 단이 드러나도록 형성되며, 상대커넥터의 일 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구(160)와, 상기 삽입구(160)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단자(120)의 전단 전면에 형성된 리브(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삽입구(160)는 단자(120)의 일 단이 드러나는 시작점(130)에서부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점(170)까지의 영역을 의미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삽입구(160)의 형상, 길이 등은 상기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상대커넥터(미도시)의 형상, 길이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리브(140)는 삽입구(160) 내에 형성되고, 삽입구(160)의 내경을 줄여,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자가 구비한 터치프로브 등과 같은 작업 지그(50)가 삽입구(160) 내로 삽입되어 커넥터(100)에 흐르는 전류가 작업자로 도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00)의 삽입구(160)에 지그(50)가 삽입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커넥터(100)의 삽입구(160)에 삽입되는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이를 위하여, 리브(140)는 삽입구(160) 내측의 어느 한 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40)는 단자(120)의 일 단이 드러나는 시작점(130)에서부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점(170)까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구(160) 내측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리브(140)는 삽입구(160) 내측의 대향되는 면에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커넥터(1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140)가 형성된 상기 삽입구(16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의 내경은 리브(140)가 형성되지 않은 커넥터(100)의 좌측면에서부터 우측면까지의 내경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때, 리브(140)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커넥터의 삽입구의 내경이 커넥터(100)를 제조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지그(50)의 내경과 유사한 내경이라고 할 경우, 본 발명의 1실시예와 같이 삽입구(160)의 상면과 하면에 리브(140)를 형성하면, 삽입구(16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의 내경을 기존의 삽입구의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지그(50) 등이 상기 삽입구(160)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140)에 의하여 커넥터(100)의 단자(120)와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100)의 단자(120)와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100) 제조에 필요한 부품, 조립공수 등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리브(240)는 단자(120)의 일 단이 드러나는 시작점(130)에서부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점(170)까지 영역 중에서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리브(240)는 상기 삽입점(170)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삽입구(16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240)는 상기 삽입구(160) 내측의 대향되는 면에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삽입구(16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240)를 삽입점(170)에 근접한 위치에 돌기로 형성함에 따라 단자(120)와 리브(24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브(240)가 상기 시작점(130)에서부터 삽입점(170)까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면, 삽입구(160) 내경이 전체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단자(120)와 리브(240)가 인접하게 형성되면서 단자(120)와 리브(240)가 서로 간섭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240)를 삽입점(170)에 근접한 위치에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리브(240)는 삽입구(160) 내측의 대향되는 면에 하나씩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지만, 복수의 리브(240)가 삽입구(160) 내경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40)는 상기 시작점(130)에서부터 상기 삽입점(170)까지 상기 삽입구(16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자(120)의 일 단이 드러나는 시작점(130)이 형성된 삽입구(160)의 내경은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점(170)이 형성된 삽입구(16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리브(340)는 삽입구(160)의 초입 내경을 줄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지그(50)가 삽입구(16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이하여 시작점(130)에 인접한 리브(340)는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리브(340)가 단자(120)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삽입점(170)에 인접한 리브(340)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지그(50)를 상기 삽입구(160)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리브(440)는 삽입구(160) 내측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리브(440)가 삽입구(160) 내측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삽입구(160)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상기 단자(120)와 통전 가능한 지그(50)가 삽입구(160)를 통해 단자(1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브(440)는 삽입구(160)의 삽입점(170)과 인접한 부위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시작점(130)에서 삽입점(170)까지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삽입구(160) 내경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리브(140, 240, 340, 440)는 커넥터(100) 제조 시, 삽입구(160) 내측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별도로 형성되어 삽입구(160) 내측에 레이저, 초음파 및 본딩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점(170)과 인접하게 형성되며, 커넥터(10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턱(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수턱(180)은 상기 삽입점(170)에서 커넥터(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100) 내부로 수분,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커넥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에 형성된 리브(140, 240, 340, 440)가 맞물리는 리브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홈은 커넥터(100)에 상대커넥터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대커넥터에 리브홈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100)와 상대커넥터가 연결될 때 리브(140, 240, 340, 440)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커넥터(100)와 상태커넥터의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커넥터(100)의 삽입구(160)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커넥터 이외에 작업자의 손, 별도의 지그(50)가 커넥터(100)의 단자(120)와 접촉하여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가 작업자의 손이나 별도의 지그(50)가 커넥터(100)의 단자(120)와 접촉하여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부품 없이 커넥터(100)의 전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커넥터: 100 단자: 120
리브: 140, 240, 340, 440 삽입구: 160

Claims (5)

  1. 상대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일 단이 드러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 단이 삽입되되,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전단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경을 줄인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커넥터는 상기 리브가 맞물리는 리브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삽입구 내측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삽입구 내측의 어느 한 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삽입구 내측의 대향되는 면에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과 가로지르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삽입구의 내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79891A 2013-07-08 2013-07-08 커넥터 KR10167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891A KR101672955B1 (ko) 2013-07-08 2013-07-0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891A KR101672955B1 (ko) 2013-07-08 2013-07-08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82A KR20150006282A (ko) 2015-01-16
KR101672955B1 true KR101672955B1 (ko) 2016-11-04

Family

ID=5256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891A KR101672955B1 (ko) 2013-07-08 2013-07-0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714A (ja) 1998-12-10 2000-06-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自動調芯接続装置
JP5215472B2 (ja) 2009-08-20 2013-06-19 行田電線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47Y1 (ko) 2004-01-19 2004-04-28 최기태 감전 방지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3714A (ja) 1998-12-10 2000-06-2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自動調芯接続装置
JP5215472B2 (ja) 2009-08-20 2013-06-19 行田電線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82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5810B2 (ja) 端子及び端子の製造方法
KR102049393B1 (ko) 고속 전기 커넥터 및 이의 신호 모듈 및 신호 모듈의 성형방법
KR101674998B1 (ko) 커넥터
JP6008939B2 (ja) 非接触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充電プラグ
JP5644657B2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US20180358732A1 (en) Connector
US10498077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JP2014135194A (ja) 防水コネクタ
KR101672955B1 (ko) 커넥터
JP5861205B2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881977B2 (ja) 防水コネクタ
US10741961B2 (en) Male connector
US20190181583A1 (en) Electrical connecting cable
CN111033911A (zh) 连接器
JP2004063135A (ja) コネクタ構造
US11223164B2 (en) Plug-in module for a sensor and method of installing a plug-in module for a sensor
KR20170117693A (ko) 커넥터
JP6247601B2 (ja) 中継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組み立て体
JP624327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444187B1 (ko) 보호부가 구비된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JP2007207727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嵌合構造
KR102226323B1 (ko) 헤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커넥터 장치
KR102090132B1 (ko) 조인트커넥터
JP6723872B2 (ja) コネクタ
JP2016025735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