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53B1 -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53B1
KR101672953B1 KR1020150036153A KR20150036153A KR101672953B1 KR 101672953 B1 KR101672953 B1 KR 101672953B1 KR 1020150036153 A KR1020150036153 A KR 1020150036153A KR 20150036153 A KR20150036153 A KR 20150036153A KR 101672953 B1 KR101672953 B1 KR 10167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ction
main body
vacuum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588A (ko
Inventor
이걸주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to KR102015003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에서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과, 상기 커버, 상기 메인본체 및 상기 진공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를 밀착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진공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용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용기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진공챔버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는 외부용기 흡입수단;과, 상기 진공수단,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 및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밸브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포장기{VACCUM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챔버를 완전히 밀폐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종래 챔버식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에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진공펌프 등을 이용해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다.
그리고,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열선에 의해 포장지의 개봉부가 열융착되어 봉합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700호(2003.07.01.등록) 등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지를 챔버 내부에 위치시키고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 또는 반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챔버모드와, 외부에 설치된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진공포장기 본체의 흡입구에 연결된 진공호스를 이용하여 흡입함으로써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 또는 반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용기모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포장기의 챔버모드 및 용기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호스, 밸브와 같은 부품이 다수개 필요하며 진공상태의 형성 및 해제를 위하여 다수개의 호스, 밸브에 대한 복잡한 신호를 미리 설정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진공포장기 내부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9700호(2003.07.01.등록)
본 발명은 진공챔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포장지의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공포장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공포장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메인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에서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과, 상기 커버, 상기 메인본체 및 상기 진공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를 밀착시키는 밀폐수단;과, 상기 진공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용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용기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진공챔버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는 외부용기 흡입수단;과, 상기 진공수단,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 및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밸브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은, 상기 용기에 접촉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흡입본체; 및 공기이동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회전에 의해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상기 흡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본체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홈이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입본체; 및 상기 제1흡입본체와 상호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흡입본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노치를 구비하는 제2흡입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구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홈을 따라 이동하게 제공되는 구동돌기; 및 상기 결합노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기 결합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2흡입본체와 접촉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홈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플랫(plat)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높이차를 갖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흡입본체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결된 공기통로 및 상기 밀폐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기통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메인본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메인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실린더공기흡입구를 구비하는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이동하게 제공되는 피스톤; 및 일측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스톤은, 상기 진공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몸체 내의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이동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 작동방법은 기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진공수단을 구동시키는 진공수단 구동단계;와, 진공챔버부를 구비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된 커버에 각각 연결된 밀폐수단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메인본체와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진공챔버부 밀폐단계;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진공챔버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본체 외부의 용기에서 진공을 형성하는 외부용기 진공형성단계; 및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면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정지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 및 상기 외부용기 진공형성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정지단계 완료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진공챔버부의 진공상태를 상기 메인본체의 외부에서 해제하는 진공해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챔버를 밀폐하여 포장지의 진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부품으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부품비용이 절감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나의 진공포장기로 내부의 포장지 진공형성과, 외부의 용기 진공형성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진공포장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메인본체와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제1흡입본체와 승하강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제1흡입본체와 승하강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제1흡입본체와 승하강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제1흡입본체와 승하강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A'이고,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작동 이전의 상태이다.
도 11은 도 1의 A-A'이고, 외부용기 흡입수단의 작동 이후의 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실링패드와 제2실링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탄성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탄성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밀폐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밀폐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 작동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1000)는 진공챔버부(10)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20)가 연결된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100)에서 진공챔버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200)과, 상기 커버, 상기 메인본체 및 상기 진공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를 밀착시키는 밀폐수단(300)과, 진공수단(200)에 연결되어 메인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용기(미도시)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용기에서 흡입한 공기를 진공챔버부(10)에 공급하여 상기 진공챔버부(10)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는 외부용기 흡입수단(400)과, 상기 진공수단,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500) 및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밸브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밸브수단를 제어하는 제어부(600, 도 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는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은 진공포장기 메인본체(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용기(미도시)에 접촉하는 흡입구(411, 도 10 참조)를 구비하고, 메인본체(100)에 연결호스(450)를 매개로 연결되는 흡입본체(410) 및 도 5에 보이는 공기이동홀(422)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상기 흡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승하강부재(4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의 흡입본체(410)에서 상기 흡입구 주변에 마련되는 흡입접촉부(412)를 상기 용기(1)에 접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입본체(410)는 제1흡입본체(430) 및 제2흡입본체(440)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1,2흡입본체는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흡입본체(41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승하강부재(420)를 회전시키고 승하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2흡입본체는 결합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2흡입본체(430)의 회전방향과 상기 승하강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동일하다.
도 5에는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1흡입본체(430)는 승하강부재(420)의 공기이동홀(422)이 관통하는 관통구(4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420)의 공기이동홀(422)은 관통구(460)를 관통하여 연결호스(450)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진공수단(200)과 연결된다.
승하강부재(420)는 바디부(421)와, 상기 바디부(421)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본체(410)에 대면하는 구동돌기(423) 및 상기 바디부(421)를 관통하여 제1흡입본체(430)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이동홀(4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흡입본체(440)는 상기 승하강부재(4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노치(441)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흡입본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413)를 구비하며, 외부 용기와의 접촉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밑판(442)을 구비한다.
상기 승하강부재(420)와 상기 제2흡입본체(440)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부재(425)에 의하면 공기이동홀(422)을 통해 흐르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이동홀(4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재(420)의 승강 또는 하강시에, 상기 승하강부재가 승하강방향으로 제2흡입본체(4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425)의 재질은 고무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1흡입본체(430)와 상기 승하강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제1흡입본체(430)의 내면에는 승하강부재의 구동돌기(423)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구동홈(4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흡입본체(430)의 둘레방향으로는 복수개의 몸체체결돌기(435)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체결돌기(435)가 제2흡입본체(44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2흡입본체(430, 440)가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단면도에 보이듯이, 제2흡입본체(440)에도 몸체체결돌기(44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흡입본체(430, 440)에 각각 형성된 상기 몸체체결돌기(435,443)들이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체결돌기들은 각각 흡입본체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2흡입본체(430, 440)는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는 상호 이동을 구속하는 반면,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해서는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2흡입본체(430, 440)를 각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승하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보이듯이, 승하강부재는 하부에 결합돌기(424)와 패킹체결구(426)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제2흡입본체(440)의 결합노치(441, 도 5 참조)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패킹체결구에는 패킹부재(425)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은 초기 상태에 도 10에 보이는 것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흡입본체(440)에 구비되는 흡입구(411)는 승하강부재의 패킹부재(425)에 의해 폐쇄되며, 패킹부재(425)와 제2흡입본체(440)는 밀착 접촉된 상태이다.
이때, 승하강부재에 구비되는 공기이동홀(422)의 직경은 흡입구(411) 간의 간격보다 작은 값을 가져야 한다. 그리하여, 승하강부재의 패킹부재(425)가 제2흡입본체(440)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공기이동홀(422)은 외부와 통하지 않으며, 외부의 공기가 공기이동홀(422)로 유입될 수 없고, 공기이동홀(4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없다.
이어, 사용자가 제1흡입본체(430)와 제2흡입본체(440)를 각각 잡고, 제1,2흡입본체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흡입본체를 시계방향으로 돌렸다면 제2흡입본체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다.
그리하면, 후술되는 방법으로 인해 승하강부재가 제1흡입본체(430) 방향으로 승강하며, 도 11에 보이는 것처럼 패킹부재(425)가 제2흡입본체(440)와 접촉해제된다. 그러면, 승하강부재의 상승거리(L)가 발생하면서 흡입구(411)가 개방되게 되고, 따라서 공기이동홀(422)은 외부와 연통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흡입본체 외부의 공기가 공기이동홀(422)로 유입될 수 있고, 공기이동홀(4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2흡입본체(430, 440)의 회전가능거리는 도 7 내지 도 9에 보이는 구동홈(431)의 길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2흡입본체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하강부재의 결합돌기(424)에 의해 승하강부재가 제2흡입본체(4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 제1흡입본체(430)는 제2흡입본체(440)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승하강부재의 구동돌기(423)와 제1흡입본체(430)의 구동홈(431)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홈(431)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32)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플랫(plat)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부(433a,433b)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높이차(D)를 갖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구동홈(431)에 의하면 상기 구동홈(431)의 경사부(432)에서는 구동돌기(423)의 이동속도가 더욱 빨라지며 걸림부로 진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1,2흡입본체를 상호 회전시키지 않는 한, 구동돌기(423)는 경사부(432)에 진입할 수 없다.
즉, 도 7에 보이는 회전 이전의 상태에서 구동돌기(423)는 구동홈(431)의 일측 걸림부(433a)에 위치한다. 이때, 패킹부재(425)는 상기 제2흡입본체에 밀착 접촉되어 흡입구(411, 도 10 참조)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제1,2흡입본체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면 도 8에 보이는 것처럼, 구동돌기(423)는 구동홈(431)의 경사부(432)에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420)도 회전하면서 일정거리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부재(425)는 제2흡입본체와 접촉이 해제된다.
이후, 도 9에 보이는 것처럼, 구동돌기(423)가 타측 걸림부(433b)에 도달하면, 제1,2흡입본체는 회전이 중단되며, 승하강부재(420)는 제1흡입본체(430) 내부의 스토퍼(434)에 접촉 또는 근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홈의 걸림부(433a,433b) 및 제1흡입본체(430) 내부의 스토퍼(434)에 의하면 승하강부재(420)의 승하강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1,2흡입본체를 회전시켜서 흡입구(411)를 패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이동홀(422)과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기이동홀(422)에 연결되는 연결호스(450)를 통해 선술한 진공챔버부(10)의 챔버공기흡입구(12)로 외부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외부용기 흡입수단(400)과 진공수단(200)의 연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이 외부에 위치하는 용기(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진공챔버부(10) 내부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챔버부(1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진공포장기(1000)의 메인본체(1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메인본체(100)의 상부로 연결되는 커버(20)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20)의 외부로는 시작버튼(30)과 실링버튼(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시작버튼을 누르면 진공동작이 시작되고, 실링버튼을 누르면 포장지(미도시)의 개구부가 실링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 실링은 상기 시작버튼을 누른 후 진행되는 일련의 진공동작과 함께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커버(20)는 도 2에 보이듯이 메인본체(100)의 상부에 연결부(6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60)는 힌지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진공챔버부(10)의 상면 둘레에는 제1실링패드(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20)에는 상기 제1실링패드에 대응 접촉되는 제2실링패드(21)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열선(70)을 구비하여 포장지(미도시)의 개구부를 실링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밀폐수단(300)은 커버(20)와 메인본체(100) 사이에 연계되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커버(20)가 메인본체(100)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작동되어 진공챔버부(10)를 보다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진공수단(200)은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되는 진공펌프(210)와 진공펌프가 구동되도록 제공되는 진공모터(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공펌프(210)는 진공호스(230)를 통해 제1밸브(510)에 연결되고, 제1밸브(510)는 실린더호스(340)를 통해 밀폐수단(300)에 연결된다. 또한, 제1밸브(510)는 연결호스(450)에 의해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의 승하강부재(420)의 공기이동홀(422)에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사이의 공기통로에는 진공챔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700)가 구비된다.
한편, 제2밸브(520)는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어 밀폐수단(300)과 연결됨으로써, 진공동작이 완료되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밀폐수단(300)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밸브수단(500)에 의한 공기의 흐름전환은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각각의 구성요소에 연결된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600)에는 조작부(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보이듯이, 상기 제1밸브(510)와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의 연결호스(450)는 챔버호스(13)에 의해 진공챔버부(10)의 챔버공기흡입구(1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밀폐수단의 세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폐수단은 도 15에 보이듯, 진공수단과 연결되며, 실린더공기흡입구(311)를 구비하는 실린더몸체(310)와, 상기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312)에 삽입되고 단부가 커버(20)에 고정되는 피스톤(320) 및 실린더몸체(3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이때, 피스톤(320)의 외부로는 피스톤와셔(321)가 구비되고, 실린더몸체(310)와 피스톤(320) 사이에는 밀봉링(313)이 구비되며, 메인본체(100)의 상면(101)에는 피스톤(320)이 장착되는 피스톤장착구(102)가 구비된다.
탄성부재(330)는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320)이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제공된다. 이때, 피스톤(320)은 진공수단에 의해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3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하향이동될 수 있다.
도 16에는 진공펌프(210)에 구비된 흡입실린더(211)가 도시되어 있다. 흡입실린더(211)는 메인본체(100)의 상면(10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메인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실린더(211)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본체와 상기 흡입실린더(211)는 일체로 사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실린더(211)에는 흡입공(213)과 배출공(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공에는 진공호스(230)가 장착된다. 배출공에는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재(32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20)에는 진공모터와 연결된 연결부재(3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본체와 흡입실린더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면, 피스톤(320)의 왕복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는 탄성가압부재(800)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가압부재(800)는 제1실링패드(11)와 제2실링패드(21)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커버(20)의 하부로는 고정판(2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2)의 하부로는 진공챔버부(10)에 대응되게 가압판(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압판(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20)의 일측에서 가압판(80) 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패드(11)는 진공챔버부(1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챔버부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패드(21)는 상기 제1실링패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20)를 닫으면 상기 제1실링패드와 밀착 접촉되어 진공챔버부(10)를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챔버부(10)의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 제1,2실링패드(11,21)는 탄성 압축 가능한 스펀지나 고무패킹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20)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는 제1,2실링패드(11,21)가 반복적인 압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보이듯이, 만약 제1실링패드(11)에서 압축에 의해 변형된 압축변형부(S)가 발생하면 제2실링패드(21)와 밀착 접촉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2실링패드(11,21)의 밀착을 위하여 탄성가압부재(800)를 제공한다. 즉, 가압판(80)의 탄성가압부재 장착구(81)에 탄성가압부재(800)를 설치하면 제1,2실링패드(11,21)가 마모 내지 변형된 경우에도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즉, 탄성가압부재(800)는 커버(20)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2)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판(80) 사이에 구비되며, 제2실링패드(21)를 제1실링패드(11)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17에 보이듯이, 기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진공수단을 구동시키는 진공수단 구동단계(S1100)와, 진공챔버부를 구비하는 메인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된 커버에 각각 연결된 밀폐수단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메인본체와 상기 커버가 밀착되는 진공챔버부 밀폐단계(S1200)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진공챔버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S1300)와,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메인본체 외부의 용기에서 진공을 형성하는 외부용기 진공형성단계(S1400) 및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면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구동정지단계(S1500)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 및 상기 외부용기 진공형성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진공포장기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정지단계 완료 이후에 수행되며, 상기 진공챔버부의 진공상태를 상기 메인본체의 외부에서 해제하는 진공해제단계(S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진공포장기(1000)를 작동함에 있어서, 먼저 제어부(6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진공수단(200)이 구동한다. 그리고 제1밸브(510)를 작동하여 진공수단(200)과 밀폐수단(300)을 먼저 연결하게 된다.
그러면, 밀폐수단(300)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진공챔버부(10)를 구비하는 메인본체(100)에 연결된 커버(20)가 상기 메인본체(100) 측으로 이동되어 진공챔버부(10)가 밀폐된다.
이어, 제1밸브(510)를 작동하여 진공수단(200)을 진공챔버부(10)와 메인본체(100)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선술한 밀폐수단(300)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제2밸브(520)를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밀폐수단(3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밸브(510)에 의해 진공수단(200)과 연결된 진공챔버부(10)와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에 연결된 용기(1)에서 동시에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S1300)와 외부용기 진공형성단계(S140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챔버부(10)와 메인본체(100)의 외부에 위치한 용기(1)에서 진공상태 형성이 완료되면, 진공수단(200)의 구동을 정지하는 구동정지단계(S1500)가 수행되며, 이어서는 진공챔버부(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에 보이는 것처럼, 외부용기 흡입수단(400)의 제1,2흡입본체(430, 440)를 회전하여 승하강부재(420)를 이동시키고, 패킹부재(425)를 흡입구(411)와 접촉해제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챔버부(10)의 진공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외부에서 진공상태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부용기 흡입수단을 진공챔버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밸브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진공챔버부 20 : 커버
30 : 시작버튼 40 : 실링버튼
100 : 메인본체 200 : 진공수단
300 : 밀폐수단 400 : 외부용기 흡입수단
500 : 밸브수단 600 : 제어부
700 : 압력센서 800 : 탄성가압부재
1000 : 진공포장기

Claims (13)

  1.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메인본체; 상기 메인본체에서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수단; 상기 커버, 상기 메인본체 및 상기 진공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를 밀착시키는 밀폐수단; 상기 진공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용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되, 상기 용기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진공챔버부에 공급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에 연결되는 외부용기 흡입수단; 상기 진공수단,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 및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밸브수단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 흡입수단은, 상기 용기에 접촉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흡입본체; 및 공기이동홀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본체 내부에서 승하강하며 상기 흡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본체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홈이 내부에 구비되는 제1흡입본체; 및
    상기 제1흡입본체와 상호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흡입본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노치를 구비하는 제2흡입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구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홈을 따라 이동하게 제공되는 구동돌기; 및
    상기 결합노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기 결합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제2흡입본체와 접촉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홈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플랫(plat)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들은,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높이차를 갖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본체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결된 공기통로 및 상기 밀폐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기통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커버와 상기 메인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메인본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메인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실린더공기흡입구를 구비하는 실린더몸체;
    상기 실린더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이동하게 제공되는 피스톤; 및
    일측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진공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몸체 내의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이동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36153A 2015-03-16 2015-03-16 진공포장기 KR10167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53A KR101672953B1 (ko) 2015-03-16 2015-03-16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53A KR101672953B1 (ko) 2015-03-16 2015-03-16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588A KR20160111588A (ko) 2016-09-27
KR101672953B1 true KR101672953B1 (ko) 2016-11-08

Family

ID=5710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53A KR101672953B1 (ko) 2015-03-16 2015-03-16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00Y1 (ko) 2003-04-03 2003-07-12 최영숙 분리되며 열봉합되는 노즐 다발이 설치된 진공포장기
KR100778520B1 (ko) * 2005-06-30 2007-11-22 (주)씨에스이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AU2007254757A1 (en) * 2006-05-31 2007-12-13 The Glad Products Company Evacuation device
KR101519568B1 (ko) * 2013-02-11 2015-05-13 이걸주 진공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588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2505A1 (zh) 真空食品加工机
WO2018072504A1 (zh) 真空料理机
KR101439328B1 (ko) 진공포장기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KR101672953B1 (ko) 진공포장기
CN111486167A (zh) 一种真空吸附装置
KR101479043B1 (ko) 핸디형 진공기
KR101519568B1 (ko) 진공포장기
JP3777364B2 (ja) オイル吸引装置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101488435B1 (ko) 진공포장장치의 진공펌프
CN111588258A (zh) 一种可自动增强负压的真空吸附装置
WO2007132966A1 (en) Up and down sliding type vacuum packing apparatus
KR200389395Y1 (ko)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2412967B1 (ko) 그리핑 기능을 겸비한 진공 흡착 이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송 시스템
KR200234362Y1 (ko) 진공용기 덮개
KR200393768Y1 (ko)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726355B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101648802B1 (ko) 진공감지수단을 내장하는 진공포장기용 진공펌프
KR101286069B1 (ko) 진공 포장기
KR20100056057A (ko)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KR200378307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포켓 및 에어포켓을 이용한 진공포장기
JPH0739766Y2 (ja) 不活性ガス置換装置
WO2006057495A1 (en) An outlet of a case for pressing and keeping bedclothes
CA2104741A1 (en) Vacuum valves for canisters and j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