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95Y1 -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95Y1
KR200389395Y1 KR20-2005-0009833U KR20050009833U KR200389395Y1 KR 200389395 Y1 KR200389395 Y1 KR 200389395Y1 KR 20050009833 U KR20050009833 U KR 20050009833U KR 200389395 Y1 KR200389395 Y1 KR 200389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upper case
coupled
vacuum packag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20-2005-0009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켓부가 상부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함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시, 가스켓부에 의해 상부케이스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A vacuum packing apparatus with moving gasket}
본 고안은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켓부가 상부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함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시, 가스켓부에 의해 상부케이스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진공포장기는 그 진공포장 방식에 따라 크게 챔버식과 노즐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종래 챔버식 진공포장기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6-0013082호 등을 통해 공개되어 있는데, 챔버(500)에 진공포장지(400)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진공펌프등을 이용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다.
진공펌프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히팅부(300)에 의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열융착되어 봉합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 20-0319700호 등을 통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흡입노즐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통해 삽입되어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95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78218호등을 통해 공개된 것인데, 진공 완료후에는 노즐을 후퇴시킨 후, 히팅부를 통해 개봉부를 열봉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2는 상기 제20-0378218호의 등록고안을 통해 공개된 진공포장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진공포장기의 최전방에는 히팅부(300)가 위치하며, 상기 히팅부의 후방에는 진공포장지 개봉부를 밀착시키기 위한 가스켓(101,201)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작동을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를 통해 상세히 개시되고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진공 완료후, 진공포장지 개구부를 열융착시키기 위해, 상기 히팅부(300)에 강한 압착력이 필요하였다. 히팅부(300)가 고온으로 가열 된 상태에서 진공포장지를 눌러주는 강한 힘이 작용하여야 진공포장지의 열봉합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포장기는 강한 힘을 가해 상부케이스(100)를 눌러준다 하더라도, 히팅부(300) 후방에 위치하는 가스켓(101,201)에 의해 상부케이스(100)의 하강이 저지되어 열봉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스켓부가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부케이스에 결합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이 가스켓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 위치하는 히팅부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스켓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스켓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락킹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스켓부의 양 단부가 위치하도록 아래쪽으로 단차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하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상부오목부의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스켓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스위칭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가스켓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스위칭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스켓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와; 상기 누름부의 좌우양측에 결합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부는, 좌우 양측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와; 상기 버튼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락킹부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 양측에는 누름부가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홈 위에 위치하여 상부 표면이 윗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또는 상부케이스 중 어느하나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가 닫히는 경우, 상기 오목부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되, 상기 챔버에는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흡입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진공포장기가 닫힌 채 진공포장이 이루어 지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4는 진공포장기의 상부케이스(100)가 오픈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의 진공포장기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최전방에는 히팅가압부(310)가 위치하며, 하부케이스(200)에는 상기 히팅가압부(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열부(320)가 위치한다. 상기 히팅가압부(310)와 가열부(320)는 히팅부(300)를 구성하게 되며, 열봉합시 상기 히팅가압부(310)와 상기 가열부(320)는 진공포장지를 사이에 둔 채 서로 맞닿게 된다.
하부케이스(100)에서 상기 가열부(320)의 좌우 양측면에는 하부오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오목부(210)의 중앙에는 흡입구(미도시)가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는 하부케이스(200)내부에 내장된 진공펌프(미도시)와 연통된다. 하부오목부(210)의 테두리에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패킹(211)이 위치한다.
상부케이스(100)에서 상기 하부오목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부오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오목부(110)의 테두리에도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패킹(111)이 위치하며, 상부케이스(100)가 하부케이스(200) 위로 닫혀 있을 때, 상기 상부오목부(110)와 하부오목부(210)는 챔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챔버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밀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챔버 내부가 진공이 되어 감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된다.
첨부도면에서는 상부오목부(110)와 하부오목부(210)가 모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흡입구(미도시)를 포함하는 챔버가 형성될 수만 있다면, 상부오목부(110) 또는 하부오목부(21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가능하다. 단, 오목부(110,210)가 형성되지 않은 쪽에도 챔버의 밀폐를 위한 패킹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부케이스(100)에서 상기 히팅부(300)의 후방으로는 가스켓부(700)가 위치한다. 상기 가스켓부(700)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부(700)는 도6 내지 도8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710)과 상기 메임프레임(710)에 결합되는 누름부(720), 락킹부(730), 스프링(760) 및 탄성부(740)로 구성된다. 도6과 도7은 이러한 가스켓부(700)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며, 도8은 단면도이다.
먼저 메인프레임(710)은 좌우 방향으로 긴 중공의 형상을 갖는다. 메인프레임(710)의 하부에는 탄성부(740)가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부(740)는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눌러주기 위한 구성으로,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710)의 양 단부에는 도8에서와 같이 누름부(720)가 결합된다. 상기 누름부(720)는 누름면(721)과 상기 누름면(72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부(722)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722)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722)의 안쪽에는 삽입홈(723)이 형성된다. 결합부(722)는 후술하는 스프링(76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바깥쪽 부분에 제1단차부(724)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쪽이란 메인프레임(710)의 중심쪽을 말하며, 바깥쪽이란 가스켓부(700)의 양 단부 쪽을 말한다.
상기 결합부(720)에는 도8에서와 같이 바깥쪽으로 부터 락킹부(73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락킹부(730)는 버튼부(731)와 상기 버튼부(731)의 안쪽에 위치하며 하부로 돌출되는 돌기부(732)와, 상기 돌기부(732)의 안쪽에 위치하는 중공의 삽입부(733)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732)의 하단과 상기 삽입부(733)의 안쪽 단부에는 각각 제1돌기(732a)와 제2돌기(733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삽입부(733)에는 제2단차부(734)가 상기 돌기부(732)에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단차부(734)에는 스프링(760)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메인프레임(710), 누름부(720), 락킹부(730)의 결합과정을 보면, 먼저 메인프레임(710)의 양단부가 누름부(720)의 결합부(722)에 형성된 삽입홈(723)에 삽입, 고정되도록, 메인프레임(710)과 누름부(720)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중공의 결합부(722)에 다시 락킹부(730)를 삽입하여 제2돌기(733a)가 결합부(722)의 안쪽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이 때 제1단차부(724)와 제2단차부(734) 사이에 스프링(760)을 위치시켜 결합하면, 스프링(760)의 탄성력이 락킹부(730)와 누름부(720) 사이에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스켓부(700)는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진공포장기의 상부케이스(10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5는 가스켓부(700)가 상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된 진공포장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케이스(700)에서 히팅부 후방쪽으로는 안착부(151) 및 절개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51)는 상부케이스(100)의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51)의 일부는 절개되어 절개부(152)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151)의 상부에는 누름부(720)가 위치하게 되며, 절개부(152)의 하부로는 락킹부(731)의 돌기부(732)가, 안쪽으로는 메인프레임(710)이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스켓부(700)가 상부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모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케이스(100)의 아래쪽에서, 양쪽 절개부(152)의 사이에 메인프레임(710)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프레임(710)의 단부가 누름부(720)의 결합부(722)에 형성된 삽입홈(723)에 삽입되도록 양쪽에서 누름부(72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누름부(720)는 안착부(151)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메인프레임(710)은 상부케이스(100)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스켓부(700)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단, 상기 누름부(720)의 하부와 상기 안착부(151)의 상부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상기 가스켓부(700)가 도12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스켓부(700)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상부오목부(110)의 후방쪽 외측면과 상기 안착부(150)의 후방쪽 측면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메인프레임(710)에 누름부(720)가 결합되면, 상기 누름부(720)의 외측에 다시 락킹부(730)를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락킹부(730)는 삽입부(730)의 외주면에 스프링(760)을 위치킨채 삽입되므로, 스프링(760)은 제1단차부(724)와 제2단차부(73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락킹부(73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상기 락킹부(730)에는 외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지만, 삽입부(733)의 단부에 형성된 제2돌기(733a)에 의해 누름부(720) 바깥쪽으로 이탈되지는 않게 된다.
상기 결합부(722)의 외측면의 전방으로는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스위칭돌기(750)가 결합된다. 상기 스위칭돌기(750)는 후술하는 하부케이스(200)상의 스위치(280)를 눌러주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칭돌기(750)가 누름부(720)의 전방쪽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스위칭돌기(750)는 하부케이스(200) 상에 위치하는 스위치(280)를 눌러줄 수 있도록 돌출되기만 하면되며, 그 위치는 결합부(720)의 후방이든, 하부이든, 메인프레임(710)에 직접 결합되든 상관없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상에는 상기 가스켓부(7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가스켓(290)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결합된다.
상기 보조가스켓(290)과 상기 가열부(320) 사이에는 좌우 양쪽으로 2개의 포장지 가이드(270)가 돌출된다. 상기 포장지 가이드(270)는 진공포장지가 좌우 한쪽으로 쏠리게 위치하여 스위치(280)를 눌러버린다거나, 하부오목부(210)를 막아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의 바깥쪽에는 스위치(280)가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280)는 전술한 가스켓부(700)의 스위칭돌기(750)에 의해 눌려 작동되게 되며, 스위치(280)가 ON 되면 진공펌프(미도시)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스위치(280)의 위치는 스위칭돌기(750)의 형성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닫힐때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이기만 하면 어디든 무방하다.
상기 스위치(280)의 바깥쪽, 하부오목부(210)의 후방으로는 락킹수용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수용부(250)는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바깥쪽 측면에는 안쪽으로 걸림턱(25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51)은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닫힐 경우, 락킹부(730) 돌기부(732)의 제1돌기(732a)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최전방에는 경사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60)는 하부케이스(200)의 전방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모서리 부분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60)는 진공포장지의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경사부(260)에 진공포장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진공포장지가 좌우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200)스에는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노즐어셈블리(800)가 결합된다. 도9 내지 도11 은 상기 노즐어셈블리(800)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노즐어셈브리(800)는 흡입플레이트(810)와, 상기 흡입플레이트(8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820)와, 상기 연결부(820)의 후방에 위치하는 노즐블럭(8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플레이트(810)는 진공포장지 내부에 삽입되어 직접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으로, 전방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흡입플레이트(8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연결부(820)를 통해 노즐블럭(830)으로 유입된다.
상기 노즐블럭(830)에는 도11에서와 같이 5개의 에어홀이 형성된다.
먼저 전방쪽에 형성되는 메인에어홀(844)은 전술한 연결부(820)와 연통되어,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가 노즐블럭으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노즐블럭(830)의 상부에는 용기에어홀(843)이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에어홀(843)은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미도시)를 진공포장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10에서와 같이 탄성카버(850)에 의해 닫혀 있다가, 사용시에는 도9에서와 같이 탄성카버(850)를 걷어 내고 호스(50)를 삽입하여 진공포장을 수행하면 된다.
노즐블럭(830)의 후방으로는 3개의 에어홀(841,842)이 형성된다. 먼저 좌우 양쪽의 챔버에어홀(842)은 하부오목부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진공펌프 작동시 챔버내부의 공기가 노즐블럭(830)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챔버에어홀(842)의 중앙에 위치하는 펌프에어홀(841)은 직접 진공펌프와 연통되어 노즐블록(830)으로 유입된 공기가 진공펌프 쪽으로 빠져 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2개의 챔버에어홀(742), 용기에어홀(743) 및 메인에어홀(744)은 모두 펌프에어홀(741)과 연통되는데, 도10에는 이러한 에어홀의 연결구조가 투시도를 통해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에어홀의 연결구조는 후술하는 진공포장기의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진공포장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진공포장지 내부에 피포장물을 수용한채, 진공포장지의 개구부속에 노즐플레이트(810)가 위치하게끔 하부케이스상(200)에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위치시킨다. 이 때 포장지 가이드(270) 및 경사부(260)에 의해 진공포장지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이 없게 된다. 진공포장지를 위치시킨 후에는 상부케이스(100)를 내려 닫는다.
이 때 누름부(720)를 손으로 눌러주면 락킹부(730)의 제1돌기(732a)가 하부케이스(200)의 락킹수용부(250) 측면에 위치하는 걸림턱(251)에 걸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락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락킹이 이루어지면, 가스켓부(700)의 탄성부(740)와 보조가스켓(290)에 의해 진공포장지 개구부가 막히게 되며, 가스켓부(700)에 결합된 스위칭돌기(750)가 스위치(280)를 눌러 내장된 진공펌프가 작동하게 된다.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가 노즐어셈블리(800)를 통해 흡입되며, 상부오목부(110)와 하부오목부(210) 사이에 형성된 챔버 내부의 공기도 같이 흡입되게 된다.
에어플레이트(8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연결부(820)를 거쳐 메인에어홀(844)로 흡입되며, 메인에어홀(844)을 지난 공기는 다시 펌프에어홀(841)을 통해 진공펌프로 흡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공포장지 내부가 진공으로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오목부(110)와 하부오목부(210) 사이에 형성된 챔버 내부의 공기는 하부오목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거쳐 챔버에어홀(842)을 통해 노즐블럭(830)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다시 펌프에어홀(841)을 통해 진공펌프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닫힌 채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진공포장지 내부와 상기 챔버 내부가 모두 진공으로 되어 가는 것이다.
챔버 내부가 진공이 되어가면, 그에 따라 대기압에 의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며, 이러한 밀착력의 증가는 탄성 패킹(111,211)의 압축을 불러일으킨다.
탄성 패킹(111,211)이 압축되면 상부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200) 쪽으로 보다 많이 하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부케이스(100)의 하강은 히팅가압부(310)의 하강을 유도하여, 가열부(320)와 히팅가압부(310)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가열부(320)와 히팅가압부(310)가 밀착하면, 히팅부(300)에서 진공포장지를 압박하는 힘이 강해져서, 포장지 개구부의 열융착에 보다 유리해 진다.
이 때, 상부케이스(100)가 하강하더라도, 가스켓부(700)는 더이상 하강하지 않고 도12b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된다. 이는 가스켓부에 상관없이 상부케이스가 하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스켓부(700)가 상부케이스(100)의 아래쪽 방향의 밀착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부케이스(100)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진공포장지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하부케이스(100)에 내장된 압력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진공펌프의 작동이 중단되면 히팅부(300)가 작동하여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열융착한다. 이 때 모터의 정지에 이은 히팅부의 작동은 마이컴(미도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진공포장기를 자동제어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등을 통해 잘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진공포장지는 최종적으로, 가열부(320)의 고온과, 상기 가열부(320)와 히팅가압부(310) 사이의 압착력에 의해 열융착 되어 봉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챔버내부가 진공이 되더라도, 가스켓부(700)가 상부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스켓부(700)가 상부케이스(100)의 하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히팅부(300)에 강한 압착력이 발생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가스켓부(700)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히팅부(300)의 압착력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락킹부(730)의 버튼부(731)를 눌러 걸림턱(251)에 걸려 있던 제2돌기(732a)가 걸림턱(251)으로 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가스켓부(70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가스켓부(700)가 상부로 들리면, 가스켓부(7000)와 보조가스켓(290)이 더이상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를 밀폐시키지 않게 되어, 진공포장지의 개구부로 공기가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노즐플레이트(810)를 통해 메인에어홀(844) 및 챔버에어홀(842)을 거쳐 챔버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밀착을 해제 시킨다.
본 고안에 의한 진공포장기(300)는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진공용기(미도시)의 진공포장도 가능하다.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와는 호스(50)를 통해 연결되어 진공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호스(50)를 통해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호스(50)는 도10에서와 같이 노즐블럭(830)의 상부에 형성된 용기에어홀(843)에 결합된다. 상기 용기에어홀(843)에 결합된 호스(50)는 챔버에어홀(842) 및 메인에어홀(844)과 펌프에어홀(841)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며, 펌프에어홀(841)과 용기에어홀(843)만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에어홀(743)로 호스(50)를 삽입한 채,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챔버 및 노즐플레이트(810)로 부터의 공기 흡입은 차단되며, 외부 용기의 공기만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진공용기란 종래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332153호 등을 통해 공개된, 용기 뚜껑에 진공밸브가 장착되어 진공포장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기를 말한다.
상기 언급한 본 고안의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시, 가스켓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가스켓부에 의해 상부케이스의 하강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둘째, 스위칭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결합되므로, 스위치에 의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이 방해 받지 않게 된다.
셋째, 상부케이스에 단차진 안착부 및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가스켓부의 단부가 위치하게 하면, 가스켓부의 단부는 안착부 위쪽, 즉 상부케이스 위쪽에, 중앙부위는 상부케이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가스켓부의 상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넷째, 안착부 또는 상부오목부의 외측면이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의 가이드가 필요없게 되어 구성이 간단해 진다.
다섯째, 가스켓부에 락킹부가 결합되어 같이 이동하므로, 락킹부에 의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여섯째, 가스켓부에 스위칭돌기가 결합되어 같이 이동하므로, 스위칭돌기에 의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밀착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일곱째, 간단한 조립구조만으로도 가스켓부의 양단부에 락킹부가 결합가능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해진다.
여덟째, 가스켓부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누름부의 표면이 상부케이스 위쪽으로 노출되므로, 락킹시 락킹부에 직접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1은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노즐식 진공포장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포장기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진공포장기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서 가스켓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가스켓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가스켓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8은 가스켓부의 단면도이다.
도9는 노즐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에 탄성카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11은 노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12(a),(b)는 가스켓부의 상하 이동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상부케이스 110 : 상부오목부
111 : 패킹 151 : 안착부
152 : 절개부 200 : 하부케이스
210 : 하부오목부 211 : 패킹
250 : 락킹수용부 251 : 걸림턱
260 : 경사부 270 : 진공포장지 가이드
280 : 스위치 300 : 히팅부
310 : 히팅가압부 320 : 가열부
700 : 가스켓부 710 : 메인프레임
720 : 누름부 721 : 누름면
722 : 결합부 723 : 삽입홈
724 : 제1단차부 730 : 락킹부
731 : 버튼부 732 : 돌기부
732a: 제1돌기 733 : 삽입부
733a: 제2돌기 734 : 제2단차부
740 : 탄성부 750 : 스위칭돌기
800 : 노즐어셈블리 810 : 노즐플에이트
820 : 연결부 830 : 노즐블럭
841 : 펌프에어홀 842 : 챔버에어홀
843 : 용기에어홀 844 : 메인에어홀
850 : 탄성카버 50 : 호스

Claims (9)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 위치하는 히팅부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스켓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락킹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가스켓부의 양 단부가 위치하도록 아래쪽으로 단차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하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상부오목부의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스위칭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스위칭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양측에 결합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락킹부는,
    좌우 양측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부와;
    상기 버튼부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락킹부와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락킹부 사이에는 누름부가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홈 위에 위치하여 상부 표면이 윗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또는 상부케이스 중 어느하나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가 닫히는 경우,
    상기 오목부 내부에 챔버가 형성되되, 상기 챔버에는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흡입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2005-0009833U 2005-04-11 2005-04-11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389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33U KR200389395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33U KR200389395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95Y1 true KR200389395Y1 (ko) 2005-07-14

Family

ID=4369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33U KR200389395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100502153B1 (ko) 진공포장기
KR200389395Y1 (ko)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US20080223005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KR200393768Y1 (ko)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0395237Y1 (ko) 경사진 진공포장기
CN209939076U (zh) 一种全自动真空封口机
KR200389396Y1 (ko) 히팅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389445Y1 (ko) 히팅부가 이동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US20080223006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KR100584859B1 (ko) 노즐식 진공포장기
KR100732152B1 (ko) 이중 누름장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322449Y1 (ko) 진공 포장기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200365095Y1 (ko) 진공포장기
KR200389428Y1 (ko)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380449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파레트 및 에어파레트를 이용한 진공포장기
KR20190007835A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