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568B1 -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568B1
KR101519568B1 KR1020130014745A KR20130014745A KR101519568B1 KR 101519568 B1 KR101519568 B1 KR 101519568B1 KR 1020130014745 A KR1020130014745 A KR 1020130014745A KR 20130014745 A KR20130014745 A KR 20130014745A KR 101519568 B1 KR101519568 B1 KR 10151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hamber
chamber
seal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519A (ko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이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걸주 filed Critical 이걸주
Priority to KR102013001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5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 공간이 진공되게 상기 진공챔버부의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진공수단;과,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계되며,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수단의 동작 이후에 상기 진공챔버부가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기통로 전환부;와,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와 상기 밀폐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용기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는, 상기 진공수단,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진공챔버부와 각각 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을 상기 밀폐수단 또는 상기 진공챔버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밸브;와,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과 연결호스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호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진공챔버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밸브;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되어, 진공동작 이후 상기 밀폐수단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3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포장기 {VACCUM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가 진공챔버를 완전히 밀폐토록 작동되어, 진공챔버가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종래 챔버식 진포장기는 진공챔버에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진공펌프 등을 이용해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다. 그리고,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전방에 위치하는 열선에 의해 포장지의 개봉부가 열융착되어 봉합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9700호 등을 통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다만,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진공포장기는 진공챔버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사용자가 상부케이스를 누른 상태에서 진공이 시작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가 상부케이스를 가압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 진공챔버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진공포장기의 진공효율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하면과 하부케이스의 하면에는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밀착접촉되는 실링부재가 장착되며, 이러한 실링부재는 고무패킹부재 등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부케이스를 연속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재가 변형되어 상, 하부의 실링부재가 밀착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진공챔버의 진공상태 형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어느 정도의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또는 식재료를 진공포장하는 경우에, 음식물 또는 식재료 등에 함유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흡입된 수분의 일부는 공기와 함께 진공펌프로 흡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챔버 내에 모이게 된다.
챔버 내에 고인 수분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썩거나 세균이 번식할 수도 있다. 챔버 내에 오염된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음식물 또는 식재료를 진공포장하는 것은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챔버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진공포장시 진공흡입구를 통해 진공펌프로 흡입되어, 진공펌프의 손상을 발생하여 기기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진공챔버가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진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포장지의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진공공간인 챔버부 내에 수분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식재료를 진공포장하여 식재료를 보다 위생적으로 진공포장하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실링패드가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변형 등이 되는 경우에도 진공챔버를 완전히 밀폐시켜 포장지의 진공효율향상 및 수명을 연장시키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 공간이 진공되게 상기 진공챔버부의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진공수단;과,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계되며,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과,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수단의 동작 이후에 상기 진공챔버부가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기통로 전환부;와,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와 상기 밀폐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용기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는, 상기 진공수단,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진공챔버부와 각각 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을 상기 밀폐수단 또는 상기 진공챔버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밸브;와,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과 연결호스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호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진공챔버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밸브;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되어, 진공동작 이후 상기 밀폐수단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3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결된 공기통로 및 상기 밀폐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기통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방향으로 하향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실린더공기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와 연통되는 중공공간을 가진 실린더몸체;와,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작동되도록 제공된 피스톤; 및,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제공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스톤은,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진공수단으로 흡입됨으로써 하향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의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공기흡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챔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진공챔버부에 유입된 수분에 의한 시소운동을 통해 상기 진공챔버부 내의 수분유무를 감지하는 수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챔버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장착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하면에 시소운동이 가능토록 돌출형성된 축과 상기 챔버장착하우징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수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수분이 유입되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일단에 수분유입개구가 형성된 제2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수분유입개구를 유입된 수분의 무게에 의해 일단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수분감지센서는, 상기 제1챔버의 타단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챔버가 수분에 의해 기울어지면 상기 챔버장착하우징과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챔버장착하우징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사이의 공기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챔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챔버부는 상면 둘레에 부착된 제1실링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진공챔버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와 대응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2실링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패드와 상기 제2실링패드가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와 상기 제2실링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하측바닥면을 이루도록 고정장착되는 고정하판;과, 상기 고정하판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측면에 상기 제2실링패드가 부착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고정하판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실링패드를 상기 제1실링패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공수단은 진공펌프와 진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펌프에 구비된 흡입실린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실린더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에 의하면,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커버가 진공챔버를 완전히 밀폐토록 하부몸체에 접하도록 작동되어, 진공챔버가 보다 완벽한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진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포장지의 진공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이중챔버구조를 가진 챔버부에 감지부를 구비하여, 챔버부 내에 수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진공공간인 챔버부 내에 수분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식재료를 진공포장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식재료를 보다 위생적으로 진공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성가압부재가 제1실링패드와 제2실링패드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므로, 제1 및 제2 실링패드가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변형 등이 되는 경우에도 진공챔버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어, 포장지의 진공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공기통로 전환부에 의해, 밀폐수단의 진공형성단계와 진공챔버부의 진공형성단계의 전환이 최소한의 부품으로 용이하게 진행되어 부품비용절감효과와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포장지 진공형성과 외부 진공용기 진공형성에 모두 이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본체 내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주요부품의 구성과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폐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진공챔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진공챔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제1실링패드와 제2실링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도 8의 탄성가압부재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수단의 장착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진공포장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는, 포장지 또는 진공용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지나 진공용기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공챔버부(210)가 구비되는 본체(200)와, 진공수단(300)과, 밀폐수단(400)과, 공기통로 전환부(500)와,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진공챔버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덮도록 커버(7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700)의 상부에는 시작버튼(711)과 실링버튼(713)이 포함된 조작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작버튼을 누르면 진공동작이 시작되며, 상기 실링버튼을 누르면 포장지(미도시)의 개구부가 실링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 실링은 상기 시작버튼을 누른 후 진행되는 일련의 진공동작과 함께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는 힌지부(210)에 의해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진공챔버부(210)와 포장지를 실링하는 열선(2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수단(300)은, 상기 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부 공간이 진공되게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수단(300)은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진공펌프(310)와 진공펌프가 구동되도록 제공된 진공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수단(400)은, 상기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 사이에 연계되며, 상기 진공수단(300)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700)가 상기 본체(200)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진공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밀폐수단(400)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는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사용자가 진공챔버부(210)의 진공하기 전에, 진공챔버부(210)가 밀폐되도록 수동으로 커버(700)를 누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는, 진공수단(300)과, 상기 진공챔버부(210) 및 상기 밀폐수단(400)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 및 상기 밀폐수단(400)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는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연결된 공기통로와 상기 밀폐수단(400)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밀폐수단(4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수단(300)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연결된 공기통로 및 상기 밀폐수단(400)과 연결된 공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기통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밀폐수단(400)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수단(400)에 의해 상기 진공챔버부(210)가 밀폐가 완료되면,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챔버부(210)의 진공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510)와, 제2밸브(530)와 제3밸브(5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밸브(510)만 포함하거나, 제1밸브(510)와 제2밸브(530)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밸브(510)는, 상기 진공수단(300)의 진공펌프와 진공펌프호스(30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밀폐수단(400)과 실린더진공호스(401)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챔버진공호스(2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5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진공호스(401)와 상기 챔버진공호스(221)가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펌프호스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밸브(530)는, 상기 진공챔버부(210) 및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밸브(530)는 선택적 개폐에 따라, 상기 진공동작이 완료되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530)는 연결호스(910)를 통해 후술하는 진공용기 흡입수단(9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밸브(530)는 상기 진공챔버부(210) 및 상기 진공수단(300)과 연결된 공기통로와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양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밸브(550)는, 상기 밀폐수단(400)에 구비된 실린더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동작이 완료되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실린더몸체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진공수단(300) 및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300)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상기 밀폐수단(400)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400)은, 상기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700)를 상기 본체방향으로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밀폐수단(400)은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를 밀착시키므로, 사용자가 진공챔버부(210)의 진공형성을 위해 상기 커버(700)를 수동으로 누르면서 가압할 필요가 없으므로 진공포장기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수단(40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되,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실린더공기흡입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411)와 연통되는 중공공간을 가진 실린더몸체(410)와, 일단이 상기 커버(7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몸체(410)의 중공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실린더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작동되도록 제공된 피스톤(430)과,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410)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430)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진공수단(300)의 진공동작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430)이 상기 실린더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제공된 탄성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몸체(410)는 본체(2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몸체(4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되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430)은, 상기 진공수단(300)과 연결된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411)를 통해 상기 실린더몸체(410)의 중공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진공수단(300)으로 흡입됨으로써 하향이동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인 433은 밀봉링이며, 431은 피스톤와셔이다. 그리고, 202는 본체의 상면(201)에 형성된 피스톤장착홈이다.
한편,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411)에는,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411)의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공기흡입홀(413)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실린더공기흡입구(411)에는 실린더공기흡입구(411)의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공기흡입홀(413)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흡입홀(413)이 실린더공기흡입구(411)에 구비되는 경우에, 공기흡입홀(413)의 실린더공기흡입구(411)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토록, 공기흡입홀(413)은 실린더공기흡입구(41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흡입홀(413)은 실린더몸체(410)의 중공공간(412)으로부터의 공기흡입시 커버(700)가 본체(200)에 닫히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어, 진공수단(300)의 진공시작으로 인해 진공펌프가 실린더몸체 내의 중공공간(412)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 실린더공기흡입구(411)의 단면적이 큰 경우보다 실린더공기흡입구(411)의 단면적이 작은 경우에 공기가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흡입속도가 저감되고, 이로 인해 커버(700)가 천천히 본체(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커버(700)와 본체(200)와의 접촉부분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유입된 수분에 의한 시소운동을 통해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의 수분유무를 감지하는 수분감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수분감지부(230)를 구비하여 챔버부 내에 수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진공공간인 챔버부 내에 수분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식재료를 진공포장토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식재료를 보다 위생적으로 진공포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챔버부(210)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장착하우징(211)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하면에 시소운동이 가능토록 돌출형성된 축(215)과 상기 챔버장착하우징(211)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2챔버(217)를 구비하여, 수분이 유입되면 상기 축(215)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제1챔버(214)와, 상기 제1챔버(214)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214)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일단에 수분유입개구(218)가 형성된 제2챔버(2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장착하우징(211)은, 본체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축(215)이 수용되는 축(215)수용홈(21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챔버(217)가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제2챔버(217)수용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챔버(214)는 축(215)을 중심으로 좌우로 시소운동하며, 일측에 물이 수용되는 수분수용홈이 형성되어 수분수용홈에 물이 유입되면 시소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챔버(214)의 하면에는 수분감지센서(23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이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분감지센서(231)가 챔버장착하우징(211)에 접촉되고, 수분이 유입되어 수분수용홈 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분감지센서(231)와 챔버장착하우징(211)이 이격되면서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유입개구(218)를 통해 수분(W)이 유입되면 상기 수분수용홈(216)이 F2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어, 반대측에 장착된 수분감지센서(231)가 F1 방향으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감지센서(231)와 상기 챔버장착하우징(211)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분유입에 의해 진공수단이 정지되면 사용자는 제1챔버(214) 및 제2챔버(217)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챔버(217)의 하면에는 장착감지센서(233)가 구비되어 수분제거후 본체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챔버부(210)가 이중챔버구조로 되어 있어 제1챔버(214)와 제2챔버(217) 내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1챔버(214)와 제2챔버(217)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진공챔버부 사이의 공기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800)는 진공챔버(110) 또는 진공용기(210)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낮아져 진공작업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진공수단(3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챔버부(210)는 상면 둘레에 부착된 제1실링패드(2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진공챔버부(210)가 밀폐되어 진공상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대응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2실링패드(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가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패드(240)는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진공챔버부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2실링패드(720)는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700)를 닫으면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밀착 접촉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진공상태 형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압축가능한 스폰지나 고무패킹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의 형상과 재질은 상술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밀폐하도록 밀착접촉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는 고무패킹이나 스폰지 등의 탄성 압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700)를 닫고 가압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압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패드(240)가 압축에 의해 변형된 부분(S)이 발생하면 상기 부분만큼 높이 낮아지면서 상기 커버(700)를 닫는 경우에도 상기 제2실링패드(720)와 밀착 접촉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링패드(240)와 상기 제2실링패드(720)가 밀착접촉되도록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750)를 구비하여 상기 제1실링패드(240) 및 제2실링패드(720)가 마모 내지 변형된 경우에도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접촉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미설명부호인 732는 탄성가압부재 장착홈이다.
한편,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하측바닥면을 이루도록 고정장착되는 고정하판(733)과, 상기 고정하판(733)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측면에 상기 제2실링패드(720)가 부착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731)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750)는, 상기 고정하판(733)과 상기 가압판(73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실링패드(720)를 상기 제1실링패드(24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하판(733)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의 하측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731)은 상기 고정하판(7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하판(733)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가압판(731)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부(734, 도 8참조)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판(731)이 상기 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수단(300)은 진공펌프(310)와 진공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펌프(310)에 구비된 흡입실린더(311)는 상기 본체의 상면(20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200)와 상기 진공펌프(310)의 흡입실린더(311)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본체(200)와 상기 흡입실린더(311)는 일체로 사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실린더(311)에는 흡입공(314)과 배출공(3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공(314)에는 진공펌프호스(301)가 장착되어 있다. 배출공(315)에는 피스톤(312)의 승하강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재(316)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312)에는 진공모터와 연결된 기둥(313)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실린더(311)와 상기 본체(200)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실린더(311)의 부품의 크기가 증대된다. 따라서, 피스톤(312)의 왕복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700)와 연결호스(91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700)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은 외주면에 조작버튼(950)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구멍(미도시)에 삽입 연통되는 용기공기흡입구(9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은 연결호스(910)를 통해서 진공챔버부(210)와 연통됨으로써, 진공챔버부(210)를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상기 진공동작에 의해서 상기 진공용기(10)를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은 상기 제2밸브(5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밸브(530)는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의 사용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연결호스(91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진공포장기를 통해서 포장지뿐만 아니라 외부에 위치한 진공용기(10)까지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진공포장기 작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면이 도시되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포장기 작동방법은, 기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진공수단(300)을 구동시키는 진공수단(300) 구동단계(S110)와, 상기 진공수단(300)의 구동에 의해 커버(700)와 본체(200)에 연결된 밀폐수단(40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커버(700)가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진공챔버부(210)가 구비된 상기 본체(200)와 밀접하게 접촉되어 상기 진공챔버부(210)를 밀폐하는 진공챔버부(210) 밀폐단계(S120)와,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밀폐가 완료되면, 상기 진공수단(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챔버부(210) 진공형성단계(S130)와,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면, 상기 진공수단(3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진공수단(300) 구동정지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챔버부(210) 밀폐단계(S120) 이후에, 상기 진공수단(300)과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챔버공기흡입구(220)가 연통되도록 공기통로를 전환하는 공기통로 전환단계(S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S130)에서,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연계된 포장지(미도시)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며, 상기 포장지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면,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를 열선(250)으로 실링하는 포장지 실링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수단(300) 구동정지 이전에,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연결된 압력센서(800)에 의해 진공챔버부(2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인지 감지하는 압력감지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챔버부(210) 진공형성단계(S130)에서,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부에 수분이 유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진공수단(3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수분유입 감지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분유입 감지단계(S140)는,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유입된 수분의 무게에 의해 진공챔버부(210)에 내부에 수분이 유입된 것을 감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통로 전환단계(S125)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밀폐수단(400)에 연결된 공기통로와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을 이용하여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챔버부 진공형성단계(S130)에서,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에 의해 상기 진공챔버부(210)와 연결된 상기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는 진공용기 진공형성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포장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부 조작에 의해 진공수단(300)이 구동되면, 밀폐수단(40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커버(700)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챔버부(210)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버(700)와 상기 본체(200)가 밀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밀폐가 완료되면,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에 의해 상기 진공수단(300)과 진공챔버부(210)가 연통되도록 공기통로가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챔버부(210)의 진공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진공챔버부(210)에 포장지나 진공용기로부터 수분이 유입된 것이 수분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되면 진공수단(300)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진공챔버부(210)의 제1챔버(214)와 제2챔버(217)를 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수분감지부(230)에 의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압력센서에 의해 진공챔버부(210)의 압력이 설정압력이하인지 측정되고, 설정압력이하로 감지되면 포장지의 개구부를 실링하도록 열선의 히터(미도시)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피진공부재가 진공용기(10)인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530)가 단시간 작동하여 상기 연결호스(910)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용기(10)와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900)의 용기공기흡입구(930)를 분리할 수 있다.
이 후, 포장지의 실링이 완료되면 상기 진공수단(3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530)와 상기 제3밸브(550)를 작동시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밀폐수단(400)의 실린더몸체와 상기 진공챔버부(21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진공포장기 200 : 본체
210 : 진공챔버부 230 : 수분감지부
250 : 열선 300 : 진공수단
400 : 밀폐수단 500 : 공기통로 전환부
600 : 제어부 700 : 커버
800 : 압력센서 900 : 진공용기 흡입수단

Claims (23)

  1. 진공챔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를 덮도록 커버가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부 내부 공간이 진공되게 상기 진공챔버부의 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진공수단;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계되며,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 사이의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수단의 동작 이후에 상기 진공챔버부가 동작하도록, 상기 진공챔버부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기통로 전환부;
    상기 진공수단 및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에 연계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진공챔버부와 상기 밀폐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진공용기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는,
    상기 진공수단, 상기 밀폐수단 및 상기 진공챔버부와 각각 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을 상기 밀폐수단 또는 상기 진공챔버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밸브;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통되며, 상기 진공용기 흡입수단과 연결호스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호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진공챔버부의 진공을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밸브; 및
    상기 밀폐수단에 연결되어, 진공동작 이후 상기 밀폐수단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제3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 전환부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를, 상기 진공챔버부와 연결된 공기통로 및 상기 밀폐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공기통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방향으로 하향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진공챔버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되,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되는 실린더공기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와 연통되는 중공공간을 가진 실린더몸체;
    일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작동되도록 제공된 피스톤; 및,
    일단이 상기 실린더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을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상기 진공수단의 진공동작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도록 제공된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진공수단과 연결된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몸체의 중공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진공수단으로 흡입됨으로써 하향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에는, 상기 실린더공기흡입구의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공기흡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진공챔버부에 유입된 수분에 의한 시소운동을 통해 상기 진공챔버부 내의 수분유무를 감지하는 수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챔버장착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하면에 시소운동이 가능토록 돌출형성된 축과 상기 챔버장착하우징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수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수분이 유입되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일단에 수분유입개구가 형성된 제2챔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수분유입개구를 유입된 수분의 무게에 의해 일단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수분감지센서는, 상기 제1챔버의 타단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챔버가 수분에 의해 기울어지면 상기 챔버장착하우징과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챔버장착하우징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진공수단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과 상기 진공챔버부 사이의 공기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챔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부는 상면 둘레에 부착된 제1실링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진공챔버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와 대응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2실링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패드와 상기 제2실링패드가 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제1실링패드와 상기 제2실링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하측바닥면을 이루도록 고정장착되는 고정하판;과, 상기 고정하판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측면에 상기 제2실링패드가 부착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고정하판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실링패드를 상기 제1실링패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진공펌프와 진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펌프에 구비된 흡입실린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실린더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30014745A 2013-02-11 2013-02-11 진공포장기 KR10151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45A KR101519568B1 (ko) 2013-02-11 2013-02-11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45A KR101519568B1 (ko) 2013-02-11 2013-02-11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19A KR20140101519A (ko) 2014-08-20
KR101519568B1 true KR101519568B1 (ko) 2015-05-13

Family

ID=5174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45A KR101519568B1 (ko) 2013-02-11 2013-02-11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53B1 (ko) * 2015-03-16 2016-11-08 주식회사 롤팩 진공포장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27B1 (ko) * 2006-10-02 2008-04-03 주식회사 롤팩 진공포장기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27B1 (ko) * 2006-10-02 2008-04-03 주식회사 롤팩 진공포장기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19A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28B1 (ko) 진공포장기
KR101519568B1 (ko) 진공포장기
JP2017511447A (ja) 吸引装置用排気弁および該排気弁を有する吸引ロボット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101160969B1 (ko) 진공포장기
KR100818627B1 (ko) 진공포장기 및 그 작동방법
CN116101554A (zh) 适用于湿袋抽真空的封口机控制方法、控制器及封口机
KR200408427Y1 (ko) 진공포장기
KR100991751B1 (ko) 실링장치가 구비된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584857B1 (ko)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20080036265A (ko)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KR101479043B1 (ko) 핸디형 진공기
KR101439327B1 (ko) 수분감지형 진공포장기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120103985A (ko) 누름 스위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1672953B1 (ko) 진공포장기
KR200393768Y1 (ko)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378307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포켓 및 에어포켓을 이용한 진공포장기
KR200389395Y1 (ko) 가스켓부가 이동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365019Y1 (ko) 포터블 진공배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