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427Y1 -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427Y1
KR200408427Y1 KR2020050029523U KR20050029523U KR200408427Y1 KR 200408427 Y1 KR200408427 Y1 KR 200408427Y1 KR 2020050029523 U KR2020050029523 U KR 2020050029523U KR 20050029523 U KR20050029523 U KR 20050029523U KR 200408427 Y1 KR200408427 Y1 KR 200408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vacuum
switch
nozz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2020050029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4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과 수용부가 형성된 노즐하우징을 베이스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고,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노즐하우징에서 진공포장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나 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하여 공기만이 배출되도록 하며, 진공용기를 상기 제2관통공에 호스로 연결하여 진공용기를 손쉽게 진공시킬 수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 노즐, 노즐하우징, 수용부, 진공용기, 관통공.

Description

진공포장기 { VACUUM PACKING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 유동경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부재, 11 : 가압부,
12 : 챔버, 13 : 패킹,
14 : 상부고무패드, 20 : 베이스부재,
21 : 가열부, 22 : 제1관통공,
23 : 제2관통공, 24 : 하부고무패드,
25 : 스토퍼, 26 : 안착부,
27 : 안착부 구멍, 30 : 노즐하우징,
31 : 노즐, 31a : 노즐의 상부(상부노즐부),
31b: 노즐의 하부(하부노즐부), 31c : 엠보싱 또는 격자,
32 : 상부노즐하우징, 33 : 하부노즐하우징,
34 : 수용부, 35 : 배출돌기,
40 : 록킹장치, 51 : 제1스위치(리드스위치),
52 : 제2스위치(택트스위치), 53 : 누름부(자석),
60 : 진공포장지.
본 고안은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즐과 수용부가 형성된 노즐하우징을 베이스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고,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노즐하우징에서 진공포장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나 고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하여 공기만이 배출되도록 하며, 진공용기를 상기 제2관통공에 호스로 연결하여 진공용기를 손쉽게 진공시킬 수 있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힌지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진공포장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케이스를 닫아 진공포장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진공포장기는 그 진공포장 방식에 따라 크게 챔버식과 노즐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종래 챔버식 진공포장기는 특허공개번호 제92-7000998호 등을 통해 공개되어 있는데, 챔버(500)에 진공포장지(400)의 개봉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진공펌프 등을 이용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 공으로 만든다.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커버부재(100)와 베이스부재(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히팅부(300)에 의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열융착되어 봉합됨으로써 포장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9700호 등을 통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작동을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를 통해 상세히 개시되고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흡입노즐이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통해 삽입되어 진공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95호등을 통해 공개된 것인데, 진공 완료 후에는 노즐을 후퇴시킨 후, 히팅부를 통해 개봉부를 열봉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그 작동을 전자적으로 자동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323호를 통해 상세히 개시되고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챔버식 진공포장기 및 노즐식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지에 액체나 고체가 들어 있는 경우, 진공시 이러한 액체나 고체가 챔버 또는 노즐을 통하여 진공펌프로 곧바로 유입되어 진공펌프를 고장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챔버식 진공포장기의 경우에는 베이스부재(200)와 커버부재(100)에 형성된 챔버(500)가 서로 정확하게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바, 설계 및 제작 면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노즐식 진공포장기의 경우에는 진공용기를 진공시키고자할 경우에 상기 진공용기와 노즐식 진공포장기를 호스로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부가 형성된 노즐하우징을 장착하여 진공포장지 내부의 액체나 고체를 수용하고, 베이스부재에 챔버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며, 베이스부재에 제2관통공을 형성하여 진공용기와 쉽게 연결하여 진공시킬 수 있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포장기는, 전방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진공펌프가 내장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가열부에 대응되게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 후방에 챔버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가열부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 방향으로 노즐이 돌출 형성된 노즐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가열부 후방에 형성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커버부재의 챔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노 즐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된다.
상기 노즐하우징은 상부노즐하우징과 하부노즐하우징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노즐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며 상향 돌출된 배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은, 상기 상부노즐하우징에 형성된 상부노즐부와, 상기 하부노즐하우징에 형성된 하부노즐부가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의 상부는 하부보다 짧으며, 상기 노즐의 내부에는 엠보싱 또는 격자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 후방에 하부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챔버 후방에 상기 하부고무패드에 대응되는 상부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하부고무패드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스위치에 대응되는 누름부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누름부와 접하여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는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는 리드스위치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택트스위치이며, 상기 누름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 유동경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베이스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20)를 덮는 커버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장착되는 노즐하우징(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20)와 커버부재(10)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1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전방에는 가열부(21)가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10)의 전방에는 상기 가열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11)가 위치한다.
상기 가압부(11)와 가열부(21)는 진공포장지(60) 열봉합시 진공포장지(60)를 사이에 둔 채 서로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1)와 가열부(21) 후방에는 각각 상부고무패드(14)와 하부고무패드(2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고무패드(24) 후방에는 안착부(2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26)에 상기 노즐하우징(30)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상기 하부고무패드(24)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토퍼(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무패드(14)에는 상기 스토퍼(25)가 삽입되도록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0)에는 상기 가압부(11)와 상기 상부고무패드(14) 사이에 챔버(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상기 가열부(21)와 상기 하부고무패드(24) 사이에 제1관통공(22)과 제2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진공펌프(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22)과 제2관통공(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0)가 상기 베이스부재(20)를 덮을 경우에 상기 챔버(1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챔버(12) 둘레에는 패킹(13)이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상기 베이스부재(20)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관통공(22)은 상기 노즐하우징(30)과 연통되고, 상기 제2관통공(23)은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된다.
상기 노즐하우징(30)은 내부에 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21) 방향으로 노즐(3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하우징(30)은 상부노즐하우징(32)과 하부노즐하우징(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노즐하우징(32)과 하부노즐하우징(33) 사이에는 가스켓(미도시)이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노즐하우징(32)과 하부노즐하우징(33)은 별개로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측이 힌지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하우징(30)의 외부로 돌출된 노즐(31)은 상기 상부노즐하우징(32) 또는 하부노즐하우징(33)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부노즐하우징(32)과 하부노즐 하우징(33)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노즐하우징(32)에 상부노즐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노즐하우징(33)에 하부노즐부(31b)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상기 노즐(31)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즐의 상부(31a) 즉 상기 상부노즐부(31a)는 상기 노즐의 하부(31b) 즉 상기 하부노즐부(31b)보다 짧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진공포장지(6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31)에 쉽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노즐(31)의 내부에는 엠보싱 또는 격자(31c)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진공포장지(60)가 상기 하부노즐부(31b)에 압착되어도 상기 엠보싱 또는 격자 (31c)사이로 상기 진공포장지(6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하우징(30)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노즐하우징(33)은 상기 노즐(31)을 통하여 흡입된 액체 또는 고체 등을 수용하는 것으로써, 내부에는 중공형상의 배출돌기(35)가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돌기(35)는 상기 제1관통공(22)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돌기(35)는 상기 하부노즐하우징(33)에 액체 등이 퇴적되는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부노즐하우징(33)에 수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가 상기 배출돌기(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돌기(35)와 상기 제1관통공(22)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부(26)에도 별도의 구멍(27)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제1스위치(51)와 제2스위치(5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10)에는 상기 제1스위치(51)에 대응되는 누름부(5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치(51)는 상기 누름부(53)와 접하여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가열부(21)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52)는 진공펌프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51)는 리드스위치이고, 상기 제2스위치(52)는 택트스위치이며, 상기 누름부(53)는 자석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reed)스위치란 자성체의 리드접점을 유리관 속에 봉입해 넣은 것으로서 외부에서 자력(자석 혹은 코일에 전류를 흘려서 자계를 형성시킴)을 주면 접점이 붙어서 동작을 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상기 택트(tact)스위치는 버튼이 돌출된 스위치로써, 버튼을 눌러서 동작되는 스위치를 말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20)와 커버부재(10)에는 록킹장치(40)가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진공포장지(60)의 개봉구에 상기 노즐하우징(30)의 노즐(31)이 삽입되도록 상기 진공포장지(60)를 상기 베이스부재(20)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진공포장지(60)의 개봉구의 끝단은 상기 스토퍼(25)에 걸려 상기 하부고무패드(24) 위에 놓이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0)를 회전시켜 베이스부재(20)를 덮으면, 상기 록킹장치(40) 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0)와 베이스부재(20)는 맞닿게 되고, 상기 커버부재(10)에 형성된 챔버(12)는 상기 베이스부재(20)에 맞닿아 상기 챔버(12) 안쪽에 상기 제1관통공(22)과 제2관통공(23)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무패드(14)가 상기 노즐(31) 및 진공포장지(60)의 개봉구를 압박하여 상기 하부고무패드(24)와 함께 상기 진공포장지(60)의 개봉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51)와 누름부(53) 즉 상기 리드스위치(51)와 자석(53)이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진공포장지(60) 내부에 있는 공기는 상기 노즐(31)을 통하여 노즐하우징(30)으로 유입되고, 상기 노즐하우징(3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출돌기(35)와 연통된 상기 제1관통공(22)을 통하여 상기 챔버(12)로 배출되며, 이는 다시 상기 제2관통공(23)을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진공펌프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는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결국, 진공포장지(60) 내부의 공기는 노즐하우징(30), 제1관통공(22), 챔버(12), 제2관통공(23) 및 진공펌프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진공포장지(60)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나 고체가 상기 노즐하우징(30)에 유입되는 경우, 상기 액체나 고체는 노즐하우징(30)의 수용부(34)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돌기(3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장착된 압력센서에서 진공이 완료되었다고 측정되면, 상기 가열부(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진공포장지(60)의 개봉구를 봉합하게 된 다.
별도의 진공용기(미도시)를 진공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커버부재(10)를 열고, 상기 제2관통공(23)과 상기 진공용기를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52) 즉 택트스위치(52)를 눌러 상기 진공펌프만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 진공용기를 손쉽게 진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택트스위치(52)는 상기 리드스위치(51)와 달리 진공펌프만을 작동시키는바, 상기 가열부(21)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상기 가열부(21)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진공포장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진공포장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노즐하우징을 장착함으로써, 진공포장지 내부의 존재하는 액체나 고체 등을 수용할 수 있어, 액체나 고체 등의 유입에 의한 진공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호스를 이용하여 진공용기와 연결함으로, 상기 진공용기를 용이하게 진공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노즐하우징을 상부노즐하우징과 하부노즐하우징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즐하우징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배출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노즐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노즐을 상기 상부노즐하우징과 하부노즐하우징이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노즐하우징과 하부노즐하우징을 분해하여 노즐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 및 세척을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노즐의 상부를 하부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써, 진공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상기 노즐하우징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노즐의 내부에 엠보싱 또는 격자를 형성함으로써, 진공포장지가 상기 노즐의 하부 즉 상기 하부노즐부의 안쪽에 압착되어도 상기 엠보싱 또는 격자 사이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하부고무패드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진공포장지의 개봉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걸려 진공 및 봉합을 위해 필요한 일정길이만큼만 삽입될 수 있어, 사용자가 진공포장지를 상기 노즐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밀어 넣기만 하면 되는바, 진공포장지의 배치가 용이하다.
일곱째,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누름부와 접하여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가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진공포장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와 누름부에 의해 진공펌프와 가열부가 작동하고, 진공용기를 진공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2스위치를 사용하여 진공펌프만을 작동시키도록 하여, 진공펌프시 사용자가 상기 가열부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리드스위치와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스위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택트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Claims (8)

  1. 전방에 가열부가 형성되고, 진공펌프가 내장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가열부에 대응되게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 후방에 챔버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가열부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 방향으로 노즐이 돌출 형성된 노즐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단에서 상기 가열부 후방에 형성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커버부재의 챔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노즐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하우징은 상부노즐하우징과 하부노즐하우징이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노즐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며 상향 돌출된 배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상부노즐하우징에 형성된 상부노즐부와, 상기 하부노즐하우징에 형성된 하부노즐부가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상부는 하부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부에는 엠보싱 또는 격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 후방에 하부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챔버 후방에 상기 하부고무패드에 대응되는 상부고무패드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하부고무패드를 관통하여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스위치에 대응되는 누름부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누름부와 접하여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가열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스위치는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리드스위치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택트스위치이며, 상기 누름부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기.
KR2020050029523U 2005-10-18 2005-10-18 진공포장기 KR200408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23U KR200408427Y1 (ko) 2005-10-18 2005-10-18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23U KR200408427Y1 (ko) 2005-10-18 2005-10-18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427Y1 true KR200408427Y1 (ko) 2006-02-09

Family

ID=4175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23U KR200408427Y1 (ko) 2005-10-18 2005-10-18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4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35B1 (ko) * 2007-05-31 2008-08-18 전순이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WO2008130171A1 (en) * 2007-04-23 2008-10-30 Soon-Lee June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KR101160969B1 (ko) * 2010-08-19 2012-06-29 주식회사 제로팩 진공포장기
CN114229089A (zh) * 2022-01-04 2022-03-25 冯西良 一种食品袋真空封口装置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171A1 (en) * 2007-04-23 2008-10-30 Soon-Lee June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KR100852635B1 (ko) * 2007-05-31 2008-08-18 전순이 진공클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포장지
KR101160969B1 (ko) * 2010-08-19 2012-06-29 주식회사 제로팩 진공포장기
CN114229089A (zh) * 2022-01-04 2022-03-25 冯西良 一种食品袋真空封口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7012A1 (en) Device for forming a vacuum in containers with separable and washable liquid recovery tray
KR200408427Y1 (ko) 진공포장기
KR20120074450A (ko) 진공청소기
KR100660611B1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200443459Y1 (ko)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KR20080001523U (ko) 적층식 진공보관장치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395237Y1 (ko) 경사진 진공포장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0405381Y1 (ko) 가열 및 진공 포장기
KR200432418Y1 (ko) 진공포장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200438382Y1 (ko) 진공클립장치
KR200393768Y1 (ko)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441502Y1 (ko) 클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형 진공보관장치
KR200443269Y1 (ko) 진공클립장치
KR100710461B1 (ko)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KR20100056057A (ko)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KR200441422Y1 (ko) 진공클립장치
JP5375999B2 (ja) 電動式エアーポット
KR20190007835A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380449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파레트 및 에어파레트를 이용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