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450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450A
KR20120074450A KR1020100136281A KR20100136281A KR20120074450A KR 20120074450 A KR20120074450 A KR 20120074450A KR 1020100136281 A KR1020100136281 A KR 1020100136281A KR 20100136281 A KR20100136281 A KR 20100136281A KR 20120074450 A KR20120074450 A KR 2012007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luid
opening
closing member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112B1 (ko
Inventor
황근배
현기탁
이재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12B1/ko
Priority to US13/302,030 priority patent/US9072418B2/en
Priority to EP11191076.6A priority patent/EP2478813B1/en
Publication of KR2012007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장치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압축하면서 유체를 분사시켜 압축된 먼지를 고화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와 관련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마련되는 먼지분리장치와; 상기 먼지분리장치와 연결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집진장치 내의 먼지에 압력을 가하여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압축부와; 상기 집진장치 또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고화시키는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수용부와; 상기 유체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먼지가 수용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먼지 방향으로 제공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출부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힘에 의하여 변형되어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장치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압축하면서 유체를 분사시켜 압축된 먼지를 고화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와 관련된 발명이다.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가구등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
대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모습을 보면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는 먼지분리장치와,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이물질 토출부와 연결되어 먼지 기타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장치,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공기 토출부와 연결되어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모터,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의 토출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흡입노즐을 통과한 공기와 이물질이 먼지분리장치 내에서 회전을 하다가 질량이 큰 이물질은 그 원심력에 의하여 먼지분리장치 내주면을 회전하다가 집진장치로 유입된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모터와 필터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그런데, 집진장치에 먼지 기타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그 가벼운 질량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비산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집진장치를 꺼내서 그 내부의 이물질을 버리는 경우에도 비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집진장치 내에 집진된 먼지를 압축시켜 먼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압축된 먼지와 유체를 혼합시켜서 압축된 먼지가 고화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집진장치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마련되는 먼지분리장치와;상기 먼지분리장치와 연결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집진장치 내의 먼지에 압력을 가하여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압축부와; 상기 집진장치 또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고화시키는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수용부와;상기 유체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먼지가 수용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먼지 방향으로 제공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출부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힘에 의하여 변형되어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진집장치 내부에서 먼지압축부가 팽창 또는 수축을 하면서,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먼지를 압축시켜 먼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먼지압축부의 동작은 집진장치 내부의 압력과 차이가 있는 부분과 먼지압축부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먼지를 압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먼지압축작용과 동시에 먼지 고형화를 위한 유체가 압축된 먼지 방향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집진장치로부터 먼지제거시 먼지가 날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먼지 고형화를 위한 유체를 제공하는 유체배출부 및 유체수용부가 먼지압축부에 장착이 되기 때문에, 본체에 별도로 유체배출부 및 유체수용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소요되지 않는다는 면에서 본체 크기가 보다 작아질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와 먼지분리장치와 필터장치와 진공모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내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의 개폐부재가 변형되기 전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6(c)와 (d)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의 개폐부재가 변형된 이후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8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서 먼지가 집진되면서 압축이 되기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에서 먼지 압축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2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3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7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서 먼지가 집진되면서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에서 먼지 압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1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2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유체배출부의 제3실시예에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미도시) 및 상기 흡입노즐과 연결되는 본체(1)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의 구성을 보면, 그 내부에 마련되어 진공흡입압을 형성하는 진공모터(10)와, 상기 진공모터(10)의 흡입부에 배치되는 먼지분리장치(20)와, 상기 먼지분리장치(20)와 연결되는 집진장치(30)와, 상기 먼지분리장치(30) 방향으로 먼지 및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유로(40)를 포함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20)는 주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의 회전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먼지를 분리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20)와 상기 진공모터(10) 사이에는 필터장치(50)가 마련되는데, 상기 필터장치(50)는 상기 먼지분리장치(20)에서 먼지와 분리되어 토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진장치(30)는 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입구부는 상기 먼지분리장치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분리장치(20)의 내부를 회전하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30) 내부에는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집진장치(30) 내부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압축부(1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내부에는 먼지를 고화시킬 수 있는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수용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유체수용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압축작용시에 유체를 압축된 먼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진공모터(10)의 흡입부와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100)의 먼지압축부(10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서, 공기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상기 먼지압축부(100)를 신축시킬 수 있는 절환장치(400)가 마련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환장치(400)에는 3개의 연통구가 마련되는데, A라고 표시되는 연통구는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부(저압부)(A1)와 연결되고, 상기 B라고 표시되는 연통구는 상기 진공모터의 배출부(고압부)(B1)와 연결된다.
그리고, C라고 표시되는 연통구는 상기 집진장치의 상기 먼지압축부의 내부(C1)와 연통된다.
상기 절환장치(400)의 작동에 의하여, A와 C가 연통될 수 있고, 또는 B와 C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진공모터(400)의 흡입부(저압부)와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연통되면,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외부 공간이 되는 집진장치(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진공모터(10)의 흡입부(저압부)보다 높은 압력이 되므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집진장치(30) 내부에서 상기 진공모터(10)의 흡입부(저압부)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크기가 축소된다.
그러나,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고압부)와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연통되면,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외부 공간이 되는 집진장치(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고압부)보다 낮은 압력이 된다.
그에 따라서 공기의 흐름은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고압부)에서 상기 집진장치(30)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크기가 팽창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집진장치(30)의 하부로 이동하여 그 내부에 포집된 먼지를 눌러서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는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가 고압부가 되고, 상기 진공모터(10)의 흡입부가 저압부가 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청소 동작시 상기 본체(1) 또는 본체(1) 외부의 공간 중 그 압력이 상기 집진장치(30)의 내부 압력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을 저압부로 설정하고, 그 압력이 상기 집진장치(30)의 내부 압력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을 고압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분리장치(20)의 하부에는 공기와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관(21)이 마련되며, 상기 먼지분리장치(20)의 측면에는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22)가 마련되고, 상기 먼지분리장치(20)의 전면에는 먼지가 토출되는 먼지토출부(23)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관(21)은 상기 안내유로(40)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미도시)로부터 들어오는 먼지와 공기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토출부(22)는 상기 필터장치(50)와 연결되고, 상기 먼지토출부(22)는 상기 집진장치(100)의 입구부(10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30) 내부에는 그 길이가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먼지압축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형태의 관(텔레스코픽 관)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그 부피가 신속하게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는 풍선과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먼지압축부(100) 내부에는 먼지 고형화를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상기 유체수용부(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유체수용부(200)의 뚜껑(201)은 상기 집진장치(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체수용부(200)에 유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먼지 압축작용시 유체를 상기 집진장치(30)로 배출하는 유체배출부(500)가 설치된다.
상기 유체배출부(500)와 상기 유체 수용부(200)는 안내관(250)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안내관(250)은 코일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길이 신축에 따라서 그 배치상태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그 배치높이가 늘어났다 줄었다 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수용부(200)와 상기 안내관(250) 전체, 그리고, 상기 유체배출부(500) 상부는 상기 먼지압축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배출부(500)의 하부는 상기 먼지압축부(100) 하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100) 하부에 노출된 상기 유체배출부(500)의 하부에서 먼지 고형화를 위한 유체가 선택적으로 분사 또는 배출될 수 있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배출부(500)는 상기 먼지압축부(도3참조, 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판(501)과, 상기 장착판(501)의 상부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후술할 개폐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502)와, 상기 수용부(502)를 커버하며, 상기 안내관(250)과 연결되는 수용부 커버(503)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판(501)은 상기 수용부(502)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유체를 안내하는 배출유로(504)와, 상기 배출유로(504)의 단부에 마련되어 배출유로(504)를 통과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배출노즐(50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관(250)은 상기 수용부(502)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유로(504)들은 상기 수용부(502)의 타측부에 연결된다.
상기 안내관(250)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수용부(250)의 일측으로 유입된 이후, 상기 수용부(502) 의 타측으로 나와서 상기 배출유로(504)로 이동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판(501)의 중심부에 개폐장치(520)가 수용되는 수용부(502)가 마련된다.
상기 안내관(250)은 상기 수용부(502)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관 형태의 연결부(502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유로(504)는 상기 수용부(502)의 타측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분지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502)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502) 내부 공간을 커버하는 수용부 커버(503)가 마련되는데, 상기 수용부(502)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부 커버(503)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52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502)와 상기 수용부 커버(503)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동공간은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유로(514)를 형성한다.
상기 유입유로(514)에는 상기 개폐부재(52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관(513)이 마련된다.
상기 장착관(513)은 상기 개폐부재(52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개폐부재(520)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배출유로(504)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재(520)의 구성을 보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몸체부(521)와, 상기 몸체부(5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경사부(522)와, 상기 경사부(522)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평면부(523)와, 상기 평면부(523)에 형성되는 슬릿부(5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20)의 타측부는 상기 장착관(513)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부(524)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525)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상기 유입유로(514)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유입유로(514)의 단면 형상은 장공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520)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부(524)가 폐쇄되어 그 곳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외력이 가해져 상기 개폐부재(520)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부(524)가 개방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2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520)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개폐부재(520)를 상향이동시킬 수 있는 힘전달장치(550)가 마련된다.
상기 힘전달장치(550)의 구성을 보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551)과, 상기 이동판(55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5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힘전달부재(352)가 삽입되며, 상기 힘전달부재(55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재(5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힘전달부재(552)는 핀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553)는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삽입되는 삽입공(553a)이 형성되는 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판(55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안내부재(553)의 상부에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실링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실링부재(550)는 상기 힘전달부재(552)의 상단부와 상기 개폐부재(551)의 돌출부(551a)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재(554)는 실링 역할을 하여 상기 연통공(551)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힘전달장치(55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힘전달장치(550)는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안내부재(553)를 수용하며, 이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55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555)는 그 테두리부가 상기 장착판(501)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재(555)의 고정을 위하여 원환 형태의 고정부재(556)가 상기 커버부재(555)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555)는 탄성력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500)의 하강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먼지압축부(500)의 하단부가 압축대상이 되는 먼지와 접촉하는 경우, 먼지 덩어리가 압축되면서 상기 커버부재(555)의 하면과 측면에 닿게 된다.
먼지 덩어리가 압축이 되면 일정한 강도를 갖게 되며, 상기 커버부재(555)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압축부(530)에 의하여 더 하강운동이 이루어지면, 먼지덩어리에 대한 압축의 반작용에 의하여 먼지덩어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555) 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555)의 형상이 변형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힘전달부재(552)의 상승운동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520)의 형태가 변형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524)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유로(514)와 상기 배출유로(504)가 연통되고, 상기 배출유로(504)를 따라서 유체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504)의 단부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상기 배출노즐(505)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노즐(505)은 상기 장착판(501)의 하면에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유체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부재(5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6(a)와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520)의 구성은 소정의 중공부를 가지며 탄환 모양처럼 생긴 몸체부(521)와, 상기 몸체부(52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522)와, 상기 경사부(522)의 단부에 형성되는 평면부(523)와, 상기 평면부(523)에 직선형태로 마련되는 슬릿부(5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20)의 타측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도5참조, 513)가 삽입되며, 상기 슬릿부(524)가 개방된 경우, 상기 슬릿부(524)를 통과한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부(525)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부재(520)를 단순히 원통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일단부에 상기 경사부(522)를 만든 것은 형체의 변형으로 인하여 상기 슬릿부(524)가 보다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형체 변형을 야기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부(524)가 신속하게 닫힐 수 있다.
도6(c)와 도6(d)는 상기 개폐부재(520)가 수평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520)의 상부에서 또는 하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520)의 몸체부는 납작해지고, 그에 따라서 좌우 폭은 증가하게 된다.
좌우 폭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523)도 벌어지게 된다.
상기 슬릿부(523)가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릿부가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경우, 외력이 상부방향 또는 하부 방향에서 가해져야 한다.
만약에 상기 슬릿부(523)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외력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에서 가해지면 될 것이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력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유로(514) 내부에 상기 개폐부재(520)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관(513)은 상기 개폐부재(520)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부재(520)를 고정시킨다.
상기 장착관(513)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부(513a)는 배출유로(504)와 상기 개폐부재(520) 내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장착관(513)은 'ㄱ' 자 형태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502)의 일측에 마련되는 관 형태의 상기 연결부(502a)에는 상기 안내관(250)이 연결된다. 상기 안내관(250)의 안내를 받아 유체가 상기 유입유로(514)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520)의 하부에는 상기 실링부재(554)가 마련되고, 상기 실링부재(554)의 하부에는 상기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안내부재(553), 그리고 상기 힘전달부재(552)와 연결된 이동판(551)이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재(554)는 상기 유입유로(514)와 상기 안내부재(553)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유로(514) 내부의 유체가 상기 안내부재(553)나 상기 힘전달부재(552) 방향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555)가 상기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안내부재(553)를 커버하고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555) 내부로 먼지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555) 하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부재(52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개폐부재(5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슬릿부(도6참조, 524)가 벌어지게 하여, 상기 유입유로(514)와 상기 유로부(513a) 및 상기 배출유로(504)가 연통될 수 있으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505는 상기 배출유로(504)에서 이동된 유체를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노즐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배출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체배출부의 제2실시예는 도면번호 600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유체배출부(600)도 상기 먼지압축부(도2참조, 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판(601)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판(601)의 중심부에 개폐부재(620)가 수용되는 수용부(602)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620)도 제1실시예의 개폐부재(도6참조, 520)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따른 형상 변형에 따라서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부(602)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602) 내부 공간을 커버하는 수용부 커버(603)가 마련되는데, 상기 수용부(602) 내부 공간과 상기 수용부 커버(603)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62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250)은 상기 수용부 커버(603)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관 형태의 연결부(603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유로(604)는 상기 수용부(6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분지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602)와 상기 수용부 커버(603)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동공간은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유로(614)를 형성한다.
상기 개폐부재(620)의 구성을 보면,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621)와, 상기 몸체부(6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경사부(622)와, 상기 경사부(622)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평면부(623)와, 상기 평면부(623)에 형성되는 슬릿부(6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620)의 타측부는 상기 슬릿부(624)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625)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재(620)의 하단부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26)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626)는 상기 유입유로(614)의 내측벽에 닿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620)가 상기 유입유로(614)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621)와 상기 경사부(622)가 이루는 형상은 탄환의 형상과 유사한데, 이는 상기 경사부(622)의 하부 내면과 접촉하는 소정의 부재에 의하여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경사부(622)의 단부에 마련되는 슬릿부(624)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6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상기 유입유로(514)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620)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부재(620)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630)가 마련된다.
상기 이동부재(630)는 하부 몸체부(631)와 상부 몸체부(632)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부(631)는 원통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몸체부(632)는 상기 하부몸체부(632)의 상부에 마련되되, 위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질 수 있도록 테이퍼 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기 개폐부재(62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부(632)의 상단에 마련되는 테두리가 상기 경사부(622)의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620)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630)의 상승 운동이 일어나지 않아서 상기 개폐부재(620)에 직접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부(624)가 폐쇄되어 그 곳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상기 이동부재(630)의 상승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부(621)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상기 개폐부재(520)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릿부(524)가 개방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63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재(620)의 상승운동을 유발하여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기 슬릿부(624)를 개방시킬 수 있는 힘전달장치(550)가 마련된다.
상기 힘전달장치(550)의 구성을 보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551)과, 상기 이동판(55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5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힘전달부재(352)가 삽입되며, 상기 힘전달부재(35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안내부재(5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힘전달부재(552)는 핀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553)는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삽입되는 삽입공(553a)이 형성되는 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판(55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안내부재(553)의 상부에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실링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실링부재(550)는 상기 힘전달부재(552)의 상단부와 상기 이동부재(630)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재(554)는 실링 역할을 하여 상기 연통공(551)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힘전달장치(55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힘전달장치(550)는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와, 상기 안내부재(553)를 수용하며, 이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55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555)는 그 테두리부가 상기 장착판(501)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재(555)의 고정을 위하여 원환 형태의 고정부재(556)가 상기 커버부재(555)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555)는 탄성력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500)의 하강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먼지압축부(500)의 하단부가 압축대상이 되는 먼지와 접촉하는 경우, 먼지 덩어리가 압축되면서 상기 커버부재(555)의 하면과 측면에 닿게 된다.
먼지 덩어리가 압축이 되면 일정한 강도를 갖게 되며, 상기 커버부재(555)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먼지압축부(530)에 의하여 더 하강운동이 이루어지면, 먼지덩어리에 대한 압축의 반작용에 의하여 먼지덩어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555) 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즉, 먼지덩어리가 상기 커버부재(555)를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재(555)의 형상이 변형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힘전달부재(552)의 상승운동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기 개폐부재(62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개폐부재(620)의 형태가 변형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624)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유로(614)와 상기 배출유로(604)가 연통되고, 상기 배출유로(604)를 따라서 유체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604)의 단부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상기 배출노즐(605)이 마련된다.
상기 배출노즐(605)은 상기 장착판(601)의 하면에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유체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상기 먼지압축부(100)에 의하여 먼지압축이 일어나고, 압축된 먼지로부터 다시 상기 유체배출부(500)로 가압력이 전달된다는 것은 상기 유체배출부(500)에 의하여 먼지가 압력을 제공할 정도로 인지가 되어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먼지가 상기 유체배출부(500)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감지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다.
만약에 먼지가 상기 유체배출부(500)에 닿지 않을 정도로 적은 양이 존재한다면 아무리 상기 먼지 압축부(100)가 압축작용을 하여도 유체 배출부(500)로부터 유체가 배출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상기 유체배출부(500)는 상기 집진장치(100) 내부에 먼지로부터 가압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그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먼지 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먼지 감지에 따른 유체배출의 원리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유로(614) 내부에 상기 개폐부재(62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620)가 상기 유입유로(614)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626)는 상기 수용부(602)의 내벽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커버(603)에 의하여 눌려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602)와 상기 수용부커버(603)가 소정의 체결부재(예, 볼트, 리벳, 후크 등)로 결합되면, 상기 개폐부재(62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개폐부재(6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620)의 내부에 상기 이동부재(630)가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630)는 상기 하부몸체부(631)와, 상기 상부 몸체부(63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631)의 하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몸체부(632)의 상단부 테두리는 상기 경사부(622)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의 내부공간의 폭은 상기 이동부재(6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630)의 주위에는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여유공간은 상기 배출유로(604)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승하여 상기 슬릿부(624)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유입유로(614)에 있던 유체가 상기 슬릿부(624)와, 상기 이동부재(630) 주위의 공간과, 상기 배출유로(604)와, 상기 배출노즐(60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체배출부(600)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도, 상기 먼지압축부(100)에 의하여 먼지압축이 일어나고, 압축된 먼지로부터 다시 상기 유체배출부(500)로 가압력이 전달된다는 것은 상기 유체배출부(600)에 의하여 먼지가 압력을 제공할 정도로 인지가 되어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먼지가 상기 유체배출부(600)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감지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다.
만약에 먼지가 상기 유체배출부(600)에 닿지 않을 정도로 적은 양이 존재한다면 아무리 상기 먼지 압축부(100)가 압축작용을 하여도 유체 배출부(600)로부터 유체가 배출될 수 없을 것이다.
도10은 상기 유체배출부(600)의 제3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부재(도8참조, 620)가 중공의 실린더 형태를 띤 것이 특징이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체배출부(600)에서의 개폐부재(650)는 막이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는 몸체부(651)와, 상기 몸체부(651) 표면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슬릿부(6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651)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면상태도 무방하다.
상기 개폐부재(650)도 탄력성 있는 고무나 실리콘 부재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용이하게 변형되고, 외력의 없어지면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650)가 변형되는 경우, 상기 슬릿부(652)는 그 사이가 벌어져 개방되고, 변형전의 상태로 복구되는 경우, 다시 상기 슬릿부(652)는 그 사이가 오므라들어서 폐쇄된다.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부에는 이동부재(630)가 마련되어 그 아래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65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8에서 나타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부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650)는 상기 유입유로(614) 내에 배치되고, 그 테두리는 상기 유입유로(614) 내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부재(630)는 상부몸체부(631)와 하부 몸체부(63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부(631)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하부몸체부(632)의 상부테두리는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힘전달장치(550)에 의하여 힘이 상기 이동부재(630)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630)는 상승운동을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650)를 위로 들어올린다.
이 때, 상기 개폐부재(650)의 테두리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중심부가 솟아오르면서 표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652)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부공간은 상기 배출유로(604)와 연통되어 있고, 그 하부공간의 폭은 상기 이동부재(63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릿부(652)가 개방되면, 상기 유입유로(614)에 있던 유체가 상기 슬릿부(652), 그 여유공간, 상기 배출유로(604), 상기 배출노즐(60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동작은 도9에서 도시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모터(10)가 동작을 하면, 상기 흡입노즐(미도시)에서 흡입된 먼지와 공기가 상기 먼지분리장치(20)로 유입된다.
상기 먼지분리장치(20)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공기와 분리되는 먼지는 상기 집진장치(3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장치(50)를 거쳐서 상기 진공모터(10)에 흡입된 이후에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장치(30) 내부로 유입된 먼지는 상기 집진장치(30) 하부에 포집되는데, 이 때, 상기 절환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부(저압부)와 상기 먼지압축부(100) 내부가 연통된다.
이 경우,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압축부(100)는 그 길이가 축소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부는 상기 집진장치(30)의 바닥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유체배출부(500(600)) 또한 상기 집진장치의 바닥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에서는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먼지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먼지 또는 먼지덩어리가 상기 유체배출부(500(600))를 압박하지 않는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힘전달장치(550)가 상기 개폐부재(520)를 압박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520)는 그 형상을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524)는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릿부(524)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안내관(25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유입유로(514) 내에 유입된 유체(L)는 상기 유로부(513) 및 상기 배출유로(504)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유입유로(514)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힘전달장치(550)가 상기 이동부재(630)를 들어올리지 않아서,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기 개폐부재(62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620)는 그 형상을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624)는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릿부(624)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안내관(25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유입유로(614) 내에 유입된 유체(L)는 상기 개폐부재(620)의 토출부(625) 및 상기 배출유로(604)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유입유로(614)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힘전달장치(550)가 상기 이동부재(630)를 들어올리지 않아서, 상기 이동부재(630)가 상기 개폐부재(65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650)는 그 형상을 초기 상태로 유지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슬릿부(652)는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슬릿부(652)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안내관(25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유입유로(614) 내에 유입된 유체(L)는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부 공간과 상기 배출유로(604)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유입유로(614) 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30)에 대해서 먼지가 포집되는 상태에서 상기 절환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먼지압축부(100)와 상기 진공모터(10)의 배출부(고압부)가 연통이 되면,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팽창하면서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이 상기 집진장치(30)의 바닥면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에 마련되는 상기 유체배출부(500(600))가 먼지를 압축하는 동시에, 압축된 먼지덩어리에 의한 반발력에 의하여 눌려서 먼지덩어리 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한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이 상기 집진장치(30)의 바닥면을 향하여 이동하고, 포집되어 있던 먼지(D)를 누르면 그 먼지들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안내관(250)은 코일 형태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배치된 높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유체수용부(200)와 상기 유체배출부(500(600))를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수용부(200)의 유체를 상기 유체배출부(500(600))로 안내한다.
이때, 압축된 먼지(D)는 덩어리 형태가 되어 상기 유체배출부(500)와 접촉을 하고, 상기 유체배출부(500(600))의 커버부재(555)를 압박한다.
이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하여 압축된 먼지 덩어리(D)도 상기 유체배출부(500(600)) 방향으로 반발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압축부(도18, 100)가 팽창하여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이 먼지에 닿아 압축을 하게 되면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에 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하강함에 따라서 상기 압축된 먼지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를 위로 올리면,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부로 이동한다.
상향 이동하는 힘전달부재(552)의 상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하면에 접촉해 있고, 상기 개폐부재(520)의 일면은 상기 실링부재(554)의 상면에 접촉해 있다.
따라서,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향이동하면, 상기 실링부재(554)는 그만큼 약간 솟아오르며, 상기 개폐부재(520)은 힘을 받아 변형된다.
상기 개폐부재(520)가 변형되면, 상기 슬릿부(524)가 벌어져서 그 곳으로 상기 유입유로(514)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L)가 유입된다.
상기 슬릿부(524)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개폐부재(520) 내부로 들어와서, 상기 유로부(513a)를 거치고, 상기 각 배출유로(504)로 분산되어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로(504)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배출노즐(505)에서 배출된 이후, 압축된 먼지 덩어리(D) 로 분사된다.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유체(L)가 혼합됨으로써 고형화가 되어, 이후, 집진장치 청소시에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들어올려져서 먼지 덩어리(D)와 상기 커버부재 (555)간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개폐부재(520)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520)의 형상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하여, 상기 도14과 같은 상태와 같이 상기 슬릿부(524)가 다시 폐쇄되어 유체(L)가 상기 배출유로(504)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먼지 압축부(도18, 100)가 팽창하여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이 먼지에 닿아 압축을 하게 되면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에 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하강함에 따라서 상기 압축된 먼지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를 위로 올리면,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부로 이동한다.
상향 이동하는 힘전달부재(552)의 상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하면에 접촉해 있고, 상기 이동부재(630)의 하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상면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630)의 상단부는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기 경사면(622)의 내부에 접촉해 있다.
따라서,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향이동하면, 상기 실링부재(554)는 그만큼 약간 솟아오르며, 또한, 상기 이동부재(620)도 솟아오른다.
그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620)가 상기 이동부재(620)에 의하여 힘을 받아 변형된다.
상기 개폐부재(620)가 변형되면, 상기 슬릿부(624)가 벌어져서 그 곳으로 상기 유입유로(614)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L)가 유입된다.
상기 슬릿부(624)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개폐부재(620) 내부로 들어와서, 상기 개폐부재(620)의 토출부(625)를 거친 후, 상기 각 배출유로(604)로 분산되어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로(604)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배출노즐(605)에서 배출된 이후, 압축된 먼지 덩어리(D) 로 분사된다.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유체(L)가 혼합됨으로써 고형화가 되어, 이후, 집진장치 청소시에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들어올려져서 먼지 덩어리(D)와 상기 커버부재 (555)간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개폐부재(620)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620)의 형상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하여, 상기 도15과 같은 상태와 같이 상기 슬릿부(624)가 다시 폐쇄되어 유체(L)가 상기 배출유로(604)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상기 먼지 압축부(도18, 100)가 팽창하여 상기 먼지압축부(100)의 하면이 먼지에 닿아 압축을 하게 되면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에 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하강함에 따라서 상기 압축된 먼지덩어리(D)가 상기 커버부재(555)를 위로 올리면, 상기 이동판(551)과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부로 이동한다.
상향 이동하는 힘전달부재(552)의 상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하면에 접촉해 있고, 상기 이동부재(630)의 하단부는 상기 실링부재(554)의 상면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630)의 상단부는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면에 접촉해 있다.
따라서, 상기 힘전달부재(552)가 상향이동하면, 상기 실링부재(554)는 그만큼 약간 솟아오르며, 또한, 상기 이동부재(620)도 솟아오른다.
그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650)가 상기 이동부재(620)에 의하여 힘을 받아 그 접촉부분이 솟아올라서 변형되고, 그 표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슬릿부(652)가 개방된다.
상기 슬릿부(652)가 벌어져서 개방되면 그 곳으로 상기 유입유로(614)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L)가 유입된다.
상기 슬릿부(652)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개폐부재(650)의 하부공간을 거친 후, 상기 각 배출유로(604)로 분산되어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로(604)를 통과한 유체(L)는 상기 배출노즐(605)에서 배출된 이후, 압축된 먼지 덩어리(D) 로 분사된다.
압축된 먼지 덩어리(D)가 유체(L)가 혼합됨으로써 고형화가 되어, 이후, 집진장치 청소시에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먼지압축부(100)가 들어올려져서 먼지 덩어리(D)와 상기 커버부재 (555)간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개폐부재(650)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650)의 형상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하여, 상기 도16과 같은 상태와 같이 상기 슬릿부(652)가 다시 폐쇄되어 유체(L)가 상기 배출유로(604)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20: 먼지분리장치 30: 집진장치
100: 먼지압축부 200: 액체수용부
500,600: 액체배출부 501, 601: 장착판
502,602: 수용부 503, 6033: 수용부 커버
504,604: 배출유로 505,605: 배출노즐
514,614: 유입유로 520,620,650: 개폐부재
524,624,652: 슬릿부
550: 힘전달장치 551: 이동판
552: 힘전달부재 553: 안내부재
554: 실링부재 555: 커버부재
556: 고정부재

Claims (18)

  1. 본체에 마련되는 먼지분리장치와;
    상기 먼지분리장치와 연결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집진장치 내의 먼지에 압력을 가하여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압축부와;
    상기 집진장치 또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소정의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수용부와;
    상기 유체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먼지가 수용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먼지 방향으로 제공하는 유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배출부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힘에 의하여 변형되어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먼지압축부에 의하여 압축되는 먼지에 의한 가압작용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어 유체를 통과시키고, 가압작용 해제시 그 형상이 원상복귀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먼지압축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 하부에 마련되는 힘전달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장착판은 상기 유체가 유입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되는 유입유로 및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힘전달장치는 상기 개폐부재에 압축먼지의 가압작용에 따른 힘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힘전달장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힘전달장치 사이를 구획하고, 유체가 상기 힘전달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며 탄성변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토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형상변형시 개방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장치는 상기 개폐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장치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힘전달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개폐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변형을 유발시켜 상기 슬릿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되, 일단부는 상기 슬릿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타단부는 상기 힘전달장치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플레이트 상태로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 변형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장치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힘전달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개폐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변형을 유발시켜 상기 슬릿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타단부는 상기 힘전달장치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장치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으로 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개폐부재로 상기 지지판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하는 힘전달부재와,
    상기 힘전달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힘전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지지판과, 상기 힘전달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수용하며 그 노출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장착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과, 상기 힘전달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의 상면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입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수용부에 수용된 유체를 받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모터와,
    상기 먼지압축부를 상기 집진장치 내부의 압력보다 높은 고압부 또는 상기 집진장치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저압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절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먼지압축부는 상기 고압부와 연통시 그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저압부와 연통시 그 길이가 축소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압축부는 상기 집진장치 내에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유체수용부는 상기 먼지압축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먼지압축부의 하면에 그 일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먼지압축부의 압축작용시 상기 먼지압축부의 하면보다 아래로 유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압축부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체배출부와 상기 유체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수용부의 유체를 상기 유체배출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코일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00136281A 2010-12-28 2010-12-28 진공청소기 KR10174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81A KR101749112B1 (ko) 2010-12-28 2010-12-28 진공청소기
US13/302,030 US9072418B2 (en) 2010-12-28 2011-11-22 Vacuum cleaner
EP11191076.6A EP2478813B1 (en) 2010-12-28 2011-11-2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81A KR101749112B1 (ko) 2010-12-28 2010-12-2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50A true KR20120074450A (ko) 2012-07-06
KR101749112B1 KR101749112B1 (ko) 2017-06-20

Family

ID=4504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281A KR101749112B1 (ko) 2010-12-28 2010-12-2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72418B2 (ko)
EP (1) EP2478813B1 (ko)
KR (1) KR101749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685B1 (ko) * 2013-04-18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GB2557304B (en) * 2016-12-05 2022-06-01 Beacon Group Int Ltd A filter system and a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filter system
US10244909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10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2873B2 (en) 2016-12-28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14349B2 (en) 2016-12-28 2019-02-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64746B2 (en)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1281273A (zh) * 2020-02-29 2020-06-16 南宁职业技术学院 一种扫地机器人尘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091B1 (fr) 2001-04-09 2003-06-13 Seb Sa Dispositif de compactage des dechets dans un aspirateur
JP2005110964A (ja)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EP1839758B1 (en) 2006-02-24 2009-11-25 LG Electronics Inc.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US8370992B2 (en) * 2009-11-01 2013-02-1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U2009355015B2 (en) * 2009-11-03 2013-07-1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112B1 (ko) 2017-06-20
EP2478813A1 (en) 2012-07-25
US9072418B2 (en) 2015-07-07
US20120159738A1 (en) 2012-06-28
EP2478813B1 (en)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4450A (ko) 진공청소기
CN102369318B (zh) 漂洗容器、用于漂洗洗衣干燥机的部件的装置,以及洗衣干燥机
RU2437610C1 (ru) Пылесос и е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пыли
CN100512740C (zh) 电动吸尘器
WO2010093124A2 (ko) 먼지 압축식 집진장치
KR20060098765A (ko) 청소기의 집진기
CN101909499A (zh) 便携式硬表面抽吸装置
KR20160065610A (ko) 진공 청소기 및 집진장치
CN106175595B (zh) 可反向冲洗的空气过滤器
KR101750312B1 (ko) 진공청소기
CN209003804U (zh) 一种手持吸尘器
US918602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dust compression device
KR200428096Y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08427Y1 (ko) 진공포장기
KR101797492B1 (ko) 진공청소기
KR20120076949A (ko) 진공청소기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200425464Y1 (ko) 상하 슬라이딩식 진공포장기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545237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KR20100093444A (ko) 먼지 압축식 집진장치
KR20120074446A (ko) 진공청소기
KR20120054223A (ko) 진공 청소기
KR200441502Y1 (ko) 클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형 진공보관장치
KR101680664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