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461B1 -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461B1
KR100710461B1 KR1020050095865A KR20050095865A KR100710461B1 KR 100710461 B1 KR100710461 B1 KR 100710461B1 KR 1020050095865 A KR1020050095865 A KR 1020050095865A KR 20050095865 A KR20050095865 A KR 20050095865A KR 100710461 B1 KR100710461 B1 KR 100710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pport
hood
packing membe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474A (ko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5009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의 도입과 아울러 이물질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진공포장백의 밀봉 후 패킹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된 진공공간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진공해제수단, 상기 진공공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진공펌프의 상호 연결이 십자(十字)형 연결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소통을 위한 배관의 복잡성을 최소화한 진공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힌지결합되는 후드;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화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부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에 배열된 흡입공과 도관(導管)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진공공간부의 진공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에 연결된 소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 포장, 후드, 히터, 패킹, 펌프, 소음기, 도관, 필터

Description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VACUUM SEALER EQUIPPED WITH SILENCER}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필터 도입을 위한 아답터와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필터의 분해사시도,
도 2c는 외부 용기 진공을 위한 커넥터와 아답터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다른 형태의 고리형 패킹부재의 사시도,
도 3c는 액체유도채널이 형성된 분리체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의 개략적인 지지체 내부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체 11: 직선형 패킹부재
113: 액체유도채널 15: 안내부재
17a,17b: 동작버튼 20: 후드
21: 고리형 패킹부재 21b: 전면부
23: 끼움부 30: 히터
31: 가압부재 41: 흡입노즐
43: 유입구 45: 유출구
50: 진공해제수단 51: 개폐레버
53: 공기유입공 60: 연결부재
61a,61b: 연결돌기 70: 필터
71: 하우징 73: 덮개
A: 아답터 C: 진공공간부
D: 분리체 S: 소음기
P: 펌프 PS: 압력센서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에 소음기를 연결하여 소음발생을 줄인 진공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소음기의 도입과 아울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464661호(2004.12.22)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에서
이물질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진공포장백의 밀봉 후 패킹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된 진공공간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진공해제수단,
상기 진공공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진공펌프의 상호 연결이 십자(十字)형 연결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소통을 위한 배관의 복잡성을 최소화한 진공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과 같은 피포장체를 진공포장백에 담고 포장백을 진공 포장하여 피포장체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한 진공포장장치는 전문 음식점 또는 식품 판매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 최근 핵가족화 추세와 대형 할인점에서 주말 단위로 쇼핑을 하여 냉장고에 일주일 단위 이상의 식료품을 저장한 후 소비하는 경향과 맞물려 가정용 진공포장장치의 판매는 늘어가고 있다.
종래 진공포장장치에서 진공펌프의 배기노츨 측에 구비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05-0091362호(2005.09.15) 『진공포장기』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진공포장시 발생하는 액상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드레인챔버와 소음챔버가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힌지결합된 후드와 베이스가 맞물릴 경우 패킹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상기 베이스의 진공챔버를 배기 진공시키는 펌프의 연결 도관 중에 구비된 하우징에
진공포장백에 저장되는 피포장체에 포함된 액상이물질이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레인챔버를 구성하고,
상기 드레인챔버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저장용기를 구성하여 액상이물질이 모이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을 상기 하우징의 소음챔버로 연결하여 소음발생을 줄이도록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공개 제2005-0091362호의 진공포장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464661호에 소음기를 도입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소음기의 도입과 아울러 진공펌프와 연결된 진공배기를 위한 도관(導管)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이물질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진공포장백의 밀봉 후 패킹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된 진공공간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진공해제수단, 상기 진공공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진공펌프의 상호 연결이 십자(十字)형 연결구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진공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힌지결합되는 후드;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 또는 상기 지지체의 상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가압부재와 맞물려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화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부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에 배열된 흡입공과 도관(導管)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진공공간부의 진공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에 연결된 소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V)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먼저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지체(10) 방향을 하부로 하고, 후드(20) 쪽을 상부로 정하며,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후드(20)를 연결하는 힌지(H)를 축으로 상기 후드가 상부로 들려 열리고 진공포장백(미도시 됨)의 입구를 상기 힌지 쪽으로 투입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힌지 쪽을 후방으로 정하고, 상기 힌지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후드 단부 쪽을 전방으로 정하며,
상기 힌지(H)를 후방에 둔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후드의 좌우측을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V)는 지지체(10)와 이 지지체(10)에 힌지(H) 결합되는 후드(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체’라는 용어는 지지체(10)가 식탁이나 싱크대 등의 바닥에 안정되게 접촉하면서 상기 후드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들리고 내려지면서 맞물리게 될 경우 진공포장장치(V)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적절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된 단어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지지체(10)에는 음식물 등의 피포장체가 내장된 열접합성 진공포장백(미도시 됨)의 입구를 가열 접합할 수 있는 히터(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후드(20)에는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히터(30)와 맞물려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와 가압부재의 설치 위치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진공포장백을 정위치시키고 지지체(10)와 후드(20)를 맞물리게 한 후 동작버튼(17a)(17b)에 의하여 또는 후드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 진공펌프(미도시 됨)가 작동되면 상기 펌프와 연결된 흡입공(41)에 의하여 진공화 압력이 걸리는 부분인 진공공간부(C)를 형성하고,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는 패킹부재가 상기 지지체(10)와 후드(2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입공(41)은 노즐 형태를 취하고 있는 돌기(미지칭 됨) 단부에 위치하고, 진공포장백의 입구 일측에 상응하는 부분에 하나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지지체(10)에 배열된 패킹부재는 직선형 패킹부재(11)이고,
또 상기 후드(20)에 배열된 패킹부재는 연속된 고리(loop)형의 패킹부재(21)이며,
상기 직선형의 패킹부재(11)는 상기 지지체(10)의 상면부에서 약간 돌출된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형 패킹부재(21)는 장방형 타원체의 외곽을 이루는 상기 후두(20)의 끼움부재(23a)에 의하여 형성되는 끼움부(23)에 위치한다.
상기 고리형 패킹부재(21)가 상기 끼움부(23a)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재(21)의 하면부 보다 상부로 함몰된 타원형의 요입부(21a)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부(21a)는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후드(20)가 맞물릴 경우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는 진공공간부(C)(도 1a 참조)를 실질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보다 단순한 패킹부재의 구성을 통하여 제조비용의 절감을 달성하고자 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464661호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기밀성을 보장하여 빠른 진공포장백의 진공배기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리형 패킹부재(21)의 전면 부분(21b)과 접촉하는 직선형의 패킹부재(11)는 접촉한다.
참고로 이상과 같은 직선형의 패킹부재(11)와 고리형 패킹부재(21)가 배열된 부재(지지체와 후드)는 필요에 따라 서로 뒤바뀔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리형 패킹부재(121)는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외부와 분리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는 한도에서 가능한 작은 폭을 갖는 슬릿(121a)을 갖는데,
이는 상기 패킹부재(11)(1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부(C)의 체적을 가능한(진공포장백의 배기를 보장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는 한도 내에서) 축소하여 진공펌프에 의한 진공압력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진공포장백의 입구에 미치는 진공 배기압력의 집중을 위한 상기 슬릿(121a)은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진공공간부를 위한 체적축소수단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진공공간부 체적축소수단은 다른 여러 방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고 도 1b의 패킹부재(21) 의 요입부(21a) 보다 폭이 좁은 도 3a의 패킹부재(121)의 슬릿(121a)은 일례에 해당하며, 다른 형태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돌출된 돌기에 의하여 슬릿(221a)의 체적을 줄인 패킹부재(221)로도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진공공간부(C) 체적축소수단을 이루는 슬릿(121a)(221a) 위치에 정확하게 진공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안내부재가 상기 지지체(10) 및/또는 상기 후드(20)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b에서 상기 안내부재(15)는 상기 지지체(10)의 상기 패킹부재(11) 후방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돌기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b, 도 2a,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V)는 진공시 진공포장백에 담긴 피포장체에서 빠져 나오는 액상이물질이 상기 흡입공(41)을 거쳐 펌프(P)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70)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필터(7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는 필터를 분리한 후 상기 흡입공(41)이 상기 펌프(P)의 흡기노즐(P1)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60)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아답터(adapter)(A)를 도입하였다.
상기 지지체(10)의 우측에 형성된 장착부(A1)에 형성된 끼움부(A43)는 상기 지지체(10) 상부의 흡입공(41)과 제1도관(T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A1)의 끼움부(A45)는 제2도관(T2)을 통하여 이하에서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다른 부재와 펌프와의 배관을 단순화시키도록 하는 십자(十字)형 연결구(L)의 제1분지관(L1)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분지관(L1)의 타단은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공(41)을 위한 노즐(41a)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A1)의 각 끼움부(A43)(A45)에 끼우지는 돌기(43a)(45a)를 갖는 아답터(A)는 상기 각 돌기(43a)(45a) 대편에 돌출된 유입구(43)와 유출구(45)가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도 2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답터(A)의 유입구(43)와 유출구(45)에 결합되는 돌기(61a)(61b)를 갖는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상기 흡입공(41)과 펌프(P)가 연결되도록 하고,
도 2b에서와 같이 액체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를 사용할 때는 상기 연결부재(60)를 분리하고 필터가 상기 아답터(A)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체에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청소 또는 교체 편리성을 위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의 필터(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의 설명에 앞서 진공시 진공포장백에 담긴 피포장체에서 유래한 액체가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거쳐 흘러나와 진공포장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도입한 액체유도채널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액체유도채널(13)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장치의 지지체(10) 자체에 형성된 것으로 흡입공(41)을 향하여 액체가 흐르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만약 상기 흡입공이 진공포장백 입구의 양단부에 두 개 배열된 것일 경우 액체유도채널은 중간 지점이 높고 각 흡입공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3c에 도시된 진공포장장치는 지지체(10)에 형성된 액체유도채널(13)에 잔류하는 오염물의 청소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공(41), 안내부재 (15), 직선형 패킹부재(11), 그리고 액체유도채널(13)이 별도로 형성된 분리체(D)를 도입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였다.
상기 분리체(D)를 위하여 상기 지지체에는 상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도 3c에 도시된 액체유도채널(13)을 거쳐 흡입공(41)으로 유입된 액체는 펌프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터에 의하여 걸러지는데,
도 2b에 도시된 필터(70)는 상기 아답터(A)의 유입구(43) 및 유출구(45)와 결합되는 결합공(75a)(75b)을 갖는 하우징(71), 상기 하우징(71)에 내장되는 필터(75), 그리고 상기 하우징(71)의 결합홈(71a)에 체결되는 돌기(73a)를 갖는 덮개(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수단은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고, 진공포장백 피포장체의 액체이물질이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아답터(A)의 활용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포장장치의 펌프(P)를 외부 진공용기를 진공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80)의 도입을 가능케 한다.
상기 커넥터(80)는 진공용기의 체크밸브 상부에 위치하는 빨판부(83), 상기 빨판부와 연결튜브(87)에 의하여 이어져 있고 펌프와 연결된 상기 아답터(A)의 유입구(43)에 끼워지는 연결부(81)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커넥터(80)의 빨판부(83)에는 유로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개폐버튼(85)이 더 구비되어 있어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장치에는 상기 진공포장백의 진공 및 가열접합 후 상기 진공공간부의 진공상태를 풀어서 후드의 개방을 쉽게 하기 위한 진공해제수단(50)을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 진공포장장치에서는 후드 상부에 형성되어 후드 내측의 진공공간부와 연통된 구멍을 밸브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진공을 해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진공해제수단의 형성위치는 사용자가 후드를 눌러 지지체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밸브를 무의식 중에 건드려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쉽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해제수단(50)은 지지체(10)의 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C)의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공(53)은 지지체(10)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공(53)은 도 4a 및 도 4b의 십자형 연결구(L)의 제2분지관(L2)과 제3도관(T3)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진공공간부로의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b에서, 상기 공기유입공(53)은 개폐레버(51)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52a)가 상기 지지체(10)의 회동홈(52b)에 끼워져서 위치 제한되고, 상기 레버(51)와 지지체(10)의 측벽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51a)에 의하여 레버가 탄지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레버(51)를 가압하면 스프링(51a)에 탄발하면서 레버(51)의 개폐부 (51b)가 상기 공기유입공(53)을 개방하여,
공기가 공기유입공(53), 제3도관(T3), 십자형 연결구(L)의 제2분지관(L2)과 제1분지관(L1), 제2도관(T2), 아답터(A)의 돌기(45a)와 유출구(45), 상기 연결부재(60)의 돌기(61b)와 본체 및 돌기(61a), 다시 아답터(A)의 유입구(43)와 돌기(43a), 그리고 제1도관(T1)과 흡입공(41)를 차례로 거쳐 최종적으로 진공공간부(C)로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레버(51)에서 손을 떼면 레버가 스프링(51a)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귀하여 개폐부(51b)가 다시 노즐(53)을 폐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소음기(S)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의 배기노즐(P2)과 제6도관(T6)을 통하여 연결된 연결부(S1)를 가지며,
대략 대칭된 형태로 중간에 항아리 형태로 불룩한 확장부(S3) 양측에 납작하게 눌린 형태의 협소부(S2a)(S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협소부 중 하나(S2a)는 상기 연결부(S1)와 이어져 있고,
다른 하나(S2b)는 배출구(S4)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음기(S)를 진공포장장치(V)에 도입하면서 진공해제수단(50) 및 필터(70)와의 배관연결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십자(十字)형 연결구(L)를 도입하였는데,
상기 연결구(L)의 네 분지관 중
제1분지관(L1)은 상기 아답터(A)와 연결된 제2도관(T2)과,
제2분지관(L2)은 상기 진공해제수단(50)의 공기유입공(53)과 연결된 제3도관(T3)과,
제3분지관(L3)은 상기 진공공간부(C)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와 연결된 제4도관(T4)과,
그리고 제4분지관(L4)은 상기 펌프(P)의 흡기노즐(P1)과 연결된 제5도관(T5)과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각 분지관의 단부는 도관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성에 문제가 없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ed) 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테이퍼 진 부분 중 최정점의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La)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 연질 도관의 내경보다 크며, 그 이후로는 급격하게 단면적이 줄어든 단면적 축소부(Lb)를 이루고 있어 결합된 연질의 도관이 밀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는 소음기의 도입과 아울러 이물질이 상기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진공포장백의 밀봉 후 패킹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된 진공공간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진공해제수단, 상기 진공공간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그리고 진공펌프의 상호 연결이 십자(十字)형 연결구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진공 펌프와 연결된 진공배기를 위한 도관(導管)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공포장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힌지결합되는 후드;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 또는 상기 지지체의 상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가압부재와 맞물려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화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부을 형성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에 배열된 흡입공과 도관(導管)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진공공간부의 진공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에 연결된 소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공공간부에 배열된 흡입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에는 이물질제거를 위한 필터가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 외면에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진공공간부에 배열된 흡입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에는 상기 진공포장백의 배기 밀봉 후 상기 진공공간부에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수단이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후드 외면에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센서 역시 상기 흡입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에 연결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흡입공과 연결된 제1도관은 상기 필터 쪽으로 이어지고,
    상기 필터를 거쳐 나온 제2도관, 상기 진공해제수단을 위한 제3도관, 상기 압력센서를 위한 제4도관,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의 흡기노즐과 연결된 제5도관은 십자(十字)형 연결구를 통하여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후드 모두에 구비되어 있고,
    이중 하나는 연속된 고리(loop)형의 패킹부재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리형 패킹부재 전면 부분과 접촉하는 직선형의 패킹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부의 체적을 축소하여 상기 펌프에 의한 진공압력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체적축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축소수단은
    상기 패킹부재가 연속된 고리(loop)형태로 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충분히 외부와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상기 패킹부재의 슬릿에 의하여 구현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진공포장백의 입구가 정확하게 상기 패킹부재의 슬릿에 위치하도록 하는 안내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KR1020050095865A 2005-10-12 2005-10-12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KR100710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65A KR100710461B1 (ko) 2005-10-12 2005-10-12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865A KR100710461B1 (ko) 2005-10-12 2005-10-12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74A KR20070040474A (ko) 2007-04-17
KR100710461B1 true KR100710461B1 (ko) 2007-04-24

Family

ID=3817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865A KR100710461B1 (ko) 2005-10-12 2005-10-12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734A (zh) * 2015-09-07 2015-12-02 无锡市麦杰机械工程有限公司 真空包装机的真空室泄压缓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2781A1 (fr) * 1984-05-23 1985-11-27 Sanofi Conjugués associant par liaison covalente un ionophore carboxylique monovalent et une macromolécule,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potentialisateurs des immunotoxines et les ionophores activés intermédiaires
KR100464661B1 (ko)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50054740A (ko) * 2003-12-06 2005-06-10 안준영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20050088704A (ko) * 2004-03-02 2005-09-07 (주)씨에스이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2781A1 (fr) * 1984-05-23 1985-11-27 Sanofi Conjugués associant par liaison covalente un ionophore carboxylique monovalent et une macromolécule,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potentialisateurs des immunotoxines et les ionophores activés intermédiaires
KR20050054740A (ko) * 2003-12-06 2005-06-10 안준영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20050088704A (ko) * 2004-03-02 2005-09-07 (주)씨에스이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0464661B1 (ko)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474A (ko) 200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127B2 (en) Vacuum sealer
ITBS20040028U1 (it) Apparecchio per formare il vuoto in contenitori per conservare prodotti con vassoio di recupero liquidi separabile e lavabile
KR100677982B1 (ko) 진공 청소기의 모터필터안착구조
WO2008086668A1 (fr) Récipient d&#39;emballage sous vide
WO2005097598A1 (en) Vacuum sealer
KR100751788B1 (ko) 청소기의 먼지통 조립장치
KR100842825B1 (ko)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0710461B1 (ko)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KR200443459Y1 (ko)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KR100956438B1 (ko) 비닐봉투가 일체로 결합된 흡입장치
KR100834093B1 (ko)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0389424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EP1520787A1 (en)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partial vacuum in bags for packaging clothes or the like
KR100816067B1 (ko)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진공포장기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0637333B1 (ko) 부분 개방형 진공채널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0778520B1 (ko) 진공부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WO2001049344A1 (en) Suction bag device
KR100545237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447921Y1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380449Y1 (ko) 진공포장기용 에어파레트 및 에어파레트를 이용한 진공포장기
JPH049967Y2 (ko)
KR980006610U (ko) 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JP3418482B2 (ja) 真空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