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825B1 -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825B1
KR100842825B1 KR1020060100756A KR20060100756A KR100842825B1 KR 100842825 B1 KR100842825 B1 KR 100842825B1 KR 1020060100756 A KR1020060100756 A KR 1020060100756A KR 20060100756 A KR20060100756 A KR 20060100756A KR 100842825 B1 KR100842825 B1 KR 10084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orming member
vacuum space
space forming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073A (ko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6010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82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1007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8160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10077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834093B1/ko
Priority to AU2007212907A priority patent/AU2007212907A1/en
Priority to PCT/KR2007/000636 priority patent/WO2007091822A1/en
Publication of KR2007008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이 저장된 열접합성 진공포장백을 진공 배기 한 후 입구를 가열하여 접합 밀봉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는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를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수용부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 포장, 진공채널, 진공공간, 진공공간 형성부재, 분리, 착탈, 히터, 진공해제수단, 솔레노이드밸브, 잠금수단, 원터치, 지지수단, 포장백, 밀폐부재, 소음기

Description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OOM MEMBER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하부체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2a는 원터치타입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와는 다른 형태의 원터치타입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서로 다른 형태의 저장물품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개략적인 지지체 내부 저면도,
도 4b는 도 4a와는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개략적인 지지체 내부 저면도,
도 4c는 소음기의 사시도,
도 4d는 도관을 위한 십자(十字)형 및 T자형 연결구의 사시도,
도 4e는 진공해제수단을 이루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진공포장기 H: 선회축
B: 진공포장백 P: 저장물품
C,C': 진공채널 R: 진공공간
10: 하부체 20: 상부체
30: 히터 31: 가압부재
40: 진공펌프 50: 진공공간 형성부재
51A: 배기공 51B: 끼움돌기
53A: 대응 고정부 53B: 착탈부
55: 밀폐부재 56: 대응 밀폐부재
60,160: 지지수단 61,63,161,163: 분체
70: 원터치타입 잠금수단 70A: 잠금구
70B: 걸림돌기 71: 후크부재
72: 가이드레버 73: 스프링
74: 케이스 74a: 록킹가이드레일
74b: 언록킹가이드슬릿 74c: 스토핑홀
75: 외피부재 75a: 삽입장공
A: 아답터 F: 진공해제수단
LC,LT: 연결구 S: 소음기
SV: 솔레노이드밸브 PS: 압력센서
본 발명은 물품이 저장된 열접합성 진공포장백을 진공 배기 한 후 입구를 가열하여 접합 밀봉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는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하부체에 배열되어 진공포장백에서 유출된 육즙 등의 액체가 상기 진공채널에 고일 경우 분리 세척이 반복되는 사용 상황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이 일측의 착탈부의 조작에 의해서만 분리가 되는 방식을 통하여 진공공간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의 연결과 분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와 도관을 통하여 이어지고 상기 수용부에 배열된 중개공(仲介孔)과 연결과 분리가
반복되어야 하는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의 배기공 부분에서 밀착성을 확실히 보장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2005.11.11) 『부분 개방형 진공채널을 갖는 진공포장기』의 공보 도 4와 관련하여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 "양측 임의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갖는 진공포장기의 내구성 향상의 장점은 더욱 크게 부각될 수 있다.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과 같은 저장물품을 진공포장백에 담고 포장백을 진공 포장하여 물품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한 진공포장기는 전문 음식점 또는 식품 판매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 최근 핵가족화 추세와 대형 할인점에서 주말 단위로 쇼핑을 하여 냉장고에 일주일 단위 이상의 식료품을 저장한 후 소비하는 경향과 맞물려 가정용 소형 진공포장기가 각광받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를 비롯한 종래 진공포장기의 분리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탈착에 있어 딱히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진공포장백의 진공 과정에서 흘러나온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채널에 누적될 경우 세척을 위하여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을 반복할 수밖에 없는데,
이에 따라 결합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진공펌프와 연결된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결국 제품의 내구성 저하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주로 히터와 진공펌프 등의 무거운 부품들이 배열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에 선회축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부체로 구성된 진공포장기에서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가 맞물릴 경우
진공채널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 내에 위치한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이후 상기 진공포장백을 포장기에서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으로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진공해제수단과 관련된 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38520호(2005.12.16)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와,
역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00961호(2005.07.04)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에서 제시된 진공해제수단은 수동 방식의 진공포장기여서
사용자 편리성과 관련하여서는 자동화를 통하여 개선할 여지가 있다.
나아가 진공포장기에서 포장백의 진공 봉합시 진공공간을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부체와 상부체가 확고하게 맞물려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상기 특허등록 제0500961호와,
안준영의 실용신안등록 제0405381호(2006.01.02) 『가열 및 진공 포장기』가 있는데,
이들 모두는 후크형 걸림수단을 통하여 하부체와 상부체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나,
후크가 걸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부체 측면에 있는 버튼을 눌러야 한다.
그러므로 진공포장기 사용 초기에는 후크와 걸쇠가 뻑뻑하여 특히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 후에는 후크와 걸쇠의 마모 또는 파손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 종래 진공포장기는 주로 식탁이나 부엌 싱크대 위에 놓고 사용하는데 놓인 장소가 협소할 경우 진공포장백에 담긴 물품을 지지할 수 없어 진공 배기 작업 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우선 본 발명은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의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현하여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없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도입하여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어 상부체와 하부체의 맞물림으로 밀폐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형성되는 진공공간의 형성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부체와 선회축결합되어 있는 하부체의 전방에 물품을 위한 지지수단을 도입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소음기를 도입하여 진공펌프 작동에 의한 배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수용부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바람직하기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수용부와의 결합시에는 상기 수용부에 일측(一側)을 먼저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 수용부의 타측(他側) 착탈부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일측(一側) 고정부에 결합되는 대응 고정부와,
상기 수용부의 타측(他側) 착탈부에 결합되는 대응 착탈부를 가져,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에 배열할 경우에는 상기 두 고정부를 먼저 암수 결합시키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두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형태로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 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방향을 따라 사용시 하부에 위치하고 주로 히터(30)와 펌프(40)(도 4a 참조) 등의 주요부품이 배열되어 있는 부재(10) 쪽을 하부로 정하고, 그 부재를 '하부체'로 지칭하였으며,
그 반대쪽을 상부로 정하고 상기 하부체(10)와 선회축(H)을 통하여 축설된 부재를 '상부체'(20)로 지칭한다.
또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의 선회축(H) 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상기 선회축(H)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가 맞물릴 경우 진공공간(R)을 형성하게 되는 상하 진공채널(C')(C) 쪽을 전방으로 정한다.
먼저,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는 진공펌프 등의 주요 부품이 내장되어 있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와 길이방향으로 선회축(H)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체(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부체(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와 공지된 진공포장기는 상기 하부체(10)의 후방 장(長)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체(20)가 선회되는 형태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82176 호(2006.05.15) 『측부 힌지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진공포장백의 다중 밀봉방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의 측면 단(短)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체가 선회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상부체와 하부체의 선회축 축 배열 위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 및 도 3a에서와 같이, 저장물품(P)이 담긴 진공포장백(B)의 입구를 가열 접합하는 히터(30)는 상기 하부체(10)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진공포장백 입구 부위가 상기 히터(30)와 보다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3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20)의 해당 위치에는 가압부재(31)가 배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히터와 가압부재의 배열위치는 상호 뒤바뀔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체(10) 및 상기 상부체(20)가 선회축(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맞물릴 경우 진공화되는 진공포장백(B)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R)을 형성하는 진공채널(C)(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서 상기 하부체(10) 및 상기 상부체(20)에 배열된 진공채널(C)(C')는 모두 연속된 고리(loop)형 밀폐부재(55)(56)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데, 상기 밀폐부재는 각각 장착홈(미(未)도시됨)에 배열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464661 호(2004.12.22)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에서와 같이, 직선형의 밀폐부재의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1)에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V)에서 핵심을 이루는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R) 형성부재(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체(20)의 진공채널(C')에 비하여 상기 하부체(10)에 구비된 진공채널(C)은 경사부(C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진공채널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경사부(C1)(도 1d 참조)의 형성방향은 진공펌프(40)와 연결되어 상기 진공공간(R)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어느 한쪽(도면에서는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열된 배기공(51A)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츰 경사지는 형태여서 가능한 펌프(40) 쪽으로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으면서 액체나 이물질이 고이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c 및 도 1d에서, 상기 배기공(51A)은 실질적으로 돌출된 노즐(51a)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51a)은 절개부(51b)를 가져 혹시 진공포장백(B)에 의하여 노즐(51a)의 상면이 막히는 사태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51a) 우측에는 격벽(51p)이 형성되어 있어 다시 한번 액체나 이물질이 배기공(51A)으로 넘어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c의 상부 원내(圓內) 확대 상태 참조).
또 도 1c, 도 1d 및 도 1e에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를 위하여 상기 하부체(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는 환턱부(11a)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개공(仲介孔)(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하면에는 약간 돌출된 삽입부(51c)가 밀폐링(51d)에 둘러싸여 있는데(도 1d의 하부, 역전(逆轉)시킨 하부 원내(圓內) 확도 상태 참조),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를 상기 수용부(11)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삽입부(51c)는 상기 중개공(11A)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링(51d)은 상기 환턱부(11a)의 얹혀져 밀착되는 형태이므로(도 1c의 상부 원내(圓內) 확대 상태 참조)
결국 상기 배기공(51A) 부분이 상기 중개공(11A)에 밀착되 연통되게 되므로 공기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하여 도시된 진공공간 형성부재(5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진공펌프(40)와 연결된 배기공은 상부체의 진공채널(C')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액체나 이물질이 펌프(40)쪽으로 유입될 위험은 그만큼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단순히 진공포장백(B)의 저장물품(P)에서 유출되는 액체나 이물질이 고이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기공(51A)을 이루는 노즐(51a)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49682호(2006.01.31)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에서 제시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외부 진공보관용기의 진공배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상부체(20)의 가압돌기(21)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어부를 이루는 내장된 인쇄회로기판(CB)(도 4a 참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한 [펌프(40) 작동 - 히터(30) 작동 - 진공해제수단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의 작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진공포장기(V) 자동 작동의 시발점이 되는 작동 버튼(40A)(40B) 중
우측 작동버튼(40A)을 오른손으로 누르고 미리 상기 노즐(51a)에는 커넥터의 일단을 연결하고 커넥터의 타단은 진공보관용기를 연결할 경우
외부 용기에 대한 진공 배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b 내지 도 1e에서,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50)에서 가장 중요한 고정부(53A)와 착탈부(53B)를 개념을 설명하면,
상기 형성부재의 고정부와 착탈부의 개념은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1)에 형성된 일측(一側)(도면에서는 좌측) 고정부(13A) 및 타측(他側)(도면에서는 우측) 착탈부(13B)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며,
각 고정부(13A)(53A)가 좌측에 형성된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가 하부체(10)에 배열되어 진공포장백(B)에서 유출된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채널(C)에 고일 경우 분리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장착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사용 상황을 고려할 때
우측의 착탈부의 조작에 의해서만 분리가 되는 방식을 통하여 진공공간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의 연결과 분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40)와 도관을 통하여 이어지고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仲介孔)(11A)과 연결과 분리가
반복되어야 하는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부분, 특히 삽입부(51c)에서 밀착성을 확실히 보장하여야 할 것인데
상기 배기공(51A)과 상기 중개공(11A)이 좌측에 치우쳐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13A)(53A) 역시 좌측에 치우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체 수용부(1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13A)와 착탈부(13B)의 형상과 구조는 거의 동일하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고정부(53A)와 대응 착탈부(53B)의 형상과 구조가 동일한데,
이는 제조의 편리성을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대응 고정부(53A)와 대응 착탈부(53B)는 각각, 도 1c 및 도 1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형성부재(50)의 양측 하부에 배열되어 소재 특성, 특히 합성수지 소재 특성에 의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연결부(53a')(53b'),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가 상기 수용부(11)에 장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3a)(53b), 그리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착탈부 각각이 상기 연결부(53a')(53b')를 기점으로 좌우측으로 움직이는데 활용되며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절곡 형성된 파지부(53a")(53b")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체(10)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착탈부(13B)는 각각, 도 1c 및 도 1e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로 트인 면적이 넓어 상기 대응부(53A)(53B)의 걸림턱(53a)(53b)이 상부로 이탈될 수 있는 진입부(13a)(13b)와,
상부로 트인 면적이 좁아 상기 대응부(53A)(53B)의 걸림턱(53a)(53b)이 상부로 이탈될 수 없고 파지부(53a")(53b")만이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걸림부(13a')(13b')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도 1e의 하부 원내 확도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조금 과장되게 도시)
상기 고정부(13A) 진입부(13a)의 구간 길이 보다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 구간 길이가 길고,
상기 고정부(13A)의 걸림부(13a') 구간 길이 보다 상기 착탈부(13B) 걸림부(13b') 구간 길이가 짧은 것이
상기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착탈부(13B)의 주된 차이점이다.
이로 인하여 결합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부에서 고정부(53A)의 연결부(53a')가 갖는 탄성은 발휘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고정부(13A)의 진입부(13a) 구간이 짧은데 비하여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 구간 길이는 충분히 길어 상기 대응 착탈부(53B)의 연결부(53b')의 탄성이 발휘되어
상기 파지부(53b")를 좌측으로 밀어 상기 착탈부(13B)의 걸림부(13b') 구간에 위치하던 걸림턱(53b)을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착탈부(53B)의 파지부(53b") 아래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좌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로 힘을 가하면
상기 대응 착탈부(53B)의 걸림턱(53b)은 진입부(13b)를 통하여 상부로 빠져 나오게 되고
결국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우측이 면저 상부로 들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부에서 고정부(53A)의 연결부(53a')가 기본적으로 탄성을 갖지만 무의미한 것이어서,
단순히 상기 하부체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상기 대응 고정부(53A)의 형상은 단순히 암수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홈의 형태이면 충분한 것에 비하여,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착탈부(53B)는 탄성수단(도면에서는 연결부(53b')가 탄성수단의 기능을 함)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여서
외력을 가하지 않은 결합상태에서 상기 착탈부(53b)의 걸림턱(53b)은 상기 수용부(11)의 착탈부(13B)의 걸림부(13b')에 위치하고
외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턱(53b)이 움직이게 되어 상기 수용부(11) 착탈부(13B)의 진입부(13b)에 위치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
이러한 개념을 보다 확장하고 일반화시켜 표현하면
상기 고정부와 대응 고정부의 개념은
단순히 암수 결합되는 형태이며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하부체 수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 쪽에서 외력을 가해도 상기 형성부재가 상부로 분리 이탈되는 것이 불가능한 형태이며,
상기 착탈부와 대응 착탈부의 개념은
상기 형성부재와 상기 하부체 수용부 어디에 배열되어 있건 간에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잠기고 열릴 수 있는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이 역시 대응 부재 대응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채용하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2005.11.11) 『부분 개 방형 진공채널을 갖는 진공포장기』의 공보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같은 종래 "양측 임의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비하여
상기 진공펌프(40)와 도관을 통하여 이어지고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仲介孔)(11A)과 연결과 분리가 반복되는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부분의 밀착성이 확실히 보장되어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없는 진공포장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면에서 상기 수용부(11)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에는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용부(11)의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11B)과,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테두리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기(51B)이며,
상기 낑무홈(11B)과 상기 끼움돌기(51B)의 형상은 알파벳 "T"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결합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전후좌우 요동방지를 확실히 달성하면서도
상기 끼움돌기(51B)의 내구성 강화에 일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수용부(11)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상호 결합관계에 의하여
상기 하부체(10) 상면 보다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의 전면이 더 높아 단턱부(projection)(PJ)(도 1b 참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초기 롤 형태의 진공포장백을 필요한 길이로 잘랐을 때 상호 겹쳐진 두 겹의 시트는 양 측면이 밀봉되어 있고 전후단은 트인 형태이므로
저장물품을 담을 수 있는 봉투로 만들기 위하여 일단부는 미리 열접합하여야 하는데,
잘린 시트의 일단을 진공포장기(V)에 투입하여 히터(30) 부분에 적절하게 위치시키고자 할 때
상기 단턱부(PJ)로 인하여 상기 시트의 일단이 정확하게 히터(30) 부분에 배열되도록 하는 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과 밀착 연통되어 있는 상기 하부체(10)의 중개공(11A)은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면에서 노즐(41a)이 형성되어 있어 도관(T1)을 통하여 진공펌프(4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펌프 작동시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R) 내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진공공간 내에 입구가 위치하고 있는 진공포장백(B) 내부의 진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진공포장백(B)을 상기 진공채널(C)(C') 중간 위치, 보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진공공간(R) 내에 정위치시키고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리게 할 경우 상기 가압돌기(21)에 의하여 작동버튼(40A)(40B)이 눌리게 되어 자동으로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작동버튼 눌러 수동으로,
또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체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미도시 됨))
진공펌프(40)가 작동되면 상기 펌프와 연결된 배기공(51A)을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R)에 진공화 압력이 걸리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배기공은 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배기공과 상기 펌프을 연결하기 위한 도관 등의 부재 역시 알맞게 도입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에서 핵심 중 하나인 저장물품(P),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백(B)에 저장된 물품(P)을 받치는 지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하부체(1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고정식이거나 탈부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용시 물품을 위한 지지면적을 가능한 넓힐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제고하고자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체와 중첩되는 형태로 수납되고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및 인출식 지지수단은 서랍식, 접이식, 또는 부채와 같이 회동축을 중 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동일한 하부체(10) 전후 폭에 수납되면서도 보다 긴 지지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복수의 분체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를 갖는 것을 보다 바람직한데,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완전 서랍식과 부분 서랍 부분 접이식 다단(도시된 것은 2단) 지지수단(60)(16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지지수단(60)은 제1분체(61)가 상기 진공포장기 하부체(10) 하면의 수용부(13) 레일홈에 좌우측 단부가 걸쳐져서 수납되고 인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1분체(61)에는 역시 레일홈을 갖는 수납부(61a)가 형성되어 있어 제2분체(6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각 분체(61)(63)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3) 및 상기 제1분체의 수납부(61a)에는 각 분체가 인출되다가 더 이상 뽑히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분체가 상기 하부체의 수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분체가 상기 제1분체의 수납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웬만한 충격에도 제1분체 및 제2분체가 뽑히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한데, 다만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각 분체를 잡아당겼을 때는 쉽게 인출되는 형태여야 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지지수단(160)은 역시 진공포장기(V)의 하부체(10) 의 수용부(13) 레일홈에 제1분체(161)가 서랍식으로 수용되는데 비하여,
제2분체(163)는 제1분체(161)의 전방에 치우친 단부에 형성된 선회축홈(미도시 됨)에 선회축핀부(미도시 됨)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접이식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어서, 부분 서랍 부분 접이식 형태이며,
상기 제1분체(161) 전방 상면에는 제2분체(163)가 접힌 상태에서 가능한 제1분체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제2분체의 형상에 상응하는 수납홈(16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지지수단(160)에서는 역시 하부체와 분체들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2분체(163)의 후단부와 제1분체(161)의 전단부는 어느 정도 중첩되어 펼쳐진 상기 제2분체가 하방으로 꺾이지 않고 가능한 제1분체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지지수단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다단 구조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원터치 타입의 잠금수단(70)은 특허공개 제1989-0006128(1989.05.18) 『푸쉬래치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106852호(1997.07.09) 『도어잠금장치』의 종래기술로 언급된 것과 기본개념이 동일한 것이나, 동작신뢰성과 관련된 개선사항을 반영하였다.
상기 잠금수단(70)은 상기 하부체(10)에 배열된 잠금구(70A)와 상기 상부 체(20)에 구비된 걸림돌기(7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잠금구와 상기 걸림돌기의 배열 위치는 상호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진공채널(C)(C') 둘레의 밀폐부재(55)(56)가 발포폴리우레탄 소재 등과 같이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소재여서 가압 수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잠금구(70A)의 후크부재(71)와 상기 걸림돌기(70B)의 단부 걸림부(70B')가 상호 결합되면
상기 밀폐부재(55)(56)가 가압 수축되어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하여 진공공간(R)이 외부와 확실히 차단되도록 한다.
그 동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잠금구(70A)의 후크부재(71)와 상기 걸림돌기(70B)의 단부 걸림부(70B')가 상호 결합되어 있어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린 상태, 즉 상기 밀폐부재(55)(56)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20)를 상기 하부체(10) 쪽으로 가압할 경우
가압 수축이 가능한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면서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있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후크부재(71)의 삽입공(71b)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축된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던 가이드레버(72)가 상기 후크부재(71)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 되어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케이스(74)의 스토핑홀(74c)에서 벗어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상승하면서
상기 후크부재(71) 역시 상승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케이스(74)의 구속에서 벗어나 벌어지게 되어
결국 상기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있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는 풀리게 되어 잠금이 해제된다.
또 상기 잠금구(70A)의 케이스(74) 양측에는 스토퍼(74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체(10)의 장착부(15)에 형성된 걸림편(미도시 됨)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잠금구(70A)의 고정 배열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74) 내에 상기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후크부재(71)는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를 물고 풀게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걸이부의 삽입공(71b)에는 삽입돌기(72b)를 통하여 가이드레버(72)가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73)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돌기(72b)가 가압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72b)와 상기 후크부재 삽입공(71b)의 특유한 형태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도 2a에서 케이스(74)에 대하여 정중앙에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머무르게 되고,
이러한 걸림돌기(72a)의 위치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73)이 팽창되어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케이스(74)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돌기(70B)를 물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20)를 상기 하부체(10) 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와 접촉하여 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 내면에 사선형태로 배열된 록킹가이드레일(74a)을 타고 내려가다가 상기 케이스(74)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스토핑홀(74c)에 위치하면 제한상태에서 벗어나 돌출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 걸림부(70B')가 상기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걸리게 되어
상기 상부체(20)가 상기 하부체(10)와 맞물려 상기 밀폐부재(55)(56)에 의하여 진공공간(R)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상부체를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레버(72)는 상기 스토핑홀(74c) 상면에 의하여 제한되었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다시 스프링(73)에 의한 가압과 상기 후크부재(71) 삽입공(71b)과 상기 가이드레버(72) 삽입돌기(72b)의 구조에 의하여 우측으로 쏠리게 되고,
상기 상부체(2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를 풀게 된다.
또 도 1b 및 도 2a에서 상기 잠금수단(70)은 상기 잠금구(70A)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외피부재(75)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도면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하부체(10)의 장착부(15)를 덮는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가 삽입될 수 있는 아령형태의 삽입장공(7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부재(75)의 상면은 박부(75b)와 후부(75c)가 반복되어 적절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면적을 가능한 작게 하여 이물질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상기 걸림돌기(70B) 외면과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주변 부분이 가능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70B')에 의하여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 부분이 상기 후크부재(71)에 끼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2b에는 도 2a의 잠금구(70A)에서 가이드레버(72), 특히 걸림돌 기(72a)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금구(170A)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잠금구(170A)는 역시 후크부재(171), 가이드레버(172), 스프링(173), 그리고 케이스(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탄성을 갖는 선형 부재를 절곡한 형태이며, 하부에 걸쇠(172a)가 구비되어 있고, 선회축부(172b)가 상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부재(171)에서 탄성걸이부(171a)는 도 2a의 것과 동일하나, 가이드레버가 변형된 만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선회축부(172b)가 배열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걸침부, 특히 홈 형태의 걸침부인 걸침홈(171b)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73)은 상기 후크부재(171) 하부 몸체의 좌측에 치우친 삽입홈(171c)에 배열되며,
절개 도시한 상기 케이스(174)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173)을 위한 지지돌기(173a)가 상응한 위치에 돌설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버(172)를 위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은 상기 케이스(174)의 내벽 우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미지칭 됨)의 하부면에 해당하며,
상기 레일(174a)의 우측에는 다시 스토핑홈(174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74)의 양측에는 역시 잠금구(170A)를 하부체의 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7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걸림돌기와 결합되지 않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스프링(173)을 수축시키며 하강하면 상기 탄성걸이부(171a)는 상기 케이스에 의하여 구속되어 오므라들고,
상기 후크부재(171)의 걸침부(171b)에서 상기 선회축부(172b)를 통하여 선회 가능한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상기 케이스 내벽의 쐐기형 돌기를 타고 하강함에 따라 직립한 상태에서 차츰 좌측으로 빗겨나가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되는데,
상기 돌기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 시작 부분에 오면 기울기가 최대를 이루고,
상기 레일(174a)이 경사진 형태이므로 상기 레일 시작점 하부로 상기 가이드레버의 걸쇠(172a)가 더 내려오면,
상기 쐐기형 돌기로 인한 구속에서 벗어나면서 중력에 의하여 선회하여 다시 직립하려 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상기 선회축부(172b)를 축으로 하여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관성에 의하여 직립을 벗어나 우측으로 더 움직여 상기 스토핑홈(174c)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순간적으로(더 이상 상기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기 어려운 지점에 이르게 되므로 감각적으로 이 순간을 알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173)이 팽창되면서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상기 스토핑홈(74c)에 걸리게 되고,
상기 케이스(174)에 의하여 구속된 상기 후크부재의 탄성걸이부(171a)는 걸 림돌기의 걸림부를 물어 고정한 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진공포장기의 상부체(20), 즉 상기 후크부재(17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가 상기 스토핑홈(74c)을 벗어나게 되고 다시 중력에 의하여 직립하여 상기 록킹-언록킹 레일(174a)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후크부재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1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는 상기 레일(174a)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쐐기형 돌기에서 벗어자게 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승하여 상기 탄성걸이부(171a)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풀게 된다.
물론, 도 2a에 도시된 외피부재는 역시 도 2b의 잠금구를 위해서도 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에 도입된 진공해제수단(F)과 소음기(S)를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38520호(2005.12.16)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에서와 같이 포장백에 담긴 내용물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이물질이 펌프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수단이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흡입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더 배열될 수 있는데,
도 4b에서 참조부호 A는 이러한 필터수단의 장착을 위한 아답터이고, 참조부호 A1은 필터수단을 장착하지 않고 통상적인 진공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하부체(10)의 채널(C)에 위치한 배기공(51A)과 펌프,
보다 구체적으는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11A)의 저면 노즐(41a)과 펌프(4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
즉, 상기 아답터(A)는 진공시 진공포장백에 담긴 저장물품에서 빠져 나오는 액상 이물질이 상기 흡입공(41)을 거쳐 펌프(40)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필터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는 필터를 분리한 후
상기 배기공(51A)이 상기 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A1)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체(10)에 내장된 아답터(A)의 노즐 중 하나는 제1도관(T1)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하부체(10) 상부의 배기공(51A)과 이어져 있고(실질적으로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관(T1)과 상기 배기공(51A)과 밀착 연통되어 있는 수용부(11)의 중개공(11A)의 저면 위치에 노즐(41a)과 제1도관(T1)이 연결된다),
상기 아답터의 노즐 중 다른 하나는 제2도관(T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도관은 펌프(40) 등의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데,
특히 상기 제2도관은 T2와 T2' 사이에 배관을 단순화시키도록 하는 도 4d의 (B)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파벳 'T'자형 연결구(LT)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T자형 연결구(LT)의 제1분지관(L1)은 상기 제2도관(T2)과 연결되고,
제2분지관(L2)은 제2도관(T2')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3분지관(L3)은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와 연결된 제4도관(T4)과 연결되어 있으며,
각 분지관(L1)(L2)(L3)의 단부는 도관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성에 문제가 없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ed) 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테이퍼 진 부분 중 최정점의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La)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 연질 도관의 내경보다 크며, 그 이후로는 급격하게 단면적이 줄어 든 단면적 축소부(Lb)를 이루고 있어 결합된 연질의 도관이 연결구(LT)의 La 부분에서 팽창되었다가 다시 Lb 부분에서는 숙축되어 기밀성가 결합력 보장이 만족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기(S)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40)의 배기노즐(43b)과 제6도관(T6)을 통하여 연결된 연결부(S1)를 가지며,
대략 대칭된 형태로 중간에 항아리 형태로 불룩한 확장부(S3) 양측에 납작하게 눌린 형태의 협소부(S2a)(S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협소부 중 하나(S2a)는 상기 연결부(S1)와 이어져 있고,
다른 하나(S2b)는 배출구(S4)와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도 4b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40)의 흡기노 즐(43a)은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를 이루는 자동 진공해제수단(F)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와 연결되어 있는데(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와 외기유입부(IF)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는 삼방(tree-way)밸브로 세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진공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의 연결을 위하여 제5도관(T5)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2연결관(T2')과 이어져 있어,
상기 제2연결관(T2')을 거쳐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도관(T1), 저면의 노즐(41a), 그리고 상기 하부체(10)의 채널(C)에 배열된 중개공(11A), 그리고 배기공(51A)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결국 진공공간(R)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 중 나머지 하나는 진공해제수단(F)의 일부를 이루는 외기유입부(IF)를 구성하는 제3도관(T3)과 연결되어 있고,
상게 제3도관은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기유입부(IF)를 이루는 외기유입공(IF1)으로 이어져 있는데,
상기 외기유입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에 형성되는 것 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루는 하우징 자체에 형성된 구멍일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V)가 필터 도입을 위한 아답터(A)를 갖는 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V)는 이러한 아답터(A)가 없으며,
도 1a의 진공포장기(V)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도면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 4b의 구성과 도 4a의 구성에서 다른 점은 아답터(A)와 이의 도입을 위한 연결부재(A1)가 없고,
이에 따라 배기공(51A)에서 중개공(11A)을 거쳐 연통된 저면 노즐(41a)은
도관(T1)을 통하여 도 4d의 (A)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십자형 연결구(LC)로 이어지는데
상기 연결구(LC)의 네 분지관 중
제1분지관(L1)은 상기 도관(T1)을 통하여 상기 노즐(41a)에 연결되고
제2분지관(L2)은 도관(T2)을 통하여 외기유입을 통한 진공해제를 위한 솔레노이드밸브(SV)로 이어지며, 다시 도관(T3)을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는 상기 진공해제수단(F)의 외기유입공(IF1)과 연결되며,
제3분지관(L3)은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와 연결된 제4도관(T4)과,
그리고 제4분지관(L4)은 상기 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 연결된 제5도관(T5)과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공해제수단(F)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의 동작을 도 4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를 위주로 설명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부,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이 실장된 제어보드(control PCB)(CB)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도 1a 및 도 3a에서와 같이 저장물품(P)이 내장된 진공포장백(B)을 지지 수단(60) 위에 올려놓고 상기 진공포장백(B)의 입구를 상기 하부체(10)의 진공채널(C)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20)를 내려 상기 원터치식 잠금수단(70)에 의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가 맞물려 진공공간(R)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체(20)의 가압돌기(21)에 의하여 상기 하부체(10)의 상면에 배열된 작동버튼(40A)(40B)이 눌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작동버튼 눌러 수동으로,
또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체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미도시 됨))
상기 진공펌프(40)에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보드(CB)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연결경로 형태를 파악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도 4e의 (가)와 같이 제2도관(T2')과 제5도관(T5)을 연통한 경로형태이면 그대로
상기 도 4e의 (나)와 같이 제2도관(T2')과 제3도관(T3)을 연통한 경로형태이면 (가)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상기 진공포장백(B)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펌프(40)의 작동으로 상기 흡기노즐(43a), 제5도관(T5), 솔레노이드밸브(SV), 제2도관(T2'),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도관(T1), 노즐(41a), 중개공(11A), 배기공(51A), 그리고 상기 진공공간(R)에 걸리는 진공압력에 의하여 배기되어 상기 진공펌프(40)의 배기노즐(43b) 및 소음기(S)를 거쳐 배출되고,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 센싱에 의하여 압력값이 기준값을 넘어설 경우,
(또는 미리 입력된 진공펌프 작동 기준시간 초과 여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판단하여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계속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히터(30)를 동작시켜 상기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가열 접합하고
기준시간 초과여부를 판단하여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기준온도와의 비교로)
상기 히터(30)를 정지시키고
(이때 진공펌프의 동작이 계속되고 있다면 펌프도 정지시킨다),
상기 히터(30)의 정지상태가 입력신호로 인가되면
제어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경로변경을 명령하여 상기 외기유입부(IF)를 이루는 제3도관(T3)과 제2도관(T2')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외기유입공(IF1), 제3도관(T3), 솔레노이드밸브(SV), 제2도관(T2'),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연결관(T1), 배기공(51A)을 거쳐 상기 진공공간(R)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를 벌리는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다.
필요에 따라 진공공간의 진공 배기를 위한 배기공과 진공공간의 진공상태를 위한 배기공을 동일한 것이 아니라 각각 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상기 진공펌프(40) 또는 상기 히터(30), 또는 이들 모두의 작동을 off시키는 비상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어 안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진공상태가 해제된 후 일정 시간(예: 10초)이 지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경로는 상기 제2도관(T2')과 제5도관(T5)을 연결하는 형태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초기값으로 입력되어 있어 다음 진공포장백의 배기 밀봉 포장을 대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이상과 같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동작, 즉 상기 진공해제수단(F)의 동작은 진공포장기의 작동모드를 다양하게 구성할 경우 배기(진공펌프에 의한)-열접합(히터에 의한) 모드에서만 이루어지며,
진공포장백의 가열 접합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접합 모드나
진공 배기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기 모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 모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49682호(2006.01.31)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와 같은 부속품을 사용하여 외부 용기를 진공하고자 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갖는 진공포장기는 우선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의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현하여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 본 발명은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하여 있어 자동화된 진공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였으며,
나아가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도입하여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어 상부체와 하부체의 맞물림으로 밀폐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형성되는 진공공간의 형성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부체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부체의 전방에 지지수단을 도입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고, 나아가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수납되고 인출될 수 있는 형태로 하며, 또 상기 지지수단을 서랍식, 접이식, 또는 혼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다단 분체들로 구성하여 동일한 하부체 전후 폭에 대하여 보다 긴 지지수단이 수납되는 형태로 하는 등 다양한 지지수단을 제공하여 사용, 운반, 그리고 보관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소음기를 도입하여 진공펌프 작동에 의한 배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공포장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수용부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진 진공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수용부는 일측(一側) 고정부 및 타측(他側) 착탈부를 갖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대응 고정부 및 대응 착탈부를 가져,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와의 결합할 때에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一側) 고정부에 상기 대응 고정부를 먼저 암수 결합시켜야 하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 수용부의 타측(他側) 착탈부로부터 상기 대응 착탈부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진공펌프와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중개공(仲介孔)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공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배열되어 있어,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배기공은 상기 중개공에 밀착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개공과 상기 배기공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어느 한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고정부 및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대응 고정부는 상기 배기공 쪽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6. 삭제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는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상기 하부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이루는 진공채널은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상기 하부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하부체 상면 보다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전면이 더 높아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를 맞물렸을 때, 상기 히터는 상기 단턱부 전방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20060100756A 2006-02-09 2006-10-17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084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56A KR100842825B1 (ko) 2006-02-09 2006-10-17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AU2007212907A AU2007212907A1 (en) 2006-02-09 2007-02-06 Vacuum sealer
PCT/KR2007/000636 WO2007091822A1 (en) 2006-02-09 2007-02-06 Vacuum sea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26 2006-02-09
KR20060012426 2006-02-09
KR1020060017980 2006-02-24
KR20060017980 2006-02-24
KR1020060100766A KR100816067B1 (ko) 2006-02-24 2006-10-17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진공포장기
KR1020060100756A KR100842825B1 (ko) 2006-02-09 2006-10-17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20060100770A KR100834093B1 (ko) 2006-02-09 2006-10-17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073A KR20070081073A (ko) 2007-08-14
KR100842825B1 true KR100842825B1 (ko) 2008-07-01

Family

ID=3834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56A KR100842825B1 (ko) 2006-02-09 2006-10-17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42825B1 (ko)
AU (1) AU2007212907A1 (ko)
WO (1) WO20070918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894A1 (ko) * 2012-10-05 2014-04-10 Jung Jong Sun 포장기계용 히터의 구조
US10384821B2 (en) 2012-10-05 2019-08-20 Jong Sun Jung Structure of heater for pack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94Y1 (ko) * 2007-11-29 2009-07-16 진광인 진공 포장기
CN102673835A (zh) * 2012-05-30 2012-09-19 张秀英 带抽真空装置的热封口机
US11753196B2 (en) 2020-11-11 2023-09-12 Hamilton Beach Brands, Inc. Vacuum sealer and method of sealing same
CN112238968B (zh) * 2020-12-17 2021-04-23 赣州丰联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精细化真空包装机
CN112977938A (zh) * 2021-01-29 2021-06-18 湖南杨阳杨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真空包装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661B1 (ko) *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50099634A (ko) * 2003-02-27 2005-10-14 틸리아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탈착 가능한 트로프를 갖는 진공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36616Y1 (it) * 1995-01-27 2000-08-17 Milan Jankovic Apparecchio per il confezionamento sottovuoto di prodotti contenuti in sacchetti flessibili
US6256968B1 (en) * 1999-04-13 2001-07-10 Tilia International Volumetric vacuum control
KR100415070B1 (ko) * 2001-04-03 2004-01-16 주식회사 제로팩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634A (ko) * 2003-02-27 2005-10-14 틸리아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탈착 가능한 트로프를 갖는 진공 포장장치
KR100464661B1 (ko) *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894A1 (ko) * 2012-10-05 2014-04-10 Jung Jong Sun 포장기계용 히터의 구조
US10384821B2 (en) 2012-10-05 2019-08-20 Jong Sun Jung Structure of heater for pac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12907A1 (en) 2007-08-16
WO2007091822A1 (en) 2007-08-16
KR20070081073A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825B1 (ko)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US7540127B2 (en) Vacuum sealer
KR100834093B1 (ko)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JP6693864B2 (ja) ダブルスライダを備える再閉鎖可能なポーチのための子供にとって安全なジッパークロージャおよび方法
JP4155439B2 (ja) 真空及び接着用包装機
WO2008154805A1 (en) Automatic releasing mechanism for coffee bag in coffee maker
KR20060135895A (ko) 개폐가능한 백용 슬라이더 내의 개폐가능한 통로
KR100816067B1 (ko)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진공포장기
WO2008086668A1 (fr) Récipient d&#39;emballage sous vide
CN102378724A (zh) 液体容器的抽吸装置和按钮
US20050223682A1 (en) Vacuum sealer
US7818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re-sealable bags
KR200443459Y1 (ko)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KR20060091448A (ko) 자동식 진공포장기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EP1219222A1 (en) Vacuum cleaner appliance with rigid filter container
KR100731341B1 (ko) 저장물품 지지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KR100710461B1 (ko)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포장장치
WO2001049344A1 (en) Suction bag device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IT201900012396A1 (it) Contenitore, sistema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fluidi
KR100582180B1 (ko) 후드에 배열된 공기흡입구를 갖는 진공포장기
KR20190007835A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IT201900012390A1 (it) Macchina, sistema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fluidi
KR200443269Y1 (ko) 진공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