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265A -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265A
KR20080036265A KR1020060102654A KR20060102654A KR20080036265A KR 20080036265 A KR20080036265 A KR 20080036265A KR 1020060102654 A KR1020060102654 A KR 1020060102654A KR 20060102654 A KR20060102654 A KR 20060102654A KR 20080036265 A KR20080036265 A KR 2008003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unit
mixer
switch
vacuum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세희코프레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희코프레이션(주) filed Critical 세희코프레이션(주)
Priority to KR102006010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6265A/ko
Publication of KR2008003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믹서기와 진공발생장치를 결합시켜, 진공완료시에는 믹서기 본체의 단자 접촉부와 진공발생장치부의 압력센서 및 마이컴의 신호를 믹서기 본체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 본체에 단자 접촉부와 연결되어 일정 진공상태가 되면 구동부를 간단한 구조만으로도 모터를 정지시키며, 두가지 기능을 모두가질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진공센서 및 제어 마이컴은 거치대의 역할을 하는 진공발생장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믹서기의 자유로운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포장, 믹서기, 진공발생장치,진공센서,신호연결부

Description

다목적 진공포장장치{A Multi-purpose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도1은 종래의 진공발생장치가 믹서기 구동부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2은 종래의 구동부와, 진공발생장치가 내장된 지지부가 분리된 단면도이다.
도3는 종래의 구동부와, 진공발생장치가 내장된 지지부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4는 종래의 개폐밸브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구동부와 진공발생장치 및 압력센서, 마이컴이 내장된 진공발생 장치부가 결합된 단면도 이다.
도6는 본 발명의 구동부와 진공발생장치 및 압력센서, 마이컴이 내장된 진공발생 장치부가 분리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 : 구동부 21 : 스위치부
21a: 저속스위치 21b: 고속스위치
21c: 변속장치 22 : 구동모터
24 : 구동커플링 25 : 돌출부
26 : 제1접촉면 27 : 결합돌기부
27a: 결합돌기 27c: 돌기수용부
29 : 압력센서 28 : 제3공기흡입부
30 : 진공발생장치부 33 : 베어링
32 : 종동커플링 34 : 원판
39 : 진공펌프 39a: 편심로드
39b: 피스톤로드 39c: 피스톤
39d: 실린더 39e: 흡기밸브
39f: 배기밸브 100 : 지지부
101: 제2접촉면 102 : 1차테이퍼부
103 : 수평부 104 : 제2테이퍼부
105 : 커플링수용부 106 : 결합돌기
106a: 버튼수용부 106b: 버튼
106c: 로드 106d: 삽입홈
106e: 스프링 110 : 제1공기흡입부
111 : 제2공기흡입부 140 : 방진부
150 : 도어 160 : 호스수용부
170 : 개폐밸브 171 : 개폐돌기
173 : 하우징 172 : 볼
174 : 스프링 175a: 전방개구부
175b: 후방개구부 180 : 표시부
181 : 탄성주름부 182 : 투명캡
190 : 진공진행 표시부 200 : 단자 접촉부
200a : 믹서기본체 단자접촉부 200b: 진공발생장치 단자 접촉부
200c : 진공발생장치부 접촉단자 탄성스프링
201 : 제어마이컴 202 : 구동모터 제어기판
203 : 진공호스 거치부 204 : 진공 스위치
205 : 전자식 진공센서
본 발명은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믹서기와 진공발생장치를 결합시켜, 두가지 기능을 모두가질수 있도록 하되, 상기 진공발생장치는 거치대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믹서기의 자유로운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공시 손으로 들고 사용하느 구조와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사용하느 것 등이 있으며 이런 제품들은 진공이 완료되는 과정을 기계식으로하며 진공이 완료 될 때까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과 진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불편함이있다. 또 다른 종류는 믹서기 본체에 진공호수를 넣어야 하는 구조이며 이또한 호수가 열에 약하고 불편한 구조를 가지며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제품의 크기가 한정된것을 알수있다, 또한 기존으 진공유로에 형성된 공기 계폐를위한 볼에 이물질이 끼어 진공해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과일, 야채등을 잘게 썰어 우유, 요구르트 등과 혼합하여 쥬스를 만드는 장치이고, 이러한 믹서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구동모터를 내 장하는 믹서기의 본체와 과일, 야채등이 담기고 바닥부분에 과일, 야채등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칼날을 가지는 믹서기용 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공포장장치는 변질되기 쉬운 식료품을 진공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믹서기와 진공포장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제조,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는 각각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기와 진공발생장치를 하나로 결합한 장치가 발명된 바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8105호를 통해 공개된 상기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는, 크게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착탈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구동커플링과 결합되는 종동커플링과, 상기 종동커플링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는 진공발생장치와;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부와 상기 제1공기흡입부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지지부에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공기흡입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센싱유로를 포함하는 구조 이다..
상기 압력센서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 수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기계식 센서 이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구동부의 내부에 설치되고,상기 구동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2공기흡입부와 연통되도록 제3공기흡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공기흡입부 또는 제3공기흡입부에는 개폐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개폐밸브 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공기흡입부 또는 제3공기흡입부에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실링립이 결합되며, 상기 제1공기흡입부에는 호스가 결합가능하되,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개폐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 내측에는 제1공기흡입부에 결합되는 호스가 내장되는 호스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탄성소재의 방진부가 결합되다.
도1은 종례의 믹서기의 구동부(20)가 지지부(100)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20)는 믹서기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이므로, 믹서기 본체(2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구동부(20)의 내부에는 모터(22)가 내장되며, 상기 모터에는 구동커플링(24)이 연결된다. 모터(22)의 상부에는 압력센서(29)가 위치하며, 상기 압력센서(29)에 의해 진공용기의 진공상태가 측정되면, 모터(22)는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는 후술하는 센싱유로(38b)를 통해 진공펌프(39) 및 흡입유로(38a)와 연통되므로 진공포장 하고자 하는 진공용기(미도시)의 진공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압력센서(29), 진공용기(미도시) 및 진공펌프(3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압력센서(29)로는 전자식 센서가 사용되어 진공완료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냄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모터(22)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압력센서(29)에서 진공상태를 감 지하여 모터(22)를 정지시키는 구성 자체는 현재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압력센서가 모터를 정지시키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부(20)의 하부로는 중앙의 일부가 돌출된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5)의 외곽에는 돌출되지 않은 제1접촉면(26)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20)의 외주면에는 스위치부(21)가 위치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변속장치(21c)와, 저속스위치(21a), 고속스위치(21b)로 구성되며, 저속스위치(21a)가 ON된 상태에서 변속장치(21c)를 회전시켜, 속도를 변화시킬수도 있고, 고속스위치(21b)가 ON 된 상태에서 변속장치를 회전시켜, 속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20) 하단의 제1접촉면(26)에는 진공스위치(23)가 위치하며, 상기 진공스위치(23)는 구동부(20)와 지지부(100)의 결합시, 지지부(100)의 제2접촉면(101)에 의해 눌려져 ON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진공스위치(23)가 ON 되면, 상기 모터(22)는 진공펌프(39)의 작동에 필요한 적당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20)가 분쇄칼날(미도시)과 결합하여 믹서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속의 회전이 필요하지만, 진공발생장치(30)와 결합하여 진공펌프(39)를 작동시킴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저속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공스위치(23)가 ON되면 진공펌프(39)의 작동을 위한 임의의 설정속도(저속)로 모터(22)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모터(22)의 회전은 진공스위치(23)가 ON되면 바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진공스위치(23)가 ON되면 모터의 회전속도만이 펌프구동에 적당한 저속으로 설정되고, 저속스위치(21a)의 ON에 의해 비로소 모터(22)가 작동되기 시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진공스위치(23)는 반드시 제1접촉면(26)에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00)와 접촉하는 곳이면 어디든 설치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25)의 중앙에는 구동커플링(24)이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25)의 측면에는 결합돌기부(27)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돌기부(27)는 돌기수용부(27c)에 내장된 스프링(27b)과 상기 스프링(27b)에 의해 바깥쪽으로 지지되는 결합돌기(27a)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27a)는 스프링(27b)에 의해 돌출부(25)의 측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스프링(27b)의 탄성력을 이겨낼 만큼의 외력이 작용하면 수용부(27c)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접촉면(26)에는 제3공기흡입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공기흡입부(28)는 상기 압력센서(29)와 연결된다. 상기 압력센서(29)와 상기 제3공기흡입부를 연결하는 유로는 센싱유로(38b)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구동부(20)는 지지부(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며, 상기 지지부(100)의 내측에는 진공발생장치(30)가 내장된다. 즉 상기 지지부(100)가 진공발생장치(30)의 하우징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0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2접촉면(101)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구조를 갖는 제1테이퍼부(102)와, 제1테이퍼부(102)의 하단에 형성된 수평부(103)와, 상기 수평부(103)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제2테이퍼부(104)로 구성된다.
제2접촉면(101)의 중앙에는 커플링수용부(105)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커플링수용부(105)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부의 결합돌기부(27)에 대응되는 결합버튼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버튼부(106)는 제1테이퍼부(102)의 내측에 형성되는 버튼수용부(106a)와, 상기 버튼수용부(106a)에 내장되는 스프링(106e)과, 상기 스프링(106e)에 의해 제2테이퍼부(10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되는 버튼(106b)과 상기 버튼(106b)의 단부에
결합되는 로드(106c)와, 상기 로드(106c)가 슬라이딩 가능 하도록 커플링수용부(105)와 버튼수용부(106a)를 관통하는 삽입홈(106d)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106d)은 상기 결합돌기부(27)의 결합돌기(27a)가 삽입되는 곳이다.
구동부(20)가 지지부(100)상에 결합되면 상기 구동부의 결합돌기(27a)가 삽입홈(106d)에 삽입되어 구동부(20)가 지지부(100)상에 단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을 해제할 때에는 버튼(106b)을 눌러 로드(106c)가 슬라이딩됨으로써 결합돌기(27a)를 삽입홈(106d) 바깥으로 밀어내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결합돌기부(27) 및 결합버튼부(106)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위치하는 구조이다.
상기 커플링수용부(105)에는 상기 구동커플링(24)과 결합가능한 종동커플링(32)이 위치한다.
상기 종동커플링(32)은 지지부(100)에 내장되는 진공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중 하나인데, 상기 진공발생장치(30)는 상기 종동커플링(32)과 상기 종동커플링(32)과 동일축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원판(34)과, 상기 원판(3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펌프(39)로 구성된다.
상기 종동커플링(32)과 원판(34)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은 베어링(33)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보조된다.
상기 진공펌프(39)는 상기 원판(34)에 편심되어 결합하는 편심로드(39a)와, 상기 편심로드(39a)에 수직하게 결합하며 일측단부가 피스톤(39c)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39b)와, 상기 피스톤(39c)이 수용되는 실린더(39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공펌프(39)는 각각 제1공기흡입(110)부 및 제2공기흡입부(111)와 연통된다. 상기 실린더(39d)에는 배기밸브(38f)와, 펌프흡입구에 위치하는 흡기밸브(39e)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진공포장에 사용되는 진공펌프(39)의 구조는 종래 공개특허공보(제2003-0028105호)등을 통해 공개된 것이므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접촉면에는 제2공기흡입부(111)가 형성되되, 상기 제2공기흡입부(111)는 제3공기흡입부(28)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공기흡입부(111)는 센싱유로(38b)를 통해 진공펌프(39)와 연통되며, 제2공기흡입부(111)와 제3공기흡입부(28)가 연통되면 상기 센싱유로(38b)는 제3공기흡입부(28)를 지나 압력센서까지 연통된다.
상기 제2공기흡입부(111)와 제3공기흡입부(28)에는 개폐밸브(17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170)는 도3 및 도4에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3)과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볼(172) 및 상기 볼(172)을 지지하는 스프링(17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73)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후 양측에는 전방개구부(175a) 및 후방개구부(175b)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73) 내부에 위치하는 볼(172)은 후방에 위치하는 스프링(174)에 의해 전방쪽으로 지지되는 힘을 받되, 테이퍼진 하우징의 최상단 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 록 함으로써,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방개구부(175a)에는 개폐돌기(17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 되는데, 상기 개폐돌기(171)는 서로 마주보게 한쌍이 돌출된다.
도3는 구동부(20)가 지지부(100)에 결합될 때, 구동부(20)의 제3공기흡입부(28)에 위치하는 개폐밸브(170)와, 지지부(100)의 제2공기흡입부(111)에 위치하는 개폐밸브(28)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3를 보면 상기 개폐돌기(171)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어, 다른 개폐밸브의 하우징(173)내부로 삽입되어 볼(172)을 후퇴시킴으로써,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테이퍼부(104)에는 힌지에 의해 회전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도어(150)가 위치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호스(4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호스수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수용부는 도어(150)를 포함하는 제2테이퍼부와 지지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109)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측벽(109)은 호스수용부(160)와 진공발생장치(3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호스수용부(160)에 수용되는 호스(41)는 진공포장시 일단이 제1공기흡입부(110)와 연결되며, 타단은 진공포장하고자 하는 외부의 진공용기(미도시)에 결합되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109)에는 제1공기흡입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흡입부(110)는 호스수용부(160) 내측의 측벽(109)에 형성되며, 흡입유로(38a)를 통해 진공펌프(39)와 연결된다. 상기 흡입유로(38a)는 진공펌프(39)와 제1공기흡입부(110)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말한다.
상기 지지부(100)의 최하측에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소재의 방진부(14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부(140)로는 고무흡착판(14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무흡착판(14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형상 외주면을 갖되,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방진부로 고무흡착판(140)을 사용하면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탁이나 싱크대등에 견고히 고정시킨채 작동시킬 수가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진공용기로는 음식물이 담기는 컵과, 진공밸브가 구비된 용기뚜껑으로 구성된 통상의 진공용기가 사용된다. 일례로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153호를 통개 공개된 것과 같은 진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목적 다목적 믹서기는 믹서기의 구동부(20)와 진공 발생장치가 찰탁은 가능하나 찰착을 위한 여러 가지 구조물 및 믹서기 본체부의 작은 공간안에 진공센서등이 들어가고 진공유로도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기능을 가진 제품은 높은 RPM에서도 작동이 되어 소음이 큰 불편함과 고장의 원인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진공 완료시 진공을 체크하는 진공 센서가 기계식이어 사람의 눈으로 일정량의 진공도를 체크하는데 정확치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믹서기 본체와 진공발생장치 본체에 진공기 본체를 장착할 때 접속이 가능한 접촉단자를 형성하여 체결시 진공기내부에 장착된 전자식 진공센서와 마이컴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여 진공시 진공도 를 체크하여 일정 진공도에 도달하면 마이컴에서 신호를 주어 믹서기 본체부의 모터제어부에서 모터를 정지 시키고 진공 진행상황을 알수있도록 표시부에 램프를 점등할수 있는 구조의 발명이다.
또한 이런한 구조로 되면 사람이 진공이 완료될때까지 손으로 잡거나 스위치를누르고 있지 않아도 되며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한정된 공간에 복잡한 구조가 필요없는 있점을 가진 구조의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착탈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구동커플링과 결합되는 종동커플링과, 상기 종동커플링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발생장치부에 내장되는 진공발생장치와 상기 진공발생장치부에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공기흡입부와 상기 제1공기흡입부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진공발생장치에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공기흡입부의 결합하는 전자식 압력센서와 상기 전자식 압력센서와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진공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부(믹서기 본체)를 진공발생장치부 상부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구동커플링(24)과 종동커플링(32)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며, 구동부의 제1접촉면(26)과 진공발생장치부의 제2접촉면(101)에 서로 접하게 되어, 믹서기 본체부(20) 단자 접촉부(220a) 와 진공발생장치 본체(30)의 진공기 단자 접촉부(200b)가 서로 접속되고 진공기 단자스프링(200c)에의하여 접속이 견고하게 된다.
구동부(20)가 진공발생장치부(30)에 결합된 모습은 도6와 같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진공발생장치부(30)의 호스감게에서 제1공기흡입부(110)와 결합된 호스(41)를 빼내어, 상기 호스(41)의 타단을 진공포장하고자 하는 진공용기(미도시)와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진공발생장치(30)의 진공스위치(204)를 ON시켜 모터를 작동시키면, 모터(22)의 회전력이 구동커플링(24) 및 이와 결합된 종동커플링(32)에 전달되며, 종동커플링(32)이 회전하면 동일축상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원판(34)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원판(34)이 회전하면 편심결합된 편심로드(39a)가 같이 회전을 하게 되며, 편심로드(39a)의 회전은 상기 편심로드(39a)와 수직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39b)의 좌우 수평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피스톤로드(39b)의 수평운동은 피스톤(39c)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며, 피스톤(39c)이 실린더(39d)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제1공기흡입부(110) 및 제2공기흡입부쪽(111)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 때 제1공기흡입부(110)는 호스(41)를 통해 진공포장하고자 하는 진공용기와 결합되어 진공포장이 진행되게 되며, 진공용기 내부의 진공이 완료되면, 진공발생장치 본체(30)에 내장된 압력센서(29)가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신호를 받아 일정 진공의 데이터가 되면 마이컴에서는 진공발생장치 본체(30)의 단자 접촉부(200b)와 연결된 믹서기 본체(200)의 단자 접촉부(200a)를 통해서 신호가 전달되어 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진공기 진공표시부(201)에는 램프가 점등되면서 진공 진행사항 및 완료를 알려준다.
사용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공포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진공포장이 완료되면, 진공 호스거치부(203)에 호스(41)를 감고, 상부에 믹서기 본체(20)가 결합된채, 진공발생장치 본체(30)를 보관하면 된다. 이 때 믹서기 본체(20)는 진공발생장치본체(30)상에 결합된 채 보관되며, 호스(41)등의 처리도 간편해 지므로, 보관이 간결하고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치대 역할을 하는 진공발생장치 내부에 전자식압력센서, 제어마이컴이 내장되며, 진공발생장치부가 믹서기 구동부의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믹서기 구동부와 진공발생장치의 보관이 용이해진다.
둘째, 진공발생장치부 내에 전자식 압력센서를 적용하여 진공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진공을 할 수 있다.
셋째, 진공발생장치에 전자식 압력센서 및 제어마이컴을 적용하여 진공시 믹서기를 잡고있거나 스위치를 계속 누르고 있을 필요 없이 진공이 가능하다.
넷째, 진공시 마이컴 제어에의한 진공스위치의 작동만 가능하여 기존의 고속에 의한 소음 및 진공발생장치의 고장을 막을수 있다.
다섯째, 진공발생장치부에 별도의 입력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믹서기본체에서 진 공센서 및 마이컴에 필요한 DC전원만을 인가하여 간단한 구조 와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Claims (5)

  1. 믹서기 본체와 진공발생장치부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믹서기부(20)가 착탈가능한 진공발생 장치부(30)와
    상기 진공발생 장치부(30)에 장착된 진공스위치(204)와 진공시 구동모터를 동작하기위한 상기 스위치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하고,
    상기 믹서기부(20)와 진공발생장치부 체결시 전원(DC)인가가 가능한 믹서기부 접촉단자부(200a)와
    상기 진공발생장치부(30)의 믹서기부 접촉단자부(200a)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진공발생장치부 접촉 단자부(200b)와
    상기 진공스위치(204)를 작동시켜을때 믹서기본체와 진공발생장치부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기 접촉단자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장치부(30)에 내장된 전자식진공센서(205)와 이에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제어마이컴(201)와
    상기 믹서기부와 접하는 상기 진공장치발생부에 내장된 상기 진공펌프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흡입부와
    상기 제2공기흡입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 구동부에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컴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스위치는,
    상기 진공발생 장치부 본체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믹서기본체부(20)의 장착된 작동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발생장치부(30)에 장착된 진공시위치(204)를 작동해야만 진공이루어는 구조를 가진 다목적진공포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표시부는,
    사용자가 진공상황을 알수있도록 램프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KR1020060102654A 2006-10-23 2006-10-23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KR20080036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54A KR20080036265A (ko) 2006-10-23 2006-10-23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54A KR20080036265A (ko) 2006-10-23 2006-10-23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265A true KR20080036265A (ko) 2008-04-28

Family

ID=3957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654A KR20080036265A (ko) 2006-10-23 2006-10-23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62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WO2016076539A1 (ko) * 2014-11-10 2016-05-19 (주)씨에스이 진공감지수단을 내장하는 진공포장기용 진공펌프
CN107157356A (zh) * 2016-04-22 2017-09-15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CN108378725A (zh) * 2018-05-03 2018-08-10 广东顺德昌盛实业有限公司 一种改进真空装置的料理杯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CN102631153B (zh) * 2012-03-28 2015-04-08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WO2016076539A1 (ko) * 2014-11-10 2016-05-19 (주)씨에스이 진공감지수단을 내장하는 진공포장기용 진공펌프
CN107157356A (zh) * 2016-04-22 2017-09-15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CN107157356B (zh) * 2016-04-22 2019-06-25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CN109984639A (zh) * 2016-04-22 2019-07-09 王晓东 真空食品粉碎搅拌机
CN108378725A (zh) * 2018-05-03 2018-08-10 广东顺德昌盛实业有限公司 一种改进真空装置的料理杯
CN108378725B (zh) * 2018-05-03 2024-05-24 广东昌盛电器有限公司 一种改进真空装置的料理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73105A1 (en) Multi-purpose blender which can produce vacuum packages
US7726355B2 (en) Motorized vacuum/pressure pump and stopper
JP6028985B2 (ja) 調理器
KR100537796B1 (ko)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KR101851526B1 (ko) 진공블렌더
US10138046B2 (en) Negative pressure storage container
KR20080036265A (ko) 다목적 진공포장장치
KR100408318B1 (ko)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
WO2006068396A1 (en) A multi-purpose blender which can produce vacuum packages, vacuum packing system and multi-purpose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KR200231617Y1 (ko) 다목적 믹서기
CN109567626A (zh) 杯盖组件、杯体组件及料理机
KR100608306B1 (ko)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 및 진공포장 시스템
KR101488435B1 (ko) 진공포장장치의 진공펌프
AU2018100136A4 (en) Negative Pressure Storage Container
KR200485526Y1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요리 기기
CN209203001U (zh) 杯盖组件、杯体组件及料理机
KR20140101519A (ko) 진공포장기
CN215905051U (zh) 一种具有抽真空功能的盖体及密封容器
KR200260856Y1 (ko) 진공포장이 가능한 다목적 믹서기
JP2001070163A (ja) 飲料抽出機
CN208926083U (zh) 一种料理机
TW202033145A (zh) 電動調理器的收容容器
KR20150086920A (ko) 음식물 진공보관용 진공펌프
TW202033144A (zh) 電動調理器
CN112515502A (zh) 破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