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43B1 - 핸디형 진공기 - Google Patents
핸디형 진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043B1 KR101479043B1 KR20130122736A KR20130122736A KR101479043B1 KR 101479043 B1 KR101479043 B1 KR 101479043B1 KR 20130122736 A KR20130122736 A KR 20130122736A KR 20130122736 A KR20130122736 A KR 20130122736A KR 101479043 B1 KR101479043 B1 KR 1014790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push shaft
- air
- circumferential surface
- guide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디몸체와, 가이드프레임과, 푸시샤프트와 스위치캡 및 크래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되는 에어 흡입홀이 스위치캡에 의해 크래들 내의 공간과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핸디몸체를 거꾸로 세워 보관하더라도 상기 크래들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스위치캡 및 가이드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핸디형 진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디형 진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작됨과 더불어 크래들 내로 유입된 수분이 각 구동부 내로 침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핸디형 진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용으로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손쉽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제품으로의 핸디형 진공기를 제공함에 따라 가정에서 진공포장용기(밀폐용기)나 진공포장팩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진공 포장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핸디형 진공기에 관련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64027호 및 제10-1035573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종래의 핸디형 진공기는 그의 사용시 진공포장용기 혹은, 진공포장팩 내에 존재하는 수분(예컨대, 음식물에 존재하거나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수분)이 공기와 함께 일부 흡입되면서 핸디형 진공기를 이루는 크래들 내로 유입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핸디형 진공기는 상기 크래들 내부 공간이 에어흡입홀과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크래들 내로 유입된 수분을 배출하지 않고 해당 핸디형 진공기를 보관하거나 혹은, 거꾸로 세워둘 경우 상기 수분이 각 동작 부위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각 동작 부위에 대한 동작 불량이나 손상을 야기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펌프와 연결된 에어흡입홀이 상기 크래들 내부 공간에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크래들 내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에어흡입홀을 통해 펌핑모터 내로 흡입되어 상기 펌핑모터를 손상시키는 문제점 역시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동작됨과 더불어 크래들 내로 유입된 수분이 각 구동부 내로 침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핸디형 진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에 따르면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에어펌프 어셈블리가 내장된 핸디몸체; 상기 핸디몸체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어느 한 측에는 에어펌프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는 에어 흡입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면서 내부는 공기 유동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의 직하방 위치에는 중공의 허브가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스위치캡; 상기 핸디몸체 혹은, 가이드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스위치캡이 설치된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수분 저장공간을 추가로 가지는 크래들; 그리고, 상단은 상기 스위치캡의 허브를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와 연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크래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푸시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푸시샤프트의 저면에는 공기유입홈이 상기 푸시샤프트의 축 방향을 향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 중 크래들 내에 위치되는 둘레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홈과 연통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캡에 형성된 허브의 내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을 향해 돌출되는 기밀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에는 상기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되면서 크래들 내부 공간으로 노출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에 형성되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소경부 및 상기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를 벗어나 허브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수분의 침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대경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푸시샤프트에 형성된 대경부의 둘레면 중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와 대향되는 측의 둘레면에는 상기 기밀돌부와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는 링형의 결합리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캡에는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둘레벽과 상기 결합리브의 내주면을 감싸는 보조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캡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는 가이드프레임의 승강가이드 내에 위치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가압에 의한 상승 이동력을 전달받아 상승 이동되거나 상기 스위치캡 내의 진공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에어펌프 어셈블리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혹은,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승 이동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를 하향 이동시키는 제1복원스프링과, 상기 스위치와 상기 푸시샤프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가압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상승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캡 내의 진공압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를 원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 제2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 사이에는 서로 간의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는 에어 흡입홀의 형성 위치 및 스위치캡의 구조적 개선에 의해 크래들 내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에어 흡입홀을 통해 에어펌프 어셈블리로 곧장 유입됨은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에어펌프 어셈블리의 손상을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는 상기 스위치캡과 푸시샤프트 간의 공기 연통 구조에 대한 개선으로 인해 핸디몸체를 거꾸로 세워 보관하더라도 상기 크래들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스위치캡 및 가이드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핸디몸체 내부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선단측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선단측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핸디몸체 내부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선단측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선단측 구조 및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핸디몸체 내부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선단측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는 핸디몸체(100)와, 가이드프레임(200)과, 스위치캡(300)과, 크래들(400) 및 푸시샤프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가이드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에어 흡입홀(210)이 스위치캡(300)에 의해 크래들(400) 내의 공간과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핸디몸체(100)를 거꾸로 세워 보관하더라도 상기 크래들(400)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스위치캡(300) 및 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핸디몸체(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내부에 장착 공간을 갖는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핸디몸체(100) 내의 공간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10)가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핸디몸체(100) 내의 저부 공간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에어펌프 어셈블리(13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는 상기 핸디몸체(100) 내의 저부 공간을 향해 하향 돌출된 에어유입관(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유입관(131)을 통해 공기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600)가 내장되는 부위임과 더불어 상기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에어유입관(131)이 연결되면서 공기 흡입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핸디몸체(10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핸디몸체(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어느 한 측에는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로부터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에어유입관(131)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는 에어 흡입홀(210)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프레임의 중앙측)에는 스위치 어셈블리(600)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2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저면에는 링형의 결합리브(230)가 하향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리브(230)의 내측 부위는 상하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때 상기 결합리브(2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둘레면에 비해서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단차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스위치캡(30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가이드(220)는 스위치 어셈블리(600)의 승강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면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110)의 +극 및 -극과 각각 통전되는 한 쌍의 통전핀(221)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내에 구비되는 스위치 어셈블리(600)는 후술될 푸시샤프트(5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통전핀(221)을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구성으로써, 스위치(610), 제1복원스프링(620), 슬라이더(630) 및 제2복원스프링(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61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승강가이드(22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폐쇄됨과 더불어 하단은 개방된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상기 승강가이드(220)의 두 통전핀(221)에 접촉되면서 상기 두 통전핀(221)을 서로 통전시키는 통전링(611)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위치(610)의 외주면과 상기 승강가이드(2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서로 간의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601)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승강가이드(220) 내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승강가이드(220) 내의 하부 공간에 진공압이 커질 경우 상기 스위치(610)가 상기 진공압에 의해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복원스프링(620)은 상기 승강가이드(220) 내의 상면과 상기 스위치(61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스위치(610)의 상승 이동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610)를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630)는 상기 스위치(610)와 상기 푸시샤프트(5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가압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스위치(610)를 상승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복원스프링(640)은 상기 스위치(610)와 상기 슬라이더(63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630)의 이동력을 상기 스위치(610)에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캡(300) 내의 진공압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610)를 원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치캡(3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저부 공간을 후술될 크래들(400)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함과 더불어 내부는 공기 유동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위이다.
상기 스위치캡(300)의 중앙 부위인 슬라이더(630)의 직하방 위치에는 중공의 허브(310)가 상기 스위치캡(300)의 상부 및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허브(310)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만 상기 크래들(400) 내의 공간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위치캡(300)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이루는 결합리브(2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향 절곡된 둘레벽(320)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스위치캡(300)의 상면 둘레 부위 중 상기 결합리브(230)의 내주면이 위치되는 부위에는 보조리브(330)가 추가로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캡(300)이 상기 결합리브(230)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결합되는 이중 캡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더욱이, 상기 결합리브(230)와 스위치캡(300) 간의 결합 부위 사이에는 서로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씨일부재(301)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리브(330)는 상기 스위치캡(300)의 둘레벽(320)이 이루는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부위를 통해 스위치캡(300) 내의 공간과 가이드프레임(200)의 에어 흡입홀(210)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캡(300)에 형성된 허브(310)의 하단측 내주면에는 후술될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을 향해 돌출되는 기밀돌부(3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기밀돌부(311)는 상기 허브(310)와 상기 푸시샤프트(5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크래들(4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및 스위치캡(300)이 설치된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크래들(400)은 상기 핸디몸체(10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및 스위치캡(300)이 설치된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수분의 충분한 저장을 위한 수분 저장공간을 추가로 가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크래들(400)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디몸체(100)의 하단 및 가이드프레임(200)의 둘레면을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둘레면 중 상기 크래들(400)과의 밀착 부위에는 씨일부재(201)가 추가로 구비하여 해당 부위를 통한 수분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래들(400)은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크래들(400) 내부의 수분 존재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푸시샤프트(500)는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60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부위이다.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상단은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600)를 이루는 슬라이더(630)의 저면에 맞닿아 상기 슬라이더(630)를 연동시키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크래들(400) 외부로 하향 돌출되면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저면에는 공기유입홈(510)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축 방향을 향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 중 크래들(400) 내에 위치되는 둘레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홈(510)과 연통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520)이 형성된다.
또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에는 소경부(530) 및 대경부(540)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경부(530)는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비조작시 허브(310)의 기밀돌부(311)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되면서 크래들(400) 내부 공간으로 노출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311)와 대향되도록 위치되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고, 상기 대경부(540)는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비조작시 허브(310)의 기밀돌부(311)가 위치된 부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311)가 위치된 부위를 벗어나 허브(310) 내에 위치되면서 수분의 침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대경부(540)의 직경은 상기 대경부(540)의 외주면과 허브(310)의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을 정도의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경부(530)의 직경은 상기 대경부(540)에 비해 더욱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소경부(530)의 경우 단순히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 일부에 대한 직경을 줄임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 원주 방향을 따라 요부(531)와 돌부(532)가 반복 형성되는 요철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대경부(540) 둘레면 중 푸시샤프트(50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기밀돌부(311)와 대향되는 측의 둘레면에는 상기 기밀돌부(311)와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501)가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해당 틈새를 통해 수분이 침투됨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하단측 중 상기 크래들(400)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밀착커버(7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착커버(700)는 진공포장용기(10)의 공기 배출구(11)에 정확히 밀착되면서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써, 탄력 변형이 가능한 고무 혹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커버(700)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공기유입홈(510)과 연통되는 연통공(710)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크래들(400)의 하측 끝단에는 가이드홈(410)이 요입되면서 상기 밀착커버(700)가 상기 가이드홈(410) 내에 요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410)의 안내를 받아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진공기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푸시샤프트(500)에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비조작 상태의 경우 상기 푸시샤프트(500)는 스위치 어셈블리(600)를 이루는 제1복원스프링(620) 및 제2복원스프링(640)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600)를 이루는 통전링(611)은 가이드프레임(200)의 승강가이드(220) 상면에 구비된 두 통전핀(221)으로부터는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두 통전핀(221)이 서로 단락되어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된 핸디형 진공기의 비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샤프트(500)에 둘레면에 형성된 소경부(530)는 크래들(400) 내의 공간상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둘레면에 형성된 대경부(540)는 스위치캡(300)의 허브(31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허브(310)에 형성된 기밀돌부(311)와 협력하여 상기 허브(310)와 상기 푸시샤프트(500) 간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전술된 비조작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진공포장용기(혹은, 진공포장팩)(10)에 보관 대상물을 진공 보관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포장용기(10)의 공기 배출구(11)에 핸디형 진공기를 이루는 밀착커버(700)의 연통공(710)을 일치시킨 상태로 밀착시킨 다음 핸디형 진공기를 가압한다.
이와 같은 핸디형 진공기의 가압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밀착커버(700)에 결합된 푸시샤프트(50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푸시샤프트(500)의 상승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시샤프트(500)의 상면에 밀착된 슬라이더(630)가 상승 이동되면서 제2복원스프링(640) 및 스위치(610)를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스위치(610)는 제1복원스프링(62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 이동되어 통전링(611)이 승강가이드(220) 내의 상면에 위치된 두 통전핀(221)을 서로 통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푸시샤프트(500)의 상승에 의해 상기 푸시샤프트(500)에 형성된 소경부(530)는 스위치캡(300)의 허브(310) 내에 위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허브(310)와 소경부(530) 사이가 개방되면서 상기 크래들(400) 내부의 공간과 상기 스위치캡(3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두 통전핀(221)이 서로 통전됨에 따라 핸디몸체(100) 내의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공기 흡입력은 에어유입관(131)을 통해 가이드프레임(200)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21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 흡입홀(210)과 연통된 스위치캡(300) 내부, 상기 스위치캡(300) 내부와 연통된 크래들(400) 내부, 공기배출공(520)에 의해 상기 크래들(400) 내부와 연통된 푸시샤프트(500)의 공기유입홈(510), 상기 공기유입홈(510)과 연통된 밀착커버(700)의 연통공(710) 및 상기 연통공(710)과 연통된 진공포장용기(10)의 공기 배출구(11)로 상기 공기 흡입력이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이로써 상기 진공포장용기(10)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11)와 연통공(710), 공기유입홈(510) 및 공기배출공(5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크래들(4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크래들(4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수분은 상기 크래들(400) 내부 공간에 저장될 뿐이며, 계속해서 상기 공기와 함께 푸시샤프트(500)의 소경부(530)와 스위치캡(300)의 허브(31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스위치캡(300) 내로 유동되지는 않는다. 즉, 공기만이 상기 소경부(530)와 허브(31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스위치캡(300) 내로 유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에어 흡입홀(210) 내로 유동되는 공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에어 흡입홀(210)에 연결된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에어유입관(131)으로 수분이 유입됨은 방지되면서 공기만이 상기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로 유동되어 상기 수분에 의한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손상 발생은 방지된다.
또한, 전술된 진공포장용기(10) 내의 공기 배출 과정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 진공포장용기(10)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완전히 배출되어 더 이상의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가이드프레임(200)의 승강가이드(220) 내에 위치된 스위치(610)가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아 제2복원스프링(620)을 압축시키면서 하향 이동된다. 이는 상기 스위치(610)의 경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이면서도 스위치캡(300) 내부과 가이드프레임(200)의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상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캡(300) 내부가 점차 진공압이 걸리게 되면 상기 스위치(610)가 하향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작용에 의해 통전핀(611)이 하향 이동되면 두 통전핀(221)의 통전이 해제되어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추가적인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핸디형 진공기의 동작이 중지되었음을 인지하여 핸디형 진공기를 진공포장용기(10)의 공기 배출구(11)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공기 배출구(11)를 폐쇄함으로써 해당 진공포장용기(10)에 대한 진공포장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핸디형 진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11)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제2복원스프링(620)의 복원력에 의해 스위치(6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더불어 푸시샤프트(500) 역시 슬라이더(630)를 통해 상기 제2복원스프링(620)의 복원력을 전달받아 하향 이동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상기한 푸시샤프트(500)의 복귀에 의해 상기 푸시샤프트(500)에 형성된 대경부(540)가 스위치캡(300)의 허브(310)에 형성된 기밀돌부(311)와 일치되면서 크래들(400) 내부 공간과 상기 스위치캡(300) 내부 공간을 서로 구획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과정에 의한 진공포장 작업이 완료될 경우 진공포장용기(10) 내에 존재하던 수분의 일부가 핸디형 진공기의 크래들(400) 내부에 유입되어 저장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크래들(40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상기 크래들(400) 내부의 수분에 대한 존재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지만, 상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기 크래들(400) 내의 수분을 배출시키지 않고 핸디형 진공기를 거꾸로 세워 보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핸디형 진공기를 거꾸로 세워 보관한다 하더라도 스위치캡(300)의 둘레벽(320) 및 보조리브(330)가 가이드프레임(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리브(230)를 감싸면서 결합된 상태임과 더불어 푸시샤프트(500)와 허브(310) 사이의 틈새는 상기 푸시샤프트(500)에 형성된 대경부(540)와 상기 허브(310)에 형성된 기밀돌부(311)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며, 더욱이 상기 대경부(540)에는 씨일부재(50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통한 수분의 누출은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핸디형 진공기의 잘못된 보관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수분이 스위치 어셈블리(600)나 에어펌프 어셈블리(130) 내로 유입됨은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는 에어 흡입홀(210)의 형성 위치 및 스위치캡(300)의 구조적 개선에 의해 크래들(400) 내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에어 흡입홀(210)을 통해 에어펌프 어셈블리(130)로 곧장 유입됨은 방지되고, 이로 인한 에어펌프 어셈블리(130)의 손상을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기는 스위치캡(300)과 푸시샤프트(500) 간의 공기 연통 구조에 대한 개선으로 인해 핸디몸체(100)를 거꾸로 세워 보관하더라도 크래들(400)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스위치캡(300) 및 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됨이 방지된다.
100. 핸디몸체 110. 배터리
130. 에어펌프 어셈블리 131. 에어유입관
200. 가이드프레임 210. 에어흡입홀
220. 승강가이드 221. 통전핀
230. 결합리브 300. 스위치캡
310. 허브 311. 기밀돌부
320. 둘레벽 330. 보조리브
400. 크래들 410. 가이드홈
500. 푸시샤프트 510. 공기유입홈
520. 공기배출공 530. 소경부
540. 대경부 600. 스위치 어셈블리
610. 스위치 611. 통전링
620. 제1복원스프링 630. 슬라이더
640. 제2복원스프링 700. 밀착커버
710. 연통공 201,301,501,601. 씨일부재
130. 에어펌프 어셈블리 131. 에어유입관
200. 가이드프레임 210. 에어흡입홀
220. 승강가이드 221. 통전핀
230. 결합리브 300. 스위치캡
310. 허브 311. 기밀돌부
320. 둘레벽 330. 보조리브
400. 크래들 410. 가이드홈
500. 푸시샤프트 510. 공기유입홈
520. 공기배출공 530. 소경부
540. 대경부 600. 스위치 어셈블리
610. 스위치 611. 통전링
620. 제1복원스프링 630. 슬라이더
640. 제2복원스프링 700. 밀착커버
710. 연통공 201,301,501,601. 씨일부재
Claims (6)
- 공기 흡입력을 발생하는 에어펌프 어셈블리가 내장된 핸디몸체;
상기 핸디몸체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어느 한 측에는 에어펌프 어셈블리로부터 공기 흡입력을 제공받는 에어 흡입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면서 내부는 공기 유동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의 직하방 위치에는 중공의 허브가 상하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스위치캡;
상기 핸디몸체 혹은, 가이드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 및 스위치캡이 설치된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수분 저장공간을 추가로 가지는 크래들; 그리고,
상단은 상기 스위치캡의 허브를 관통하여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와 연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크래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푸시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샤프트의 저면에는 공기유입홈이 상기 푸시샤프트의 축 방향을 향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 중 크래들 내에 위치되는 둘레면에는 상기 공기유입홈과 연통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캡에 형성된 허브의 내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을 향해 돌출되는 기밀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둘레면에는 상기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되면서 크래들 내부 공간으로 노출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에 형성되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소경부 및 상기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샤프트의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기밀돌부가 위치된 부위를 벗어나 허브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면서 수분의 침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대경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샤프트에 형성된 대경부의 둘레면 중 푸시샤프트의 비조작시 상기 기밀돌부와 대향되는 측의 둘레면에는 상기 기밀돌부와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저면에는 링형의 결합리브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캡에는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둘레벽과 상기 결합리브의 내주면을 감싸는 보조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캡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는
가이드프레임의 승강가이드 내에 위치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가압에 의한 상승 이동력을 전달받아 상승 이동되거나 상기 스위치캡 내의 진공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에어펌프 어셈블리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혹은,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승 이동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를 하향 이동시키는 제1복원스프링과,
상기 스위치와 상기 푸시샤프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푸시샤프트의 가압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를 상승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캡 내의 진공압력이 해재될 경우 상기 스위치를 원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 제2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주면과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 사이에는 서로 간의 틈새를 차단하는 씨일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2736A KR101479043B1 (ko) | 2013-10-15 | 2013-10-15 | 핸디형 진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2736A KR101479043B1 (ko) | 2013-10-15 | 2013-10-15 | 핸디형 진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9043B1 true KR101479043B1 (ko) | 2015-01-05 |
Family
ID=5258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2736A KR101479043B1 (ko) | 2013-10-15 | 2013-10-15 | 핸디형 진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904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4385B1 (ko) * | 2019-01-31 | 2019-05-02 | 주식회사 대디홈 | 진공 포장 시스템 |
KR20200096347A (ko) | 2019-02-01 | 2020-08-12 | (주)포에스텍 | 핸디형 진공기 |
CN113702216A (zh) * | 2021-09-24 | 2021-11-26 | 华材试验装备(洛阳)有限公司 | 一种高温环境下的蠕变试验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5427A (en) | 1991-04-03 | 1993-03-23 | Maina Germano | Suction device to create a vacuum in containers |
US5215445A (en) | 1992-10-28 | 1993-06-01 | Chen Chia Sing | Handy vacuum pump and heat sealer combination device |
KR20100108111A (ko) * | 2009-03-27 | 2010-10-06 | (주)포에스텍 | 자동형 진공흡입기 |
KR20100108105A (ko) * | 2009-03-27 | 2010-10-06 | (주)포에스텍 | 핸드형 진공흡입기 |
-
2013
- 2013-10-15 KR KR20130122736A patent/KR1014790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5427A (en) | 1991-04-03 | 1993-03-23 | Maina Germano | Suction device to create a vacuum in containers |
US5215445A (en) | 1992-10-28 | 1993-06-01 | Chen Chia Sing | Handy vacuum pump and heat sealer combination device |
KR20100108111A (ko) * | 2009-03-27 | 2010-10-06 | (주)포에스텍 | 자동형 진공흡입기 |
KR20100108105A (ko) * | 2009-03-27 | 2010-10-06 | (주)포에스텍 | 핸드형 진공흡입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4385B1 (ko) * | 2019-01-31 | 2019-05-02 | 주식회사 대디홈 | 진공 포장 시스템 |
KR20200096347A (ko) | 2019-02-01 | 2020-08-12 | (주)포에스텍 | 핸디형 진공기 |
CN113702216A (zh) * | 2021-09-24 | 2021-11-26 | 华材试验装备(洛阳)有限公司 | 一种高温环境下的蠕变试验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8304B1 (ko) |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 |
WO2018072505A1 (zh) | 真空食品加工机 | |
KR101479043B1 (ko) | 핸디형 진공기 | |
JP2004507324A (ja) | 吸引ポンプ | |
KR101362264B1 (ko) | 진공펌프 | |
WO2020192583A1 (en) | A bowl cover, a bowl, and a food processor | |
JP2017511447A (ja) | 吸引装置用排気弁および該排気弁を有する吸引ロボット | |
WO2023083277A1 (zh) | 一种多接口的分体式真空包装机、控制方法及操作方法 | |
KR102191119B1 (ko) | 진공 믹싱 장치 | |
KR101207844B1 (ko) | 진공 밸브 | |
KR200474761Y1 (ko) | 음경 동맥혈류충전기 | |
KR100991751B1 (ko) | 실링장치가 구비된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 |
CN206624214U (zh) | 负压储存容器 | |
KR101925211B1 (ko) | 가정용 진공포장기. | |
CN215323479U (zh) | 一种分离式真空保鲜机 | |
KR101519568B1 (ko) | 진공포장기 | |
CN108837199B (zh) | 吸奶器主机方法、吸奶器主机系统、吸奶器主机及用途 | |
KR101672953B1 (ko) | 진공포장기 | |
KR200405381Y1 (ko) | 가열 및 진공 포장기 | |
JPH0634855Y2 (ja) | 正倒立両用指圧噴射容器 | |
KR102195206B1 (ko) | 핸디형 진공기 | |
KR20100056057A (ko) | 핸디형 진공 흡입 장치 | |
KR20200123986A (ko) | 휴대용 압축팩 진공장치 | |
KR200393768Y1 (ko) | 가스켓부가 착탈가능한 진공포장기 | |
KR101648485B1 (ko) | 매립형 진공 포장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