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682B1 -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682B1
KR101672682B1 KR1020167001284A KR20167001284A KR101672682B1 KR 101672682 B1 KR101672682 B1 KR 101672682B1 KR 1020167001284 A KR1020167001284 A KR 1020167001284A KR 20167001284 A KR20167001284 A KR 20167001284A KR 101672682 B1 KR101672682 B1 KR 10167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allocation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272A (ko
Inventor
도모야 마사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put/output type connection, e.g. channel, I/O 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유저가 파라미터의 설정을 가급적으로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 시스템은, 유저 프로그램(113)을 실행하는 PLC(11)를 가지는 마스터국(10), PLC 디바이스를 할당할 수 있는 통신용 메모리(213),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유닛(22-0)을 구비하고 네트워크(40)를 통해서 마스터국(10)과 접속되는 리모트국(20)을 구비하고, PLC(11)는, 유닛(22-0)이 입력 또는 출력하는 단위 데이터 중 PLC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대상을 지정하는 할당 대상 지정 정보와 할당 룰을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에 송신하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은, 유닛(22-0)이 입력 또는 출력하는 단위 데이터 중 수신한 할당 대상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단위 데이터를 수신한 할당 룰에 기초하여 통신용 메모리(213)에 할당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control system, master station, and remote station}
본 발명은, 마스터국과 리모트국이 네트워크 접속되어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당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스터국, 및 당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업용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시스템이 이용된다. PLC 시스템은, PLC 유닛을 포함한 복수의 유닛이 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PLC 시스템은, 통신 유닛이 사용되는 것에 의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리모트 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리모트 시스템은, 복수의 유닛이 조합되어 구성된다. PLC 유닛은, 리모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개의 유닛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리모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개의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산업용의 피제어 기기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리모트 시스템을 리모트국, 리모트국을 제어하는 PLC 시스템을 마스터국이라고 한다.
여기서, 유저는, 엔지니어링 툴의 파라미터 설정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마스터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및 리모트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을 실행한다. 마스터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이란 통신용 메모리에 PLC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것이다. 할당이란, 쌍방의 메모리내의 위치를 대응시키는 것이다. 리모트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이란 리모트국의 통신용 메모리에 리모트국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공유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이다.마스터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결과는, 마스터국에 마스터국의 파라미터로서 보존되어 리모트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결과는, 리모트국에 리모트국의 파라미터로서 보존된다.
특허문헌 1: 특개 2011-28525호 공보
그렇지만, 유저는, 마스터국과 리모트국의 각각에 액세스하여 각각 파라미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에 걸리는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이 번잡하기 때문에,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미스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파라미터의 설정을 가급적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처리부를 가지는 마스터국과, 상기 제1 처리부가 상기 유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액세스하는 디바이스가 할당되는, 상기 마스터국과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버퍼, 제2 처리부,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서브 유닛을 구비하며, 전송로를 통해서 상기 마스터국과 접속되는 리모트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1이상의 데이터 중 상기 제1 버퍼에 할당되는 디바이스를 할당하는 대상을 지정하는 제1 지정 정보와 할당 룰을 지정하는 제2 지정 정보를 상기 제2 처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1 지정 정보 및 상기 제2 지정 정보의 수신 후, 상기 1이상의 데이터 중 상기 제1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할당 룰에 따라 상기 제1 버퍼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는,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에 필요로 하는 정보를 일괄하여 마스터국에 설정하는 것만으로 리모트국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므로, 파라미터의 설정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각 유닛의 더욱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PLC와 일반 유닛과의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리모트국 정보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할당 대상 지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할당 대상 지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와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와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 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파라미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마스터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2 파라미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리모트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의 교환에 대비하기 위한 리모트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의 교환에 대비하기 위한 마스터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시스템(1)은, 마스터국(10), 리모트국(20), 리모트국(30)이 네트워크(40)으로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1)을 구성하는 리모트국의 수는, 임의적이다.
마스터국(10)은, PLC 유닛(이후, PLC라고 한다, 11), 마스터 통신 유닛(12), 유닛(13-0), 유닛(13-1), 및 유닛(13-2)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마스터국(10)은, 복수의 슬롯을 구비하는 백플랜을 갖추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PLC(11), 마스터 통신 유닛(12), 및 3개의 유닛(13-0, 13-1, 13-2)은, 백플랜이 구비하는 각 슬롯에 장착됨으로써,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각 슬롯은, 슬롯 번호에 의해서 각각 특정된다. 예를 들면, PLC(11)가 장착되어 있는 슬롯은, 슬롯 번호 「0」이 부여되어 있으며, 지면 우측을 향해 슬롯 번호가 오름차순이 되도록 각 슬롯에 슬롯 번호가 주어지고 있다. 슬롯 번호 「X」가 주어진 슬롯을, 슬롯#X라고 표기하는 것으로 하면, 본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 의하면, 마스터 통신 유닛(12)은 슬롯#1, 유닛(13-0)은 슬롯#2, 유닛(13-1)은 슬롯#3, 유닛(13-2)은 슬롯#4, 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PLC(11)는, 제어 시스템(1)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유닛이다. 마스터 통신 유닛(12)은, 마스터국(10)에 구비되는 것이며, 마스터국(10)에 구비되는 PLC(11)가 리모트국(20, 30)에 구비되는 각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닛이다. 유닛(13-0~13-2)은, PLC(11)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닛이다. 유닛(13-0~13-2)은, 피제어 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PLC(1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에 대해 소정의 동작을 실행한다. 덧붙여 유닛(13-0~13-2)과 같이 PLC(1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피제어 기기에 대해서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유닛을, 일반 유닛으로 총칭한다. 일반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면, 생산 장치 또는 설비 장치의 구동부에 설치된 서보 앰프를 통해서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모션 CPU 유닛, 생산 장치나 설비 장치의 적소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 액츄에이터 등에 제어 출력을 하는 출력 유닛, 등이 존재한다. 백플랜에 접속되는 일반 유닛의 종류 및 수는, 제어 시스템(1)의 목적에 맞추어 임의로 선택된다.
리모트국(20)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유닛(22-0), 유닛(22-1), 및 유닛(22-2)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트국(20)은, 마스터국(10)과 같이, 백플랜을 구비하고 있고 리모트국(20)을 구성하는 각 유닛은 리모트국(20)의 백플랜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국(20)에 있어서도, 각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슬롯은, 슬롯 번호에 의해서 식별된다. 리모트국(20)에 있어서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이 장착되어 있는 슬롯에 슬롯 번호 「#0」이 주어져 있고 지면 우측을 향해 슬롯 번호가 오름차순이 되도록 각 슬롯에 슬롯 번호가 주어져 있다. 즉, 유닛(22-0)은 슬롯#1, 유닛(22-1)은 슬롯#2, 유닛(22-2)은 슬롯#3, 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리모트국(30)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31), 유닛(32-0), 유닛(32-1), 및 유닛(32-2)을 구비하고 있다. 리모트국(30)은, 마스터국(10)과 같이, 백플랜을 구비하고 있어 리모트국(30)을 구성하는 각 유닛은 백플랜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국(30)에 있어서도, 각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슬롯은, 슬롯 번호에 의해서 식별된다. 리모트국(30)에 있어서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이 장착되어 있는 슬롯에 슬롯 번호 「#0」이 주어져 있고, 우측을 향해 슬롯 번호가 오름차순이 되도록 각 슬롯에 슬롯 번호가 주어져 있다. 즉, 유닛(32-0)은 슬롯#1, 유닛(32-1)은 슬롯#2, 유닛(32-2)은 슬롯#3, 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은, 리모트국(20, 30)을 네트워크(40)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PLC(11)와 리모트국(20, 3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닛이다. 유닛(22-0)~유닛(22-2) 및 유닛(32-0~32-2)은, 일반 유닛이다.
다음으로, 각 유닛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대표로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일반 유닛(유닛(13-0~13-2, 22-0~22-2, 32-0~32-2))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대표로 유닛(2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PLC(11), 마스터 통신 유닛(12),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및 유닛(22-0)의 더욱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LC(11)와 마스터 통신 유닛(12)은, 버스(14)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버스(14)는, 마스터국(10)의 백플랜에 내장된다. 덧붙여 유닛(13-0~13-2)은, 버스(14)를 통해서 PLC(11)에 접속된다.
PLC(11)는, 연산 장치(110), 메모리(111), 버스 인터페이스(I/F, 112) 및 버스(118)를 구비한다. 연산 장치(110), 메모리(111), 및 버스 I/F(112)는, 버스(118)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연산 장치(11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메모리(111)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스토리지, 착탈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버스 I/F(112)는, 버스(14)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111)는, 유저 프로그램(113), 펌 웨어 프로그램(114), 리모트국 정보군(115), 제1 파라미터(116), 제2 파라미터(216a), 및 제2 파라미터(316a)가 격납된다. 또한, 메모리(111)는, 복수의 PLC 디바이스를 가지는 디바이스 영역(117)이 확보되어 있다. PLC 디바이스는, 유저 프로그램(113)이 사용하는 논리적인 번지이다. 이후, PLC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메모리 영역 그 자체, 또는, PLC 디바이스가 나타내는 메모리 영역에 격납된 데이터를, PLC 디바이스라고 하기도 한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PLC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저 프로그램(113)은, 라벨을 통해서 PLC 디바이스를 참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제어 시스템(1)을 어떻게 동작시키는지를 기술한 프로그램이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유저에 의해서 작성되어 엔지니어링 툴을 사용해 PLC(11)에 미리 설정된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연산을 위한 중간 데이터, 및, 일반 유닛에 대해서 출력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영역(117)에 격납한다. 또한, 일반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디바이스 영역(117)에 격납된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일반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영역(117)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펌 웨어 프로그램(114)은, 유저 프로그램(113)을 실행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프로그램이다. 유저 프로그램(113)은, 펌 웨어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PLC(11)의 각종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펌 웨어 프로그램(114)은, 예를 들면 PLC(11)의 제조자에 의해서 PLC(11)에 미리 설정된다.
리모트국 정보군(115), 제1 파라미터(11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파라미터(216a)는, 후술하는 제2 파라미터(216)의 백업 데이터이며, 제2 파라미터(316a)는, 후술하는 제2 파라미터(316)의 백업 데이터이다.
마스터 통신 유닛(12)은, 통신용 메모리(120), 네트워크 I/F(121), 버스 I/F(122), 및 버스(123)를 구비한다. 통신용 메모리(120), 네트워크 I/F(121), 및 버스 I/F(122)는, 버스(123)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통신용 메모리(120)는, PLC(11)와 리모트국(20, 30)내의 일반 유닛(유닛(22-0~22-2, 32-0~32-2))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버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이다. 네트워크 I/F(121)는, 네트워크(4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버스 I/F(122)는, 버스(14)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리모트국(20)에 있어서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과 유닛(22-0)은, 버스(23)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버스(23)는, 리모트국(20)의 백플랜에 내장된다. 덧붙여 유닛(22-1) 및 유닛(22-2)도, 버스(23)를 통해서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에 접속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은, 연산 장치(210), 메모리(211), 버스 I/F(212), 통신용 메모리(213), 네트워크 I/F(214), 및 버스(217)를 구비한다. 연산 장치(210), 메모리(211), 버스 I/F(212), 통신용 메모리(213), 및 네트워크 I/F(214)는, 버스(217)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연산 장치(210)는, 예를 들면 CPU이다. 메모리(211)는, ROM, RAM, 스토리지, 착탈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이들 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통신용 메모리(213)는, PLC(11)와 리모트국(20)내의 유닛(22-0~22-2)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버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이다. 네트워크 I/F(214)는, 네트워크(4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버스 I/F(212)는, 버스(23)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211)에는, 펌 웨어 프로그램(215), 리모트국 정보(50), 및 제2 파라미터(216)가 격납된다. 펌 웨어 프로그램(215)은, 예를 들면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제조자에 의해서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에 미리 설정된다. 연산 장치(210)는, 펌 웨어 프로그램(215)을 실행함으로써,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동작을 실현한다.
리모트국 정보(50) 및 제2 파라미터(21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닛(22-0)은, 유닛 주요부(220), 공유 메모리(221), 및 버스 I/F(222)를 구비한다. 버스 I/F(222)는, 버스(23)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유닛 주요부(220)는, 유닛(22-0)의 종류(입력 유닛, 출력 유닛, 모션 CPU 유닛 등)에 따른 기능을 실현하는 모듈이다. 유닛 주요부(220)는, PLC(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지령으로 이용하여 동작하여, 동작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응답으로 PLC(11)에 출력한다. 덧붙여 유닛 주요부(220)는, PLC(11)로부터 지령의 입력 없이 응답을 출력해도 괜찮다. 또한, 유닛 주요부(220)는, PLC(11)에 대해서 지령의 입력만을 받아들이고 응답을 출력하지 않아도 된다.
공유 메모리(221)는, 유닛 주요부(220)가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들이거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버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이다.
도 3은, PLC(11)와 일반 유닛과의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덧붙여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이 구비하는 통신용 메모리에는 부호(313)를, 유닛(32-0~32-2)이 구비하는 공유 메모리에는 부호(321)를, 각각 첨부하여 설명한다.
통신용 메모리(120)는, PLC(11)로부터 일반 유닛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이후, 제1 전송 데이터라고 한다)가 버퍼링되는 제1 영역(120a)과, 일반 유닛으로부터 PLC(11)의 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이후, 제2 전송 데이터라고 한다)가 버퍼링되는 제2 영역(120b)을 구비한다. 통신용 메모리(213)는, 제1 전송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제1 영역(213a)과, 제2 전송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제2 영역(213b)을 구비한다. 통신용 메모리(313)는, 제1 전송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제1 영역(313a)과, 제2 전송 데이터가 버퍼링되는 제2 영역(313b)을 구비한다.
유저 프로그램(113)에 의해서 제1 전송 데이터를 위한 PLC 디바이스에 격납된 제1 전송 데이터는,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1 영역(120a)에 전송된다.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1 영역(120a)에 전송된 제1 전송 데이터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제1 영역(213a) 또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의 제1 영역(313a)에 전송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제1 영역(213a)에 전송된 제1 전송 데이터는, 유닛(22-0~22-2) 중 어느 일반 유닛의 공유 메모리(221)에 전송된다. 또한,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의 제1 영역(313a)에 전송된 제1 전송 데이터는, 유닛(32-0~32-2) 중 어느 일반 유닛의 공유 메모리(321)에 전송된다.
유닛(22-0~22-2)의 각각에 있어서, 유닛 주요부(220)에 의해서 공유 메모리(221)에 격납된 제2 전송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221)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제2 영역(213b)에 전송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제2 영역(213b)에 전송된 제2 전송 데이터는,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2 영역(120b)에 전송된다.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2 영역(120b)에 전송된 제2 전송 데이터는, 그 제2 전송 데이터를 위한 PLC 디바이스에 격납된다.
유닛(32-0~32-2)의 각각에 있어서, 유닛 주요부(320)에 의해서 공유 메모리(321)에 격납된 제2 전송 데이터는, 공유 메모리(321)으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의 제2 영역(313b)에 전송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의 제2 영역(313b)에 전송된 제2 전송 데이터는,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2 영역(120b)에 전송된다.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제2 영역(120b)에 전송된 제2 전송 데이터는, 그 제2 전송 데이터를 위한 PLC 디바이스에 격납된다.
디바이스 영역(117)과 통신용 메모리(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마스터국(10)의 버스 시스템(버스 I/F(112), 버스(14), 및 버스 I/F(122))이 협동해 실행한다. 통신용 메모리(120)와 리모트국(20, 30)의 통신용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마스터 통신 유닛(12)의 네트워크 I/F(121), 네트워크(40)와 슬레이브 통신 유닛의 네트워크 I/F가 협동하여 실행한다. 또한, 리모트국(20, 30)에 있어서,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의 통신용 메모리와 일반 유닛의 공유 메모리(221, 32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의 버스 I/F, 백플랜이 제공하는 버스, 및 일반 유닛의 버스 I/F가 협동하여 실행한다.
제1 전송 데이터 및 제2 전송 데이터는, PLC 디바이스 단위로 전송된다. PLC 디바이스 단위의 데이터(이후, 단위 데이터라고 한다)를, 각 통신용 메모리 (120, 213, 313)의 어느 위치를 사용하여 전송할 지는, 제1 파라미터(116)에 의해서 PLC 디바이스마다 정의된다. 또한, 리모트국(20)의 통신용 메모리(213)의 단위 데이터마다의 각 위치와 공유 메모리(221)의 데이터마다의 각 위치의 대응 관계는, 제2 파라미터(216)에 의해서 정의된다. 또한, 리모트국(30)의 통신용 메모리(313)의 단위 데이터마다의 각 위치와 공유 메모리(321)의 데이터 마다의 각 위치의 대응 관계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에 유지되는 제2 파라미터에 의해서 정의된다. 덧붙여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에 유지되는 제2 파라미터에 부호(316)를 첨부한다.
도 4는, 리모트국 정보군(11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리모트국 정보군(115)은, 리모트국 정보(50) 및 리모트국 정보(60)를 포함한다. 리모트국 정보(50)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에 설정되는 리모트국 정보(50)와 동일하다. 리모트국 정보(60)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31)에 설정되는 리모트국 정보(60)와 동일하다. 리모트국 정보(50)는, 할당 룰(51)과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를 포함한다. 리모트국 정보(60)는, 할당 룰(61)과 할당 대상 지정 정보(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2 파라미터(216, 316)는, 리모트국(20, 30)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된다.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는, 유닛 주요부(220)가 입력하거나 출력하거나 하는 단위 데이터 중 PLC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대상의 단위 데이터의 지정을 기술한 정보이다. 마찬가지로, 할당 대상 지정 정보(62)는, 리모트국(30)에 있어서 유닛 주요부(320)가 입력하거나 출력하거나 하는 단위 데이터 중 PLC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대상의 단위 데이터의 지정을 기록한 정보이다.
도 5는,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각 단위 데이터의 공유 메모리(221) 내의 격납 위치는 단위 데이터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알파벳 「B」와 숫자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문자열은, 공유 메모리(221) 내의 번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는, 일반 유닛마다 공유 메모리(221)의 번지가 열기되어 구성되어 있다.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에 기재되어 있는 각 번지는, PLC 디바이스를 할당할 수 있는 대상이다. 또한,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에 있어서, 각 번지에는, 할당처가 제1 영역(213a)인 것을 나타내는 「RWw」, 또는 할당처가 제2 영역(213b)인 것을 나타내는 「RWr」, 의 어느 쪽이 대응되어 기록되고 있다. 덧붙여 본 도면의 예에 의하면, 각 번지에는, 「A/D 변환 허가/금지 설정」 등, 설명을 위한 부속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기록되고 있지만, 부속 정보는 기록되지 않아도 좋다.
도 6은, 할당 대상 지정 정보(6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할당 대상 지정 정보(62)도,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할당 룰(51)은,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는 각 번지를 통신용 메모리(213)의 단위 데이터마다의 영역에 대응시키는 룰을 기술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할당 룰(51)은, 장착되어 있는 슬롯의 슬롯 번호와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할당 룰(51)은,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와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에 의해서 할당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는 번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할당 룰(51)에는, 예를 들면, 장착되어 있는 슬롯의 슬롯 번호가 앞선만큼 통신용 메모리(213)에 있어서의 앞선 번지에 할당하는 것과 동시에,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에 의해서 할당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는 번지가 앞선만큼 통신용 메모리(213)에 있어서의 앞선 번지에 할당한다는 룰이 기술된다. 이후, 이 룰을 구체적인 예로서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할당 룰(61)은, 할당 룰(51)과 같이, 할당 대상 지정 정보(62)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는 각 번지를 통신용 메모리(313)의 단위 데이터 마다의 영역에 대응시키는 룰을 기술한 정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파라미터(116)와 제2 파라미터(216)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간의 대응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파라미터(116)는, 디바이스 영역(117)과 통신용 메모리(120) 사이의 대응 관계를 PLC 디바이스마다 기술한 정보인 마스터 할당 제 1 정보(1161)와, 통신용 메모리(120)와 통신용 메모리(213, 313)의 대응 관계를 PLC 디바이스마다 기술한 정보인 마스터 할당 제 2 정보(1162)를 포함하고 있다. 마스터 할당 제 1 정보(1161) 및 마스터 할당 제 2 정보(1162)에 있어서, 「~」는 중략을 의미한다. 이 마스터 할당 제 1 정보(1161)의 예에 의하면, PLC 디바이스 「D1000」는 통신용 메모리(120)의 번지 「RWw30」에 대응하고, PLC 디바이스 「D1001」는 통신용 메모리(120)의 번지 「RWw31」에 대응한다. 또한, 이 마스터 할당 제 2 정보(1162)의 예에 의하면, 통신용 메모리(120)의 번지 「RWw30」는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 「RWw0」에 대응하고, 통신용 메모리(120)의 번지 「RWw31」는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 「RWw1」에 대응한다. 즉, 제1 파라미터(116)에 의해서, 리모트국(20)이 구비하는 통신용 메모리(213)는, 연산 장치(110)가 유저 프로그램(113)에 기초하여 액세스 하는 PLC 디바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파라미터(216)의 예에 의하면,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 「RWw0」는 유닛(22-0)의 공유 메모리(221)의 번지 「B0」에 대응하고, 통신용 메모리(213)의 번지 「RWw1」는 유닛(22-0)의 공유 메모리(221)의 번지 「B1」에 대응한다. 덧붙여 유닛 주요부(220)가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데이터는, 데이터의 종류마다 공유 메모리(221) 내의 각각 다른 번지에 격납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1 파라미터(116) 및 제2 파라미터(216)가 적절히 설정됨으로써, 리모트국(20)의 데이터 전송용의 각 PLC 디바이스는, 리모트국(20)에 구비되는 유닛(22-0~22-2)의 공유 메모리(221)의 각 번지에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각 파라미터(116, 216)에 의해서,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PLC 디바이스와 유닛(22-0)~22-2의 공유 메모리(221)의 각 번지가 대응된다. 예를 들면, PLC 디바이스 「D1000」는, 유닛(22-0)의 공유 메모리(221)의 번지 「B0」에 대응되어져 있다. 또한, PLC 디바이스 「D1001」는, 유닛(22-0)의 공유 메모리(221)의 번지 「B1」에 대응되어져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1 파라미터(116)와 제2 파라미터(316)에 의해서 실현되는 메모리간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마스터 할당 제 1 정보(1161)에 의해서 디바이스 영역(117)과 통신용 메모리(120)가 대응되고, 마스터 할당 제 2 정보(1162)에 의해서 통신용 메모리(120)와 통신용 메모리(313)가 대응되고, 제2 파라미터(316)에 의해서 통신용 메모리(313)와 유닛(32-0~32-2)의 공유 메모리(321)가 대응된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PLC 디바이스와 유닛(32-0~32-2)의 공유 메모리(321)의 각 번지가 대응된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스터국(10)과 리모트국(20) 사이의 통신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과 마스터국(10)과 리모트국(30) 사이의 통신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마스터국(10)과 리모트국(20)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은, 제2 파라미터(216)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마스터국(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동작은, PLC(11)의 연산 장치(110)가 펌 웨어 프로그램(114)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우선,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PLC(11)의 메모리(111)에 설정된 리모트국 정보(50)를 리모트국(20)에 송신한다(S1). 그리고,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후술하는 S15의 처리에 의해서 리모트국(2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2 파라미터(216)를, 기다린다.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제2 파라미터(216)를 수신하면(S2),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를 백업 데이터인 제2 파라미터(216a)로서 PLC(11)의 메모리(111)에 기억하고(S3), 동작을 종료한다.
도 12는, 제2 파라미터(216)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리모트국(2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에 나타나는 동작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가 펌 웨어 프로그램(215)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마스터국(10)으로부터 리모트국 정보(50)를 수신하면(S11), 수신한 리모트국 정보(50)에 포함되는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를 참조함으로써, 공유 메모리(221) 내의 할당 대상의 번지를 유닛(22-0)~유닛(22-2)의 각각에 대해 특정한다(S12).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특정한 할당 대상의 번지를, 수신한 리모트국 정보(50)에 포함되는 할당 룰(51)에 기초하여 통신용 메모리(213)에 할당한다(S13).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할당 결과를 제2 파라미터(216)에 기록한다(S14).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제2 파라미터(216)를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메모리(211)에 격납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제2 파라미터(216)를 마스터국(10)에 송신한다(S15). 그리고, 리모트국(20)의 동작이 종료한다.
도 13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교환에 대비하기 위한 리모트국(2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에 나타나는 동작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가 펌 웨어 프로그램(215)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제2 파라미터(216)의 송신 타이밍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1). 제2 파라미터(216)의 송신 타이밍에 이르지 않은 경우(S21, No),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S21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덧붙여, 제2 파라미터(216)의 송신 타이밍의 판정 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이전에 S21, Yes로 판정한 후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S21, Yes로 판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마스터국(10)의 PLC(11)가 소정의 신호를 발행하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상기 신호를 검지했을 때, S21, Yes로 판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제2 파라미터(216)의 송신 타이밍에 이르렀을 경우(S21, Yes),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메모리(211)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파라미터(216)를 마스터국(10)에 송신한다(S22). 그 후,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마스터국(10)으로부터의 제2 파라미터(216a)의 수신을 기다려(S23), 마스터국(10)으로부터 제2 파라미터(216a)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24). 덧붙여 S23의 처리는,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시간만큼 계속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마스터국(10)으로부터 제2 파라미터(216a)를 수신했을 경우(S24, Yes), 메모리(211)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파라미터(216)를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a)로 덮어쓰기하여(S25), 동작을 종료한다.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연산 장치(210)는, 마스터국(10)으로부터 제2 파라미터(216a)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S24, No), S25의 처리를 스킵한다.
도 14는, 슬레이브 통신 유닛(21)의 교환에 대비하여 마스터국(10)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에 나타나는 동작은, PLC(11)의 연산 장치(110)가 펌 웨어 프로그램(114)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우선,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리모트국(20)으로부터 제2 파라미터(216)를 수신하면(S31), PLC(11)의 메모리(111)에 백업되어 있는 제2 파라미터(216a)와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32). 쌍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S32, No),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PLC(11)의 메모리(111)에 백업 되어있는 제2 파라미터(216a)를 리모트국(20)에 송신한다(S33). 그리고, 마스터국(10)의 동작을 종료한다. PLC(11)의 메모리(111)에 백업 되어있는 제2 파라미터(216a)와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가 일치하는 경우(S32, Yes), PLC(11)의 연산 장치(110)는, S33의 처리를 스킵해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1)에 의하면, 마스터국(10)의 PLC(11)는, 리모트국(20, 30)의 일반 유닛(유닛(22-0~22-2), 유닛(32-0~32-2))이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단위 데이터를 PLC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대상을 지정하는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 62)와 할당 룰(51, 61)을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에 송신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은, 수신한,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 62) 및 할당 룰(51, 61)에 기초하여, 일반 유닛(유닛(22-0~22-2), 유닛(32-0~32-2))이 입력하거나 출력하거나 하는 단위 데이터를 통신용 메모리(213, 313)에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에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마스터국(10)의 PLC(11)에 설정하는 것만으로 리모트국(20, 30)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므로, 마스터국(10)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과 리모트국(20, 30)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을 따로 따로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파라미터(제1 파라미터(116), 제2 파라미터(216, 316))의 설정을 간단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터국(10)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과 리모트국(20, 30)의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을 따로 따로 수동으로 실시하는 경우, 제1 파라미터(116)와 제2 파라미터(216, 316)가 정합하지 않는,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미스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리 마스터국(10)으로 설정된 할당 대상 지정 정보(52, 62) 및 할당 룰(51, 61)에 기초하여 리모트국(20, 30)에 대해 제2 파라미터(216, 316)가 자동적으로 생성되므로, 리프레쉬 디바이스의 할당 미스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국(10)의 PLC(11)는, 제2 파라미터(216, 316)의 백업 데이터인 제2 파라미터(216a, 316a)를 기억해, 리모트국(20, 30)의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은, 자신이 기억하는 제2 파라미터(216, 316)를 마스터국(10)의 PLC(11)에 송신한다. 마스터국(10)의 PLC(11)는,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 316)와 자신이 기억하는 백업 데이터인 제2 파라미터(216a, 316a)를 비교하여, 쌍방이 다른 경우에는, 제2 파라미터(216a, 316a)를 리모트국(20, 30)에 송신한다. 리모트국(20, 30)의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은, 제2 파라미터(216a, 316a)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제2 파라미터(216, 316)를 수신한 제2 파라미터(216a, 316a)로 덮어쓴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슬레이브 통신 유닛(21, 31)을 교환했을 경우에도, 제2 파라미터(216, 316)가 자동으로 갱신되므로, 유저가 제2 파라미터(216, 316)를 수동으로 갱신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1 제어 시스템, 10 마스터국,
11 PLC, 12 마스터 통신 유닛,
13-0~13-2, 22-0~22-2, 32-0~32-2 유닛,
14, 23, 118, 123, 217 버스, 20, 30 리모트국,
21, 31 슬레이브 통신 유닛, 40 네트워크,
50, 60 리모트국 정보, 51, 61 할당 룰,
52, 62 할당 대상 지정 정보, 110, 210 연산 장치,
111, 211 메모리, 112, 122, 212, 222 버스 I/F,
113 유저 프로그램, 114, 215 펌 웨어 프로그램,
115 리모트국 정보군, 116 제 1 파라미터,
117 디바이스 영역, 120, 213, 313 통신용 메모리,
120a, 213a, 313a 제 1 영역, 120b, 213b, 313b 제 2 영역,
121, 214 네트워크 I/F,
216, 216a, 316, 316a 제 2 파라미터,
220 유닛 주요부, 221, 321 공유 메모리,
1161 마스터 할당 제 1 정보, 1162 마스터 할당 제 2 정보.

Claims (8)

  1.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제1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제1 메모리 내의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상기 유저 프로그램이 각각 다른 논리 주소를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마스터국과,
    제2 처리부와,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서브 유닛과, 상기 제1 메모리와 상기 서브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버퍼와, 제2 메모리를 구비하며, 전송로를 통해서 상기 마스터국과 접속되는 리모트국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국은, 상기 제1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을 상기 제1 버퍼에 상기 논리 주소마다 대응시키는 제1 할당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1 이상의 데이터 중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제1 지정 정보와, 할당 룰을 지정하는 제2 지정 정보를 상기 제2 처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1 지정 정보 및 상기 제2 지정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상기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할당 룰에 따라 상기 제1 버퍼에 할당하고, 할당 결과를 제2 할당 정보에 기술하고 상기 제2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국은, 상기 제2 할당 정보의 백업 데이터가 격납되는 제3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2 처리부가 교환된 후,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할당 정보를 상기 제1 처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수신한 제2 할당 정보를 상기 제3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백업 데이터와 비교하여, 쌍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를 상기 제2 처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백업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백업 데이터로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제2 할당 정보를 덮어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국은, 상기 서브유닛이 접속되는 슬롯을 복수 개 구비하는 백플랜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할당 룰은, 상기 서브 유닛이 접속되는 슬롯의 식별 번호와 상기 제1 버퍼의 번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제2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할당 룰은, 상기 제2 버퍼의 번지와 상기 제1 버퍼의 번지의 대응 관계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제1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제1 메모리 내의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상기 유저 프로그램이 각각 다른 논리 주소를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마스터국으로서,
    상기 마스터국은, 제2 처리부와,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서브 유닛과, 상기 제1 메모리와 상기 서브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버퍼를 구비하는 리모트국과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고,
    상기 제1 메모리 내의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을 상기 제1 버퍼에 상기 논리 주소마다에 대응시키는 제1 할당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1 이상의 데이터 중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제1 지정 정보와, 할당 룰을 지정하는 제2 지정 정보를 상기 제2 처리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1 지정 정보 및 상기 제2 지정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할당 룰에 따라 상기 제1 버퍼에 할당하고,
    상기 마스터국은,
    상기 제1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데이터의 할당 결과를 기술한 제2 할당 정보의 백업 데이터가 격납되는 제2 메모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2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2 할당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수신한 상기 제2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와 비교하여, 쌍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백업 데이터를 상기 제2 처리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국.
  7.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처리부 및 제1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제1 메모리 내의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상기 유저 프로그램이 각각 다른 논리 주소를 사용하여 액세스하는 마스터국에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되는 리모트국으로서,
    제2 처리부와,
    1 이상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서브 유닛과,
    제1 메모리와 상기 서브 유닛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버퍼와,
    제2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1 이상의 데이터 중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제1 지정 정보와, 할당 룰을 지정하는 제2 지정 정보를 상기 제1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1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논리 주소의 할당 대상의 데이터를, 상기 제2 지정 정보가 지정하는 할당 룰에 따라서 상기 제1 버퍼에 할당하는, 할당 결과를 할당 정보에 기술하여 상기 할당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국.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국은, 상기 할당 정보의 백업 데이터가 격납되는 제3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2 처리부가 교환된 후,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 처리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처리부로부터 상기 백업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백업 데이터로 상기 제2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할당 정보를 덮어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국.
KR1020167001284A 2014-04-24 2014-04-24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 KR101672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1564 WO2015162754A1 (ja) 2014-04-24 2014-04-24 制御システム、マスタ局、およびリモート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72A KR20160021272A (ko) 2016-02-24
KR101672682B1 true KR101672682B1 (ko) 2016-11-03

Family

ID=5433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284A KR101672682B1 (ko) 2014-04-24 2014-04-24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77882B2 (ko)
JP (1) JP5908175B2 (ko)
KR (1) KR101672682B1 (ko)
CN (1) CN105393241B (ko)
DE (1) DE112014004709B4 (ko)
TW (1) TWI547779B (ko)
WO (1) WO2015162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6736B2 (ja) 2016-06-29 2018-07-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6993066B (zh) * 2017-02-28 2020-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WO2021014646A1 (ja) * 2019-07-25 2021-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生産支援装置、生産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62848B1 (ja) 2023-04-14 2024-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Plcシステム、リモートユニット、マスタ局、リモートユニット制御方法、マスタ局制御方法、リモートユニット制御プログラム及びマスタ局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148A (ja) 2011-02-24 2012-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7778A (en) * 1986-08-20 1992-10-2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it simulation using parallel processors including memory arrangements and matrix decomposition synchronization
JPH02116903A (ja) * 1988-10-27 1990-05-01 Toshiba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アドレス割付方式
US5404476A (en) * 1989-02-10 1995-04-04 Nec Corporation Multiprocessing system having a single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with reduced processor overhead
JPH03276358A (ja) * 1990-03-26 1991-12-06 Yokogawa Electric Corp カード構成管理装置
JPH08314875A (ja) * 1995-03-14 1996-11-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協調分散処理方法、および分散共有メモリ監視装置、分散共有メモリネットワーク追跡装置、分散共有メモリネットワーク設定支援装置
JP3688804B2 (ja) 1996-05-30 2005-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リモートシステム
JPH11161309A (ja) * 1997-12-01 1999-06-18 Hitachi Ltd 入出力制御装置
JP3364207B2 (ja) * 1998-04-27 2003-01-08 株式会社デジタル 制御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4032198B2 (ja) 1998-08-31 2008-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Plc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ターミナル
US7363353B2 (en) * 2001-07-06 2008-04-22 Juniper Networks, Inc. Content service aggregation device for a data center
US7305492B2 (en) * 2001-07-06 2007-12-04 Juniper Networks, Inc. Content service aggregation system
US7251698B2 (en) * 2002-05-28 2007-07-31 Newisys, Inc. Address space management in systems having multiple multi-processor clusters
US6954821B2 (en) * 2003-07-31 2005-10-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rossbar switch that supports a multi-port slav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5332336A (ja) 2004-05-21 2005-12-02 Yaskawa Electric Corp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および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の機器構成定義方法
US20060075057A1 (en) 2004-08-30 2006-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direct memory access system and method
JP4415981B2 (ja) 2005-09-09 2010-02-17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リモートターミナル装置
JP4910604B2 (ja) 2006-09-28 2012-04-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レーブ装置
JP4888718B2 (ja) 2007-06-29 2012-02-29 オムロン株式会社 分散型制御システム
JP5068151B2 (ja) * 2007-12-06 2012-11-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ノード間データ転送制御装置、ノード間データ転送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2548B2 (ja) 2008-02-07 2012-08-29 富士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5346726B2 (ja) 2009-07-24 2013-11-20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連設型センサ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及びセンサユニット
TWI406118B (zh) * 2010-03-01 2013-08-21 Powertech Technology Inc 動態設定控制規則之機台授權系統
JP5460556B2 (ja) * 2010-11-04 2014-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ユニット追加方法
CN102103518B (zh) * 2011-02-23 2013-11-13 运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在虚拟化环境中管理资源的系统及其实现方法
JP4877424B1 (ja) * 2011-03-15 2012-02-15 オムロン株式会社 Plcのcpuユニット、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plc用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8819170B2 (en) * 2011-07-14 2014-08-2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s
ES2723781T3 (es) * 2011-08-03 2019-09-02 Amadeus Sas Método y sistema para mantener consistencia fuerte de contenidos replicados distribuidos en un sistema de cliente/servidor
JP5611158B2 (ja) * 2011-09-05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中継制御装置、リンク間転送設定支援装置およびリンク間転送設定方法
DE112012006873B4 (de) * 2012-09-04 2022-09-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teiltes Ein-/Ausgabe-Steuersystem, verteiltes Ein-/Ausgabe-Steuerverfahren und Masterstation und Slavestation für verteiltes Ein-/Ausgabe-Steuersystem
US9208074B2 (en) * 2013-08-30 2015-12-08 Silicon Motion, Inc. Updating address mapping in sub-intervals in a flash memory data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148A (ja) 2011-02-24 2012-09-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93241A (zh) 2016-03-09
JP5908175B2 (ja) 2016-04-26
DE112014004709B4 (de) 2021-09-30
KR20160021272A (ko) 2016-02-24
US20160134475A1 (en) 2016-05-12
CN105393241B (zh) 2017-09-22
DE112014004709T5 (de) 2016-07-21
JPWO2015162754A1 (ja) 2017-04-13
TW201541207A (zh) 2015-11-01
US9577882B2 (en) 2017-02-21
WO2015162754A1 (ja) 2015-10-29
TWI547779B (zh)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682B1 (ko) 제어 시스템, 마스터국, 및 리모트국
JP2018073414A5 (ko)
CN110178117B (zh) 控制装置
US1116994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JP5611158B2 (ja) データ中継制御装置、リンク間転送設定支援装置およびリンク間転送設定方法
KR101336373B1 (ko) 아날로그 입력 시스템, 아날로그 출력 시스템, 및 아날로그 입출력 시스템
US1029625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90132277A1 (en) Slave device for performing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278716B (zh) Plc、网络单元、cpu单元、以及数据传送方法
JP2010134591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6981290B2 (ja) スレーブ装置、制御システム、レスポンスデータの通信方法、および、レスポンスデータの通信プログラム
JP5333138B2 (ja) 表示装置
JP5224923B2 (ja) 制御装置
US9317024B2 (en) Automation system
US8539122B2 (en) Submodule and method for exchanging peripheral data
CN114008601B (zh) 命令变换装置、方法及记录介质
US1111995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JP5752087B2 (ja) 制御装置、データ出力制御ユニット、データ入力制御ユニット、および制御ユニット
KR20140043401A (ko) AS-i 슬레이브를 파라미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580974A (zh) 在控制器的设备中存储规定地址的方法
WO2017208365A1 (ja) 制御装置
GB2587834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relay device
KR101637795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14146216A (ja) F/wアップデート方法
JP2016019059A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