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020B1 -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020B1
KR101671020B1 KR1020150050578A KR20150050578A KR101671020B1 KR 101671020 B1 KR101671020 B1 KR 101671020B1 KR 1020150050578 A KR1020150050578 A KR 1020150050578A KR 20150050578 A KR20150050578 A KR 20150050578A KR 101671020 B1 KR101671020 B1 KR 10167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rotein
cyclin
prese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685A (ko
Inventor
홍진태
이희범
함영완
김춘식
정헌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020B1/ko
Priority to PCT/KR2016/003696 priority patent/WO2016163799A2/ko
Priority to US15/564,027 priority patent/US10166203B2/en
Priority to CN201680021186.6A priority patent/CN107530300A/zh
Publication of KR2016012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의 항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 비트로 및 이종이식 동물모델에서 암세포와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에서 전사인자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하며,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력한 항암제의 활성성분으로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2-Methoxy-4-(3-(4-Methoxyphenyl)Prop-1-en-1-yl)Phenol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MMPP)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NF-κB는 염증반응 조절, 면역체계 조절(immune modulation), 세포사멸(apoptosis), 세포증식, 상피세포의 분화(epithelial differentiation)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군(protein family)으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며 세포 내의 신호전달 체계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NF-κB는 염증, 면역 반응의 신호전달물질뿐만 아니라 세포증식, 세포사멸, 세포주기에 관계된 중요한 물질들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NF-κB활성화 경로의 조절장애가 발생하면 이러한 매개물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자가면역 질환과 유사한 상태가 된다. 또한, 세포증식, 생존에 관계된 유전자와 혈관형성, 전이에 관계된 유전자의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NF-κB는 종양원성표현형(oncogenic phenotype)의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항암 치료 후 증가된 NF-κB활성은 세포사멸 억제를 유발하여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볼 때 NF-κB의 지속적인 발현은 종양의 생성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NF-κB의 활성도가 상피세포암종이나, 암종 세포주, 림프종 등에서 증가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고 이는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세포의 증식률과 전이가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NF-κB가 활성화된 종양의 경우 항암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다중 약제 내성을 유발하는 p-글리코프로테인(P-glycoprotein)이 NF-κB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로 생각되고 있다. 반면 섬유육종이나 대장, 직장암 세포주에서 NF-κB의 활성화 억제는 세포사멸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치료에 대한 좋은 결과를 보이게 하였다. NF-κB의 활성화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COX-2와 iNOS을 통하여 혈관을 증식시키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 플라스미노젠 활성제(plasminogen activator), 헤파리나제(heparinase) 등을 통하여 종양의 침윤 및 전이에 관여한다.
한편, NF-κB와 함께 STAT3 또한 염증성 및 면역 반응과 관련된 중요한 전사인자이다.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3)는 활성화되지 않은 형태로 세포질(cytoplasm)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DNA 결합 인자'라고 불리는 그룹의 일부로 DNA 염기서열에 결합하며, DNA에 있던 유전정보를 RNA로 옮기는 전사(transcription)의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STAT3의 활성화는 다양한 성장인자(growth factors)와 사이토카인(cytokines)에 의해 STAT3 전사활성 도메인(transactivation domain) 내의 타이로신 잔기(tyrosine residue)가 인산화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인산화된 STAT3(p-STAT3)가 핵(nucleus) 안으로 들어가 염증 반응 및 종양 형성에 관련된 광범위한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 상기 STAT3 및 관절염과의 연관성과 함께, STAT3는 암 발생 기전 및 치료에도 영향을 미친다. STAT3는 암의 개시 및 촉진에 관여된 유전자를 조절하는 유일한 분자로 STAT3는 암 발생 진행단계 제일 첫 단계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TAT3는 전사인자 단백질로 STAT3 역할은 상처치료 외에 종양생성과 연관되어 있는데 건강한 세포가 분화하도록 외부 신호를 부적절하게 보냄으로써 암으로 이끄는 신호변환 활성 인자라 할 수 있다. Yu H. 등은 STAT3의 지속적인 활성은 종양을 촉진시키는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상시 활성화된 STAT3와 다소의 STAT5는 항종양 면역작용을 억제시키는 동안 종양세포의 증식, 생존 및 침윤을 증가시킨다고 개시하고 있다. 즉, 일시적인 염증신호가 NF-kB, Lin28, Let-7, IL-6 같은 양성 되먹임 루프를 통해 비변형 세포를 암세포로 바꾸는 후성적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IL-6에 의해 활성화된 STAT3 전사인자는 PTEN(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및 CYLD(cylindromatosis) 종양 억제 인자들을 억제시키는 miR-21, miR-181b-1과 같은 microRNA를 직접 활성화시켜 NF-kB활성 증가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miR-21, miR-181b-1, PTEN, CYLD와 같은 사이토카인들로 염증을 암으로 연결시키는 후성학적 스위치의 기저가 되는 양성 되먹임 루프의 한 부분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STAT3이다.
이와 더불어, STAT3는 대장암, 결장암,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을 포함한 광범위한 종양에서 상시 활성화되어 있는데, 이는 종양세포가 성장을 지속하고, 세포사멸(apoptosis)를 피하기 위해 STAT3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1. Son, D.J., et al.,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006, 317, 627-634. 2. Ban, J.O., et al.,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07, 104, 374-383.
본 발명자들은 NF-κB, IKK 및 STAT3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는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고, 이 화합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합물이 암세포에서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저해하고,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며,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인 비트로(in vitro) 및 이종 이식 동물모델에서 암 세포와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5034997530-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분자식이 C17H18O3이며 정식명칭은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MMPP”로 약칭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의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한다.
상기 STAT3는 STAT 패밀리의 일원 단백질로서, 사이토카인(cytokine) 또는 성장인자(growth factor)에 반응하여 유전자의 전사(transcription)를 활성화시키는 전사 활성자(transcription activator)로 작용한다.
상기 STAT3 단백질은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활성화되어 있고, 암세포의 증식이나 침윤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사멸 유도성(pro-apoptotic)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항-세포사멸성(anti-apoptotic)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사멸 유도성 단백질은 절단된 caspase-3, 절단된 caspase-8 또는 Bax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세포사멸성 단백질은 Bcl-2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포주기(cell cycle)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은 Cdk (cyclin-dependent kinase)2, Cdk(cyclin-dependent kinase)4, Cdk(cyclin-dependent kinase)6, cyclin B1, cyclin D1, 또는 cyclin E1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치료 대상 질병인 암(cancer)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윤적(invasive) 특성, 및 체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 대상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결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또는 골수암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 상기 설명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약학적 활성성분으로서 생체내로 투여되었을 때 실질적인 항암 효과를 발휘하기에 충분하고 적합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사람에게 투여되었을 때 알레르기반응이나 이와 유사한 불리한 반응을 야기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 기간, 질환의 위중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의 항암 용도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 비트로 및 이종이식 동물모델에서 암세포와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ⅲ)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에서 전사인자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하며, 세포 주기 조절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ⅳ)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력한 항암제의 활성성분으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은 SW480 세포주의 성장이 MMPP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된 결과를 보여준다. 상단 오른쪽 패널은 SW480 세포의 성장이 MMPP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된 결과를 세포사진으로 보여준다. 하단 오른쪽 패널은 결장암세포주인 SW480에 대한 MMPP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2는 MMPP에 의해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들과 세포사멸 신호 단백질들의 발현이 변화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의 패널 A의 상단은 MMPP에 의하여 세포주기 조절 신호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의 패널 A의 하단은 세포 사멸 유도성 단백질(pro-apoptotic protein)의 발현이 증가한 결과와 항-세포사멸 단백질(anti-apoptotic protein)발현이 감소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의 패널 B는 MMPP에 의해 STAT3의 DNA 결합 활성이 저해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이종이식 모델에서 MMPP가 결장암 성장을 저해한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방법
1. 세포 배양
인간 결장암 세포주인 SW480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10% 열-비활성화 우태아 혈청(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 U/mL)이 첨가된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 배지(Gibco-BRL)에서 37℃에서 5% CO2로 습화된 분위기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실험을 위하여 100mm 배양접시(culture dish)에 4 x 105 세포(cells)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2. MTT 분석을 이용한 세포 생존능 분석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2-methoxy-4-(3-(4-methoxyphenyl)prop-1-en-1-yl)phenol, MMPP]가 세포의 생존능에 미치는 영향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이용한 비색적(colorimetric) 및 대사적(metabolic) 활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세포를 96-웰(well) 플레이트에 1 x 104 세포/웰(cells/well)로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2.5 - 10μg/㎖의 MMPP 또는 MMPP의 용매인 DMSO(dimethyl sulfoxide)로 처리하였다.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MMPP가 포함된 배지를 제거하고, 100 ㎕의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1.5 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가 포함된 배지를 제거하고 200 ㎕의 DMSO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에, 플레이트의 발색반응이 균일해질 때까지 플레이트를 약한 강도로 교반하였다. 비색평가(colorimetric evaluation)는 540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 웨스턴 블럿 분석
전세포(whole cell)의 용해물(lysate), 세포질 추출물(cytosolic extract) 및 핵 추출물(nuclear extract)을 수득하였다. SDS-PAGE와 웨스턴 블럿 분석은 공개된 문헌 1과 문헌 2에 기재된 바에 따라 수행하였다[1, 2]. 간략히 설명하면, 6-웰 플레이트에 5 x 105 세포/웰의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들을 MMPP 또는 DMSO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세포들을 PBS로 2회 세척하고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의 단백질들은 10-15% SDS-PAGE 상에서 분리하였다. 단백질들을 PVDF 멤브레인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PVDF 멤브레인은 5% 탈지분유를 포함하는 TBS/T-버퍼로 2.5시간 동안 상온에서 블로킹(blocking)하였다. 상기 단백질들이 이동된 멤브레인은 Cdk(cyclin-dependent kinase)2, Cdk(cyclin-dependent kinase)4, Cdk(cyclin-dependent kinase)6, cyclin B1, cyclin D1, cyclin E1, Bcl-2, Bax, caspase-3, caspase-8, STAT3, phspho-STAT3, β-actin 및 histone h1에 대한 생쥐 단일클론 항체를 제1차 항체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단백질의 발현은 화학발광시약(chemiluminescence reagent, Amersham Pharmacia Biotech, Inc., Buckinghamshire, UK)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였으며, CCD 카메라(Fusion-FX, Fisher BioTech, Ltd., Wembley, Australia)가 장착된 디지털 화학발광 이미징 시스템(digital chemiluminescence imaging system)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4. EMSA를 이용한 STAT3의 DNA 결합 활성 분석
STAT3의 DNA 결합 활성은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세포들을 100 mm 배양접시에서 37℃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어서 MMPP 또는 DMSO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뒤, 세포를 차가운 PBS로 3번 세척하고 EMSA 실험을 위한 핵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DNA-단백질의 결합 밴드의 상대 진하기는 농도계(densitometry)로 스캔한 후 Lab Works 4.0 스프트웨어(UVP Inc., Upland, CA, US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5. 이종이식 동물모델의 항암활성연구
6주령 BALB/c 무흉선 누드 마우스(athymic nude mouse)는 Japan SLC로부터 구입하였다. 생쥐들을 미국실험동물인증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Accreditation of Laboratory Animal Care)에서 인증한 무균환경과 한국식품의약품 안전청이 정한 기준과 법령에 따라 사육하고 관리하였다. 인간 결장암 세포주 SW620을 27-게이지 바늘(gauge needle)을 이용하여 숙주 생쥐들의 하부 옆구리에 피하 주사를 통해 주입하였다(1 x 107 암세포/0.1㎖ PBS/동물). 20일 후 종양의 평균 부피가 300-400 mm3이 되면, 종양을 가지고 있는 생쥐들에게 0.01% DMSO에 녹인 MMPP을 3주간 주당 2회씩 복강주사를 통해 주입(2.5 mg/kg 및 5 mg/kg)하였다. 0.01 mol/L의 DMSO를 처리한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생쥐들의 무게와 종양의 부피는 주당 2회씩 관찰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로 측정한 후 계산식: (A× B2)/2에 의해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상기 계산식에서 A와 B는 각각 종양의 긴 길이와 짧은 길이를 의미한다. 실험의 마지막에 생쥐들은 경추파열법(cervical dislocation)으로 희생하였다. 종양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과 피부로부터 분리하여 절제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 인간 결장암세포의 성장에 대한 MMPP의 영향
SW480 세포를 사용하여 인간 결장암 세포의 성장에 대한 MMPP의 억제적 효과를 실험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MPP (2.5-10 μg/㎖)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MMPP는 농도 의존적으로 SW480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이때 IC50 값은 5.9μg/㎖ 이었다. 또한, MMPP는 SW480 세포의 대조군에 비해 세포밀도(cell density)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MMPP가 결장암세포의 성장에 대한 강한 억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세포주기 조절 신호와 세포 사멸 신호에 대한 MMPP의 효과
MMPP의 결장암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의 기초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MMPP 처리가 SW480 세포에서 세포주기 조절 및 세포사멸 신호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도 2의 패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PP의 처리는 세포주기 조절 신호 단백질들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MMPP는 세포사멸 유도성 단백질(pro-apoptotic protein)인 절단된 caspase-3, 절단된 caspase-8 및 Bax의 발현을 증가시킨 반면, 항-세포사멸 단백질(anti-apoptotic protein)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켰다(도 2의 패널 A).
3. MMPP의 STAT3 DNA 결합 활성에 대한 효과
MMPP가 STAT3와 반응하여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W480 세포에 MMPP를 1시간 동안 노출시키고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MMPP가 SW480 세포에서 STAT3의 DNA 결합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의 패널 B).
4. 이종이식 모델에서 MMPP의 결장암 성장에 대한 효과
인 비보(in vivo) 에서의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종이식된 결장암을 가지고 있는 누드 마우스에 MMPP를 처리하고 종양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SW480 이종 이식된 마우스 연구에서, 종양의 부피가 100-300 mm3인 생쥐에 3주 동안 일주일에 2회씩 MMPP를 복강주사를 통해 주입하였다. 2.5 mg/kg 및 5 mg/kg의 MMPP가 처리된 생쥐의 종양 부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65% 및 35%이었다(도 3). 인 비트로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상기 결과들은 MMPP가 인 비보(in vivo)에서도 결장암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제학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34997530-pat0000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의 DNA 결합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암세포에서 세포사멸 유도성(pro-apoptotic)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사멸 유도성 단백질은 절단된 caspase-3, 절단된 caspase-8 또는 Bax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암세포에서 항-세포사멸 단백질(anti-apoptotic protein)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항-세포사멸 단백질은 Bcl-2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은 Cdk(cyclin-dependent kinase)2, Cdk(cyclin-dependent kinase)4, Cdk(cyclin-dependent kinase)6, cyclin B1, cyclin D1, 또는 cyclin E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결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및 골수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50578A 2015-04-10 2015-04-10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7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578A KR101671020B1 (ko) 2015-04-10 2015-04-10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16/003696 WO2016163799A2 (ko) 2015-04-10 2016-04-08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5/564,027 US10166203B2 (en) 2015-04-10 2016-04-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including 2-methoxy-4-(3-(4-methoxyphenyl)prop-1-en-1-yl)phenol as active ingredient
CN201680021186.6A CN107530300A (zh) 2015-04-10 2016-04-08 将2‑甲氧基‑4‑(3‑(4‑甲氧基苯基)丙‑1‑烯‑1‑基)苯酚作为有效成分的癌的治疗用药剂学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578A KR101671020B1 (ko) 2015-04-10 2015-04-10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685A KR20160121685A (ko) 2016-10-20
KR101671020B1 true KR101671020B1 (ko) 2016-11-02

Family

ID=5707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578A KR101671020B1 (ko) 2015-04-10 2015-04-10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6203B2 (ko)
KR (1) KR101671020B1 (ko)
CN (1) CN107530300A (ko)
WO (1) WO20161637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51B1 (ko) * 2015-04-09 2016-12-19 주식회사 중헌제약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SG11202106690QA (en) 2019-02-08 2021-07-29 Dewpoint Therapeutics Inc Methods of characterizing condensate-associated characteristics of compounds and uses thereof
CN114173879A (zh) * 2019-05-15 2022-03-11 怀特黑德生物医学研究所 表征和利用药剂-凝聚物相互作用的方法
CN110563563B (zh) * 2019-08-30 2021-06-25 四川大学 一种查耳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22548695A (ja) 2019-09-18 2022-11-21 デューポイント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凝縮体関連特異性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3777D0 (en) 2001-10-03 2001-11-21 Cancer Res Ventures Ltd Substituted chalcones as therapeutic agents
WO2005112965A2 (en) * 2004-05-20 2005-12-0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otanical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146810B1 (ko) 2010-01-27 2012-05-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잔토휴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사선 항암치료 감수성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advances, 2014, vol. 4, pp. 35171~3518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799A3 (ko) 2016-12-01
US20180133168A1 (en) 2018-05-17
CN107530300A (zh) 2018-01-02
KR20160121685A (ko) 2016-10-20
US10166203B2 (en) 2019-01-01
WO2016163799A2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020B1 (ko) 2-메톡시-4-(3-(4-메톡시페닐)프로프-1-엔-1-일)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uo et al. Inhibitory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on the growth of C6 glioma cells in vitro and in vivo
Pennati et al. Ribozyme-mediated down-regulation of survivin expression sensitizes human melanoma cells to topotecan in vitro and in vivo
US8252835B2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estrogen receptor-related diseases
US9090583B2 (en) Benzopyrone estrogen receptor regulator
US9221781B2 (en) Synthesis of polyhydroxy chromenone compounds and their anti-tumor effects
WO202019871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comprising inhibitors of the androgen receptor and uses thereof
WO2010063471A1 (en) Inhibitors of hif-1 protein accumulation
Hsu et al. Aryl hydrocarbon receptor promotes hepatocellular carcinoma tumorigenesis by targeting intestine‐specific homeobox expression
US1091860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hritis or 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2-methoxy-4-(3-(4-methoxyphenyl)propyl-1-en-1-yl)phenol as active ingredient
JP6621544B2 (ja) Fstl1タンパク質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癌または癌転移の予防及び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Wang et al. Inhibition of monoacylglycerol lipase restrains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tumor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in cervical cancer
Kumar et al. Psoralidin, an Herbal Molecule, Inhibits Phosphatidylinositol 3-Kinase–Mediated Akt Signaling in Androgen-Independent Prostate Cancer Cells
JP2019014685A (ja) 抗がん剤
Naidu et al. P53 enhances ascorbyl stearate-induced G2/M arrest of human ovarian cancer cells
KR100812032B1 (ko) 3,4-디히드로이소퀴놀리늄 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암제
KR101741046B1 (ko) 항암 효과, 방사선 병용치료 효과 및 당뇨병 치료 효과를 갖는 신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KR101804248B1 (ko) Fstl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9201B1 (ko) 2,6-Dibenzyl-4-chlorophenol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04241B1 (ko) Fstl1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전이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28496B1 (ko) Fstl1 단백질을 이용한 암 또는 암 전이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KR101600579B1 (ko) 피라졸 아마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274203A1 (zh) 一种含氮多环类芳香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10037516A (ko)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