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689B1 -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689B1
KR101670689B1 KR1020150058789A KR20150058789A KR101670689B1 KR 101670689 B1 KR101670689 B1 KR 101670689B1 KR 1020150058789 A KR1020150058789 A KR 1020150058789A KR 20150058789 A KR20150058789 A KR 20150058789A KR 101670689 B1 KR101670689 B1 KR 10167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resent
rubber composition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피씨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케이(주) filed Critical 피씨케이(주)
Priority to KR102015005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열차의 제동을 위한 제동시스템 등의 에어가 필요한 장치로 이동하는 파이프의 연결부에서 씰링 역할을 하는 가스켓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O형 가스켓은 제동시스템의 에어컴프레셔의 연결 파이프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내한성, 고인열성, 내압성, 내유성 등의 물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 GASKET RUBBER COMPOSITION FOR BRAKING SYSTEM }
본 발명은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컴프레셔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열차의 제동을 위한 제동시스템 등의 에어가 필요한 장치로 이동하는 파이프의 연결부에서 씰링 역할을 하는 가스켓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산업적 고무의 정의는 열 및 적합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항구적인 형태로 재성형할 수 없는 열경화성 고무를 말하나, 광의적 의미로 본다면 실온에서 상당히 작은 응력으로 큰 변형을 일으키고, 응력이 제거된 후 그 변형으로부터 급속하게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고분자 이외의 유기화학적 유도체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이는 가황성형에 적용되는 NR, BR, EPDM, SBR, NBR 등의 열경화성 고무와 플라스틱 소재와 같은 성형 공정에 적용 가능한 열가소성 탄성체(TPE)를 고무 소재로 본다는 것이다.
한편 제동시스템에는 여러 고무부품이 적용되며, 각각의 고무부품은 내열성 및 내브레이크액성과 조건에 따라 내그리스성, 내한성, 내구성 등이 요구되며 소재적으로는 주로 EPDM, NBR, SBR 등이 사용된다.
제동장치는 운전 중 수시로 작동되는 장치로, 모든 부품이 가혹한 반복내구를 만족하여야 하며, 부품들이 엔진주변에 장착되어 고온조건과 혹한 지역에서의 내한조건에서의 작동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온과 저온의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반복 내구를 만족하는 소재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가스켓 또한 고온조건과 혹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한성, 고인열성, 내압성, 내유성, 내한성 등의 물성을 갖춰야한다.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은 하기와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0488878호에서는 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40~43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0.5~0.8 중량부, 커플링제 4~6 중량부, 퍼옥사이드계 가류제 0.7~1.2 중량부, 파라핀계 오일 23~28 중량부 및 실리카계 충진제 2~5 중량부가 함유되어 있는 액상가스켓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9947호에서는 강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크로메이트 피막 또는 비-크로메이트 피막, 페놀수지 프라이머층,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이 해당 강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폴리올 가교 불소 고무층은 불소 고무와 폴리올계 가교제와 아민계 가교 촉진제와 실리카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해당 페놀수지 프라이머층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얻어지는 고무층이며, 해당 아민계 가교 촉진제가, 3급 아민, 또는 3급 아민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3급 아민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용 소재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가스켓용 소재들은 연료전지용 가스켓, 차량엔진용 가스켓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동시스템용 가스켓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제동시스템 등의 에어가 필요한 장치로 이동하는 파이프의 연결부에서 씰링 역할을 하는 가스켓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고무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였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내한성, 고인열성, 내압성, 내유성을 가진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5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2 중량부, 노화방지제 1~4 중량부, 아연화제 5~10 중량부, 가공조제 1~3 중량부, 가교조제 1~2 중량부, 가소제 5~1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21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7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으로는 입자경이 26~30 nm인 카본블랙 HAF 및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HAF 및 카본블랙 FEF은 1:1 ~1.3: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로는 저온용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화방지제로는 2-메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중합성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로는 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로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로는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연화제로는 산화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동시스템용 O형 가스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스템용 O형 가스켓을 제조하기 위한 고무조성물은 우수한 내한성, 고인열성, 내압성, 내유성을 나타냄으로써 가혹한 반복내구를 만족하여야 하며, 고온조건과 혹한 지역에서 작동되는 제동장치에 적용되는 O형 가스켓을 제조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동시스템용 O형 가스켓은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내한성도 우수하여 고온조건과 혹한 지역에서 작동되는 제동장치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은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5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2 중량부, 노화방지제 1~4 중량부, 아연화제 5~10 중량부, 가공조제 1~3 중량부, 가교조제 1~2 중량부, 가소제 5~1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무 원료로서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한다.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에 선택적이고 조절된 수소첨가 반응을 시켜 제조된다. 수소첨가의 정도는 촉매양과 반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기 알려진 불포화도의 양(이중결합)과 니트릴측쇄기(-C=N)을 가진 폴리 메틸렌 주쇄로 구성되어 있다. 고포화된 폴리메틸렌 주사슬은 내열성과 내오존성이 아주 우수하고 니트릴기는 오일과 연료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한다. 수소첨가 반응의 결과, 수소 첨가의 정도가 높을수록 내열성과 내오존성은 향상된다.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니트릴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물유계 오일에 대한 팽윤은 작아지지만 일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대비 저온유연성의 손실 정도는 놀라울 정도로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로 얻어진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내유성과 저온유연성의 균형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2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7 중량%인 것이 기계적 물성과 내한성 향상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에서 최적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조절하기 위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1 중량%인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 중량%인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예를 들어 65:3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에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1 중량% 초과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의 내유성은 우수하나 내한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에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 중량% 미만인 경우 내한성은 우수하나 내유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본블랙으로는 입자경이 26~30 nm인 카본블랙 HAF 및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를 사용한다.
상기 26~30 nm인 카본블랙 HAF는 적당한 보강성, 인장강도, 모듈러스, 신장율의 특징으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며,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는 압출시 수축변형이 작고 평활한 표면이 얻어질 수 있고, 발열이 낮고 열전도가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본 블랙으로서 입자경이 26~30 nm인 카본블랙 HAF를 사용함으로서 인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를 사용함으로써 압축영구줄음율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카본 블랙은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자경이 26~30 nm인 카본블랙 HAF 및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은 1:1~1.3:1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상술한 물성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혼합하여 유연성, 가공성 등을 개선할 목적으로 고무 분자간의 윤활제로 작용하여 폴리머의 완화 현상을 촉진하는 약품으로써 역할을 하며, 상기 고무 원료와 상용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와 사용성이 우수한 저온용 가소제, 예를 들어 헥산디올산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은 상기 저온용 가소제를 포함함으로써 내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한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노화방지제로는 내열노화방지제, 예를 들어 2-메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중합성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을 1:1~1:2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내열노화방지제가 포함됨으로서 고온에서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노화방지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는 아연화제 예를 들어 산화아연(ZnO)이 포함되어 기계적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는 포함되는 아연화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공조제로는 예를 들어 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가공조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가공조제가 상술한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배합한 후 생지 흐름이 향상되고 가공성이 개선되며 유체성이 우수하여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공조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가공조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가공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금형 오염이 발생되거나 성형 고무 표면에 흐름줄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조제로는 예를 들어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상기 가교조제가 포함됨으로써 가교 밀도를 높여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에서 빠른 경화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조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가교제가 포함됨으로써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를 서로 화학 결합시켜 그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로는 퍼옥사이드계 가교제 예를 들어 디큐밀 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금속, PVC 등과 접촉시 가교된 제품의 색상 변화가 없고, 블루밍(blooming) 현상이 없으며, 포화 및 불포화 고무의 동시 가교가 가능하다. 상기 퍼옥사이드계 가교제는 경도 및 강조 조절을 위한 다른 첨가제와도 공중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상기 가교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아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신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가교 시간에 따라 스코치(scorch)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포함되는 스테아린산은 연화제 및 윤활제 역할을 하며 또한 아연화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스테아린산은 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의 성분을 3L KNEADER(우성기공)를 사용하여 고무 혼련을 실시하였고, 8" Roll(봉신중기)을 사용하여 가교제를 촉입하고 시트를 가공하였다. 노화방지제로는 2-메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중합성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1:1 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하였고, 아연화제로는 산화아연을 사용하였고, 가공조제로는 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였고, 가교조제로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는 헥산디올산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시험편은 시편금형(140X80X2)에 의해 시편프레스로 제작하였고, 시험편의 가교 조건은 1차 가교로 시편프레스에 190℃에서 8분 동안 성형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시험편을 공기순환식 오븐에서 150℃에서, 2시간 동안 2차 가교를 실시하였다.
성분 사용함량(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HNBR
ACN%=21
0 10 20 30 35 35
HNBR
ACN%=19
100 90 80 70 65 65
카본블랙 FEF 30 30 30 30 30 35
카본블랙 HAF 33 35 35 35 35 35
스테아린산 1 1 1 1 1 1
노화방지제 2 2 2 2 2 3
아연화제 5 5 5 5 5 7
가공조제 1 1 1 1 1 1
가교조제 1.2 1.2 1.2 1.2 1.2 1.2
가소제 8 9 9 10 10 15
가교제(퍼옥사이드계) 8 8 8 8 8 8
총합 189.2 192.2 192.2 193.2 193.2 206.2
HNBR: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ACN%: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시험예 1 - 물성측정시험
하기 물성측정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배합된 고무 조성물 시편에 대해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측정방법
- 경도 (KS M6518)
측정범위 : Shore A 경도계는 비교적 부드러운 탄성체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시험 방법은 경도계 아래 함침을 하여서 특정시간 및 특정 강도 하에서 진행된다.
- 인장강도신율 (KS M6518)
측정범위 : 본 시험은 시편이 파괴되는 데까지 걸리는 힘과 늘어나는 길이를 측정한다.
- 영구압축줄음율 (KS M6518)
측정범위 : 영구압축줄음율은 일정한 압축힘을 특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부여한 후에 탄성체의 탄성 유지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실험 규격은 탄성체의 영구압축변형율에 유용한 규격법이다.
- 노화시험 (KS M6518)
측정범위 : 고무의 열에 의한 노화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가열한 후 경도, 인장강도, 신율 등을 측정하고, 가열처리 전에 대한 이들 수치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시험을 한다.
- 내유시험 (KS M6518)
측정범위 : 고무의 오일에 대한 침지 전후의 치수, 질량, 부피 및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 내한시험(TR-10 시험)
시편을 50% 신장 시킨 후 -70℃에서 10분간 시편을 침적시킨 후 1℃ 승온시키면서 신장시킨 길이의 10%를 회복하는 온도를 측정한다.
재료기호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Spec'
가류조건 (Press)
℃/min
180/8 180/8 180/8 180/8 180/8 180/8
(Post) ℃/h 150/2 150/2 150/2 150/2 150/2 150/4
Hs (쇼아 A) 70 71 71 70 70 70 70±5
Tb (kgf/cm2) 191 195 204 201 211 230 200
Eb (%) 201 195 189 190 205 254 200
TR (kgf/cm) 41 45 42 42 44 45 40
노화시험 (Points) +5 +4 +4 +3 +5 +4 ±5
125 (Tb)(%) +7 +2 -8 -10 -4 +2 -25
70 h (Eb)(%) -30 -21 -15 -17 -18 -11 -40
CS 125℃ 70 h 25 24 22 22 21 15 25
ASTM No.1 (Points) +5 +4 +3 +3 +4 +3 ±5
125℃ (Tb)(%) +6 -4 -10 -15 -5 -5 -25
70 h (Eb)(%) -29 -25 -18 -20 -21 -17 -30
△V (%) -2 -1.5 -0.8 0.1 -0.2 +0.5 0~+5
H2O (Points) -5 -4 -4 -3 -3 -3 ±5
80℃, 70h △V (%) +12 +8 +9 +7 +4 +5 ±10
내한시험 TR-10(℃) -46 -47 -48 -48 -49 -52 -50
일반적으로 공기압력용 O형 가스켓의 표준재료는 KS B 2805 1종 A 이며, 상기 표 2의 기준(Spe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도 70± 5, 인장강도 100 이상, 신율 250 이상, 노화(120, 70시간) 경도변화 최대+10, 인장강도변화율 최대 -15%, 신율변화율 최대 -45%, 압축영구줄음율(120℃, 70시간) 최대 40%, 내유(No.1, 120℃, 70시간) 경도변화 -5~+8, 인장강도변화율 최대 -15%, 신율변화율 최대 -40%, 체적변화율 -8~+5, 내유(No.3,120℃,70시간) 경도변화 -15~0, 인장강도변화율 최대 -25%, 신율변화율 최대 -35%, 체적변화율 0~+20 저온굽힘 -30~-35℃, 5시간이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시편은 내열 특성뿐만 아니라 내한(혹한지) -50℃에서도 사용가능한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최고치의 물성과 유사 또는 동등 이상의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65~70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인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30~35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5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2 중량부, 노화방지제 1~4 중량부, 아연화제 5~10 중량부, 가공조제 1~3 중량부, 가교조제 1~2 중량부, 가소제 5~15 중량부 및 가교제 5~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21 중량%이고,
    상기 카본블랙은 입자경이 26~30 nm인 카본블랙 HAF과 입자경이 40~48 nm인 카본블랙 FEF은 1:1~1.3:1 중량비이고,
    가소제는 헥산디올산 비스[2-(2-부톡시에톡시)에틸]에스테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7 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방지제는 2-메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중합성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메트캅토벤즈이미다졸 및 중합성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은 1:1~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포화 지방산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및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화제는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고무 조성물.
  14. 제1항, 제3항,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스켓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동시스템용 O형 가스켓.
KR1020150058789A 2015-04-27 2015-04-27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KR10167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89A KR101670689B1 (ko) 2015-04-27 2015-04-27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789A KR101670689B1 (ko) 2015-04-27 2015-04-27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689B1 true KR101670689B1 (ko) 2016-10-31

Family

ID=5744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789A KR101670689B1 (ko) 2015-04-27 2015-04-27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66B1 (ko) * 2021-03-25 2022-09-21 (주)디엔테크 탄성회복 특성이 우수한 오링용 니트릴 고무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639A (ja) * 2000-09-05 2002-03-19 Nok Corp 水素化ニトリルゴム組成物
JP2008195881A (ja) 2007-02-15 2008-08-28 Nok Corp 水素化nbr組成物
JP2010031151A (ja) * 2008-07-29 2010-02-12 Fujikura Rubber Ltd ゴム組成物及びシール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639A (ja) * 2000-09-05 2002-03-19 Nok Corp 水素化ニトリルゴム組成物
JP2008195881A (ja) 2007-02-15 2008-08-28 Nok Corp 水素化nbr組成物
JP2010031151A (ja) * 2008-07-29 2010-02-12 Fujikura Rubber Ltd ゴム組成物及びシール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66B1 (ko) * 2021-03-25 2022-09-21 (주)디엔테크 탄성회복 특성이 우수한 오링용 니트릴 고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9050B1 (en) Crosslinkable nitrile rubber composition and crosslinked rubber product
TWI550004B (zh) 低溫防振性氯平橡膠組成物及其硫化橡膠、以及使用該硫化橡膠之橡膠型物、防振橡膠構件、發動機架及軟管
EP2883908B1 (en) Nbr composition
JP5414196B2 (ja) 高/低温負荷シール性が良好なフッ素ゴム系シール材
KR20170071547A (ko) 가교성 니트릴 고무 조성물 및 고무 가교물
KR101363640B1 (ko) 매우 높은 충전제 농도를 가지며 탁월한 가공성 및 침식성 유체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hnbr 조성물
KR101670689B1 (ko) 제동시스템용 가스켓 고무 조성물
JP4795504B2 (ja) ゴム、ゴム組成物および架橋物
US5998531A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 for use as hot-water seals
JP6034707B2 (ja) 空気圧機器のシール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圧機器用シール
JP3527463B2 (ja) オイルシール部材成形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イルシール部材
TW200914525A (en) Acrylic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rubber obtained therefrom, and use thereof
JP3502609B2 (ja) シール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イルシール部材、ならびにシール材
JP4799763B2 (ja) 冷凍機用シール
KR20100102479A (ko) 웨더스트립 조성물
JP2021152093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ゴム部材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JP2006213743A (ja) 水素化ニトリルゴム組成物
CN115028927B (zh) 一种超低硬度高回弹低压变三元乙丙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JP5653605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ル部材
JP2004018822A (ja) ゴム架橋物
KR101306674B1 (ko) 트랜스미션용 오링의 고무조성물
WO2021124816A1 (ja) ゴム組成物および加硫成形品
RU2522622C9 (ru) Композиции гбнк с очень высокими уровнями содержания наполнителей, имеющие превосходную обрабатываемость и устойчивость к агрессивным жидкостям
KR20190081930A (ko) 변속기 캡용 오링의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