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479B1 -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479B1
KR101669479B1 KR1020140177335A KR20140177335A KR101669479B1 KR 101669479 B1 KR101669479 B1 KR 101669479B1 KR 1020140177335 A KR1020140177335 A KR 1020140177335A KR 20140177335 A KR20140177335 A KR 20140177335A KR 101669479 B1 KR101669479 B1 KR 101669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tyl rubber
crosslinking
crosslinking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417A (ko
Inventor
최경만
김영민
이지은
한동훈
오채영
김관용
김성혜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4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불포화도가 낮은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부틸고무의 가교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교시스템 설계를 통해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시간 보다 2 ~ 3배 가량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의 설계에 따라, 종래의 부틸고무의 성형시간이 155 ~ 160℃에서 15 ~ 20분이 소요되는 것을 5 ~ 7분으로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범용고무의 성형온도(150 ~ 160℃)에서도 가교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COMPOSITE OF BUTYL RUBBER FOR REDUCED CROSSLINKING TIME}
본 발명은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불포화도(이중결합)가 낮은 부틸고무의 느린 가교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소부텐-이소프렌 고무 혹은 부틸고무는 대부분이 이소부텐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함유한 공중합체이다. 한편, 천연고무, 스틸렌-부타디엔고무,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범용고무와 다르게 부틸고무는 단지 소량의 이중결합만 존재하는 아주 포화도가 높은 고무이다. 이 소량의 불포화부분(이중결합)이 가황에 필요한 자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부틸고무는 상기와 같은 불포화도(이소부텐에 대한 이소프렌의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장 높은 불포화도를 가진 부틸고무는 포화도가 높은 고무에 비하여 가황속도가 빠르고 내오존성은 약간 낮다. 내오존성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불포화도가 낮은 부틸고무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부틸고무 컴파운드에는 카본블랙이나 무기 충전제 혹은 이들 두가지 도두, 가소제, 가공조제, 산화방지제, 오존방지제, 가황제가 통상적으로 배합제로 사용하고 있다. 가황제에는 크게 산화아연과 함께 황 공여체 및 유황계 사용, 산화납으로 활성화되는 파라퀴논디옥심 가교제가 사용, 할로겐 함유 고무나 염화주석으로 활성화되는 페놀수지 등이 가교제로 사용된다. 반면에 부틸고무는 과산화물이 고분자를 열화시키므로 유기 과산화물로 가교 시킬 수 없다.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가교는 황 가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부틸고무는 불포화부분(이중결합)이 낮기 때문에 황 가황시 가교속도가 일반 범용고무와 비교하여 매우 느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낮은 가교반응은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부틸고무는 천연고무, 스틸렌-부타디엔고무, 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불포화도가 높은 고무와의 상용성이 없다. 따라서 이들 고무가 소량만 섞여도 가황제와 우선 반응하여 부틸고무는 미가황 상태가 된다. 즉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불포화도가 높은 고무와 블렌드할 경우 가교속도는 단축되는 것처럼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부틸고무는 반응이 되지 않는 미가황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부틸고무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특허문헌 1 또는 2에서와 같이 155℃에서 15 ~ 20분(특허문헌 1) 또는 155 ~ 160℃에서 10 ~ 20분(특허문헌 2)에서 가교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느린 가교속도는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특허문헌 3에서는 이처럼 느린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하기 위해서 가교단계에서 성형온도를 230 내지 260℃까지 높여서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도 있으나, 성형온도를 높일 경우 에너지 소비가 높아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55754호 "고신장성 고무 조성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916호 "가공성 및 성형성을 개선시킨 부틸고무 조성물"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0058호 "신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기관 멤브레인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고효율 산기관 멤브레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포화도가 낮은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부틸고무의 가교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가교시스템 설계를 통해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시간 보다 2 ~ 3배 가량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부틸고무 조성물의 설계에 따라, 종래의 부틸고무의 성형시간이 150 ~ 160℃에서 15 ~ 20분이 소요되는 것을 5 ~ 7분으로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의 부틸고무 조성물은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온도를 높여서 성형하는 경우, 제품성형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높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틸고무 조성물은 범용고무의 성형온도(150 ~ 160℃)에서도 가교시간의 단축되도록 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부틸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 ~ 2.5 중량부 및 가교촉진제 5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2 ~ 5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 실리카 30 ~ 60 중량부, 실란커플제 0.5 ~ 4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0.5 ~ 4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교촉진제는, 티아졸류인 메르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졸디술피드(MBTS),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의 아연염(ZnMBT), 티우람류인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TMTM),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MTD), 테트라에틸티우람의설파이드(TETD), 테트라부틸티우람의설파이드(TBTD),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프라설파이드(DPTT), 산염계인 진크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DC),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DBDC), 진크에틸펜닐디티오카바메이트(ZEPDC) 또는 진크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ZDMDC)로 이루어진 군에서 사용하되, 상기 산염계 가교촉진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산염계 가교촉진제와, 티우람류 또는 티아졸계 가교촉진제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산염계 가교촉진제와, 티우람류 또는 티아졸계 가교촉진제의 혼용 시, 가교촉진제를 5 ~ 15 중량부 사용한다는 범위 내에서, 산염계 가교촉진제의 사용량은 5 중량부 이상이여야 하며, 티아졸계나 티우람계 가교촉진제의 혼용량은 총 15 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불포화도가 낮은 부틸고무의 가교속도를 단축시켜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시간 보다 2 ~ 3배가량 단축함으로써 품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부틸고무 조성물은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성형온도를 높이는 방식에서는 제품성형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높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틸고무 조성물은 일반적인 고무컴파운드의 성형온도에서도 가교속도의 단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 상승 요인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 2 ~ 5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 실리카 10 ~ 60 중량부, 실란커플제 0.5 ~ 4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0.5 ~ 4 중량부, 가황제 1.0 ~ 2.5 중량부, 가황촉진제 5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틸고무는 부틸고무(IIR)와 브로모 부틸고무(BIIR) 및 염소화 부틸고무(CIIR)를 단독 혹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 ~ 2.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틸고무 조성물의 제조시 가교제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교속도 매우 느리고 가교도의 하락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의 황의 사용으로 인해 제품에 블루밍 형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교촉진제는 상기 가교제의 기능을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부틸고무층의 제조시 5 ~ 15 중량부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부틸고무층의 제조시 가교촉진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교속도 단축효과가 미비하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증량에 따른 가교속도 단축효과는 더 이상은 없고, 가교고무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교제로써, 황(sulfur) 또는 불용성황(Insoluble sulfur)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교촉진제로써, 티아졸류인 메르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졸디술피드(MBTS),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의 아연염(ZnMBT), 티우람류인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TMTM),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MTD), 테트라에틸티우람의설파이드(TETD), 테트라부틸티우람의설파이드(TBTD),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프라설파이드(DPTT), 산염계인 진크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DC),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DBDC), 진크에틸펜닐디티오카바메이트(ZEPDC), 진크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ZDMDC)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산염계 가교촉진제 단독 혹은 산염계 가교촉진제와 티우람류나 티아졸계 가교촉진제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가교촉진제의 혼용시 산염계 가교촉진제의 사용량은 5 중량부 이상이여야 하며, 티아졸계나, 티우람계 촉진제의 혼용량이 총 15 중량부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티아졸계나 티우람계 촉진제의 단독 사용에 따른 가교속도 단축효과는 미비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부틸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로써, 금속산화물 2 ~ 5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 실리카 10 ~ 60 중량부, 실란커플제 0.5 ~ 4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0.5 ~ 4 중량부가 사용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부틸고무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기능 및 임계적 의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첨가제 이외에도 해당 조성물의 사용분야나 환경 등으로 고려하여 공지된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1. 부틸고무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금속산화물인 산화아연 2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0.5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0.5 중량부, 실리카 10 중량부를 온도 100℃의 니이더에서 약 12분 동안 믹싱한 후, 오픈 롤밀에서 가교제 1.0 중량부, 가교촉진제로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5 중량부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3 ~ 4mm의 쉬트상의 부틸고무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160℃, 120kg/cm2의 프레스 조건에서 약 6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브로모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금속산화물인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4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4 중량부, 실리카 60 중량부를 온도 100℃의 니이더에서 약 12분 동안 믹싱한 후, 오픈 롤밀에서 가교제 1.6 중량부, 가교촉진제로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7 중량부,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8 중량부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3 ~ 4mm의 쉬트상의 부틸고무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160℃, 120kg/cm2의 프레스 조건에서 약 5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틸고무 100중량부에 대해서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3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3 중량부, 실리카 50 중량부를 온도 100℃의 니이더에서 약 12분 동안 믹싱한 후, 오픈 롤밀에서 가교제 1.6 중량부, 가교촉진제로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3 중량부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3 ~ 4mm의 쉬트상의 부틸고무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160℃, 120kg/cm2의 프레스 조건에서 약 17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브로모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3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2 중량부, 실리카 40 중량부를 온도 100℃의 니이더에서 약 12분동안 믹싱한 후, 오픈 롤밀에서 가교제 1.8 중량부, 가교촉진제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3 중량부,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3 중량부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3 ~ 4mm의 쉬트상의 부틸고무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160℃, 120kg/cm2의 프레스 조건에서 약 15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3 중량부, 실란커플링제 2 중량부, 실리카 40 중량부를 온도 100℃의 니이더에서 약 12분동안 믹싱한 후, 오픈 롤밀에서 가교제 1.8 중량부, 가교촉진제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5 중량부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3 ~ 4mm의 쉬트상의 천연고무 컴파운드를 제조하고, 160℃, 120kg/cm2의 프레스 조건에서 약 3분간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기재
(중량부)
부틸고무1) 100 - 100 - -
브로모
부틸고무2)
- 100 - 100 -
천연고무3 ) - - - - 100
첨가제
(중량부)





산화아연4 ) 2 5 3 3 3
스테아린산5 ) 0.5 1.5 1 1 1
실란커플링제6 ) 0.5 4 3 2 2
실리카7 ) 10 60 50 40 40
폴리에틸렌
글리콜8 )
0.5 4 3 3 3
가교제9 ) 1.0 2.5 1.6 1.8 1.8
가교촉진제10 ) 5 7 3 3 5
가교촉진제11 ) - 8 - 3 -

1) ExxonMobil, IIR 268
2) ExxonMobil, BIIR 2244
3) 베트남산, SVR 3L
4) (주)피제이켐텍, Zinc oxide(고무형 1호)
5) LG화학, stearic acid
6) Degussa, Si-69
7) Rhodia, Zeosil 155
8) 그린케미칼, PEG4000
9) 미원화학, sulfur
10) (주)삼원켐, TT
11) (주)삼원켐, BZ
2. 특성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의해 제조된 부틸고무 조성물을 아래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가교속도 : 큐라스토메터(curas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인장강도 : KSM 6518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신장율 : KSM 6518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항목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t10 min 1 1 2 2.5 0.2
t90 min 6 5 17 15 2
인장강도 kg/cm2 120 150 140 135 60
신장율 % 800 750 750 770 25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2에 나타낸 부틸고무 조성물과 비교예 1, 2의 부틸고무 조성물의 가교속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실시예 1, 2와 같은 가교 시스템의 설계에서는 종래의 부틸고무의 가교속도와 비교하여 최소 2배 이상의 단축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비교예 3의 천연고무 조성물의 경우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소량의 본 발명의 가황촉진제 사용 범위내에서는 가교 고무의 스코지가 발생되어, 제품 성형성이 떨어지며, 기계적 강도 및 신장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부틸고무의 느린 가교속도를 단축함으로써 제품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 원가 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을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부틸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1.0 ~ 2.5 중량부, 가교촉진제 5 ~ 15 중량부, 금속산화물 2 ~ 5 중량부, 스테아린산 0.5 ~ 1.5 중량부, 실리카 30 ~ 60 중량부, 실란커플제 0.5 ~ 4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0.5 ~ 4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교촉진제는, 티아졸류인 메르캅토벤조티아졸(MBT), 디벤조티아졸디술피드(MBTS), 2-메르캅토벤조티아졸의 아연염(ZnMBT), 티우람류인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TMTM),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MTD), 테트라에틸티우람의설파이드(TETD), 테트라부틸티우람의설파이드(TBTD),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프라설파이드(DPTT), 산염계인 진크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ZDEDC), 진크디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DBDC), 진크에틸펜닐디티오카바메이트(ZEPDC) 또는 진크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ZDMDC)로 이루어진 군에서 사용하되, 상기 산염계 가교촉진제와, 티우람류 또는 티아졸계 가교촉진제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산염계 가교촉진제와, 티우람류 또는 티아졸계 가교촉진제의 혼용 시, 가교촉진제를 5 ~ 15 중량부 사용한다는 범위 내에서, 산염계 가교촉진제의 사용량은 5 중량부 이상이여야 하며, 티아졸계나 티우람계 가교촉진제의 혼용량은 총 15 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혼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77335A 2014-12-10 2014-12-10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KR101669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335A KR101669479B1 (ko) 2014-12-10 2014-12-10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335A KR101669479B1 (ko) 2014-12-10 2014-12-10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417A KR20160070417A (ko) 2016-06-20
KR101669479B1 true KR101669479B1 (ko) 2016-10-26

Family

ID=5635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335A KR101669479B1 (ko) 2014-12-10 2014-12-10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4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75B1 (ko) * 2011-09-16 2012-06-20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겉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4748A1 (en) * 1995-10-17 1997-04-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Curing systems for halogenated elastomer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compression set
KR100454284B1 (ko) 2001-12-27 2004-10-2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고신장성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14887B1 (ko) * 2004-11-09 2006-08-22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고분자의 슬로우 리커버리 특성을 이용한 슬립 방지 신발겉창용 조성물
KR101153916B1 (ko) 2009-12-08 2012-06-08 한국신발피혁연구소 가공성 및 성형성을 개선시킨 부틸고무 조성물
KR101379333B1 (ko) * 2011-12-29 2014-03-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블래더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류 블래더
KR101230058B1 (ko) 2012-08-23 2013-02-05 (주)에코원테크놀로지 신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산기관 멤브레인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고효율 산기관 멤브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75B1 (ko) * 2011-09-16 2012-06-20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겉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417A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3669B2 (ja) 加硫促進混合物
US9179735B2 (en) Climbing shoes outsole having good adhesive and non-slip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6500884B1 (en) Chlorine-containing polymer vulcanizing composition
JP2021031568A (ja) 含硫黄不飽和炭化水素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ゴム用添加剤、ゴム組成物、ならびにタイヤ
KR102170604B1 (ko) 고무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가황물
JPWO2018110396A1 (ja) ゴム組成物、コンベアベルト用カバーゴム、及び、コンベアベルト
KR101669479B1 (ko)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KR101486047B1 (ko) 안전화 겉창용 고무 조성물
JP4883476B2 (ja) ハロゲン含有エラストマー加硫用組成物
JP2019099799A (ja) ゴム組成物
JP2000063685A (ja) 塩素含有重合体加硫用組成物
US9556324B2 (en) Anti-scorch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KR20140145749A (ko)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JP7425048B2 (ja) ゴム組成物と、そのゴム組成物を用いてなる架橋ゴム製品、並びにその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80025325A (ko) 가교시간이 단축된 부틸고무 조성물
US20150232650A1 (en) Polymer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s thereof
KR101845825B1 (ko) 가교 촉진성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하여 가교시간이 단축된 고무 조성물
KR101077455B1 (ko) 내스코치성이 향상된 타이어 카카스용 고무 조성물
KR101727672B1 (ko) 블루밍 발생이 없고 그립성이 우수한 부틸고무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7172873A1 (en) Electrostatic dissipating mat
KR101694146B1 (ko) 사이드월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JP2021091830A (ja) ゴム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6724307B2 (ja) ゴム組成物、コンパウンド、加硫物及びゴムロール
KR20180138406A (ko) 경량화된 무발포 신발 겉창용 조성물
EP4079793A1 (en)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mold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