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228B1 -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228B1
KR101668228B1 KR1020160054664A KR20160054664A KR101668228B1 KR 101668228 B1 KR101668228 B1 KR 101668228B1 KR 1020160054664 A KR1020160054664 A KR 1020160054664A KR 20160054664 A KR20160054664 A KR 20160054664A KR 101668228 B1 KR101668228 B1 KR 10166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unit
bar
guide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5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이 제공된다. 제공된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되며, 일면에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부에 다수의 받침편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의 상단에 안착홈이 마련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연결핀이 마련된 2조 1쌍의 가이드편;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사이에 연결되며, 수직바와 가변바가 링크연결되고,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중 어느 한 가이드편의 연결핀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가변바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중 다른 한 가이드편의 연결핀이 걸림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바의 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자유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송레일유닛; 상기 안착홈들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 양단에 연결홈이 마련되고, 전방에 제1 지지브라켓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 제1 수용홈과 제1 연결홀을 갖는 제1 수평바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바의 인접한 하방에 제1 연장바가 돌출형성된 제1 가변난간유닛;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교번되게 연결되고, 하부 양단에 연결봉이 마련되며, 전방에 제2 지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제2 수용홈과 제2 연결홀을 갖는 제2 수평바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수평바의 인접한 하방에 제2 연장바가 돌출형성된 제2 가변난간유닛; 상기 제1 연장바와 제2 연장바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면에 다수의 쐐기돌기가 돌출형성된 걸림유닛;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바와 제2 수평바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에 삽입,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핀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의 일면에 상기 쐐기돌기가 걸림연결되는 쐐기홈이 마련된 결속핀유닛 및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을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교번되게 연결된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1 가변난간유닛 또는 제2 가변난간유닛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공동주택의 내부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A turning railing for easy moving freight usingarchitectur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운반과정에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놓이는 공동주택의 내부 위치에 따라 난간의 개방위치를 가변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연립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 등의 건물에는 건물 자체의 외관과 활용도 및 바깥 전망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베란다가 설치되며, 이러한 베란다에는 거주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부식성이 양호한 강철이나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베란다에는 외부로부터 소음, 먼지, 외기 등을 차단해 주면서 실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통상 난간 안쪽에 새시를 설치하는데, 이는 보온, 방음 등의 효과와 더불어 거실이나 방, 주방 등을 넓게 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생활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베란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상기 베란다 공간을 화초를 기르는 장소로 또는 옷을 말리기 위한 건조장소 또는 휴식공간으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은 베란다를 상기와 같이 사용할 때 그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공동주택용 난간구조는 베란다와 외부의 경계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에는 내측에는 베란다 새시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들의 사이에는 각각의 수직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가 상/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 수평지지대의 사이에는 보조수직대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란다 난간구조는 단순히 베란다와 실외의 경계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순 안전기능만을 수행하여 극히 제한적으로 한정된 범위에서만 사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723호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 간격으로 하단부가 베란다 턱에 매입 설치되며, 수직 길이방향으로 수직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공과 직교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공이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지지대와, 상기한 수직지지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베란다바닥에 형성되며, 내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보조대고정홈 및 상기한 수직지지대를 따라 상.하 승강되며,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후방측 상부에 요홈과 외측면 단부에 나사부를 갖는 가이드봉이 돌출 형성되어 그 가이드봉에 의해 상기한 수직지지대의 수직가이드공에 삽입되어 너트체로 고정되는 수평바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양측 수평바의 사이에서 양측 수평바를 연결하며 어느 하나의 수평봉 양측에는 단부와 근접하게 걸림편이 형성된 다수의 수평봉과, 각봉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에 가이드관이 형성되어 상기한 걸림편이 형성된 수평봉의 양측이 삽입되며 타단부에 반원관형 지지구가 형성되어 상기한 수평지지대 또는 보조대고정홈의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대로 구성된 보조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베란다 난간에 수평지지대를 수직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빨래를 널어 말리거나 또는 화분을 올려 놓고 화초를 키우는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베란다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난간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적인 측면은 상당부분 보완되었으나, 사용자들의 사용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무거운 짐을 운반하거나, 이삿짐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베란다를 통해 운반하게 되는데, 종래 베란다 난간은 무서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운반함에 있어 걸림돌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7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운반과정에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놓이는 공동주택의 내부 위치에 따라 난간의 개방위치를 가변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송레일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난간구간에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되며, 일면에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부에 다수의 받침편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의 상단에 안착홈이 마련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연결핀이 마련된 2조 1쌍의 가이드편;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사이에 연결되며, 수직바와 가변바가 링크연결되고,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중 어느 한 가이드편의 연결핀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가변바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 중 다른 한 가이드편의 연결핀이 걸림연결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바의 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자유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송레일유닛;
상기 안착홈들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 양단에 연결홈이 마련되고, 전방에 제1 지지브라켓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 제1 수용홈과 제1 연결홀을 갖는 제1 수평바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바의 인접한 하방에 제1 연장바가 돌출형성된 제1 가변난간유닛;
상기 안착홈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교번되게 연결되고, 하부 양단에 연결봉이 마련되며, 전방에 제2 지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제2 수용홈과 제2 연결홀을 갖는 제2 수평바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수평바의 인접한 하방에 제2 연장바가 돌출형성된 제2 가변난간유닛;
상기 제1 연장바와 제2 연장바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면에 다수의 쐐기돌기가 돌출형성된 걸림유닛;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바와 제2 수평바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제1 연결홀과 제2 연결홀에 삽입,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핀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의 일면에 상기 쐐기돌기가 걸림연결되는 쐐기홈이 마련된 결속핀유닛 및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을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교번되게 연결된 제1 가변난간유닛과 제2 가변난간유닛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1 가변난간유닛 또는 제2 가변난간유닛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유닛의 가변바에는 상기 가이드롤러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반하기 위한 짐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난간의 개방위치를 가변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함은 물론, 별도의 이송레일유닛을 구비하여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난간구간에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중 이송레일유닛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100)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된 가이드브라켓(11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에 연결된 2조 1쌍의 가이드편(120)과,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사이에 연결된 이송레일유닛(13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상부에 설치된 제1,2 가변난간유닛(140,150)과, 상기 제1,2 가변난간유닛(140,150)에 구비된 걸림유닛(160)과, 상기 제1,2 가변난간유닛(140,150) 사이에 연결된 결속핀유닛(170) 및 고정브라켓(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은 본 발명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되며, 일면에 가이드홈(111)이 마련되고, 상부에 다수의 받침편(113)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편(113)의 상단에 안착홈(115)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은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은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연결핀(12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은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은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사이에 연결되며, 수직바(131)와 가변바(133)가 링크연결되고, 상기 수직바(131)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중 어느 한 가이드편(120)의 연결핀(121)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가변바(133)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중 다른 한 가이드편(120)의 연결핀(121)이 걸림연결되는 고리(135)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바(133)의 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137)가 자유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의 가변바(133)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37)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돌기(139)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은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옮길 때 난간의 요부를 개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은 상기 안착홈(115)들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 양단에 연결홈(141)이 마련되고, 전방에 제1 지지브라켓(142)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 제1 수용홈(143)과 제1 연결홀(144)을 갖는 제1 수평바(145)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바(145)의 인접한 하방에 제1 연장바(146)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가변난간유닛(150)은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교번되게 연결되어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옮길 때 난간의 요부를 개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느 구성수단이다.
상기 제2 가변난간유닛(150)은 상기 안착홈(115)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교번되게 연결되고, 하부 양단에 상기 연결홈(141)에 힌지회전가능하게 삽입연결되는 연결봉(151)이 마련되며, 전방에 제2 지지브라켓(152)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제2 수용홈(153)과 제2 연결홀(154)을 갖는 제2 수평바(155)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수평바(155)의 인접한 하방에 제2 연장바(156)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의 제1 수평바(145)와 제2 가변난간유닛(150)의 제2 수평바(154) 및 상기 제2 가변난간유닛(150)의 제1 연장바(146)와 제2 가변난간유닛(150)의 제2 연장바(156)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걸림유닛(160)은 상기 제1 연장바(146)와 제2 연장바(156)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면에 다수의 쐐기돌기(161)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속핀유닛(170)은 서로 교번되게 연결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40)을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결속핀유닛(170)은 상기 제1 수평바(145)와 제2 수평바(155)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제1 연결홀(144)과 제2 연결홀(154)에 삽입,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핀(171)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171)의 일면에 상기 쐐기돌기(161)가 걸림연결되는 쐐기홈(173)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걸림핀(171)이 상기 제1 연결홀(144)과 제2 연결홀(154)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수평바(145)와 인접한 제2 수평바(155)는 상기 결속핀유닛(170)에 의해 일체가 되며, 상기 결속핀유닛(170)의 하단은 상기 쐐기홈(173)이 걸림유닛(160)의 쐐기돌기(161)에 걸림연결되어 상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는 연결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유닛(160)에서 결속핀유닛(170)을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유닛(160)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쐐기돌기(161)가 쐐기홈(173)에서 이탈하도록 하여 빼낸다. 상기 걸림유닛(160)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유닛(160)은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80)은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을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고정브라켓(180)은 서로 교번되게 연결된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1 가변난간유닛(140) 또는 제2 가변난간유닛(15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80)의 단부는 앵커볼트(미도시)를 통해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은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운반과정에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놓이는 공동주택의 내부 위치에 따라 난간의 개방위치를 가변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중 이송레일유닛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위치하는 실내공간을 확인한 후,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놓이는 공간과 가장 인접한 공간의 난간(100)을 개방하여 그 개방된 공간으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옮기도록 한다.
즉, 개방하고자 하는 위치 및 개방할 폭을 확인 후, 그 위치에 해당하는 결속핀유닛(170)을 해체한다.
이에, 상기 결속핀유닛(170)을 해체하면, 상기 결속핀유닛(170)이 해체된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은 연결홈(141)과 연결봉(151)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힌지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을 힌지회전시켜 난간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의 제1 지지브라켓(142)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의 제2 지지브라켓(152)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10)의 받침편(113)과 맞닿아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이 안정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후, 개방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으로 이송레일유닛(130)을 이동시켜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을 연결핀(121)을 중심으로 힌지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의 수직바(131)는 가이드브라켓(110)의 받침편(113) 일면에 맞닿게 되며, 상기 가변바(133)는 힌지회전을 통해 상기 제1,2 가변난간유닛(140,150)의 일면과 맞닿게 된다.
이에, 상기 난간의 개방부위로 운반되는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은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의 가이드롤러(137)를 통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가이드롤러(137)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롤러(137)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돌기(139)를 통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이 위치하는 공간과 인접한 난간을 개방하여 용이하게 무거운 짐 또는 이삿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110 : 가이드브라켓 113 : 받침편
115 : 안착홈 120 : 가이드편
130 : 이송레일유닛 140 : 제1 가변난간유닛
150 : 제2 가변난간유닛 160 : 걸림유닛
170 : 결속핀유닛 180 : 고정브라켓

Claims (2)

  1.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되며, 일면에 가이드홈(111)이 마련되고, 상부에 다수의 받침편(113)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편(113)의 상단에 안착홈(115)이 마련된 가이드브라켓(110);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면에 연결핀(121)이 마련된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사이에 연결되며, 수직바(131)와 가변바(133)가 링크연결되고, 상기 수직바(131)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중 어느 한 가이드편(120)의 연결핀(121)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가변바(133)의 단부에 상기 2조 1쌍의 가이드편(120) 중 다른 한 가이드편(120)의 연결핀(121)이 걸림연결되는 고리(135)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바(133)의 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137)가 자유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이송레일유닛(130);
    상기 안착홈(115)들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부 양단에 연결홈(141)이 마련되고, 전방에 제1 지지브라켓(142)이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 제1 수용홈(143)과 제1 연결홀(144)을 갖는 제1 수평바(145)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수평바(145)의 인접한 하방에 제1 연장바(146)가 돌출형성된 제1 가변난간유닛(140);
    상기 안착홈(115)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교번되게 연결되고, 하부 양단에 연결봉(151)이 마련되며, 전방에 제2 지지브라켓(152)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제2 수용홈(153)과 제2 연결홀(154)을 갖는 제2 수평바(155)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수평바(155)의 인접한 하방에 제2 연장바(156)가 돌출형성된 제2 가변난간유닛(150);
    상기 제1 연장바(146)와 제2 연장바(156)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면에 다수의 쐐기돌기(161)가 돌출형성된 걸림유닛(160)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바(145)와 제2 수평바(155) 사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제1 연결홀(144)과 제2 연결홀(154)에 삽입,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핀(171)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핀(171)의 일면에 상기 쐐기돌기(161)가 걸림연결되는 쐐기홈(173)이 마련된 결속핀유닛(170) 및
    상기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을 공동주택의 베란다 양측벽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교번되게 연결된 제1 가변난간유닛(140)과 제2 가변난간유닛(150)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1 가변난간유닛(140) 또는 제2 가변난간유닛(150)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유닛(130)의 가변바(133)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37)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갖는 안내돌기(139)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KR1020160054664A 2016-05-03 2016-05-03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KR10166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4A KR101668228B1 (ko) 2016-05-03 2016-05-03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4A KR101668228B1 (ko) 2016-05-03 2016-05-03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228B1 true KR101668228B1 (ko) 2016-10-21

Family

ID=5725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64A KR101668228B1 (ko) 2016-05-03 2016-05-03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2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80B1 (ko) * 2005-10-21 200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0894723B1 (ko) 2008-09-10 2009-04-24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101055718B1 (ko) * 2011-01-13 2011-08-11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KR101100870B1 (ko) * 2011-06-03 2012-01-02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20130050323A (ko) * 2013-04-01 2013-05-15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을 이용한 이삿짐 안전 운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80B1 (ko) * 2005-10-21 200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0894723B1 (ko) 2008-09-10 2009-04-24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101055718B1 (ko) * 2011-01-13 2011-08-11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KR101100870B1 (ko) * 2011-06-03 2012-01-02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KR20130050323A (ko) * 2013-04-01 2013-05-15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을 이용한 이삿짐 안전 운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6055A1 (en) Foldable habitation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PL229816B1 (pl) Schody składane, zwłaszcza lekkie schody drewniane
PL228252B1 (pl) Schody składane, zwłaszcza lekkie, drewniane
KR101277998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1668228B1 (ko) 화물 운반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동난간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US20160278532A1 (en) Foldaway wall bed mounting
KR101656215B1 (ko) 베란다 창틀용 세탁물 건조대
KR101500984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1201714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US5927212A (en) Table with folding leaves
KR101032689B1 (ko) 빨래건조대
KR20130000998U (ko) 세탁물 건조대
KR200473625Y1 (ko) 가구 구조
KR200462256Y1 (ko) 건조체의 기울기 조절이 자유로운 접이식 빨래 건조대
US11930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cabinets with a retractable shelf to accommodate wheelchair accessibility
JP2012523513A (ja) 脚レベリング
KR101176288B1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을 갖는 선반형 빨래 건조대
KR200482390Y1 (ko) 확장형 가구
KR102013889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WO2021030402A1 (en) Configurable step assistant
KR101994207B1 (ko) 빨래건조대
KR101295480B1 (ko) 세탁물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