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80B1 -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80B1
KR101295480B1 KR1020110114869A KR20110114869A KR101295480B1 KR 101295480 B1 KR101295480 B1 KR 101295480B1 KR 1020110114869 A KR1020110114869 A KR 1020110114869A KR 20110114869 A KR20110114869 A KR 20110114869A KR 101295480 B1 KR101295480 B1 KR 10129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ding
rod
laundry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858A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102011011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프레임에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1상부브라켓과 제2상부브라켓이 끼움결합되고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제1건조대지주체의 제1중앙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이 끼움결합되며 창틀의 설치된 실내 바닥면에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1하부브라켓과 제2하부브라켓이 각각 위치되어 안착되며, 이들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세탁물걸이체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창틀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여 세탁물을 널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상부브라켓(1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중앙브라켓(1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하부브라켓(130)과,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1중앙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1하부브라켓(130)을 연결하는 제2지주봉(150)으로 구비되는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상부브라켓(2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중앙브라켓(2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하부브라켓(230)과, 상기 제2상부브라켓(210)과 제2중앙브라켓(220)을 연결하는 제3지주봉(240)과, 상기 제2중앙브라켓(220)과 제2하부브라켓(230)을 연결하는 제4지주봉(250)으로 구비되는 제2건조대지주체(2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3지주봉(2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1세탁물걸이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대{Drying stand for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창틀이나 베란다의 창틀에 연결하여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건조대는 세탁된 세탁물을 널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개의 세탁물 건조대의 경우에는 베란다나 다용도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건조대와 실내에 비치되는 건조대로 구분되어 있다.
이 중 천정에 설치되는 건조대의 경우 건조대의 건조봉이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실이나 베란다의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 비치되는 건조대의 경우에는 실내 공간에 그대로 펼쳐진 상태로 비치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널어 말리는 동안에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실내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옥내외의 좁은 공간에서 간단히 설치하여 세탁물을 걸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 건조대 본체를 접었다 펼쳤다 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기 때문에 부피를 작게 하여서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세탁물을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좁은 공간의 옥내외에 펼쳐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리 지지대를 교호로 유동되게 양측에 설치하고, 다리 지지대에 보강대가 교호로 유동되게 설치하면서 대향측의 보강대와 양단에 나사 조립부가 형성된 걸이대가 나사조립으로 체결되게 너트를 조여서 3단의 걸이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할 경우에 펼쳐짐에 따라 펼쳐진 만큼의 공간을 빼앗기게 되어 실내공간의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개의 아파트나 빌라, 주택과 같은 건물의 실내에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많이 잔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실내에 펼쳐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건조대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공간 예를 들어 창틀 주변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건조대의 보급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고실용 제20-1996-0004993호인 난간대 겸용 세탁물 건조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지주간의 상측에 다수개의 나사봉이 입설된 각각의 지지판과 하측에는 스톱파가 고착되고 삽입관이 형성되어 부분 절취부가 요설된 고정구가 고착된 받침대의 삽입관에 지주간을 삽입하여 세탁물 걸이봉을 나사봉에 체결너트로 유착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베란다 등의 난간대 위에 건조대를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평상시에 사용하지 않는 공간인 베란다 난간대를 활용하여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베란다 난간대에 세탁물 건조대를 설치하여 결합함으로써 심한 바람이 불거나 할 경우에는 베란다 난간대에 설치된 세탁물 건조대가 그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베란다 난간대에 설치되는 세탁물 건조대의 경우에는 창문을 닫음에 따라 주로 건물의 외부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널어 건조시키는 동안에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그대로 세탁된 세탁물에 달라 붙게 되어 오히려 세탁물이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창틀과 같은 사용하지 않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창문의 열고 닫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실내에 설치할 수 있어 외부의 먼지나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세탁물 건조대의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세탁물 건조대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창틀이나 베란다의 창틀에 거치시켜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창문의 열고 닫음에 관계없이 세탁물을 널어 말릴 수 있어 사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에 설치하여 외부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붙는 것을 방지하며, 세탁물을 널지 않을 경우에는 건조봉을 접어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는, 창틀의 상부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상부브라켓과,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중앙브라켓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에 안착되는 제1하부브라켓과, 상기 제1상부브라켓과 제1중앙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지주봉과, 상기 제1중앙브라켓과 제1하부브라켓을 연결하는 제2지주봉으로 구비되는 제1건조대지주체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의 일측에 위치되고 창틀의 상부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상부브라켓과,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중앙브라켓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에 안착되는 제2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상부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을 연결하는 제3지주봉과, 상기 제2중앙브라켓과 제2하부브라켓을 연결하는 제4지주봉으로 구비되는 제2건조대지주체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의 제1지주봉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3지주봉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1세탁물걸이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의 제2지주봉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4지주봉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2세탁물걸이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상부브라켓과 제2상부브라켓은, 창틀 상부프레임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1보강부가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 및 제3지주봉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중앙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은, 창틀 하부프레임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2보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 및 제3지주봉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제2지주봉 및 제4지주봉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부브라켓과 제2하부브라켓은, 상기 제2지주봉 및 제4지주봉의 하단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4결합부가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하면 양측에는 창틀이 설치되는 실내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면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부브라켓과 제2하부브라켓의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지지면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면이 안착되는 실내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더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세탁물걸이체와 제2세탁물걸이체는,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의 제1지주봉과 제2지주봉에 각각 결합되는 제1지주봉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1건조봉결합부가 형성된 제1걸이체브라켓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3지주봉과 제4지주봉에 각각 결합되는 제2지주봉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2건조봉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걸이체브라켓과;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의 제1건조봉결합부와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의 제2건조봉결합부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편이 구비되는 건조봉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지주봉결합부의 내면에는 제1밀착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주봉결합부의 내면에는 제2밀착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과 제2지주봉의 외면에는 상기 제1밀착홈부에 밀착되는 제1밀착돌기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과 제4지주봉의 외면에는 상기 제2밀착홈부에 밀착되는 제2밀착돌기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와 이 제1지주봉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 및 제2지주봉과,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와 이 제2지주봉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 및 제4지주봉은 각각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와 제2지주봉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 및 제2건조봉결합부과 이들 제1건조봉결합부와 제2건조봉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건조봉의 결합편은,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 및 제2건조봉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중앙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1지주봉 및 제3지주봉의 안착되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내부에는 인장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중앙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에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1지주봉 및 제3지주봉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지주봉과 제3지주봉이 상기 제2결합부의 내부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지주봉 및 제3지주봉의 하단이 끼워지는 보조끼움부가 더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프레임에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1상부브라켓과 제2상부브라켓이 끼움결합되고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제1건조대지주체의 제1중앙브라켓과 제2중앙브라켓이 끼움결합되며 창틀의 설치된 실내 바닥면에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의 제1하부브라켓과 제2하부브라켓이 각각 위치되어 안착되며, 이들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세탁물걸이체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창틀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여 세탁물을 널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인 제1건조대지주체와 제2건조대지주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가 창틀 주변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가 창틀 주변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제1,2상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제1,2중앙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구성요부인 제1,2하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제1,2하부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세탁물걸이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제1,2상부브라켓에 제1,3지주봉의 상단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제1,2중앙브라켓에 제1,3지주봉의 하단 및 제2,4지주봉의 상단이 각각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제1,2중앙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는,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상부브라켓(1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중앙브라켓(1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하부브라켓(130)과,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1중앙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1하부브라켓(130)을 연결하는 제2지주봉(150)으로 구비되는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상부브라켓(2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중앙브라켓(2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하부브라켓(230)과, 상기 제2상부브라켓(210)과 제2중앙브라켓(220)을 연결하는 제3지주봉(240)과, 상기 제2중앙브라켓(220)과 제2하부브라켓(230)을 연결하는 제4지주봉(250)으로 구비되는 제2건조대지주체(2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3지주봉(2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1세탁물걸이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를 창틀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를 창틀의 타측에 결합한 다음, 제1세탁물걸이체(300)를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제2건조대지주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공간인 창틀 주변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제2건조대지주체(200) 및 제2세탁물걸이체(300)가 모두 실내측으로 비치됨으로써 창문을 열거나 닫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2지주봉(150)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4지주봉(25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2세탁물걸이체(40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세탁물걸이체(300)와 제2세탁물걸이체(400)를 이용하여 세탁된 세탁물을 널어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세탁물걸이체(300)와 제2세탁물걸이체(4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은, 창틀 상부프레임(1)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111)(211)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1보강부(112)(212)가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3)(213)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은, 창틀 하부프레임(2)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121)(221)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2보강부(122)(222)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3)(223)가 각각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제2지주봉(150) 및 제4지주봉(250)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제3결합부(124)(224)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하부브라켓(210)의 후면에 형성된 상부끼움부(111)(211)를 창틀 상부프레임(1)에 끼워 제1상부브라켓(110)과 하부브라켓(210)을 창틀 상부프레임(1)에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대개의 창틀의 상부프레임(1)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과의 이격된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창틀의 상부프레임 공간에 상기 상부끼움부(111)(211)를 밀어 넣어 끼움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 역시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이격된 공간에 상기 하부끼움부(121)(221)를 끼움으로써 고정한다.
또한,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113)(213)과 상기 중앙브라켓(120)과 제2상부브라켓(220)의 상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123)(223)에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3지주봉(24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끼워 결합한다.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은, 상기 제2지주봉(150) 및 제4지주봉(250)의 하단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4결합부(131)(231)가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하면 양측에는 창틀이 설치되는 실내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면(132)(23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내바닥면에 안착되는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제4결합부(131)(231)에 제2지주봉(150) 및 제4지주봉(250)의 하단을 끼워 결합하고 제2지주봉(150)의 상단은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의 하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124)에 끼워 결합하며, 상기 제4지주봉(250)의 상단은 상기 제2상부브라켓(210)의 하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224)에 끼워 결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지지면(132)(232)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면(132)(232)이 안착되는 실내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밀착부재(133)(233)가 더 끼움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밀착부재(133)(233)에 의해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이 실내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밀착부재(133)(233)는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탁물걸이체(300)와 제2세탁물걸이체(400)는,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1지주봉(140)과 제2지주봉(150)에 각각 결합되는 제1지주봉결합부(311)(4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1건조봉결합부(312)(412)가 각각 형성된 제1걸이체브라켓(310)(410)과, 상기 제1지주봉(140)과 대응되는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3지주봉(240) 및 상기 제2지주봉(150)과 대응되는 상기 제4지주봉(250)에 각각 결합되는 제2지주봉결합부(321)(421)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2건조봉결합부(322)(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걸이체브라켓(320)(420)과,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의 제1건조봉결합부(312)(412)와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320)(420)의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편(331)(431)이 구비되는 건조봉(330)(4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창틀에 각각 설치된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제2건조대지주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의 내면에는 제1밀착홈부(313)(4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320)(4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의 내면에는 제2밀착홈부(323)(4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2지주봉(15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밀착홈부(313)(413)에 밀착되는 제1밀착돌기(140a)(150a)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240)과 제4지주봉(25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밀착홈부(323)(423)에 밀착되는 제2밀착돌기(240a)(250a)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와 이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2지주봉(150)과,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와 이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240) 및 제4지주봉(250)은 각각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 및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340)(440)에 의해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3지주봉(240)을 연결하는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 및 제2지주봉(150)과 제4지주봉(250)을 연결하는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320)(420)간의 결합성이 더욱 향상되어 세탁물을 널더라도 세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3지주봉(240) 및 제2지주봉(150)과 제4지주봉(250)으로부터 상기 제1세탁물걸이체(300)와 제2세탁물걸이체(400)가 빠지거나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와 이들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건조봉(330)(430)의 결합편(331)(431)은,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350)(45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세탁물을 널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건조봉(330)(430)을 젖힐 수 있음에 따라 공간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세탁물 건조대의 제1,2중앙브라켓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부(160)(2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인장스프링(170)(270)이 각각 더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160)(260)는 상기 인장스프링(170)(27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170)(270)이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3지주봉(240)을 항상 상부측인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3지주봉(240)의 견고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장스프링(170)(270)을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제4결합부(131)(231)의 내부에 더 구성하여 상기 제2지주봉(150)과 제4지주봉(250)이 상기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항상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측으로 밀리도록 하여 제2지주봉(150)과 제4지주봉(2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123)(223)에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이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 각각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각각 끼워지는 보조끼움부(180)(280)가 더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직경이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경보다 적을 경우에 상기 보조끼움부(180)(280)를 끼움으로써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을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측에 끼우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상부끼움부(111)(211)와,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하부끼움부(121)(221)의 내부에는 밀착패드(500)가 더 끼움구성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창틀의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에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은 물론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을 더욱 밀착시켜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 및 제2중앙브라켓(220)은, 각각 체결나사(600)에 의해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 및 제2중앙브라켓(220)이 각각 결합되는 상기 창틀의 하부프레임(2)과 견고하게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지지성 및 견고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도시하고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세탁물을 널어 건조시키는 건조대 이외에 작은 물건을 올려 놓고 보관할 수 있는 선반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작은 화분을 올려 놓고 실내 조경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창틀 상부프레임 2 : 창틀 하부프레임
100 : 제1건조대지주체 110 : 제1상부브라켓
120 : 제1중앙브라켓 130 : 제1하부브라켓
140 : 제1지주봉 150 : 제2지주봉
200 : 제2건조대지주체 210 : 제2상부브라켓
220 : 제2중앙브라켓 230 : 제2하부브라켓
240 : 제3지주봉 250 : 제4지주봉
300 : 제1세탁물걸이체 400 : 제2세탁물걸이체
500 : 밀착패드 600 : 체결나사

Claims (13)

  1.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상부브라켓(1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중앙브라켓(1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하부브라켓(130)과,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1중앙브라켓(120)을 연결하는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1하부브라켓(130)을 연결하는 제2지주봉(150)으로 구비되는 제1건조대지주체(1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창틀의 상부프레임(1)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상부브라켓(210)과, 창틀의 하부프레임(2)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중앙브라켓(220)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하부브라켓(230)과, 상기 제2상부브라켓(210)과 제2중앙브라켓(220)을 연결하는 제3지주봉(240)과, 상기 제2중앙브라켓(220)과 제2하부브라켓(230)을 연결하는 제4지주봉(250)으로 구비되는 제2건조대지주체(200)와;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1지주봉(140)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3지주봉(24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1세탁물걸이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2지주봉(150)과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4지주봉(250)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세탁물이 널어지는 제2세탁물걸이체(40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은,
    창틀 상부프레임(1)에 끼워지는 상부끼움부(111)(211)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1보강부(112)(212)가 각각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상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1결합부(113)(213)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은,
    창틀 하부프레임(2)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부(121)(221)가 후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면 양측에 제2보강부(122)(222)가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123)(223)가 각각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제2지주봉(150) 및 제4지주봉(250)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제3결합부(124)(224)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은,
    상기 제2지주봉(150) 및 제4지주봉(250)의 하단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4결합부(131)(231)가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하면 양측에는 창틀이 설치되는 실내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면(132)(23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지지면(132)(232)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면(132)(232)이 안착되는 실내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부브라켓(130)과 제2하부브라켓(2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밀착부재(133)(233)가 더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세탁물걸이체(300)와 제2세탁물걸이체(400)는,
    상기 제1건조대지주체(100)의 제1지주봉(140)과 제2지주봉(150)에 각각 결합되는 제1지주봉결합부(311)(4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1건조봉결합부(312)(412)가 각각 형성된 제1걸이체브라켓(310)(410)과;
    상기 제1지주봉(140)과 대응되는 상기 제2건조대지주체(200)의 제3지주봉(240) 및 상기 제2지주봉(150)과 대응되는 상기 제4지주봉(250)에 각각 결합되는 제2지주봉결합부(321)(421)가 일측에 형성되고 정면에 제2건조봉결합부(322)(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2걸이체브라켓(320)(420)과;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의 제1건조봉결합부(312)(412)와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320)(420)의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에 양측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편(331)(431)이 구비되는 건조봉(330)(4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체브라켓(310)(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의 내면에는 제1밀착홈부(313)(4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걸이체브라켓(320)(4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의 내면에는 제2밀착홈부(323)(42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140)과 제2지주봉(15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밀착홈부(313)(413)에 밀착되는 제1밀착돌기(140a)(150a)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240)과 제4지주봉(250)의 외면에는 상기 제2밀착홈부(323)(423)에 밀착되는 제2밀착돌기(240a)(250a)가 더 돌설되며,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와 이 제1지주봉결합부(311)(411)에 결합되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2지주봉(150)과,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와 이 제2지주봉결합부(321)(421)에 결합되는 상기 제3지주봉(240) 및 제4지주봉(250)은 각각 상기 제1지주봉결합부(311)(411) 및 상기 제2지주봉결합부(321)(421)를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340)(440)에 의해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와 이들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건조봉(330)(430)의 결합편(331)(431)은,
    상기 제1건조봉결합부(312)(412) 및 제2건조봉결합부(322)(4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핀(350)(45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각각 안착되는 안착부(160)(2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인장스프링(170)(270)이 각각 더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160)(260)는 상기 인장스프링(170)(27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123)(223)에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직경에 따라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이 상기 제2결합부(123)(223)의 내부에 각각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지주봉(140) 및 제3지주봉(240)의 하단이 각각 끼워지는 보조끼움부(180)(280)가 더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브라켓(110)과 제2상부브라켓(210)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상부끼움부(111)(211)와,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과 제2중앙브라켓(220)의 후면에 각각 형성된 하부끼움부(121)(221)의 내부에는,
    각각 밀착패드(500)가 더 끼움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 및 제2중앙브라켓(220)은,
    상기 제1중앙브라켓(120) 및 제2중앙브라켓(220)이 각각 결합되는 상기 창틀의 하부프레임(2)과 각각 체결나사(60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KR1020110114869A 2011-11-07 2011-11-07 세탁물 건조대 KR10129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69A KR101295480B1 (ko) 2011-11-07 2011-11-07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869A KR101295480B1 (ko) 2011-11-07 2011-11-07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858A KR20130049858A (ko) 2013-05-15
KR101295480B1 true KR101295480B1 (ko) 2013-08-09

Family

ID=4866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869A KR101295480B1 (ko) 2011-11-07 2011-11-07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5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창틀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95A (ja) * 1992-06-30 1994-01-25 Mitsugiron:Kk 窓枠用物干し竿掛け
KR960004803Y1 (ko) * 1993-07-21 1996-06-12 이동진 벽부착형 빨래걸이
KR200428701Y1 (ko) 2006-07-07 2006-10-16 배현웅 옷걸이용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95A (ja) * 1992-06-30 1994-01-25 Mitsugiron:Kk 窓枠用物干し竿掛け
KR960004803Y1 (ko) * 1993-07-21 1996-06-12 이동진 벽부착형 빨래걸이
KR200428701Y1 (ko) 2006-07-07 2006-10-16 배현웅 옷걸이용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5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창틀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858A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684B1 (ko) 창틀 건조대
KR20110128583A (ko) 빨래 건조대
KR101212832B1 (ko)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
KR200457494Y1 (ko) 다단식 세탁물 건조대
KR101295480B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KR20100008121U (ko) 도어 걸이형 다용도 선반
KR20170124060A (ko) 보조 세탁물 건조대
KR1011306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빨래건조대
KR101896658B1 (ko) 조립된 상태로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한 빨래 건조가 가능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JP2015009017A (ja) 窓枠取付形物干し装置
KR20110094507A (ko)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을 이루는 탄성 기둥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봉 고정용 횡바 구조체
CN104790183A (zh) 一种壁挂式晾衣架
KR200460948Y1 (ko) 다목적 건조대
KR20028836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RU22781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белья
KR102026896B1 (ko) 도어에 설치하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
CN206538599U (zh) 一种可拉伸的户外晾衣架
KR101118208B1 (ko) 빨래 건조대
KR200353452Y1 (ko) 간이 빨래 건조대
KR200449512Y1 (ko) 천장부착형 세탁물 건조대
KR101181289B1 (ko) 세탁물건조대
KR101280627B1 (ko) 벽면 부착형 빨래 건조대
KR200403290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CN2335994Y (zh) 折叠式阳台内外两用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