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65B1 - 창틀 고정구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65B1
KR101672165B1 KR1020160031228A KR20160031228A KR101672165B1 KR 101672165 B1 KR101672165 B1 KR 101672165B1 KR 1020160031228 A KR1020160031228 A KR 1020160031228A KR 20160031228 A KR20160031228 A KR 20160031228A KR 101672165 B1 KR101672165 B1 KR 10167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rame
cap
window fram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102016003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65B1/ko
Priority to CN201611203366.4A priority patent/CN107201872B/zh
Priority to CN201621422189.4U priority patent/CN206409156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는 창틀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봉이 체결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140); 상기 브라켓(1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패드(15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 캡(16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은 체결되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이 지지되는 프레임 베이스(120),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굴곡된 상태로 연정되는 프레임 바디(130) 및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상단 상에 형성되는 직경 조절구(116)를 갖는 파이프 삽입구(115)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대응하는 브라켓 베이스(141),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내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대응하는 브라켓 바디(142),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바디(142)를 마주보는 형태의 브라켓 절곡부(143),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 상에 관통 형성되는 가변부(144), 상기 가변부(144)의 일측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145)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유지한 채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이격 돌기(124),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가변 홈(125),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과 상기 프레임(110)이 결합하여 상기 고리 삽입홀(145)이 상기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 상에 위치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변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변 패드(150)는 상기 가변부(144)에서 분리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창틀 고정구{Window frame fixer}
본 발명은 창틀 고정구 및 이를 갖는 건조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택 또는 아파트의 실내창, 거실창, 발코니창의 창틀 상에 접철 가능한 건조대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봉을 창틀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고정하게 하는 창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대는 세탁된 세탁물을 널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건조대의 경우에는 주택의 베란다나 다용도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건조대와 실내에 비치되는 건조대로 구분된다. 이 중 천정에 설치되는 건조대의 경우에는 건조대의 걸이봉이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실이나 베란다의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실내에 비치되는 건조대의 경우에는 실내 공간에 그대로 펼쳐진 상태로 비치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널어 말리는 동안에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실내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건조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할 경우에는 펼쳐짐에 따라 그 만큼의 공간을 빼앗기게 되어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개의 아파트나 빌라, 주택 과 같은 건물의 실내에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실내에 펼쳐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건조대를 사용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공간인 창틀 등의 주변공간에 대한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건조대의 보급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295480호 및 제10-1310684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문헌에서는 실내의 창틀이나 베란다의 창틀에 거치시켜 설치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하고, 창문의 열고 닫음에 관계 없이 세탁물을 널어 말릴 수 있게 한 세탁물 건조대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의 경우에서 창틀에 고정되는 건조대지주체는 창틀의 상부프레임에 끼워지는 상부브라켓,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끼워지는 중앙브라켓과 창틀이 설치된 실내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브라켓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들을 연결하는 지주봉을 통해 상하로 연결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와 같이, 창틀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걸 수 있는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할 수 있지만, 창틀 폭에 따라 브라켓을 유동적으로 설치함과 아울어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게 하는 데에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295480 B
(특허문헌 2) KR10-1310684 B
본 발명은 주택 또는 아파트의 실내창, 거실창, 발코니창의 창틀 상에 접철 가능한 건조대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봉을 창틀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고정하게 하여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창틀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창틀 고정구는
창틀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봉이 체결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140); 상기 브라켓(1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패드(15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 캡(16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은 체결되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이 지지되는 프레임 베이스(120),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굴곡된 상태로 연정되는 프레임 바디(130) 및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상단 상에 형성되는 직경 조절구(116)를 갖는 파이프 삽입구(115)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대응하는 브라켓 베이스(141),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내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대응하는 브라켓 바디(142),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바디(142)를 마주보는 형태의 브라켓 절곡부(143),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 상에 관통 형성되는 가변부(144), 상기 가변부(144)의 일측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145)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유지한 채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이격 돌기(124),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가변 홈(125),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과 상기 프레임(110)이 결합하여 상기 고리 삽입홀(145)이 상기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 상에 위치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변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변 패드(150)는 상기 가변부(144)에서 분리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 바디(130)는,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의 바디 곡면부(135),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외면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캡 가이드 홈(136),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바디 격벽(131)과 격벽 연장부(132)를 통해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브라켓 바디(142)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146)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146)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압박 돌기(1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146)가 상기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상기 압박 돌기(147)가 상기 브라켓 가이드홈(138)의 내면을 압박하는 과정을 통해서 체결력을 증가한다.
상기 가변 패드(150)는, 패드 플레이트(151) 및 상기 패드 플레이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패드 고리(153)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고리(153)는, 상기 브라켓(140)의 고리 삽입홀(145)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가변 패드(150)의 이동을 유지한다.
상기 반달 캡(160)은, 상기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개방구에 부합하도록 반원 형상의 캡 바디(161), 상기 캡 바디(161)의 내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캡 가이드(162),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캡 체결홈(133)에 결합하도록 상기 캡 바디(161)의 하단에 형성된 캡 체결 돌기(163), 상기 캡 바디(161)의 상부 측에 형성되어져 상기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체결공(137)을 폐쇄하는 캡 버튼(16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창틀 건조대 장치는 창틀 고정구(100); 창틀 프레임(10)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창틀 고정구(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대(20); 상기 연결대(20) 상에 배치되는 결합구(30); 및 상기 결합구(30) 상에 배치되는 건조대 프레임(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창틀 고정구는 주택 또는 아파트의 실내창, 거실창, 발코니창의 창틀 상에 접철 가능한 건조대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봉을 창틀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고정하게 하여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창틀 고정구의 설치 구조,
도 6은 창틀 고정구와 창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5의 단면도, 및
도 7은 창틀 고정구와 창틀 간에 두께 조절구를 삽입한 상태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창틀 고정구를 갖는 창틀 건조대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창틀 고정구와 창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5의 단면도 및 도 7은 창틀 고정구와 창틀 간에 두께 조절구를 삽입한 상태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100)는 창틀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파이프 내지 지지봉이 체결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140), 브라켓(1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패드(150), 프레임(110)의 외측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 캡(16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체결되는 지지봉의 끝단이 지지되는 프레임 베이스(120), 프레임 베이스(120)의 굴곡된 상태로 연정되는 프레임 바디(130) 및 프레임 베이스(120)의 상단 상에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구(11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와 프레임 바디(130)는 사출 금형에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파이프 삽입구(115) 상에는 결합되는 지지봉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한 직경을 갖는 직경 조절구(116)를 결합할 수 있다. 직경 조절구(116)는 결합구(117)를 통해 파이프 삽입구(115)에 삽입 결합된다.
프레임 베이스(120)는 4각 평판 플레이트의 3모서리 부위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격벽(121), 베이스 격벽(121) 상에 형성되는 브라켓 안착구(122), 프레임 베이스(12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유지한채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이격 돌기(124),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가변 홈(125),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서 프레임 바디(130)에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130)는 평판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프레임(110)의 베이스 격벽(121)으로부터 마주보는 형태로 연장되는 바디 격벽(131), 바디 격벽(131)의 끝단에서 프레임 바디(13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격벽 연장부(132), 프레임 바디(130)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는 캡 체결홈(133), 프레임 바디(13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 바디 체결공(134), 프레임 바디(130)의 외측을 일정한 곡률을 유지한채 둘러싸는 형상의 바디 곡면부(135), 프레임 바디(130)의 외면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두줄의 캡 가이드 홈(136), 바디 곡면부(135) 상에 관통 형성되는 제2 바디 체결공(137), 및 바디 격벽(131)과 격벽 연장부(132)를 통해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바디 곡면부(135)의 제1 바디 체결공(134)과 제2 바디 체결공(137)은 볼트 구조체(170)를 통해 가변 패드(15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바디 곡면부(135)는 제2 바디 체결공(137)의 하단 인근을 최고점으로 하여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개방구를 갖는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의 관통을 통한 볼트 구조체(170)의 체결을 위하여 제2 바디 체결공(137)을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하였는바, 체결된 볼트 구조체(170)가 외부에서 보이는 미관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반달 캡(160)을 결합함으로써 제2 바디 체결공(137)을 폐쇄할 수 있게 한다.
브라켓(140)은 프레임 베이스(120)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브라켓 베이스(141), 브라켓 베이스(141)의 내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 바디(130)에 대응하는 브라켓 바디(142), 브라켓 베이스(141)의 외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브라켓 바디(142)를 마주보는 형태의 브라켓 절곡부(143), 브라켓 베이스(141) 상에 관통 형성되는 가변부(144), 가변부(144)의 일측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145), 브라켓 바디(142)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146), 브라켓 가이드(146)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압박 돌기(147), 브라켓 바디(142)를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 체결공(148)을 포함한다.
가변부(144)는 브라켓 바디(142)와 브라켓 절곡부(143) 사이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한채 형성되어져 가변 패드(15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고리 삽입홀(145)은 그 폭이 가변부(144)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브라켓(140)이 프레임(110) 상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 가이드(146)가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브라켓 가이드(146)에 형성된 압박 돌기(147)가 브라켓 가이드홈(138)의 내면을 강하게 압박하는 과정을 통해서 체결력을 증가하게 한다. 여기에서, 브라켓 가이드(146)는 바디 격벽(131)과 격벽 연장부(132)로 이루어진 형상과 맞물리는 형태이다.
가변 패드(150)는 패드 플레이트(151) 및 패드 플레이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패드 고리(153)를 포함한다.
패드 고리(153)는 패드 플레이트(151) 상에 T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브라켓(140)의 고리 삽입홀(145)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가변부(144)의 후단에 걸린 상태에서 가변 패드(150)의 이동을 유지하게 한다.
한편, 브라켓(140)이 창틀 프레임(10)에 결합하는 경우를 보면, 브라켓 베이스(141)가 프레임 베이스(120) 상에 결합하면서 고리 삽입홀(145)이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고리 삽입홀(145)을 통해 가변부(144)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패드 고리(153)는 브라켓(140)이 해제될때 까지는 가변부(144)에서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구조를 통해 가변 패드(150)가 창틀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패드 고리(153)를 통해 가변 패드(150)가 가변부(144)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 고리(153)는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 배치된 가변 홈(125)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 상기 이격 돌기(124)는 패드 고리(153)가 프레임 베이스(120)의 내면에 접촉하여 가변 패드(150)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프레임 베이스(120)의 스크래치 내지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반달 캡(160)은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개방구에 부합하도록 반원 형상의 캡 바디(161), 캡 바디(161)의 내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캡 가이드(162), 프레임 바디(130)의 캡 체결홈(133)에 결합하도록 캡 바디(161)의 하단에 형성된 캡 체결 돌기(163), 캡 바디(161)의 내면 상부 측에 형성되어져 바디 곡면부(135)의 제2 바디 체결공(137)을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캡 버튼(165)을 포함한다.
즉, 먼저 캡 버튼(165)을 바디 곡면부(135)의 개방구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하여 제2 바디 체결공(137)의 하부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캡 체결 돌기(163)를 캡 체결홈(133)에 결합하게 되면, 반달 캡(160)은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개방구를 막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반달 캡(16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캡 버튼(165)을 하부로 가압하는 작용을 통해서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창틀 고정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고정구의 설치 구조는 상하로 배치되는 창틀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11)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창틀 고정구(100), 한쌍의 창틀 고정구(100) 간을 연결하는 지지봉(20),지지봉(20) 상에 배치되는 결합구(30), 결합구(30) 상에 배치되는 건조대 프레임(40)을 포함한다. 건조대 프레임(40)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건조봉을 통해 세탁물을 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볼트 구조체(170)를 이용하여 가변 패드(1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창틀 고정구(100)를 창틀 프레임(10) 상에 고정하게 하는데,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11)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상이한 가이드 레일(11)의 두께를 극복하기 위하여 두께 조절구(180)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창틀 고정구는 주택 또는 아파트의 실내창, 거실창, 발코니창 등의 창틀 상에 접철 가능한 건조대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건조대를 구성하는 지지봉을 창틀의 상하부를 통해 각각 고정하게 하여 세탁물을 널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창틀 고정구
110 : 프레임
120 : 프레임 베이스
130 : 프레임 바디
140 : 브라켓
150 : 가변 패드
160 : 반달 캡

Claims (5)

  1. 창틀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봉이 체결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브라켓(140);
    상기 브라켓(14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 패드(15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 캡(16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은 체결되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이 지지되는 프레임 베이스(120),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굴곡된 상태로 연정되는 프레임 바디(130) 및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상단 상에 형성되는 직경 조절구(116)를 갖는 파이프 삽입구(115)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에 대응하는 브라켓 베이스(141),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내측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대응하는 브라켓 바디(142),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바디(142)를 마주보는 형태의 브라켓 절곡부(143), 상기 브라켓 베이스(141) 상에 관통 형성되는 가변부(144), 상기 가변부(144)의 일측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145)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12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유지한 채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이격 돌기(124),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가변 홈(125), 상기 한쌍의 이격 돌기(12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바디(130)에 평행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과 상기 프레임(110)이 결합하여 상기 고리 삽입홀(145)이 상기 패드 고리 멈춤 돌기(126) 상에 위치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변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가변 패드(150)는 상기 가변부(144)에서 분리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갖는,
    창틀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바디(130)는,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의 바디 곡면부(135),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외면 상에 상하 방향을 따라 두줄로 형성되는 캡 가이드 홈(136),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마주보는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바디 격벽(131)과 격벽 연장부(132)를 통해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브라켓 바디(142)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146)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146)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압박 돌기(1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가이드(146)가 상기 브라켓 가이드홈(138)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상기 압박 돌기(147)가 상기 브라켓 가이드홈(138)의 내면을 압박하는 과정을 통해서 체결력을 증가하는,
    창틀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패드(150)는,
    패드 플레이트(151) 및 상기 패드 플레이트(1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패드 고리(153)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고리(153)는, 상기 브라켓(140)의 고리 삽입홀(145)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가변 패드(150)의 이동을 유지하는,
    창틀 고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달 캡(160)은,
    상기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개방구에 부합하도록 반원 형상의 캡 바디(161), 상기 캡 바디(161)의 내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캡 가이드(162), 상기 프레임 바디(130)의 캡 체결홈(133)에 결합하도록 상기 캡 바디(161)의 하단에 형성된 캡 체결 돌기(163), 상기 캡 바디(161)의 상부 측에 형성되어져 상기 바디 곡면부(135)에 형성된 체결공(137)을 폐쇄하는 캡 버튼(165)을 포함하는,
    창틀 고정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틀 고정구(100);
    창틀 프레임(10)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창틀 고정구(100) 간을 연결하는 연결대(20);
    상기 연결대(20) 상에 배치되는 결합구(30); 및
    상기 결합구(30) 상에 배치되는 건조대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창틀 고정구의 설치 구조.
KR1020160031228A 2016-03-16 2016-03-16 창틀 고정구 KR10167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28A KR101672165B1 (ko) 2016-03-16 2016-03-16 창틀 고정구
CN201611203366.4A CN107201872B (zh) 2016-03-16 2016-12-07 窗框固定件
CN201621422189.4U CN206409156U (zh) 2016-03-16 2016-12-07 窗框固定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28A KR101672165B1 (ko) 2016-03-16 2016-03-16 창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165B1 true KR101672165B1 (ko) 2016-11-02

Family

ID=5751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228A KR101672165B1 (ko) 2016-03-16 2016-03-16 창틀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2165B1 (ko)
CN (2) CN20640915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59B1 (ko) * 2017-02-09 2018-07-06 이모백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의 고정장치
KR101875456B1 (ko) * 2017-02-09 2018-07-06 이모백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65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창틀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80B1 (ko) * 2011-11-07 2013-08-09 주식회사 대연 세탁물 건조대
KR101310684B1 (ko) * 2011-11-25 2013-09-24 주식회사 대연 창틀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10Y1 (ko) * 2008-08-11 2011-04-13 강준성 벽면 설치형 빨래 건조 조립체
CN103668894A (zh) * 2012-09-19 2014-03-26 陆绍章 窗外转动式太阳晒被架
CN103774390A (zh) * 2012-10-22 2014-05-07 西安优达计算机系统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卸的凉衣杆
CN103498322A (zh) * 2013-10-08 2014-01-08 湖南工业大学 一种户外型智能晾衣架
CN104233724B (zh) * 2014-10-08 2016-08-17 罗智骁 一种可拆卸的折叠式晾衣架
KR101672165B1 (ko) * 2016-03-16 2016-11-02 김태연 창틀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80B1 (ko) * 2011-11-07 2013-08-09 주식회사 대연 세탁물 건조대
KR101310684B1 (ko) * 2011-11-25 2013-09-24 주식회사 대연 창틀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59B1 (ko) * 2017-02-09 2018-07-06 이모백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의 고정장치
KR101875456B1 (ko) * 2017-02-09 2018-07-06 이모백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1872A (zh) 2017-09-26
CN107201872B (zh) 2019-04-05
CN206409156U (zh)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165B1 (ko) 창틀 고정구
EP2499289B1 (en) Drying rack
KR101212832B1 (ko) 창틀 부착형 빨래 건조대
KR101701821B1 (ko) 보조 빨래 건조대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KR20170065859A (ko) 창문 구조체
KR101544539B1 (ko) 높이조절형 지지봉 걸이구
KR102024771B1 (ko) 확장형 보조 걸이대를 갖는 이단 빨래 건조대
KR101759841B1 (ko) 빨래 건조용 스페이서
KR101672166B1 (ko) 쐐기핀을 갖는 흡착구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KR1011306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빨래건조대
KR101701823B1 (ko) 벽면 고정 접철식 건조대
WO2017045169A1 (zh) 一种衣架
KR100808556B1 (ko)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8122U (ko) 벽면 부착형 상/하 슬라이드 행거
KR200473928Y1 (ko) 가구 삽입형 건조대
KR200327604Y1 (ko) 드레스룸용 행거의 선반 높이 조절구
KR20120003953U (ko) 커튼 연결링
KR20100010962U (ko) 커튼봉 연결구
JP7489774B2 (ja) 取付け構造
WO2017045171A1 (zh) 一种衣架
JP3229862U (ja) ポール保持具
KR200481593Y1 (ko) 빨래 건조대
JP6179091B2 (ja) 物干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