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962U - 커튼봉 연결구 - Google Patents

커튼봉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962U
KR20100010962U KR2020100010499U KR20100010499U KR20100010962U KR 20100010962 U KR20100010962 U KR 20100010962U KR 2020100010499 U KR2020100010499 U KR 2020100010499U KR 20100010499 U KR20100010499 U KR 20100010499U KR 20100010962 U KR20100010962 U KR 20100010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fixing
fixture
connector
connec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철
Original Assignee
김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철 filed Critical 김수철
Priority to KR2020100010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962U/ko
Publication of KR20100010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2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rings, e.g. with additional runner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상이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된 'C'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커튼이 좌우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과정에서 연결바를 타고 슬라이딩되는 연결구가 연결바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간섭되지 않고 연결구의 개방부에 의해 고정구를 넘어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커튼의 개폐동작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커튼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튼의 개폐시에 고정구에 의해 간섭되어 커튼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거나 접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튼이 연결되는 고정구의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어 커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커튼이 바닥으로부터 뜨거나 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튼봉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1)와, 이 제1고정부(11)의 전면에 위치 구성되어 제1고정부(11)에 고정되고 전방측 하부에 안착부(12)가 형성되는 제2고정부(13)로 구성된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의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걸어지고 하단에 커튼(30)이 연결되는 연결구(4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40)는,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구(10)에 걸리지 않고 고정구(10)를 통과하도록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된 'C'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봉(14)들이 더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봉에 걸어지는 걸이편(15)이 상기 제2고정부(13)의 후면에 더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13)의 걸이편(15)이 상기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에 걸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구(1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튼봉 연결구{FIXING TOOL OF CURTAIN BAR}
본 고안은 커튼봉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에 지지되고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바 및 연결바에 끼워지고 하단에 커튼이 연결되는 연결구에 의해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의 형상을 후면이 개방된 'C'형으로 형성하여 커튼의 열고 닫음 동작시에 연결구가 천정에 고정된 고정구에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3개 이상의 연결구 부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원단의 무게로 인한 커튼봉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천정에 부착된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구의 길이를 가변시켜 커튼의 설치장소에 따라 커튼의 설치높이를 가변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커튼봉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은 막으로 형성되어 창문 등을 가려주는 것으로 상하 승강구조 방식이나 좌우 슬라이딩구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천이나 필름으로 된 커튼을 좌우로 밀어 열고 닫는 좌우 슬라이딩 구조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좌우 슬라이딩 구조의 커튼은 벽의 상부나 천정에 커튼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가 고정되고 이 고정구에 커튼의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바 및 이 연결바와 커튼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커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구를 창가 등의 벽 상부나 또는 천정에 고정구를 좌우측에 2개 또는 3개를 연결하여 고정하고, 또한 커튼의 상부에 다수의 연결구를 연결한 후, 상기 고정구에 상기 연결구가 걸어지는 연결바를 안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구에 안착된 연결바에 상기 커튼의 상부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구를 걸어줌으로써 커튼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커튼의 설치되는 장소의 넓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바의 경우 내경이 적은 연결바와 내경이 큰 연결바를 서로 끼움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커튼을 이용하여 햇빛을 가리거나 또는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튼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닫아주고, 차단된 커튼을 개방할 경우에는 커튼을 슬라이딩방식으로 열어주면 되는 것으로, 이 때, 커튼의 좌우 슬라이딩은 커튼의 상부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구들이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연결바의 외면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튼을 열거나 닫을 경우에, 상기 연결바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정구에 의해 커튼의 상부에 연결구성된 연결구들이 간섭을 받게 되어 커튼이 제대로 닫혀지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설치되는 좌우 슬라이딩 구조의 커튼은, 길이가 긴 연결바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해 좌우 및 중앙에 3개의 고정구를 고정한 후, 이들 고정구에 의해 길이가 긴 연결바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좌우에 설치된 고정구 및 중앙의 고정구들에 커튼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구들이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걸리기 때문에 3개 이상의 고정구 부착이 불가능하여 커튼봉의 휨 현상이 발생하고, 원단의 무게로 인하여 천정에 부착된 고정구의 이탈되고, 커튼이 끝까지 닫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바에 연결되는 커튼의 경우 좌측 및 우측 2개의 커튼으로 구성되는 바, 연결바를 지지하는 중앙의 고정구에 의해 2개의 커튼을 서로 닫는 과정에서 중앙부분에 구성되는 고정구에 의해 양측의 커튼에 연결된 연결구가 넘어오지 못함으로써 중앙부에 틈새가 발생되어 커튼을 이용한 외부와의 차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제20-0397897호인 커튼봉 고정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고, 일부분에는 커튼봉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고리부를 갖는 커튼봉 고정구에 있어서, 고리부 내면의 곡면을 따라 일부분에 형성된 톱니부와, 고리부 내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커튼봉의 외면 일부분에 밀착되고, 그 단부는 상기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되며, 톱니부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안착홈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커튼봉을 가압하여 잡아주는 홀더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 제20-0417340호인 커튼봉 고정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중앙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고리형상으로 라운드되며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설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리부와, 일측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고리부의 걸림돌기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결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커튼의 설치에 따른 문제점 즉 좁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고정부를 벽이나 천정에 설치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커튼을 연결하는 고리부와 연결부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튼을 열고 닫을 때 커튼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구가 고정구에 간섭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은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커튼을 설치함에 있어서, 커튼의 높이보다 설치장소의 높이가 낮거나 또는 더 높을 경우에는 설치된 커튼의 하부측이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깔리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커튼을 열고 닫을 때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연결되고 커튼을 좌우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구로 구성하되, 상기 연결구의 형상을 후면이 개방된'C'형으로 형성하여 고정구의 하부를 연결구가 그대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좌우 슬라이딩 개폐가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연결구 부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원단의 무게로 인한 커튼봉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천정에 부착된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구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커튼의 설치위치에 맞추어 커튼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커튼봉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이 제1고정부의 전면에 위치 구성되어 제1고정부에 고정되고 전방측 하부에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제2고정부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걸어지고 하단에 커튼이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를 타고 좌우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구에 걸리지 않고 고정구를 통과하도록 후면에 개방부가 개방형성된 'C'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의 제1고정부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봉들이 더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제1고정부의 고정봉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상기 제2고정부의 후면에 더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걸이편이 상기 제1고정부의 고정봉들에 걸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구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는, 형상이 후면이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된 'C'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커튼이 좌우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과정에서 연결바를 타고 슬라이딩되는 연결구가 연결바를 고정하는 고정구에 간섭되지 않고 연결구의 개방부에 의해 고정구를 넘어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3개 이상의 고정구 부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커튼봉의 휨 현상을 방지하고 커튼의 개폐동작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커튼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튼의 개폐시에 고정구에 의해 간섭되어 커튼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거나 접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튼이 연결되는 고정구의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어 커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커튼이 바닥으로부터 뜨거나 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에 의해 커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고정구의 높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종래의 커튼봉 연결구를 커튼봉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를 커튼봉에 다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는,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1)와, 이 제1고정부(11)의 전면에 위치 구성되어 제1고정부(11)에 고정되고 전방측 하부에 안착부(12)가 형성되는 제2고정부(13)로 구성된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의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걸어지고 하단에 커튼(30)이 연결되는 연결구(40)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40)는,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구(10)에 걸리지 않고 고정구(10)를 통과하도록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된 'C'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는 커튼이 설치되는 벽면의 상부나 또는 천정면에 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부(13)는 상기 제1고정부(11)의 전면측에 연결되어 제2고정부(13)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12)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20)는 커튼(30)의 길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내경이 작은 연결바와 이 작은 연결바가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내경이 큰 연결바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 하부측에 형성된 안착부(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40)는, 상기 커튼(30)을 상기 연결바(20)에 걸어주는 것으로, 커튼(3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커튼(30)을 열거나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측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연결구(40)는,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된 'C'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바(20)가 안착된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12)에 걸리지 않아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커튼을 열고 닫는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연결구의 형상이 원형의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바가 안착된 고정구의 돌출되는 안착부에 걸림으로써 커튼을 열거나 닫을 때 간섭을 받아 커튼이 확실하게 펼쳐지지 않거나 접힘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커튼의 틈새가 발생되었으나,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는, 상기 연결구(40)의 형상이 'C'으로 형성되어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방부(41)에 의해 연결구(40)가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12)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통과될 수 있음으로써 커튼(30)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종래 고리형의 연결구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도 6은 종래의 커튼봉 연결구를 커튼봉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를 커튼봉에 다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튼봉에는 연결구를 3개 이상의 설치가 불가하여 커튼의 무게 때문에 커튼봉이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우 3개 이상 여러 개의 연결구 설치가 가능하여 커튼의 좌우폭 길이가 길더라도 일정 구간마다 다수의 연결구를 연속으로 설치하여 하나로 연결된 커튼을 모두 좌측단 또는 우측단으로 커튼을 접을 수 있어 좌우로 연속 연결되어 있는 통유리로 구성된 유리벽의 경우 매우 뛰어난 미관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인 커튼봉 연결구는,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봉(14)들이 더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봉에 걸어지는 걸이편(15)이 상기 제2고정부(13)의 후면에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13)의 걸이편(15)이 상기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에 걸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구(10)의 높이가 가변된다.
이에 따라, 커튼(30)이 설치되는 장소의 높이에 따라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를 제1고정부(11)로부터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써, 제2고정부(13)의 하부에 형성된 안착부(12)의 높이 역시 가변되기 때문에, 이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2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커튼이 설치된 장소의 바닥으로부터 뜨거나 또는 깔리는 현상이 방지되어 커튼의 고품격 외관을 그대로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고정구 11 : 제1고정부
12 : 안착부 13 : 제2고정부
14 : 고정봉 15 : 걸이편
20 : 연결바 30 : 커튼
40 : 연결구 41 : 개방부

Claims (2)

  1. 벽이나 천정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11)와, 이 제1고정부(11)의 전면에 위치 구성되어 제1고정부(11)에 고정되고 전방측 하부에 안착부(12)가 형성되는 제2고정부(13)로 구성된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의 제2고정부(13)의 안착부(12)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연결바(20)와;
    상기 연결바(20)에 걸어지고 하단에 커튼(30)이 연결되는 연결구(40)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40)는, 상기 연결바(20)를 타고 좌우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구(10)에 걸리지 않고 고정구(10)를 통과하도록 후면에 개방부(41)가 개방형성된 'C'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내측에는 제1고정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봉(14)들이 더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10)의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봉에 걸어지는 걸이편(15)이 상기 제2고정부(13)의 후면에 더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13)의 걸이편(15)이 상기 제1고정부(11)의 고정봉(14)들에 걸어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구(1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봉 연결구.
KR2020100010499U 2010-09-18 2010-10-13 커튼봉 연결구 KR20100010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499U KR20100010962U (ko) 2010-09-18 2010-10-13 커튼봉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39 2010-09-18
KR2020100010499U KR20100010962U (ko) 2010-09-18 2010-10-13 커튼봉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62U true KR20100010962U (ko) 2010-11-08

Family

ID=4420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499U KR20100010962U (ko) 2010-09-18 2010-10-13 커튼봉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9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86Y1 (ko) * 2012-04-26 2014-08-07 우해만 관체의 회전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86Y1 (ko) * 2012-04-26 2014-08-07 우해만 관체의 회전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4821A1 (en) Vertical cellular blind
KR101847273B1 (ko) 커튼레일 조립체
US7028960B2 (en) Curtain rods and supports therefor
KR101618356B1 (ko) 시공이 용이한 피트패널조립체
US20090038761A1 (en) Drapery hardware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KR101672165B1 (ko) 창틀 고정구
KR20100010962U (ko) 커튼봉 연결구
KR101701821B1 (ko) 보조 빨래 건조대
KR20130005768U (ko) 커튼 레일
US5170531A (en) Carrier for a baton traversing drapery system
CN109990349A (zh) 一种吸油烟机的安装结构
KR200400101Y1 (ko) 차양장치의 레일용 클립구조
KR101184582B1 (ko) 다기능 커튼 레일
KR200472251Y1 (ko) 폭 조절이 용이한 천장 부착형 빨래건조대
KR101382175B1 (ko) 커튼 걸이용 걸이구
KR100808556B1 (ko) 옷걸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세탁물 건조대
JPH10184242A (ja) 縦型ブラインド
RU189550U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кронштейна для оконных штор
KR101191252B1 (ko) 간이 드레스실
JPH0326875Y2 (ko)
KR101366508B1 (ko)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JP2012075460A (ja) パネル型カーテン
KR101223580B1 (ko) 커튼 걸이용 걸이구
JP6495350B2 (ja) カーテン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