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273B1 - 커튼레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튼레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273B1
KR101847273B1 KR1020160086532A KR20160086532A KR101847273B1 KR 101847273 B1 KR101847273 B1 KR 101847273B1 KR 1020160086532 A KR1020160086532 A KR 1020160086532A KR 20160086532 A KR20160086532 A KR 20160086532A KR 101847273 B1 KR101847273 B1 KR 10184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runner
longitudinal dire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015A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성 filed Critical 김대성
Priority to KR102016008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2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47H1/08Curtain rails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5/00Runners or gliders for supporting curtains on rails or rods
    • A47H15/02Runner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튼레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틀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측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제1레일부(110);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레일부(120); 및 상기 커튼지의 상단을 따라 이격배치된 커튼핀이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는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에 체결되어 각각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튼러너(130);를 포함하는 커튼레일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튼레일 조립체{CURTAIN RAIL ASSEMBLY}
본 발명은 커튼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튼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창틀에는 외부광을 차단하거나 외부시선으로부터 실내를 커버하기 위해 커튼을 주로 이용한다.
이러한 커튼은 사용자가 임의로 커튼지를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도록 천장에 커튼레일 조립체를 설치하는데, 종래의 커튼레일 조립체는 천장에 설치되며 하부에 러너홈이 하향 개구된 레일 및, 상기 러너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레일에 장착되며 하단에는 걸이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커튼러너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튼지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커튼핀을 장착하고 각 커튼핀을 커튼러너의 걸이공에 걸어 젖히는 방식으로 커튼지를 개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창틀의 길이가 짧을 경우 하나의 커튼지가 설치되나 창틀의 길이가 길거나 창틀을 양쪽으로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레일에 두 개의 커튼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두 개의 커튼지를 설치하는 경우 각 커튼지의 대향하는 단부가 레일의 중앙위치에서 맞닿도록 슬라이딩시켜 커튼을 닫을 수 있으나, 두 커튼지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가 벌어지면서 외부광이 들어오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바람이 부는 경우 틈새가 더욱 벌어지면서 외로부터 실내를 커버하는 커튼의 제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커튼레일 조립체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커튼레일 조립체의 커튼러너(14,16)의 하단에는 커튼지의 상단에 결합된 커튼핀의 후크가 삽입되는 원고리(14b,16b)가 장착되는데, 이 원고리(14b,16b)의 경우 레일(22)이 연장된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 즉, 도면기준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삽입된 커튼핀은 고정된 커튼지를 단순히 상하로 지지하는 기능만 수행할뿐 커튼지의 웨이브진 주름이 도드라지도록 가압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레일의 단부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이를 통해 내부로 커튼러너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커튼러너를 외부로 빼낼 수 있었으며, 개구된 단부에는 마감캡이 장착되어 삽입된 커튼러너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었다.
그러나, 기설치된 레일에서 커튼러너를 더 삽입하거나 불필요한 커튼러너를 빼내고자 하는 경우 높은 위치에 설치된 레일상에 마감캡을 분리하고 커튼러너를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로우며 레일의 양단에 작업공간이 부족한 경우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탈거한 후 커튼러너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2266호(2015.03.06), 커튼 레일 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이 닫혀진 상태에서 두 커튼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광이 들어오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커튼지의 웨이브진 주름이 도드라지도록 가압할 수 있으며, 마감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튼러너를 레일에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커튼레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는, 창틀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튼레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틀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측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제1레일부(110);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레일부(120); 및 상기 커튼지의 상단을 따라 이격배치된 커튼핀이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는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에 체결되어 각각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튼러너(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지지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하향지지턱(113)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향지지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하향지지턱(113)과 상향지지턱(114)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122)은,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향걸림턱(123) 및,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상향걸림턱(123)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걸림턱(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에는 복수의 슬라이딩홈(112)이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에는 각 슬라이딩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편(122)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 슬라이딩홈(112)과 체결편(122)의 슬라이딩결합에 의해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가 상호 측방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는, 창틀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튼레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틀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제1레일부(110);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레일부(120); 및 상기 커튼지의 상단을 따라 이격배치된 커튼핀이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는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에 체결되어 각각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튼러너(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면에는 상향 돌출되다 일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제1지지턱(115)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돌출되다 상기 제1지지턱(115)과 대향하는 타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2지지턱(116)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턱(115)과 제2지지턱(116)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122)은,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홈(112)의 상부 위치까지 측방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125) 및, 상기 연장부(125)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다 양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걸림턱(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110)는 상기 창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위치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는 창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위치에 편중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창틀의 중앙 위치에서 일정길이로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측방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레일부(110,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에는 각 레일부(110,120)의 러너홈(111,121)과 연통되는 러너홈(141)이 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부레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튼러너(130)는, 제1레일부(110)의 러너홈(111) 및 제2레일부(120)의 러너홈(121)에 관통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131) 및, 상기 바디(131)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커튼핀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이공(132)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걸이공(132)은 각 레일부(110,12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튼러너(130)는, 상기 바디(131)의 하단으로부터 복수 개의 걸이공(132)이 상하방향으로 연속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 레일부(110,120)의 단부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삽입된 커튼러너(130)의 이탈을 차단하는 마감캡(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캡(150)의 측부에는 상기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러너홈(111,121)과 연통된 러너출입공(151)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측방 결합되어 창틀의 중앙위치에서 두 레일부(110,120)의 단부를 일정길이로 중첩되게 설치할 수 있어 창틀의 중앙위치에 두 커튼지를 전후로 중첩되게 이중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커튼이 닫혀진 상태에서 두 커튼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광이 들어오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시인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커튼지의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커튼핀의 후크가 결합되는 커튼러너(130)의 걸이공(132)은 레일부(110,120)의 연장된 길이방향 즉, 커튼러너(13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커튼핀을 내측방향으로 트위스트되도록 가압할 수 있으므로 커튼지의 웨이브진 주름을 더욱 도드라지도록 하여 외관을 보다 미련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커튼러너(130)의 경우 바디(131)의 하단으로부터 복수 개의 걸이공(132)이 상하방향으로 연속배치되므로 커튼지의 설치되는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커튼지의 재단시 상하길이에 오차가 있더라도 길이조절을 통해 설치장소에 적합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지 하단의 이격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각 레일부(110,120)의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삽입된 커튼러너(130)의 이탈을 차단하는 마감캡(150)의 경우, 측부에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러너홈(111,121)과 연통된 러너출입공(151)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므로, 커튼러너(130)를 레일부(110,120) 내부에 삽입하거나 꺼내야 하는 경우 마감캡(150)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간소해지며 각 레일부(110,120)의 양단에 작업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커튼러너(130) 작업이 가능하여 천장에 설치된 레일부(110,120)를 불필요하게 탈거하고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다섯째,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레일부(140)를 이용하여 커튼레일 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틀의 크기에 맞추어 각 레일부(110,120)의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창틀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각 레일부(110,120)와 내부레일부(140)를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긴 창틀에 설치되더라 개별적으로 각 레일부(110,120,140)를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설치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레일부의 다양한 측방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러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에 커튼러너가 조립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러너에 복수의 걸이공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레일부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이 레일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레일부와 제2레일부가 창틀과 근접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는 커튼이 닫혀진 상태에서 두 커튼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광이 들어오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커튼지의 웨이브진 주름이 도드라지도록 가압할 수 있으며, 마감캡(150)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튼러너(130)를 레일에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커튼 설치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부(110), 제2레일부(120) 및 커튼러너(130)를 포함되며, 창틀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칭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한다.
먼저, 상기 제1레일부(110)는 하나의 커튼지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일프레임으로서, 상기 창틀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측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L)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부(110)의 하부에는 양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W)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지지편(117)이 형성되어 러너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17)은 삽입된 커튼러너(130)가 슬라이딩하면서 커튼핀을 통해 체결된 커튼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레일부(120)는 제2레일부(120)가 지지하는 커튼지와 다른 하나의 커튼지를 개폐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일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부(120)는 상술한 제1레일부(110)와 마찬가지로 하부에는 양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W)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지지편(127)이 형성되어 러너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27)은 삽입된 커튼러너(130)가 슬라이딩하면서 커튼핀을 통해 체결된 커튼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는 설치대상인 창틀의 길이방향(L)의 길이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단부가 일정길이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레일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레일부(120)의 하부에는 양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W)을 따라 내측으로 각각 절곡형성된 두 지지편(127)이 형성되면서 상기 러너홈(121)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127)은 삽입된 커튼러너(130)가 슬라이딩하면서 커튼핀을 통해 체결된 커튼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는 다양한 구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측방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지지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하향지지턱(113)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상향지지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하향지지턱(113)과 상향지지턱(114)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122)은,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향걸림턱(123) 및,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상향걸림턱(123)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걸림턱(12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에는 복수의 슬라이딩홈(112)이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에는 각 슬라이딩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편(122)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 슬라이딩홈(112)과 체결편(122)의 슬라이딩결합에 의해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가 상호 측방결합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는 상기 창틀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커튼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레일부(120)는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커튼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면에는 상향 돌출되다 일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1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제1지지턱(115)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향 돌출되다 상기 제1지지턱(115)과 대향하는 타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제2지지턱(116)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턱(115)과 제2지지턱(116)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122)은, 상기 제1레일부(110)의 상부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홈(112)의 상부 위치까지 측방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125) 및, 상기 연장부(125)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다 양측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걸림턱(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는 창틀(10)의 중앙(C)을 기준으로 좌측 위치에 편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는 창틀(10)의 중앙(C)을 기준으로 우측 위치에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는 상기 창틀(10)의 중앙(C) 위치에서 일정길이로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측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튼러너(130)는 레일부(110,120)과 커튼지 사이에 배치되어 커튼지의 하중을 레일부(110,120)에 전달함과 동시에 레일부(110,120)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커튼지를 개폐동작시키는 롤러수단으로서, 상기 커튼지의 상단을 따라 이격배치된 커튼핀이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는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에 체결되어 각각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커튼러너(130)는, 제1레일부(110)의 커튼러너홈(111) 및 제2레일부(120)의 커튼러너홈(121)에 관통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디(131) 및, 상기 바디(131)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커튼고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이공(13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공(132)은 각 레일부(110,12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튼지의 상단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커튼핀의 후크가 결합되는 커튼러너(130)의 걸이공(132)은 레일부(110,12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커튼핀을 내측방향으로 트위스트되도록 가압할 수 있으므로 커튼지의 웨이브진 주름을 더욱 도드라지도록 하여 외관을 보다 미련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러너(130)는 바디(131)의 하단으로부터 복수의 개의 걸이공(132)이 상하방향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지의 설치되는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커튼지의 재단시 상하길이에 오차가 있더라도 길이조절을 통해 설치장소에 적합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지 하단의 이격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바디(131)의 상단에는 레일부(110,120)의 러너홈(111,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지지편(117,127)의 상부면에 지지되지 위한 확장편(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일부(110,120)의 지지편(117,127)의 단부에는 라운드지게 상향 돌출된 돌기(118,128)가 형성되어 확장편(133)과 각 지지편(117,127)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확장편(133)의 양측에는 각 지지편(117,127)과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회전바퀴가 장착되어 마찰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레일부(110), 제2레일부(120) 및 커튼러너(130)의 구성을 통해,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측방 결합되어 창틀(10)의 중앙(C) 위치에서 두 레일부(110,120)의 단부를 일정길이로 중첩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커튼이 닫혀진 상태에서 두 커튼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외부광이 들어오거나 외부로부터 실내가 시인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는 설치대상인 창틀의 길이방향(L)의 길이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형성되면서 해당 창틀의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 설치전 커튼레일 조립체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레일 조립체는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의 길이를 짧게 하되, 해당 창틀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전체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내부레일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레일부(140)는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레일부(110,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에는 각 레일부(110,120)의 커튼러너홈(111,121)과 연통되는 커튼러너홈(141)이 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레일부(140)를 이용하여 커튼레일 조립체가 설치되는 창틀의 크기에 맞추어 각 레일부(110,120)의 전체 길이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창틀에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각 레일부(110,120)와 내부레일부(140)를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긴 창틀에 설치되더라 개별적으로 각 레일부(110,120,140)를 조립할 수 있어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설치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일부(110,120)의 단부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삽입된 커튼러너부(130)의 이탈을 차단하는 마감캡(15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캡(150)의 측부에는 상기 커튼러너부(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커튼러너홈(111,121)과 연통된 러너출입공(151)이 측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너출입공(151)은, 상기 마감캡(150)의 바닥면(152) 상에서 상기 러너홈(111,121)과 길이방향(L)으로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커튼러너(130)를 마감캡(15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러너홈연통공(153)과, 상기 바닥면(152) 상에서 상기 러너홈연통공(153)과 폭방향(W)으로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커튼러너(130)를 마감캡(150) 내에서 폭방향(W)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측방이동공(154)과, 상기 마감캡(150)의 측면(155) 상에서 상기 측방이동공(154)과 폭방향(W)으로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31)가 측방으로 관통하는 바디관통공(156) 및, 상기 측면(155) 상에서 상기 바디관통공(156)과 상하방향(H)으로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튼러너(130)의 확장편(1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편(133)이 측방으로 관통하는 확장편관통공(157)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러너홈연통공(153)을 이용하여 내부의 커튼러너(130)를 마감캡(150)의 내부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바디(131)를 들어올려 확장편(133)이 상기 확장편관통공(157)과 측방으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방이동공(154)을 이용하여 커튼러너(130)를 폭방향(W)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바디관통공(156)과 확장편관통공(157)을 통해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확장편(133)이 관통하면서 용이하게 내부의 커튼러너(13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튼러너(130)를 레일부(110,120) 내부에 삽입하거나 꺼내야 하는 경우 마감캡(150)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간소해지며 각 레일부(110,120)의 양단에 작업공간이 부족하더라도 커튼러너(130) 작업이 가능하여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불필요하게 탈거하고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러너출입공(151)에는 내부에 삽입된 커튼러너(130)가 러너출입공(15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마개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제1레일부 111,121,141...러너홈
112...슬라이딩홈 120...제1레일부
122...체결편 130...커튼러너
131...바디 132...걸이공
140...내부레일부 150...마감캡
151...러너출입공

Claims (10)

  1. 창틀(10)과 근접하게 천장에 설치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커튼지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튼레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틀(10)과 나란하게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11)이 하향 개구되며 측부에는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된 제1레일부(110);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방에 수평배치되어 천장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러너홈(121)이 하향 개구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대향하는 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122)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레일부(120); 상기 커튼지의 상단을 따라 이격배치된 커튼핀이 하부에 체결되며 상부는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에 체결되어 각각의 러너홈(111,1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튼러너(130); 및 각 레일부(110,120)의 단부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삽입된 커튼러너(130)의 이탈을 차단하고, 측부에는 상기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러너홈(111,121)과 연통된 러너출입공(151)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마감캡(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부(110)는 상기 창틀(10)의 중앙(C)을 기준으로 좌측 위치에 편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는 창틀(10)의 중앙(C)을 기준으로 우측 위치에 편중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는 상기 창틀(10)의 중앙 위치(C)에서 일정길이가 측방으로 중첩되게 슬라이딩 결합되고,
    각 레일부(110,120)의 하부에는 양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폭방향(W)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된 지지편(117,127)이 형성되어 상기 러너홈(111,121)을 형성되며,
    상기 커튼러너(130)는, 상하로 연장형성되어 상부가 각 러너홈(111,121)에 관통 삽입되며 상단에는 상기 러너홈(111,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지지편(117,127)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둘레를 따라 측방으로 외향 확장된 확장편(133)이 형성된 바디(131) 및, 상기 바디(131)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커튼핀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이공(132)을 포함하되, 상기 걸이공(132)은 각 레일부(110,120)의 연장된 길이방향(L)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바디(131)의 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H)으로 복수 개가 연속배치되며,
    각 레일부(110,120)의 지지편(117,127)의 단부에는 라운드지게 상향 돌출되어 상기 확장편(133)의 저면을 지지하는 돌기(118,128)가 형성되고,
    상기 러너출입공(151)은,
    상기 마감캡(150)의 바닥면(152) 상에서 상기 러너홈(111,121)과 길이방향(L)으로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커튼러너(130)를 마감캡(15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러너홈연통공(153)과,
    상기 바닥면(152) 상에서 상기 러너홈연통공(153)과 폭방향(W)으로 연통되도록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커튼러너(130)를 마감캡(150) 내에서 폭방향(W)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측방이동공(154)과,
    상기 마감캡(150)의 측면(155) 상에서 상기 측방이동공(154)과 폭방향(W)으로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튼러너(130)의 바디(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31)가 측방으로 관통하는 바디관통공(156) 및,
    상기 측면(155) 상에서 상기 바디관통공(156)과 상하방향(H)으로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커튼러너(130)의 확장편(13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편(133)이 측방으로 관통하는 확장편관통공(1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레일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지지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하향지지턱(113)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향지지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하향지지턱(113)과 상향지지턱(114)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122)은,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부 위치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다 상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상향걸림턱(123) 및,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면 상에서 상기 상향걸림턱(123)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되다 하향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향걸림턱(1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레일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110)의 측부에는 복수의 슬라이딩홈(112)이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120)의 측부에는 각 슬라이딩홈(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체결편(122)이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 슬라이딩홈(112)과 체결편(122)의 슬라이딩결합에 의해 상기 제1레일부(110)와 제2레일부(120)가 상호 측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레일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110) 및 제2레일부(120)의 내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레일부(110,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에는 각 레일부(110,120)의 러너홈(111,121)과 연통되는 러너홈(141)이 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부레일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레일 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86532A 2016-07-08 2016-07-08 커튼레일 조립체 KR10184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32A KR101847273B1 (ko) 2016-07-08 2016-07-08 커튼레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32A KR101847273B1 (ko) 2016-07-08 2016-07-08 커튼레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15A KR20180006015A (ko) 2018-01-17
KR101847273B1 true KR101847273B1 (ko) 2018-05-28

Family

ID=6102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32A KR101847273B1 (ko) 2016-07-08 2016-07-08 커튼레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2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93B1 (ko) * 2019-05-10 2020-10-12 주식회사 신화인텍 선박의 라디오 차트 스페이스의 커튼 구조
KR102368662B1 (ko) 2020-08-18 2022-02-25 이지영 커튼 레일 연결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477A (zh) * 2018-11-09 2019-02-22 合肥全爱家居制造有限公司 一种窗帘轨道安装用辅助装置
KR102294494B1 (ko) * 2020-12-31 2021-08-26 주식회사 윈도우드레스 커튼 가장자리 중첩 부재
CN112790661B (zh) * 2021-01-22 2022-08-19 王辉 一种窗帘拆卸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009A (ja) * 2008-04-25 2011-06-23 サイレント グリ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ゲー カーテン装置用キャリッジ
JP2013255699A (ja) * 2012-06-13 2013-12-26 Hinaka Seisakusho:Kk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009A (ja) * 2008-04-25 2011-06-23 サイレント グリ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ゲー カーテン装置用キャリッジ
JP2013255699A (ja) * 2012-06-13 2013-12-26 Hinaka Seisakusho:Kk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093B1 (ko) * 2019-05-10 2020-10-12 주식회사 신화인텍 선박의 라디오 차트 스페이스의 커튼 구조
KR102368662B1 (ko) 2020-08-18 2022-02-25 이지영 커튼 레일 연결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15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273B1 (ko) 커튼레일 조립체
KR200483878Y1 (ko)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EP3330475B1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US20150101764A1 (en) Window covering
ITPD20130335A1 (it) Sistema di fissaggio per mobili
TWI509145B (zh) Anti-fall push the window profile and its composition of the anti-fall window
KR101091263B1 (ko) 커튼 레일용 커튼롤러
KR20130005768U (ko) 커튼 레일
JP6832333B2 (ja) カーテンレール装置
CN207693180U (zh) 一种长度可调的户外用桌
KR101062847B1 (ko) 방범창
US3455365A (en) Pull cord lock
KR102340129B1 (ko) 턴/틸트 창호시스템
KR101577812B1 (ko) 캐터필러식 방충망용 개폐안내장치
KR101184582B1 (ko) 다기능 커튼 레일
KR200466358Y1 (ko) 접이식 옷걸이
US20150159431A1 (en) Safety retainer for double-track curtain control device
ITGE20100007A1 (it) Sistema ad ante per l'apertura e/o la chiusura di un varco
JP2006194027A (ja) 引戸の上部ガイド構造
KR20080014693A (ko)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20100011068U (ko) 창문 개폐장치
KR102368662B1 (ko) 커튼 레일 연결 부재
JP3094206U (ja) 椅子ハンガーの昇降機構
JP3764736B2 (ja) 開閉体の吊り込み方法
JP3052976U (ja) ロフト型中二階における据付け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