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859A - 창문 구조체 - Google Patents

창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859A
KR20170065859A KR1020150172137A KR20150172137A KR20170065859A KR 20170065859 A KR20170065859 A KR 20170065859A KR 1020150172137 A KR1020150172137 A KR 1020150172137A KR 20150172137 A KR20150172137 A KR 20150172137A KR 20170065859 A KR20170065859 A KR 2017006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groove
hanger
coupl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혁
Original Assignee
박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혁 filed Critical 박준혁
Priority to KR102015017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5859A/ko
Publication of KR2017006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5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문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틀에 힌지 축을 통해 결합되는 여닫이 프레임,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미닫이 프레임 및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창문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구조체{WINDOW STRUCTURES}
본 발명은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닫이 구조와 미닫이 구조가 결합된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실내 환기, 통풍 등의 목적으로 창문이 설치될 수 있다. 여닫이 창은 힌지 축을 통해 창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닫이 창 중 일부는 힌지 축이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 일반적으로 실외로 밀어 여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 축이 창틀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실외로 밀어 여는 구조로 이루어진 여닫이 창은 실내 공간이 협소한 건축물, 예를 들어 원룸, 오피스텔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닫이 창의 경우에 창을 밀어서 열 경우에 미닫이 창에 비하여 개방되는 부위가 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이 협소한 건축물에는 세탁한 옷가지들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빨래건조대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를 별도로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실내 공간이 협소한 건축물에서 세탁한 옷가지들을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걸어 건조시킬 수 있는 구조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미흡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여닫이와 미닫이 구조를 동시에 채용한 창문 구조체를 제안함으로써 창의 개방 면적을 넓히면서도 세탁한 옷가지들을 걸 수 있는 기술은 제안한다.
창문 구조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4-0137137 “자동개폐식 방충망이 구비된 창문구조” 등 다수의 특허들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폐할 수 있는 창문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틀에 힌지 축을 통해 결합되는 여닫이 프레임,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미닫이 프레임 및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창문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은 수평 또는 중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은 상기 창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고,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행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행거를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측부에서부터 수평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행거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상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상부로 수평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행거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하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하부로 수평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상기 행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일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행거를 수용하고,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입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폭 확장부가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전장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폭 확장부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패드,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폭 확장부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패드와 상기 제1 슬라이딩 패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패드에 결합되는 지지편이 일측에서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는 상기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건조 고리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 개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주변 상황, 예를 들어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개폐할 수 있고, 여닫이 및 미닫이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여 통풍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를 실내 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를 실외 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행거를 여닫이 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행거를 여닫이 프레임의 가이드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행거를 제1 개구에 배치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창문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를 실내 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를 실외 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10)는 건축물, 예를 들어 건물의 외벽(20)에 설치될 수 있다. 외벽(20)에는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opening)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에는 창틀(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10)는 창틀(3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10)는 여닫이 프레임(100), 미닫이 프레임(200), 창유리(300) 및 행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닫이 프레임(100)은 창틀(30)에 힌지 축(40), 예를 들어 경첩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축(4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 연장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력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힌지 축(40)은 수평 연장되는 경우에 창틀(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창틀(3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하부 및 측부는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으로 보고, 구성요소의 상부는 구성요소의 개구를 중심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구성요소의 하부는 구성요소의 개구를 중심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구성요소의 측부는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이하에서는, 힌지 축(40)이 창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건물의 외부, 즉 실외 측에 배치되고 외벽(20)에 평행하게 수평 연장됨으로써 여닫이 프레임(100)이 실외 측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닫이 프레임(100)은 창틀(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30)이 직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여닫이 프레임(100)도 창틀(30)에 끼워질 수 있는 직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닫이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제1 개구(11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닫이 프레임(100)의 일면, 구체적으로 건물의 실내 공간에 접하는 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부(120), 고정 홈(130) 및 수납 홈(140)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여닫이 프레임(100)을 밀거나 당길 때 사용하는 손잡이(15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수납 홈(140)에 보관된 행거(400)가 이동하여 제1 개구(110)에 배치될 수 있도록 행거(400)를 여닫이 프레임(100)의 측부에서부터 수평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21)은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부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측 코너 부분은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부와 측부가 만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1 가이드 홈(121)에는 행거(400)의 일단이 제1 가이드 홈(1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123)은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부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측 코너 부분은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부와 측부가 만나는 부분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 홈(123)에는 행거(400)의 타단이 제2 가이드 홈(12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행거(400)의 일단은 제1 가이드 홈(121)을 따라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부까지 수평 이동할 수 있고, 타단은 제2 가이드 홈(123)을 따라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여닫이 프레임(100)의 하부까지 수평 이동함으로써, 행거(400)는 제1 개구(11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홈(130)은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홈(130)에는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에서와 마찬가지로 행거(400)의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을 따라 각각 이동하던 행거(400)의 일단 및 타단은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에서 연장되는 고정 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홈(130)은 고정 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된 행거(400)가 제1 개구(110) 중 미닫이 프레임(200)의 이동에 의해 개방되는 구역에 배치되도록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의 양단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홈(130)은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된 행거(4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도 고정 홈(13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납 홈(140)은 제1 가이드 홈(121)의 일단에서 여닫이 프레임(100)의 측부를 가로질러 제2 가이드 홈(123)의 일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 홈(140)은 행거(4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개폐도어(160)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개폐도어(160)는 여닫이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미닫이 프레임(200)은 여닫이 프레임(100)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미닫이 프레임(200)은 제1 개구(110)에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개구(110) 중 일부 구역은 미닫이 프레임(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미닫이 프레임(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닫이 프레임(10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제1 개구(110)에 접하는 면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미닫이 프레임(200)이 제1 개구(110)에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경우, 그 중 일부만이 여닫이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는 여닫이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미닫이 프레임(200)은 여닫이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프레임(200)의 중앙에는 제2 개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창유리(300)는 미닫이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제2 개구(210)를 폐쇄할 수 있다.
창유리(300)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행거를 여닫이 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행거를 여닫이 프레임의 가이드부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행거(400)는 여닫이 프레임(100)의 일면, 구체적으로 건물의 실내 공간에 접하는 면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행거(400)는 제1 슬라이딩 패드(410), 제2 슬라이딩 패드(420) 및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패드(410)는 제1 가이드 홈(121),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홈(121)의 제1 폭 확장부(122)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폭 확장부(122)는 제1 가이드 홈(121)의 내부에서 제1 가이드 홈(121)의 입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제1 폭 확장부(122)는 제1 가이드 홈(121)의 전장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패드(410)의 폭은 제1 가이드 홈(121)의 입구 폭보다는 크고 제1 폭 확장부(122)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패드(420)는 제2 가이드 홈(123),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홈(123)의 제2 폭 확장부(124)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폭 확장부(124)는 제2 가이드 홈(123)의 내부에서 제2 가이드 홈(123)의 입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제2 폭 확장부(124)는 제2 가이드 홈(123)의 전장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패드(420)의 폭은 제2 가이드 홈(123)의 입구 폭보다는 크고 제2 폭 확장부(124)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패드(410) 및 제2 슬라이딩 패드(420)는 연결부(4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수납 홈(140)의 내부에는 수납 홈(140)의 입구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길이 확장부(141)가 형성됨으로써, 행거(400)가 수납 홈(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30)는 제1 슬라이딩 패드(410)에서 제2 슬라이딩 패드(4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430)의 일측에는 제1 지지편(431) 및 제2 지지편(433)이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편(431)은 제1 슬라이딩 패드(41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지지편(433)은 제2 슬라이딩 패드(42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430)의 타측, 즉 제1 지지편(431) 및 제2 지지편(433)이 돌출되는 일측의 반대 측에는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건조 고리(435)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부(430)에 복수 개의 건조 고리(435)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건조 고리(435)는 연결부(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옷걸이가 상호간에 겹치지 않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행거를 제1 개구에 배치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개폐도어(160)를 이동시켜 수납 홈(140)을 개방시킨 후에 건조 고리(435)를 잡고 수납 홈(140)에 보관된 상태의 행거(400)를 들어올려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딩 패드(410) 및 제2 슬라이딩 패드(420)는 제1 폭 확장부(122) 및 제2 폭 확장부(12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행거(400)를 제1 가이드 홈(121) 및 제2 가이드 홈(123)을 따라 수평 이동시킨 후에 고정 홈(130)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건조 고리(435)에 건조시킬 옷가지가 걸린 옷걸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여닫이 프레임(100)을 건물의 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장치(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고, 미닫이 프레임(200)을 제1 개구(110)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통풍 및 건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구조체(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창문 구조체
20: 외벽
30: 창틀
40: 힌지 축
100: 여닫이 프레임
110: 제1 개구
120: 가이드부
121: 제1 가이드 홈
122: 제1 폭 확장부
123: 제2 가이드 홈
124: 제2 폭 확장부
130: 고정 홈
140: 수납 홈
141: 길이 확장부
150: 손잡이
160: 개폐도어
200: 미닫이 프레임
210: 제2 개구
300: 창유리
400: 행거
410: 제1 슬라이딩 패드
420: 제2 슬라이딩 패드
430: 연결부
431: 제1 지지편
433: 제2 지지편
435: 건조 고리

Claims (8)

  1. 창틀에 힌지 축을 통해 결합되는 여닫이 프레임;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 결합되는 미닫이 프레임; 및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창유리를 포함하는 창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은 수평 또는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은 상기 창틀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 연장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고,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행거를 더 포함하는 창문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행거를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측부에서부터 수평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행거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상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상부로 수평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행거의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하측 코너 부분에서부터 하부로 수평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상기 행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일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행거를 수용하고,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입구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폭 확장부가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행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폭 확장부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 패드;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폭 확장부에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 패드;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패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패드에 결합되는 지지편이 일측에서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는 상기 옷걸이를 걸 수 있는 건조 고리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 개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구조체.
KR1020150172137A 2015-12-04 2015-12-04 창문 구조체 KR20170065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37A KR20170065859A (ko) 2015-12-04 2015-12-04 창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37A KR20170065859A (ko) 2015-12-04 2015-12-04 창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59A true KR20170065859A (ko) 2017-06-14

Family

ID=5921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137A KR20170065859A (ko) 2015-12-04 2015-12-04 창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585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065A (zh) * 2017-08-22 2017-11-10 贵州协成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窗纱一体组合式型材以及窗纱一体式窗户
CN108952469A (zh) * 2018-04-24 2018-12-07 河北农业大学 一种晾晒型窗户
CN110195560A (zh) * 2019-07-01 2019-09-0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飘窗结构
CN113389474A (zh) * 2021-07-30 2021-09-14 吉林省衡洋自动门科技有限公司 一种火警紧急推开的自动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065A (zh) * 2017-08-22 2017-11-10 贵州协成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窗纱一体组合式型材以及窗纱一体式窗户
CN108952469A (zh) * 2018-04-24 2018-12-07 河北农业大学 一种晾晒型窗户
CN110195560A (zh) * 2019-07-01 2019-09-0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飘窗结构
CN110195560B (zh) * 2019-07-01 2023-12-22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飘窗结构
CN113389474A (zh) * 2021-07-30 2021-09-14 吉林省衡洋自动门科技有限公司 一种火警紧急推开的自动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5859A (ko) 창문 구조체
KR200414567Y1 (ko) 환풍기 이동장치
KR101581312B1 (ko) 윗, 아랫열기 및 여닫이 기능을 갖는 복합시스템창호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KR20080053259A (ko)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US6766847B1 (en) Auto-reversible folding sliding door
KR101311425B1 (ko) 창호의 힌지 구조물
KR101102305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일체형 구조의 시스템 창호
JP2011202401A (ja) 網戸付サッシ
KR101672165B1 (ko) 창틀 고정구
CN209220077U (zh) 一种带有折叠淋浴门的淋浴房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200472253Y1 (ko) 슬림형 창문 프레임을 위한 삽입형 롤러부
KR100842795B1 (ko) 공동주택용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JP2012193586A (ja) 建具
KR20150038763A (ko)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오르내리창
CN104832015B (zh) 一种用于悬挂窗上的支撑摇臂及悬挂窗
KR101701823B1 (ko) 벽면 고정 접철식 건조대
TWI617731B (zh) Frame structure of the push window
KR20120006702A (ko) 빨래건조대
CN203891693U (zh) 一种新型折叠式玻璃窗
KR101055258B1 (ko) 교실용 창호
CN210768281U (zh) 一种冰箱嵌入式铰链弹簧机构
KR200446521Y1 (ko) 에어커튼의 토출프레임
KR101986365B1 (ko) 창틀 거치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