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42B1 -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842B1
KR101666842B1 KR1020140115330A KR20140115330A KR101666842B1 KR 101666842 B1 KR101666842 B1 KR 101666842B1 KR 1020140115330 A KR1020140115330 A KR 1020140115330A KR 20140115330 A KR20140115330 A KR 20140115330A KR 101666842 B1 KR101666842 B1 KR 10166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methicone
oil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434A (ko
Inventor
차용훈
최치호
한종섭
김의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1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8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수상을 내상에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80~85 중량% 및 유상 1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에 실리콘 엘라스토머,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수상을 함유하면서도 제형 안정성, 피부 사용감, 및 피부 개선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Description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phase}
본 발명은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량의 수상을 함유하면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입자막에 탄력성을 부여하여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 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과 유중수형(Water in Oil, W/O)으로 크게 분류된다. 수중유형은 외상이 물인 형태로 가볍고 매트한 사용감과 제조가 용이하고 분산안정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중유형 화장료는 내수성이 떨어지고 화장품의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점증제의 사용으로 끈적임과 흡수가 느려지며, 유화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갖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유중수형은 외상인 오일이 피부에 유분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막이 건조해지면서 보습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극복하고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중수형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외상의 오일 또는 유상성분 중에 왁스 등을 배합함으로써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임이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화물의 경도 및 점도가 하락하여 장기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0770379호).
따라서 기존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경시 안정성과 적절한 경도 및 점도를 갖기 위해 내상인 수상의 함량을 적게 조절하며 많은 폴리머 및 안정 보조제를 첨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5537호는 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지방산 및 HLB가 낮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추가적인 안정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피부에 도포 시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나오는 효과(물터짐성)를 강조한 기존 유중수형 제형의 경우에는, 구성입자의 사이즈와 배열이 불규칙적이며 이에 따른 온도별 제형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사용감 측면에서도 외상인 오일에 의해 형성되는 두터운 오일막이 부담스러운 사용감을 조성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중수형 제형 내 수상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개선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상에 다량의 수상을 함유하면서, 외상의 오일에 의한 점도 및 사용감 하락이 없으며,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80~85 중량% 및 유상 1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에 실리콘 엘라스토머,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나오는 효과를 위해 다량의 수상을 내상에 함유시키고자 하였다. 다만 이러한 경우 외상의 오일에 의한 점도 및 사용감이 하락하고 온도에 따라 제형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특정한 중량비의 수상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오일을 조합하여 포함할 때 상기의 문제점들이 모두 해결되는 놀라운 발견을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0~85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1~8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상이 8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나오는 효과의 시각, 촉각적 구현이 어려우며, 8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상온 공정에 의한 유화가 불가능하다. 상기 수상의 중량비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첨가되는 외상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중량비에 의해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실리콘 계열의 탄성중합체로서 조성물의 입자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경우에 본 발명의 목적상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입자막에 탄력성을 부여하기 어려워 2~5 um의 균일한 유화 입자를 만들기 어려워진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가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오일막이 두꺼워져 사용감이 나빠지며, 물터짐성의 확보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비극성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실리콘 오일 또는 탄화수소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라우릴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또는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또는 미네랄 오일(예를 들어 페트롤라툼 등)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상 우수한 제형 안정성, 적절한 점도, 우수한 시각 및 촉각적 물터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 시 탄성있는 유분막을 형성 및 유화입자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상의 점도가 극히 낮아져 제형 안정성이 저해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상기 오일의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조성물의 외상인 유상에 적절한의 점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오일의 함량을 선택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는 10~2000 cP(Centipois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1000 cP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700 cP일 수 있다. 점도가 10 cP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 시 유화입자의 형성을 저해하며, 2000 cP 초과일 경우에는 물터짐성을 가지는 적절한 사용감의 구현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식물 세포벽을 선택적으로 박리시켜 세포막과 세포 내 유효성분을 원형 그대로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이하 신선 세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 세포로는 키위, 자몽, 망고, 딸기, 및 포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의 세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상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에 키위의 신선 세포, 자몽의 신선 세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 내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은 2~5 u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4 um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의 측정은 조성물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구형인 유화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조성물 내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이 2~5 um일 때 신선 세포를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하게 함유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을 하였다. 평균 입경이 2 um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을 피부에 바를 때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나오는 효과가 미흡하며, 신선 세포의 내포 안정성이 떨어진다. 평균 입경이 5 um 초과일 경우에는 저온에서 제형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80~85 중량% 및 유상 1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에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성분의 조합 및 함량비로 이루어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상 수분을 둘러싸고 있던 막이 깨지면서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터져나오는 효과,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s1)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원료를 교반하며 분산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s2)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0~85 중량%의 수상을 상기 유상 혼합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수상을 함유하면서, 외상의 오일에 의한 점도 및 사용감 하락이 없으며, 온도에 따른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비교예 1의 제조 시 상분리가 일어난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예 1의 제조 시 바람직하게 유화가 일어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3에서 비교예 6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1~10um의 평균 입경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3에서 비교예 7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2um 미만의 평균 입경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비교예 8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5um 초과의 평균 입경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서 실시예 4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2~5um의 평균 입경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4에서 본 발명의 예시 처방으로 제조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붉은색)을 기존의 내상이 적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푸른색)과 관능평가를 통해 비교한 결과를 방사형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험예 4에서 본 발명의 예시 처방으로 제조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붉은색)을 기존의 내상이 적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푸른색)과 관능평가를 통해 비교한 결과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험예 5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전, 사용 1주 후, 및 사용 3주 후 피부 변화를 프릭티오미터(Frictiometer)를 이용해 마찰지수로 평가한 결과이다.
도 10은 도 9는 실험예 5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전, 사용 1주 후, 및 사용 3주 후 피부 변화를 촉각도 등급(soothness grade)에 의해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예시적 처방)
하기 표 1의 파트 2의 각 원료를 계량 후 디스퍼(disper)로 교반하며, 50℃ 에서 고르게 분산시켰다. 파트 1의 각 원료가 용해된 혼합물을 파트 2 혼합물이 2000 rpm으로 교반되는 중에 서서히 투입하며 제형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 1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예시적 처방을 나타내었다.
원료명 배합비(중량%)
파트 1 정제수 To 100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2
소듐클로라이드 0.5
판테놀 0.3
방부제 적량
파트 2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4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5
적량
실험예 1: 수상함량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능 여부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상의 실리콘오일(사이클로펜타실록산)과 비극성오일(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의 함량을 고정하고, 실리콘 엘라스토머(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의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명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파트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파트 2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1 3 5 9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1 1 1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 6 6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5 5 5 5
하기 표 3에 입체 네트워크 엘라스토머(Steric network elastomer)의 함량에 따른 유화가능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유화결과 제조실패(상분리) 유화가능 유화가능 제조실패(전체수상 유입불가)
비고 도 1 도 2 - 제작 초반 고경도 형성
비교예 1의 유화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1의 유화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이 87 중량%인 비교예 1은 상분리에 의해, 79 중량%의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제작초반 고경도 형성에 의해 정해진 수상함량의 내포가 어려워 제조를 실패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 2와 같이 수상 함량이 80~85% 사이로 조절하여 제조시 고내수상의 유중수형 제형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이로써 실리콘 엘라스토머 함량조절에 의한 수상함량의 조정이 본 발명의 제형의 제작에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리콘 오일 함량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유중수형 제형 제조의 특성상 유상이 실험적으로 정해진 함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고르게 섞이되, 하나의 고른 단일상이 됨과 동시에 최소한의 점도를 띠어야 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을 고정하고, 실리콘 오일의 함량변화에 따른 점도형성을 데이터화하여 최소한의 점도를 갖는 조성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3 및 비교예 3~5의 구성 성분을 나타내었다.
디메치콘/피이지-10/
15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ps값
비교예3 4% 1% 3% 2100
비교예4 5% 500
실시예3 8% 300
비교예5 10% 0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정해진 함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들과 고르게 섞이고, 이들을 분산시키며 외상인 유상에 최소한의 점도를 부여할 수 있는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8중량부 이하(실시예 3)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입자크기 및 균일도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제형의 특성 비교
평균 입경의 크기 및 균일도를 달리하여 비교예 6~8 및 실시예 4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예시 처방과 동일한 구성 성분으로 제조되었으며, Fresh cell은 상기 파트 1의 원료들이 혼합되는 단계(수상의 혼합, 믹싱 단계 단계)에서 첨가되어 각 조성물에 함유되었다.
각 조성물의 제형 롤링 시 물터짐성, 경시 안정성, 및 신선 세포 성분 내포 안정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실시예4
입자크기 1~10um >2um 5um< 2~5um
균일도 불균일 균일 균일 균일
제형 롤링시 물터짐성 우수 미흡 양호 우수
제형 경시 안정성 영하 15도에서 1회만에 제형분리 저온 안정성 양호 영하 15도에서 2회만에 제형분리 저온 안정성 우수
입자이미지 (광학현미경 촬영이미지) 도 3 도 4 도 5 도 6
신선 세포(Fresh cell) 성분 내포 안정성 불안정 불안정 양호 양호
상기 신선 세포(Fresh cell)는 식물세포의 세포벽을 선택적으로 박리시켜 세포막과 세포 내 유효성분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효소추출법을 활용하여 천연 마이크로 캡슐을 보존시킨 세포 원료를 말한다.
상기 표 5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입자크기가 2um 미만 또는 5um 초과하거나, 불균일할 경우 저온에서 제형이 분리되며(비교예 6,8) 롤링시 물터짐성(비교예 7), 또는 신선 세포 성분 내포 안정성(비교예 6,7)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입자의 크기가 2~5um로 균일한 분포를 이루었을 때(실시예 4) 작은 압력에도 내상인 수상이 터져 나오면서도 저온에서의 경시 안전성을 높이고, 신선 세포 원료를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평가
상기 예시 처방에 따라 제조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기존의 내상이 적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50 ~ 60 중량%)에 대하여 20~30대 중반 남성 9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평가 방법은 5가지 항목(외관 퍼짐성, 발림성, 수분감, 사용후 느낌, 및 만족도)에 대하여 1~5까지(1부터 불만족-아쉬움-보통-만족-선호 5까지)를 기준으로 주관적인 척도에 따라 평가 점수를 부여하도록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6, 도 7(방사형 그래프), 및 도 8(막대형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외관, 퍼짐성 발림성 수분감 사용후 느낌 만족도
기존의 내상이 적은 유중수형 화장료 3.67 3.89 3.89 3.67 3.67
예시 처방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4 4 4.33 3.78 4
이러한 실험 결과를 볼 때, 기존 유중수형 조성물에 비해 본 발명의 고내수상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평가점수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와, 소비자 사용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예시 처방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남성의 거친 피부에 대한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남성 볼 부위의 피부 부드러움 촉감 평가 및 프릭티오미터(Frictiometer)를 이용한 피부 마찰지수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프릭티오미터(Frictiometer)는 프로브(probe)에 의해 일정한 회전 속도가 피부가 가해지는 데 필요한 값을 측정하였다. 피부 마찰지수의 측정값은 각질층의 수분함유량이 증가되면 각질층이 부드러워져서 프로브와 피부 사이에 넓은 접촉면을 유발시키고 접촉력을 증가시키는 특성에 따라 두 접촉면 사이의 마찰저항을 일으킴으로써 높은 마찰지수가 나타난다.
평가 방법은 20세에서 49세 사이의 남성 21명을 대상으로 상기 예시 처방으로 제조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3주간 사용하게 한 후, 사용 전, 사용 1주 후, 및 사용 3주 후 피부 변화를 관찰하였다. 평가방법, 평가의도, 및 평가의미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촉각 평가의 평가 기준을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기기 측정 촉각 평가
평가방법 Frictiometer® FR700 (마찰지수측정기)를 이용한 부드러움 측정 "촉각도" 등급("smoothness" grade)에 의한 전문가 촉각 평가
평가의도 피부의 객관적 촉각도(smoothness)를 측정 피부의 주관적 촉각도(smoothness)를 측정
평가의미 측정값은 수치가 높게 나올수록 매끄러움을 의미함 측정값은 수치가 낮게 나올수록 매끄러움을 의미함
등급 1 2 3 4 5 6 7 8 9
설명 실크 <------------------------> 면 <-----------------------> 삼베
<기기 측정 결과>
기기 측정 결과를 도 9에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조성물 사용 전에 비해 사용 1주 후에는 12.73%, 3주 후에는 22.67%로 각각 피부 마찰지수가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1주 후, 3주 후 피부의 경도(hardness)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촉각 평가 결과>
촉각 평가 결과를 도 10에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조성물 사용 전에 비해 사용 1주 후에는 10.32%, 3주 후에는 17.82%로 각각 피부 부드러움 촉감 등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1주 후, 3주 후 피부 변화를 관찰한 결과, 피부 부드러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80~85 중량% 및 유상 1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피이지-10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디메치콘, 라우릴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및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식물 세포벽을 박리시켜 세포막과 세포 내 유효성분을 원형 그대로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유화 입자의 평균 입경은 2~5 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0.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수상 80~85 중량% 및 유상 15~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의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1. (s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5 중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원료를 교반하며 분산시켜 혼합하는 단계; 및
    (s2) 조성물 총 중량 대비 80~85 중량%의 수상을 상기 유상 혼합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40115330A 2014-09-01 2014-09-01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6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30A KR101666842B1 (ko) 2014-09-01 2014-09-01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330A KR101666842B1 (ko) 2014-09-01 2014-09-01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34A KR20160026434A (ko) 2016-03-09
KR101666842B1 true KR101666842B1 (ko) 2016-10-17

Family

ID=555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330A KR101666842B1 (ko) 2014-09-01 2014-09-01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8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123B1 (ko) * 2007-10-11 2010-02-24 (주)아모레퍼시픽 거대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66708B1 (ko) * 2011-09-29 2013-05-2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28474B1 (ko) * 2012-11-26 2014-09-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34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826B1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상 실리콘중수(w/s)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92163B1 (ko) 실리콘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이 다량 함유된 투명 w/s 화장품 유화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498845B1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KR101158281B1 (ko)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24753A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TW201919580A (zh) 化妝料基劑及使用其之皮膚化妝料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0921A (ko) 고함량의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CN113164371B (zh) 光泽感和颜色沾染程度得到改善的嘴唇用化妆料组合物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8965B1 (ko)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66842B1 (ko) 고내수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TW201318643A (zh)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劑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190B1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100823077B1 (ko) 수중실리콘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2491A (ko) 온열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562589B2 (ja) 化粧料組成物
KR102598347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983387B1 (ko) 수중유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