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741B1 -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741B1
KR101666741B1 KR1020150041802A KR20150041802A KR101666741B1 KR 101666741 B1 KR101666741 B1 KR 101666741B1 KR 1020150041802 A KR1020150041802 A KR 1020150041802A KR 20150041802 A KR20150041802 A KR 20150041802A KR 101666741 B1 KR101666741 B1 KR 10166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unk
laser beam
rear warning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075A (ko
Inventor
서영선
윤상문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7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by varying the potential of the electrodes
    • H01S5/06233Controlling other output parameters than intensity or frequency
    • H01S5/06243Controlling other output parameters than intensity or frequenc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등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과 함께 트렁크 내에 설치된 후방 경고부를 통해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 등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할 때, 차량의 위험성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대폭 높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Rear warning displa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등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과 함께 트렁크 내에 설치된 후방 경고부를 통해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 등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할 때, 차량의 위험성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식별성을 대폭 높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차량의 주정차 중 후방 추돌사고로 연간 약 30,000 여명의 인명사고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다중 추돌사고로 이어지는 대형사고가 발생됨에 따라 차량 파손에 의한 개인의 재산은 물론 인간의 소중한 생명까지 잃게 하는 교통사고가 빈번하여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긴요하다.
자동차용 안전 표시판은 운전 중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발생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할 때 후속차량의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응책으로서 제2의 생명안전띠라 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 중인 자동차용 안전 표시판은 후방에서 전진해오는 자동차에 반사 빛으로 사고사실을 알려 안전운행을 유도하므로 후방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후방에서 전진해오는 차량의 추돌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안전 표시판은 가로등이 없는 도로에서 반사광을 발휘하여 200m 이상 전방에서 식별이 가능한 고성능 반사체가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고, 우천시 또는 기타 악천후에서도 안정이 유지되어야 하며, 반사광의 수명이 계속 유지되면서 휴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쉽게 안전 표시판이 인식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가 빠르고, 안전 표시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상 주정차 위험사실을 확인시켜주는 안전 표시판을 인식한 후 이에 대응할 시간이 너무 짧아서 대형 후방 추돌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등에서 사고가 있을 때 사고지점으로부터 100m 이상의 후방지역으로 이동하여 안전 표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순간에도 고속으로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또한 안전 표시판 설치까지 소요되는 수 분 내지는 십 여분 사이에 대형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7426 호에서는 비상 삼각대를 트렁크 룸의 트림에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구조를 제안하여 위험신호를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특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 구조는 운전 중에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할 때, 식별성이 약하여 여전히 사고의 위험성이 잔존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7426 호(2010.05.1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 중에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 등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하는 경우, 비상등과 함께 트렁크 내에 설치된 후방 경고부를 통해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바로 통지함으로써, 식별성을 대폭 높여 차량의 비상 주정차시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된 트렁크 전체에 해당하는 다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후방 경고 표시로서 제공함으로써, 식별성을 더욱 높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 경고부에 보호 필터를 부착하여 평상시 또는 미사용시에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 카메라의 설치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등의 점등 및 트렁크 도어의 개방시에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은, 비상등 스위치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비상등의 점등 및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후방 경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완전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다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개방된 트렁크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레이저 발광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광 장치는: 상기 트렁크 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대향하는 트렁크 내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 및 상기 개방된 트렁크 도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상기 레이저 발광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을 통한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각 및 반사각에 의해 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서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비상등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경고부에는 보호 필터를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비상등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과 함께 후방 경고부를 통해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통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자동차의 결함이나 사고 등에 의해 차량을 도로상에 비상 주정차하려고 할 때,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바로 통지함으로써, 식별성 및 시인성을 대폭 높여 차량의 비상 주정차시의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완전 개방시에 다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완전 개방된 트렁크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로서 레이저 발광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식별성이 종래보다 대폭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후방 경고부에 보호 필터를 부착시킴으로써, 평상시 또는 미사용시에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 별도의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면서 비상 주정차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에 별도의 경보부를 설치함으로써, 비상등의 점등 및 트렁크 도어의 개방시에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후방 경고부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비상등 스위치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후방 경고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다른 후방 경고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후방 경고부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비상등 스위치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후방 경고부의 개략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1)은, 비상등 스위치(10)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20)의 조작에 의해 비상등(2)의 점등 및 트렁크 도어(3)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 및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후방 경고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상등 스위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인 인스트루먼트 패널(4)에 구비되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상등 스위치(10)를 온/오프함에 따라 비상등(2)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비상등 스위치(10)가 버튼 스위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키 스위치 형태 또는 원격 무선 비상등 개폐 리모컨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나 설치 장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20)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인 인스트루먼트 패널(4)에 장착되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20)를 온/오프함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도어(3)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20)가 버튼 스위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스위치 형태 또는 원격 무선 비상등 개폐 리모컨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나 설치 장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비상등 스위치(10)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20)의 수동 조작에 따른 비상등 온/오프 신호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등(2)의 점등/소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3)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비상등(2)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3)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 경고 신호를 상기 후방 경고부(40)로 출력하여 후방 경고부(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후방 경고부(40)는, 도 1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 내부, 정확하게는 트렁크 도어(3)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30)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후방 경고 표시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방 경고 표시부(41)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3) 내측면에 설치되어 트렁크 도어(3)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차량의 후방측에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 후방 경고 표시부(41)는, 트렁크 도어(3)의 내측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지되, 트렁크 도어(3)의 내측면 중앙 영역에 대략 삼각형상을 유지하여 설치된 안전 표시등(41-1) 및 상기 안전 표시등(41)의 양측에 화살표 형상으로 설치된 방향 지시등(41-2, 4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전 표시등(41-1) 및 방향 지시등(41-2)은 LED 램프가 바람직하나,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 램프, 수은등, 나트륨등, 자외선 램프 등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안전 표시등(41-1) 및 방향 지시등(41-2, 41-3)은 LED 램프인 경우, 다수의 LED를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 표시등(41-1) 및 방향 지시등(41-2, 41-3)에 그 후방에 구비된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어지고,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향 지시등(41-2, 41-3)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좌측운행, 우측운행 및 좌우측 운행을 동시에 지시할 수 있어 후방 차량의 운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후방 경고 표시부(41)에는 보호 필터를 부착하여 평상시 또는 미사용시에 외부로 부터 보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택일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1)의 후방 경고부(40)는,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실내에서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 카메라(42)가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감시하여 차량의 실내 모니터로 그 화상을 전송받아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택일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1)의 후방 경고부(40)는, 상기 비상등(2)의 점등 및/또는 상기 트렁크 도어(3)의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경보부(4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의 다른 후방 경고부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경고부(140)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3)의 완전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30)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개방된 트렁크 전체 크기에 해당하는 큰 정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완전 개방된 트렁크의 내부에 형성시켜 시인성을 더욱 제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경고부(140)는, 트렁크 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141);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에 대향하는 트렁크 내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142); 및 상기 개방된 트렁크 도어(3)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반사경(142)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 측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14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사경(142) 및 제 2 반사경(143)을 통한 레이저 빔의 입사각 및 반사각은 대략 60도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으로 정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이 완전 개방된 트렁크의 내부에 크게 형성되어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시각적으로 통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반사경(142) 및 제 2 반사경(143)을 통한 입사각 및 반사각에 의해 정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도시하고 있으나, 입사각 및 반사각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의 이등변 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는 공지의 반도체 레이저 발광 장치 또는 CO2 레이저 발광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은 예를 들면, 적색 레이저, 청색 레이저, 및 황색 레이저 등과 같은 다양한 색의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색을 이용하여 정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광부(141)의 전원도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건전지의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반사경(142, 143)은 레이저 발광부(141)로부터의 레이저빔을 거의 100% 반사(전반사)하는 것으로 유리 표면에서의 반사로 인한 이중 반사 및 굴절을 제거하고 흡수를 줄이기 위해 유리를 포함한 다양한 베이스의 전면에 진공증착으로 코팅함이 바람직하다. 즉, 진공속에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을 가열하여 증기로 분사하면 베이스 표면에 코팅이 고성능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경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반사경의 재료로는 파이렉스, 붕규산 크라운, 제로더(Zerodu), 용융 실리카(fused silica), 또는 텅스텐, 구리, 니켈 등과 같은 금속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반사경 즉, 제 1 및 제 2 반사경(142, 143)이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정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세 개 이상의 반사경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입사각 및 반사각을 적절히 조정하여 사각이나 마름모 등의 다각 형태의 레이저빔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2: 비상등 3: 트렁크 도어
4: 인스트루먼트 패널
10: 비상등 스위치 20: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
30: 제어부 40, 140: 후방 경고부
41: 후방 경고 표시부
41-1: 안전 표시등 41-2, 41-3: 방향 지시등
42: 후방 카메라 43: 경보부
141: 레이저 발광부 142: 제 1 반사경
142: 제 2 반사경

Claims (7)

  1. 비상등 스위치 및 트렁크 도어 개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비상등의 점등 및 트렁크 도어의 개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후방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트렁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후방 경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완전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의 후방 경고 신호의 출력에 따라 다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개방된 트렁크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레이저 발광 장치이고,
    상기 레이저 발광 장치는:
    상기 트렁크 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대향하는 트렁크 내부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반사시키는 제 1 반사경; 및
    상기 개방된 트렁크 도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입사하여 상기 레이저 발광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을 통한 상기 레이저 빔의 입사각 및 반사각에 의해 삼각 라인 형상의 레이저 빔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서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고부는,
    상기 비상등의 점등 및 상기 트렁크 도어의 개방시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후방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고부에는 보호 필터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KR1020150041802A 2015-03-25 2015-03-25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KR10166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802A KR101666741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802A KR101666741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075A KR20160115075A (ko) 2016-10-06
KR101666741B1 true KR101666741B1 (ko) 2016-10-14

Family

ID=5715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802A KR101666741B1 (ko) 2015-03-25 2015-03-25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868A (ko) 2022-11-01 2024-05-08 유한회사 세미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82Y1 (ko) 2004-01-29 2004-07-30 김용환 투사기 및 후면 투사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표시 시스템
KR101445274B1 (ko) 2014-06-24 2014-09-26 주식회사 Jbk 안전표지를 출력하는 장치 및 차량
KR101449662B1 (ko) 2013-08-08 2014-10-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78B1 (ko) * 1999-07-0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신호 열화 보상장치 및 방법
KR101063592B1 (ko) 2008-10-29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삼각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82Y1 (ko) 2004-01-29 2004-07-30 김용환 투사기 및 후면 투사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표시 시스템
KR101449662B1 (ko) 2013-08-08 2014-10-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101445274B1 (ko) 2014-06-24 2014-09-26 주식회사 Jbk 안전표지를 출력하는 장치 및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868A (ko) 2022-11-01 2024-05-08 유한회사 세미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075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2125B2 (en)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with light mounted to mirror arm
JP6591618B2 (ja) 自動車の夜間運転支援装置
KR102436326B1 (ko) 그림문자를 표시하는 자동차용 신호전달 장치 및 이러한 조명 장치를 장착한 신호 조명구
USRE41243E1 (en) Multi-functional side rear view mirror for a vehicle
KR100935737B1 (ko) 하나 이상의 측방 및 후방 주위 환경 탐지 유닛을 구비한차량용 위험 인지 시스템
TWI537157B (zh) 車用警示裝置及方法
US8075169B2 (en) External safety illumination for a bus
KR101772444B1 (ko) 차량용 프로젝션형 가상 안전 삼각대 표시장치
EP3342643B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US6598982B2 (en) Rearview mirror alignment device
JP2005051790A (ja) 車内の視認性を改善するための装置
US6663271B1 (en) Brake light for motor vehicles
JP2002274258A (ja) 自動車用暗視システム
KR101666741B1 (ko) 차량용 후방 경고 표시 시스템
US20130051055A1 (en) Hazard Beacon
CN110053571A (zh) 减弱后车远光灯系统及方法
US20040004841A1 (en) Outside mirror with blinker light for vehicles
US10872530B2 (en) Display for giving visual warnings about cyclists when turning off a main road into a side road
CN205118866U (zh) 车辆自照明系统
JP2009255727A (ja) サイドアンダーミラー装置
JPH0547204A (ja) トンネル入口照明システム
JP2006221885A (ja) 緊急保安灯
KR101854178B1 (ko) 스텔스 차량 알림 장치
KR20200085666A (ko) 교통 신호봉 겸용 차량용 알림 장치 수납케이스
KR100496693B1 (ko) 차량의 램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