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860B1 -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860B1
KR101665860B1 KR1020150045994A KR20150045994A KR101665860B1 KR 101665860 B1 KR101665860 B1 KR 101665860B1 KR 1020150045994 A KR1020150045994 A KR 1020150045994A KR 20150045994 A KR20150045994 A KR 20150045994A KR 101665860 B1 KR101665860 B1 KR 10166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ulley
feed roller
rotation shaft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413A (ko
Inventor
김경수
김석원
이종우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8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84
    • G07D11/0021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롤러와 피드롤러 간의 동력 전달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에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 한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계수모듈의 호퍼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1마찰부재가 구비된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이송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2마찰부재가 구비된 피드롤러;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1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1회전축;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2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는,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종동벨트를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하기 위한 정위치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paper money equipped in paper money counting module}
본 발명은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의 분리 및 반송을 위한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간편하게 정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계수기는, 다수매의 지폐를 호퍼에 적층 상태로 투입하고,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며, 그 종류 및 진위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지폐의 권종별 계수 매수나 합계 금액 등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지폐 계수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22374호, 등록특허 제10-1156990호 등에는, 호퍼에 적층된 지폐가 분리 반송되는 도중에 각종 센서를 구비한 식별계수부에서 지폐의 종류 및 진위를 식별하고, 정상권 지폐는 정상지폐 집적부에 집적하고, 이상권 지폐는 이상지폐 집적부에 분리하여 집적하는 지폐 계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322374호 및 등록특허 제10-1156990호에는, 계수 대상 지폐가 적재되는 재치부(호퍼부)의 후미에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 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픽업롤러(키커롤러)와 피드롤러(반송롤러) 및 가이드롤러(게이트롤러)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한편, 종래에는 호퍼부에 적재된 지폐의 정확한 분리 및 반송을 위한 구성으로,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외주면 일부에 지폐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를 부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지폐의 원활한 분리 및 반송 처리를 위해서는 지폐의 분리 및 반송 단계에 따라서 픽업롤러의 마찰부재와 피드롤러의 마찰부재가 설정된 위상에 맞추어 구동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최초 조립 시,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에 구비된 마찰부재의 위상을 설정된 정위치 상태에 두고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픽업롤러와 피드롤러가 벨트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확하게 맞춘 상태에서 벨트를 연결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픽업롤러와 피드롤러 간의 동력 전달이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에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 한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픽업롤러와 피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의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 한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는, 지폐계수모듈의 호퍼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1마찰부재가 구비된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이송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2마찰부재가 구비된 피드롤러;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1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1회전축;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2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는,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종동벨트를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하기 위한 정위치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에는 고정핀이 관통되어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벨트는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픽업롤러의 제1마찰부재와 상기 피드롤러의 제2마찰부재는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립공은 상기 제1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공은 상기 제2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조립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드롤러에 대향 배치되어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제3회전축; 상기 제3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3풀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풀리와 제3풀리 간에는 회전방향이 상반되도록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의하면, 픽업롤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에 제1조립공을 형성하고, 피드롤러가 결합되는 제2회전축에 제2조립공을 형성하여,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이 정위치되도록 하고,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에 고정핀을 관통시켜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종동밸트를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위치시켜 조립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모터의 구동력이 구동벨트와 종동벨트를 통하여 픽업롤러와 피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분리 및 반송을 위한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내부 구성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구비되는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위상을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100)은, 본체(110)와, 계수를 요하는 지폐가 적층되는 호퍼부(120)와, 사용자가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각종 기능키와, 지폐의 처리 상황이 표시되는 조작 표시부(130)와, 이상권 지폐가 집적되는 이상지폐 집적부(140)와, 정상권 지폐가 집적되는 정상지폐 집적부(150)와, 상기 호퍼부(120)로부터 분리된 지폐를 본체(110)의 내부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160)와, 상기 호퍼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반송되는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수행하는 감별부(170)와, 상기 감별부(170)에서 감별되는 지폐의 감별 결과를 기준으로 지폐를 이상지폐 집적부(140)와 정상지폐 집적부(150)에 선택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반송경로를 절환하는 분기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퍼부(120)의 양측단에는, 적층되는 지폐의 권종에 따른 폭 길이에 대응하여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지폐간격 조절판(121)이 구비된다.
상기 호퍼부(120)의 후미에는 호퍼부(120)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씩 분리하여 반송로(160) 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지폐분리장치(190)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작 표시부(130)에는, 지폐계수모듈(100)에 의한 지폐의 처리 상황이 표시되는데, 예컨대 지폐의 권종별 계수 매수나 합계 금액 등이 표시된다.
상기 감별부(170)는,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폐가 감별부(170)에 도달한 상태를 감지하고, 지폐의 반송 속도와 통과 시간을 기준으로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며, 지폐의 두께를 감지하여 겹쳐진 지폐 또는 접힌 부분의 유무를 검출하고, 지폐의 잉크 등에 포함되는 자기 성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지폐의 권종을 식별함과 아울러 통과하는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게 된다.
상기 분기부(180)는, 반송로(160)의 도중에 이상지폐 집적부(140)와 정상지폐 집적부(150)로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반송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분기부재와, 그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분기부(180)가 반시계 방향으로 절환되면 반송로(160)를 따라 온 지폐는 이상지폐 집적부(140)로 반송되어 집적되고, 분기부(180)가 시계 방향으로 절환되면 반송로(160)를 따라 온 지폐는 정상지폐 집적부(150)로 반송되어 집적된다.
상기 이상지폐 집적부(140)는, 낡은 지폐, 일부가 찢어진 지폐, 일부가 접힌 지폐와 같은 손상된 지폐가 집적되는 공간으로서, 입구 측에는 진입하는 지폐를 지폐 집적 공간 내로 이송하기 위해 외주면에 복수의 시트(141a)가 부착된 스택롤러(141)와, 상하로 외접하며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지폐의 양면을 협지하며 이송하는 이송롤러(142)가 구비된다.
상기 정상지폐 집적부(150)는, 분기부(180)를 경유하여 진입하는 지폐를 인계받아 정상지폐 집적부(150) 내의 지폐집적공간으로 집적하기 위한 스택휠(151)을 포함한다. 상기 스택휠(151)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151a)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부(180)를 통과하여 낱장 단위로 진입하는 지폐는 2장의 날개(151a)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고, 스택휠(151)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2장의 날개(151a) 사이에 삽입된 지폐는 정상지폐 집적부(150) 내의 지폐집적공간으로 집적되게 된다. 그리고, 정상지폐 집적부(150)의 전면에는 개방구가 형성되고, 개방구는 셔터(152)에 의해 개폐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19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190)는, 호퍼부(120)에 적재된 지폐 중 최하층에 위치한 지폐를 낱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191)와, 상기 픽업롤러(191)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본체(110) 내부의 반송로(160)로 이송하는 피드롤러(192)와, 상기 피드롤러(192)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193)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롤러(191)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1마찰부재(191a)가 구비되고, 상기 피드롤러(192)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2마찰부재(192a)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마찰부재(191a)와 제2마찰부재(192a)는 지폐의 분리 및 이송을 위해 지폐와 접촉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무 또는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191)의 회전중심에는 제1회전축(194)이 결합되고, 상기 픽업롤러(191)는 제1회전축(194)의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94)에는 제1조립공(194a)이 직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조립공(194a)은 제1회전축(194)에 단수로 형성되거나, 제1회전축(194)에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192)의 회전중심에는 제2회전축(195)이 결합되고, 상기 피드롤러(192)는 제2회전축(195)의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195)에는 상기 제1조립공(194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조립공(195a)이 직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조립공(195a)은 제2회전축(195)에 단수로 형성되거나, 제2회전축(195)에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이 각각 제1회전축(194)과 제2회전축(195)의 3개소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가이드롤러(193)의 회전중심에는 제3회전축(196)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193)는 제3회전축(196)의 외주면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94)의 일측단에는 제1풀리(194')가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195)의 일측단에는 제2풀리(195')가 결합되며, 상기 제3회전축(196)의 일측단에는 제3풀리(196')가 결합된다.
상기 제1풀리(194')와 제2풀리(195')는 그 외주면에 종동벨트(199)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제2풀리(195')와 제3풀리(196')는 그 외주면에 구동벨트(198)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구동벨트(198)는 모터(197)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97a)에 연결되고, 모터(197)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197a)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197a)의 회전력은 구동벨트(198)에 의해 제2풀리(195')와 제3풀리(196')에 전달되는 동시에, 종동벨트(199)에 의해 제1풀리(194')와 제2풀리(195')에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종동벨트(199)는 그 내측면이 제1풀리(194')의 외주면과 제2풀리(195')의 외주면에 치합되도록 연결되어 제1풀리(194')와 제2풀리(195')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벨트(198)는 그 내측면이 제2풀리(195')의 외주면에 치합되고 구동벨트(198)의 외측면은 제3풀리(196')의 외측면에 치합되도록 연결되어 제2풀리(195')와 제3풀리(196')는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는 지폐가 분리 및 반송되는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이드롤러(193)는 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모터(197)를 이용하여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 및 가이드롤러(193)가 동시에 구동되므로, 지폐의 분리 및 반송을 위한 지폐분리장치(190)의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롤러(191)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1마찰부재(191a)가 구비되고, 피드롤러(192)의 외주면 일부에는 제2마찰부재(192a)가 구비되는데,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는 종동벨트(199)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므로, 제1풀리(194')의 외주면과 제2풀리(195')의 외주면에 종동벨트(199)를 최초로 연결할 때,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는 설정된 위상에 맞도록 정위치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호퍼부(120)에 적재되는 지폐가 분리 및 반송되는 과정에서, 먼저 픽업롤러(191)에 구비된 제1마찰부재(191a)가 지폐의 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지폐의 분리동작이 수행되고, 픽업롤러(191)에 의해 분리된 지폐는 피드롤러(192) 측으로 이송되며, 이때 피드롤러(192)에 구비된 제2마찰부재(192a)가 지폐의 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지폐를 반송로(16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 지폐의 분리 및 이송 경로를 따라 제1마찰부재(191a)와 제2마찰부재(192a)가 지폐의 저면에 순차로 접촉되어야만 지폐의 분리 및 반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가 설정된 위상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회전축(194)에 형성된 제1조립공(194a)과 제2회전축(195)에 형성된 제2조립공(195a)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가 회전된 상태에서, 픽업롤러(191)의 제1마찰부재(191a)와 피드롤러(192)의 제2마찰부재(192a)는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이와 같은 상태를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가 정위치의 위상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가 회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에 고정핀(P)을 관통시키게 되면,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는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종동벨트(199)를 제1풀리(194')와 제2풀리(195')에 연결하게 되면,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는 설정된 위상에 정위치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종동벨트(199)를 연결한 후에는 고정핀(P)을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의 위상 조정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1마찰부재(191a)와 제2마찰부재(192a)가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상기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의 위상은,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 간의 간격과, 제1풀리(194')와 제2풀리(195')의 직경 크기 등과 같은 설계 조건의 변경에 의해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공(194a)과 제2조립공(195a)을 복수로 형성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정핀(P)을 조작하기에 편리한 위치를 선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픽업롤러(191)와 피드롤러(192)의 위상을 정위치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폐계수모듈은 계원이 사용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되는 모듈로서, 계수기능 또는 입출금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외에도 일반 금융자동화기기 및 계수기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지폐계수모듈 110 : 본체
120 : 호퍼부 121 : 지폐 간격 조절판
130 : 조작 표시부 140 : 이상지폐 집적부
141 : 스택롤러 141a : 시트
142 : 이송롤러 150 : 정상지폐 집적부
151 : 스택휠 151a : 날개
152 : 셔터 160 : 반송로
170 : 감별부 180 : 분기부
190 : 지폐분리장치 191 : 픽업롤러
191a : 제1마찰부재 192 : 피드롤러
192a : 제2마찰부재 193 : 가이드롤러
194 : 제1회전축 194' : 제1풀리
194a : 제1조립공 195 : 제2회전축
195' : 제2풀리 195a : 제2조립공
196 : 제3회전축 196' : 제3풀리
197 : 모터 197a : 피니언기어
198 : 구동벨트 199 : 종동벨트
P : 고정핀

Claims (6)

  1. 지폐계수모듈의 호퍼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단위로 분리하여 반송 처리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1마찰부재가 구비된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지폐를 이송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2마찰부재가 구비된 피드롤러;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1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1회전축;
    상기 피드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고, 제2조립공이 관통 형성된 제2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풀리;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풀리; 및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는,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종동벨트를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하기 위한 정위치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에는 고정핀이 관통되어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벨트는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공과 제2조립공이 일직선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픽업롤러의 제1마찰부재와 상기 피드롤러의 제2마찰부재는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공은 상기 제1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공은 상기 제2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조립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부재와 제2마찰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에 대향 배치되어 지폐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는 제3회전축;
    상기 제3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3풀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풀리와 제3풀리 간에는 회전방향이 상반되도록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KR1020150045994A 2015-04-01 2015-04-01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KR10166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94A KR101665860B1 (ko) 2015-04-01 2015-04-01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994A KR101665860B1 (ko) 2015-04-01 2015-04-01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13A KR20160118413A (ko) 2016-10-12
KR101665860B1 true KR101665860B1 (ko) 2016-10-13

Family

ID=5717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994A KR101665860B1 (ko) 2015-04-01 2015-04-01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47A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51A (zh) * 2019-01-21 2019-05-17 西北工业大学 折叠纸币展开正向装置
CN110223443B (zh) * 2019-05-09 2021-05-11 南通大学 采用多级、多方向、差速辊碾方式的纸币展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679B1 (ko) * 2005-09-12 2013-12-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KR101307669B1 (ko) * 2006-06-28 2013-09-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이드롤러 편마모방지장치
KR101280770B1 (ko) * 2011-12-20 2013-07-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반송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342898B1 (ko) * 2012-03-05 2013-12-18 주식회사 청호컴넷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147A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65857B1 (ko) * 2017-07-24 2019-04-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13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03B2 (en) Conveying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JP6189124B2 (ja) 紙葉類集積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665860B1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KR10166585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KR2015014251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장치
KR10176148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916576B1 (ko) 지폐 분리집적부
WO2010098450A1 (ja) 紙葉類集積装置
KR20160145905A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JP4925662B2 (ja) 媒体処理機及び紙幣入出金機
EP3267404B1 (en) Paper processing machine
WO2015063908A1 (ja) 紙葉類集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6265380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990113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KR101026901B1 (ko) 지폐 분리집적장치
JP6353137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55822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KR101665855B1 (ko) 지폐계수모듈의 호퍼부
KR2007012134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구조
KR100992078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배출 가속장치
KR102236673B1 (ko) 지폐 집적 장치
KR20160118410A (ko) 지폐계수모듈의 지폐집적장치
JP2023031462A (ja) 紙幣整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紙幣識別装置
JPH02225256A (ja) 紙葉類表裏反転装置
JP3545242B2 (ja) 集積紙幣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