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77B1 -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77B1
KR101665277B1 KR1020157013822A KR20157013822A KR101665277B1 KR 101665277 B1 KR101665277 B1 KR 101665277B1 KR 1020157013822 A KR1020157013822 A KR 1020157013822A KR 20157013822 A KR20157013822 A KR 20157013822A KR 101665277 B1 KR101665277 B1 KR 10166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device
smart terminal
execution st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826A (ko
Inventor
수 장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07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Y02B60/18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수동 조작 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빈번한 기계적 조작에 의해 이어폰의 스위치, 플러그 및 인터페이스의 마모 및 노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더는 수동 조작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졌기때문에,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DEVICE,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처리 등 관련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TV 전화, 회의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능이 내장된 개인용 컴퓨터 (personal computer PC), 개인용 정보 단말기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은, 모두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속한다.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빠른 보편화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의 시청각 경험도 점점 완벽해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외출 과정에서 중요한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로 되었다.
한편, 이동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는 대부분 이어폰을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듣는다. 예를 들면, 오디오와 비디오를 재생시킬 때, 혹은, 게임을 실행시킬 때, 이어폰을 사용하여 듣게 된다. 다른 한편, 이동 인터넷을 통한 오디오 통신 및 비디오 통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오디오 통신 또는 비디오 통신을 할 때도 이어폰을 자주 사용한다.
그러나 다수의 응급 상황시, 사용자는 급히 귀에서 이어폰을 떼낸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중지시키기를 잊어버리거나, 혹은, 중지시킬 여유가 없기때문에, 오디오, 비디오, 또는, 게임을 놓치거나, 디바이스의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을 중지시키려고 하면, 스마트 단말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에서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야 한다. 예를 들면, 유선 이어폰의 경우, 재생 제어 기능을 갖는 선로상 제어 버튼인 일시 정지 버튼을 누르거나, 직접 디바이스에서 이어폰 플러그를 뽑아내어 재생을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무선 이어폰의 경우, 이어폰에서 스위치를 누르거나, 재생 인터페이스에서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서 재생을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응급 상황시, 사용자는 오디오 통신 또는 비디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 중에서, 이어폰 모드, 공개 재생 모드 및 핸즈프리 모드 사이를 절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절환 과정도 수동으로 유선 이어폰 플러그를 꽂거나 빼거나 하는 방법, 또는 무선 이어폰을 접속시키거나 접속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실현한다.
따라서, 상기의 수동 조작 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빈번한 기계적 조작에 의해 이어폰의 스위치, 플러그 및 인터페이스의 마모 및 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 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혹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혹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1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서브 모듈과,
상기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실행 서브 모듈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제 3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어 서브 모듈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통신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통신 절환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1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검출 서브 모듈은,
상기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서브 유닛,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의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제어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는 동작 및 탈착시키는 동작을 간단히 모니터링하는 것만으로,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 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수 있으며, 더는 수동 조작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변경되었을때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단순화할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예시적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예시적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이어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 에 따른 이어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예시적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4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5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도면과 문자 기재는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컨셉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기술안 및 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수동 조작을 피면할 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의 실행을 잊어버려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플레이어, 콘솔, TV 전화 회의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능이 내장된 PC, PDA 등일수 있다.
<실시 예 1>
기존의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이어폰을 사용할 때, 만약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거나 탈착시킬 때, 단말 디바이스 상에서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및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수동 조작으로 제어해야 한다. 그러나, 수동 조작이 번잡하고, 또한 빈번한 기계적 조작에 의해 이어폰의 스위치, 플러그 및 인터페이스의 마모 및 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만약 수동 조작의 실행을 잊어 버리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을 놓치게 되며, 또한, 디바이스의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판단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당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 100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은, 무선 이어폰 (Bluetooth 이어폰 등을 포함)일 수도 있고, 유선 이어폰 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당해 착탈 상태는 착용 상태 및 탈착 상태와 같은 두 가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왼쪽과 오른쪽의 두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이어폰 (유선 또는 무선)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어 피스의 착용 상태가 모니터링되면 당해 이어폰이 착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두 이어 피스가 모두 탈착 상태에 있는 것이 모니터링되면, 당해 이어폰이 탈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이어피스만 포함하는 이어폰일 경우, 당해 이어 피스의 착용 상태 또는 탈착 상태가 당해 이어폰의 상태를 대표한다.
단계 102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여기서,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등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는, 비 재생 상태 및 재생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는, 이어폰 모드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함), 수화기 모드 (예를 들면, 음성 통신을 할 때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킴), 핸즈프리 모드 (예를 들면, 비디오 통신을 하고 있을 때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킴) 및 공개 재생 모드 (예를 들면, 리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킬때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중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가 재생 상태이고, 또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공개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한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이어폰 모드로 자동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어폰을 이용하여 재생중인 리치 미디어 컨텐츠를 듣기만 하면 되는 바, 수동 조작을 통해 모드를 절환할 필요가 없어졌다.
상기의 "및 / 또는"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만을 제어하는 경우, 혹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만을 제어하는 경우의 두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상황에 따라 이어폰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실행 상태의 제어 및 작동 모드 제어를 조합할 수 있는 바, 즉,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의 제어, 및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의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사례는 아래의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상기의 제어 과정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일 뿐, 구체적인 제어 과정은 아래의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는 동작 및 탈착시키는 동작을 간단히 모니터링함으로써,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혹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자동 제어할수 있으므로, 더는 수동 조작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졌기때문에,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 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2 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 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당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0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는 이어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이어폰에 센서를 설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이어폰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선 이어폰 혹은 무선 이어폰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게임, 통신 등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 장치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이어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게임 실행, 통신의 실시 등의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있거나,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면 디바이스는 명령을 받아 재생을 계속하거나 혹은 재생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과정에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면, 디바이스는 명령을 받고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끊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의 유선 이어폰 또는 무선 이어폰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경우는, 수동 조작을 통해 멀티미디어 재생, 게임, 통신, 등을 제어하지만, 빈번한 기계적 조작은 이어폰의 스위치, 플러그 및 인터페이스의 마모 및 노화를 초래하며, 또한, 수동 조작 과정이 복잡하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 에 따른 이어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어폰에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수 있는 센서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단계 200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단계 2001에 있어서, 이어폰의 이어피스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하나 혹은 복수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센서는 기타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수도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폰의 이어 피스 표면 또는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재 이어폰의 이어 피스가 착용되어 있는지 탈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센서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당업자에 의해 실제 경험을 따라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202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당해 단계 202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단계 2021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존재할 경우 서브 단계 2022을 실행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서브 단계 2023을 실행한다.
도 4로부터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어폰의 내부 제어 부분에 신호 코딩 디코더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당해 신호 코딩 디코더는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된 신호를 코딩하여 관련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에 의해 신호가 모니터링된 후에, 센서 신호 라인을 통해 신호를 신호 코딩 디코더로 전송한 후, 신호 코딩 디코더가 모니터링된 신호를 코딩하여 당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당해 서브 단계 2021에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1 에 있어서,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a2 에 있어서,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센서에 의해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또는 탈착이 모니터링된 경우,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된 신호를 센서 신호 라인을 통해 신호 코딩 디코더로 전송한 후, 당해 신호 코딩 디코더가 수신된 신호를 코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당해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신호 코딩 디코더는 또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이어폰에 대한 명령을 디코딩하여, 센서 및 기타 기구 (이어폰 등)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서 센서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디코딩하여, 당해 명령에 따라 센서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어폰 내의 기타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는 당업자에 따라 실제 경험에 따라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서브 단계 2022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화면 잠금 휴면, 또는, 잠금 해제되었지만 재생 또는 통신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아직 기동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전략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서브 단계 2022은 아래 세 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의 케이스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한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플레이어, 또는 콘솔)가 화면 잠금 휴면중에 있으면, 신호 코딩 디코더는 유선 기동 명령을 생성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기동 명령에 따라 자동적으로 휴면 해제 및 잠금 해제 (잠금 화면에 패스워드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잠금 해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시킴)되도록 제어하여, 잠금 해제된 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여, 기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의 케이스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만약, 미리 설정된 전략이, 이어폰을 착용할 시 어느 한 애플리케이션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할수 있다)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전략일 경우이면, 당해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약 미리 설정된 이어폰을 착용할 때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이면,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키도록 할수 있다(예를 들면, 연락 처를 자동적으로 표시함).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착용일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 게임 등의 이어폰 관련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 3의 케이스에 있어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는,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는 아래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1) 만약 복수개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2) 만약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전략 (예를 들면, 사용 횟수, 최근 사용 시간 등)에 따라 각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정렬하여, 정렬후 복수개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리스트가 표시하여, 사용자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서브 단계 2023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만약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혹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당해 서브 단계 2023은, 아래의 네 가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에 있어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행중의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는 비 재생 상태이며, 제 2 실행 상태는 재생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것으로 모니터링되고, 또한,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비 재생 상태 (여기서, 일시 정지 상태일수도 있음)에 있을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에 따라 실행중인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비 재생 상태에서 재생 상태로 자동적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착용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기본 설정하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만약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줄곧 착용이고, 또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 (즉,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 모드를 채택한다. 만약 이어폰이 탈착 상태에서 착용 상태로 변경되면, 탈착 상태에서는 공개 재생 모드이기 때문에, 상기의 상태가 절환된 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이어폰 모드로 절환해야 한다.
제 2 케이스에 있어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인 경우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제 2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서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만약 제 1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센서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이어 피스가 탈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모니터링된 경우, 만약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중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재생을 자동적으로 일시 정지시키며(즉,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재생 상태에서 비 재생 상태로 절환), 만약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중의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비 재생 상태로 있으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조작 트리거한 재생 계속 명령이 수신되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비 재생 상태에서 재생 상태로 절환하며(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어폰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또는 재생 인터페이스 상의 재생 버튼을 클릭함), 또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를 제 1 동작 모드 (즉, 공개 재생 모드)로 절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내장된 스피커로 하여금 리치 미디어 콘텐츠를 계속 재생하도록 할수 있다.
제 3 케이스에 있어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일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이어폰 모드일 수 있다. 만약 통신 애플리케이션(당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통신 또는 비디오 통신일 수 있음)을 실행하고 있을 때,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일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이어폰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할수 있는 바, 즉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종류의 통신(예를 들면, WeChat 통신)은, 통신 내용을 오디오 클립 형식으로 전송하기때문에, 당해 오디오 클립을 재생 또는 일시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당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즉, 비 재생 상태)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즉, 재생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여 통신 내용을 계속 재생시킬수 있는 바, 여기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 모드를 기본 설정으로 채용한다.
제 4 케이스에 있어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인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2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서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동작 모드는 통신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여 오디오 통신을 듣고 있을 때,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지금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키는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화기 모드로 자동적으로 절환한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수화기를 직접 귀에 대고 오디오 통신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고 비디오 통신을 듣고 있을 때, 만약 센서가 사용자가 지금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키는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핸즈프리 모드로 자동적으로 절환한다. 사용자는 직접 장치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비디오 통신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종류의 통신 (예를 들면, WeChat 통신)의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일 때, 당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 (즉, 재생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서 제 1 실행 상태 (즉, 비 재생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여, 정보 내용의 재생을 일시 정지 시킬수 있다.
상기 제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하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 방법을 포함할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i)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존재하는 경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ii)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두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두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리스트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는 미리 설정된 전략 (예를 들면, 사용자가 최근 사용한 시간 등의 전략)에 따라 정렬한 것이다. 사용자는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클릭 선택하고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이어폰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이어폰 내의 신호 코딩 디코더를 사용하여 신호를 코딩하여 당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혹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수동 조작을 통해 제어할 필요가 없어졌다.
<실시 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유선 이어폰 (두 이어피스를 포함)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통신 애플리케이션 및 비디오 통신 애플리케이션 (물론, WeChat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당해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에 있어서, 이어폰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먼저 이어폰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유선 이어폰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플레이어, 혹은, 콘솔)에 삽입하거나, 무선 이어폰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시킨다.
단계 2 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어폰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시킨 후,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센서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시간 간격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 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이미 착용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Yes의 경우에는 단계 4 를 수행하고, No의 경우에는 단계 2 로 돌아간다.
단계 4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Yes (즉,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음)인 경우에는, 단계 10 을 수행하고, No (즉,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음)인 경우 단계 5 를 수행한다.
단계 5 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 을수행하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7 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8 을 수행한다.
단계 6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만약 하나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하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하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의 이어 피스가 이미 착용된 것이 모니터링된 동시에,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통신을 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단계 10 을 수행한다.
단계 7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수 있다. 여기서, 당해 리스트 내에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된 전략 (예를 들면, 사용 횟수)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9 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트리거한 선택 명령에 따라,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기동시킨다.
단계 8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 횟수에 따라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각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횟수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 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그 후 단계 9 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트리거한 선택 명령에 따라 리스트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기동시킨다.
단계 9 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스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트리거한 선택 명령에 따라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기동시킨다.
단계 10 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을 판단한다.
단계 4 에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는, 또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을 판단한 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11 을 수행하며, 현재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13 을 수행한다.
단계 11 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이 비 재생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비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12 를 수행하고,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14 를 수행한다.
단계 12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 재생시키나 게임을 계속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고, 또한, 단계14 를 수행한다.
단계 13 에 있어서, 현재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14 를 수행한다.
단계 14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이어폰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단계 15 를 수행한다.
단계 15 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16 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두 이어폰의 착탈 여부를 검출한다.
Yes인 경우에는 단계 17 을 수행하고, No인 경우에는 단계 15 로 돌아간다.
단계 17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Yes (즉,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음)인 경우에는 단계 18 을 수행하고, No (즉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음)인 경우에는 단계 2 로 돌아간다.
단계 18 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을 판단한다.
단계 17 에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거나,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또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을 판단할수 있으며, 판단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혹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거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19 를 수행하고, 현재 음성 통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23 단계를 수행하고, 현재 비디오 통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25 를 수행한다.
단계 19 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이 비 재생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비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21 단계를 수행하고, 재생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 20 를 수행한다.
단계 20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혹은, 게임의 실행을 일시 정지 시키도록 제어하고, 단계 2 로 돌아간다.
단계 21 에 있어서, 재생 계속 명령을 수신하여 재생 계속 명령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 재생시키거나 게임을 계속 실행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 계속 명령은 사용자가 재생 계속 버튼을 클릭하여 트리거 될 수 있으며, 물론, 다른 형식으로도 트리거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2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공개 재생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단계 2 로 돌아간다.
단계 23 에 있어서, 현재 음성 통신을 하고 있는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24를 수행한다.
단계 24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수화기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단계 2 로 돌아간다.
단계 25 에 있어서, 현재 비디오 통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26 을 수행한다.
단계 26 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핸즈프리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단계 2 로 돌아간다.
아래, 네 가지 사용 사례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 사례 1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한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플레이어, 콘솔, 등)가 화면 잠금 휴면 상태에 있으면, 신호 코딩 디코더가 먼저 기동 명령을 생성하고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기동 명령에 따라 자동적으로 휴면 해제 및 잠금 해제 (잠금 화면에 패스워드가 있는 경우에는 먼저 잠금 해제 패스워드 입력창을 팝업시킴)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신호 코딩 디코더가 착용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하나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기동하도록 제어하는 하거나, 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리스트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는, 미리 설정하되나, 사용자의 사용 횟수에 따라 정렬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기동할 수 있다).
만약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화면이 이미 잠금 해제되었지만 아직 재생 및 통신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으면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있지 않으며, 또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음), 신호 코딩 디코더가 착용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기동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당해 사용 사례 1은, 도 5 내의 단계 5 ~ 단계 9 에 해당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사용 사례 2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한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 (예를 들면, 뮤직, 비디오)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고 있거나, 또는, 게임의 실행을 일시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의 착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속 재생시키거나 게임을 계속 실행시킨다.
상기의 사용 사례 2 는 도 5 내의 단계 11 ~ 단계12 에 해당된다.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이어폰을 탈착시킨 것이 모니터링된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 (뮤직, 비디오)를 재생시켜고 있거나, 또는, 게임을 실행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에서 탈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 시키거나, 혹은, 게임의 실행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이어폰의 스위치 또는 재생 인터페이스 상의 재생 버튼을 통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내장된 스피커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게임을 계속 재생시킨다.
상기의 경우는, 도 5 내의 단계 19 ~ 단계 22 에 해당된다.
바람직하게는, 두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거나, 또는 두개 이상의 게임의 실행이 일시 정지된 경우에는, 해당되는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게 된다. 리스트에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혹은, 게임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한 시간에 따라 정렬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당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게임을 클릭 선택하여 계속 재생시킬 수 있다.
사용 사례 3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을 착용하여 오디오 통신을 듣고 있을 때, 만약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이때 이어폰을 탈착시키는것이 모니터링되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 탈착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수화기 모드로 절환하여 사용자가 직접 장치의 이어폰을 귀에 대고 오디오 통신을 계속 들을 수 있다.
상기의 사용 사례 3은, 도 5 내의 단계 23 ~ 단계24 에 해당된다.
사용 사례 4에 있어서,
사용자가 현재 이어폰을 착용하여 비디오 통신을 듣고 있을 때,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이때 이어폰을 탈착시키는 것이 모니터링되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는 이어폰으로부터 탈착 제어 명령을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핸즈프리 모드로 절환하여 사용자가 직접 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비디오 통신을 계속 들을 수 있다.
상기의 사용 사례 4는, 도 5 내의 단계 25 ~ 단계26 에 해당된다.
물론, 더 많은 다른 사용 사례를 포함할 수도 있는 바,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기서 기타 사례를 하나 하나 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응급 상황 시, 사용자는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간단히 착용하거나 탈착시키는 것만으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거나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탈착시키면, 장치는 상황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게임의 실행 또는 통신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동작 모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가 귀에서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급히 떼낸 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또는 게임의 실행을 중지하는 것을 잊어, 재생의 내용 또는 게임 과정을 놓치거나, 디바이스의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동시에, 상황에 따라 각 모드 사이의 자동 절환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선 이어폰을 삽입하거나 빼낼 필요가 없고, 설정을 통해 무선 이어폰을 접속시키거나 접속을 해제시킬 필요가 없어졌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을 더 인성화하고, 이어폰의 조작 방식을 단순화시킬수 있으며,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의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의 조합에 따라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은 기술한 동작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단계는 기타 다른 순서를 채용하거나 동시에 실행시킬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당업자는 명세서에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바람직한 실시 예에 속하며, 관련 동작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 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당해 시스템은, 모니터링 모듈 (600) 및 제어 모듈 (6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 (600)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은, 유선 이어폰 혹은, 무선 이어폰일 수 있다.
제어 모듈 (602)은, 모니터링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는 동작 및 탈착시키는 동작을 간단히 모니터링 하는 것만으로,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작동 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더는 수동 조작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어졌기때문에, 이어폰의 착탈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수행해야 하는 작업을 단순화할수 있고, 이어폰의 기계적 부분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 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5에 따른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당해 시스템은 모니터링 모듈 (700) 및 제어 모듈 (7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모듈 (700)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모니터링 모듈은, 이어폰의 이어 피스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 (702)은, 모니터링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된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당해 제어 모듈 (702)은, 검출 서브 모듈 (7021), 실행 서브 모듈 (7022) 및 제어 서브 모듈 (7023)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 서브 모듈 (7021)은,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당해 검출 서브 모듈 (7021)은,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서브 유닛과,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실행 서브 모듈 (7022)은,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킨다.
당해 실행 서브 모듈 (7022)은,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표시하고 사용자가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3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제어 서브 모듈 (7023)은,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이 발견된 경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당해 제어 서브 모듈 (7023)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실행중의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인 경우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제 2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서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제 1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통신 절환 서브 유닛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인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여부를 확인하고, 제 2 실행 상태에 있으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실행 상태에서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통신 절환 서브 유닛
을 포함한다.
제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하는 방법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1 개 존재하는 경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방법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할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임의의 형태의 유선 이어폰 혹은, 무선 이어폰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귀 마개 이어폰, 귀 삽입 이어폰, 머리 착용 이어폰, 귀 걸이 이어폰, 등에 적용된다. 이어폰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하나 혹은, 복수개의 센서의 조합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간단히 착용하거나 탈착시키는 것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 모드의 절환 등을 제어할 수 있기에 조작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시스템의 실시 예에 있어서, 이는 방법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비슷하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설명하였고, 관련 내용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거나 탈착시키는 것을 모니터링한 후, 신호 코딩 디코더를 이용하여 코딩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현재의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고 있거나 이어폰의 이어 피스를 착용하지 않는 모든 사용 과정에서, 여전히 일반적인 이어폰 작동 모드를 이용할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각각의 실시예는 모두 점차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었고, 매 하나의 실시예가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모두 기타 실시예와 상이한 내용이며, 각각의 실시예 사이의 동일하거나 비슷한 부분은 서로 참조하면 된다.
당업자는, 상기 각 실시 예의 임의의 조합으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각 실시 예 사이의 조합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속하지만, 페이지에 국한되어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하나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수행하는 컴퓨터가 수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의 일반적인 상하문에서 설명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된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또는 특정된 추상적인 데이터 유형을 실현하는 루틴(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 어셈블리, 데이터 구조 등등을 포함한다. 분포식 계산 환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수도 있고, 이러한 분포식 계산 환경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원격 프로세싱 기기로 임무를 수행한다. 분포식 계산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기기를 비롯한 로컬과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점은, 본문에서, 제1과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하나의 실체 또는 동작을 다른 하나의 실체 또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체 또는 동작 사이에 어떠한 이런 실제적인 관계 또는 순서가 있기를 요구되거나 또는 암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어 "포함", "포괄" 또는 그 어떠한 기타 변체의미가 비배타성의 포함을 포괄하기에,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상품 또는 기기는 그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기도 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기기가 고유하고 있는 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정황하에서, 구절 "하나의...을 포함"으로 한정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상품 또는 기기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한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바탕화면의 표시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한 소개를 진행하였고, 본문에서 구체적인 각 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원리 및 실시방식을 응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및 그 핵심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아울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에 의거하여, 구체적 실시방식 및 응용범위에서 모두 개변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는 바,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명세서의 내용이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혹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혹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1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용 및 탈착을 포함하는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 의해 모니터링된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전략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서브 모듈과,
    상기 검출 서브 모듈에 의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정하고, 확정된 종류 및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및 /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서브 모듈은,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의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과,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인 경우, 표시 인터페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제 3 애플리케이션 실행 서브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브 모듈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리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리치 미디어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착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1 통신 절환 서브 유닛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가 탈착이면,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가 제 3 동작 모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2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 2 통신 절환 서브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1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실행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행 상태로 절환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상기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이어폰의 이어 피스의 착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 정전 용량식 센서, 압력식 저항막방식 센서, 압전 센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서브 모듈은,
    상기 이어폰에 설치된 신호 코딩 디코더로 코딩하여 생성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서브 유닛과,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내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서브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5.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16. 삭제
KR1020157013822A 2013-04-18 2013-10-25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6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136307.X 2013-04-18
CN201310136307.XA CN103257873B (zh) 2013-04-18 2013-04-18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PCT/CN2013/085942 WO2014169609A1 (zh) 2013-04-18 2013-10-25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826A KR20150079826A (ko) 2015-07-08
KR101665277B1 true KR101665277B1 (ko) 2016-10-11

Family

ID=4896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22A KR101665277B1 (ko) 2013-04-18 2013-10-25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990943B1 (ko)
JP (1) JP6275734B2 (ko)
KR (1) KR101665277B1 (ko)
CN (1) CN103257873B (ko)
BR (1) BR112015016708B1 (ko)
MX (1) MX346697B (ko)
RU (1) RU2613775C2 (ko)
WO (1) WO2014169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2124B2 (en) 2013-04-18 2016-07-26 Xiaomi Inc.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thereof
CN103257873B (zh) * 2013-04-18 2016-07-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EP3050317A4 (en) * 2013-09-29 2017-04-26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for enabling control input mod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3727957A (zh) * 2013-12-27 2014-04-16 北京超思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计步器
CN104808772B (zh) * 2014-01-24 2018-10-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检测头戴式智能设备持续附着在人体上的装置和方法
CN103813023A (zh) * 2014-03-10 2014-05-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状态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3985400A (zh) * 2014-04-18 2014-08-13 青岛尚慧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的播放系统
CN104065832A (zh) * 2014-07-17 2014-09-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止移动终端漏接电话的方法及装置
CN104185109A (zh) * 2014-09-01 2014-12-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系统及耳机及电子装置及控制方法
KR102203510B1 (ko) 2014-09-26 2021-01-1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
CN104618440B (zh) 2014-12-31 2018-03-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智能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6659401A (zh) * 2015-01-05 2017-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EP3248123A1 (en) 2015-01-20 2017-11-29 Novartis AG Application unlock using a connected physical device and transfer of data therebetween
CN104768092A (zh) * 2015-01-30 2015-07-08 西安乾易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耳机、基于该耳机的移动终端状态切换系统及方法
WO2016196838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Changing companion communication device behavior based on status of wearable device
CN105120089B (zh) 2015-08-17 2020-01-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自动接听电话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658280A (zh) * 2015-10-28 2017-05-10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输出切换电路及应用该电路的耳机
CN105282338A (zh) * 2015-10-30 2016-01-27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消息提醒方法及系统
CN105472496A (zh) * 2015-11-21 2016-04-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耳机及其自动通断方法
CN105491470B (zh) * 2015-11-25 2019-09-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耳机及其通过智能佩戴接触设备实现自动通断的方法
CN105679350B (zh) * 2016-01-11 2019-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的方法及装置
CN106125886A (zh) * 2016-06-22 2016-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状态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0620908B2 (en) 2016-08-26 2020-04-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dio outpu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453850A (zh) * 2016-09-19 2017-02-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的情景模式切换方法和实现情景模式切换的终端
KR102546249B1 (ko) * 2016-10-10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791191A (zh) * 2017-02-07 2017-05-3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控制方法及装置
CN106851455A (zh) * 2017-02-23 2017-06-13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播放模式的音乐控制方法及装置
CN109313494B (zh) * 2017-03-09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耳机、终端及控制方法
CN107272427B (zh) * 2017-06-16 2021-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205187B (zh) * 2017-06-21 2019-10-01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控制音乐播放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2161554B1 (ko) * 2017-06-29 2020-10-05 네이버 주식회사 이어셋을 이용한 통역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507622A (zh) * 2017-08-07 2017-1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声音信号的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577447A (zh) * 2017-08-24 2018-01-12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媒体数据输出的方法及媒体播放设备
CN107623777A (zh) * 2017-08-29 2018-01-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及其播放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39178A (zh) * 2018-02-02 2019-08-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终端移动方向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955758B (zh) * 2018-04-26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式设备的佩戴检测方法及相关产品
CN108769387A (zh) * 2018-05-03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08664818B (zh) * 2018-05-14 2020-07-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控制方法及装置
CN110572731A (zh) * 2018-06-05 2019-12-13 四川斐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关机的无线耳机以及无线耳机自动关机的方法
CN110933546B (zh) * 2018-09-20 2021-10-22 苹果公司 耳塞顶端和入耳式耳机
CN109587597B (zh) * 2018-10-29 2020-07-1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音箱的交互控制方法、装置及组合音箱
US11558687B2 (en) 2018-10-29 2023-01-17 Goertek Inc. Interactiv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arphones, earphone and storage medium
CN110381410B (zh) * 2019-08-13 2020-10-23 美特科技(苏州)有限公司 耳机佩戴检测方法、装置、蓝牙耳机及存储介质
CN111131590B (zh) * 2019-12-20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耳机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131966B (zh) * 2019-12-26 2022-05-20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模式控制方法、耳机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915888B (zh) * 2021-02-10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耳机佩戴错误识别方法及相关设备
KR102640527B1 (ko) * 2021-02-25 2024-02-27 (주)파트론 커널형 콘차 체온 측정 시스템
CN113542961A (zh) * 2021-07-15 2021-10-22 成都纤声科技有限公司 耳机、电子设备和入耳检测方法
CN114040286A (zh) * 2021-10-28 2022-02-1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真无线耳机及真无线耳机系统
CN114745651B (zh) * 2022-02-28 2023-04-25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耳机状态检测方法、耳机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479A (ja) * 2001-07-10 2003-01-24 Sharp Corp 携帯無線端末
AT413923B (de) * 2003-01-31 2006-07-15 Akg Acoustics Gmbh Kopfhörer
JP4737496B2 (ja) * 2004-07-06 2011-08-0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418103B2 (en) * 2004-08-06 2008-08-2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tes of a device
JP4698349B2 (ja) * 2005-09-09 2011-06-0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7121694A (ja) * 2005-10-28 2007-05-17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ヘッドホン、及び携帯端末装置の再生制御方法
CN101211650A (zh) * 2006-12-25 2008-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播放装置及其应用的耳机、自动控制方法
KR101174116B1 (ko) * 2009-07-16 2012-08-14 주식회사 케이티 공지 콘텐츠 제공을 위한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1114677A (ja) * 2009-11-27 2011-06-0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音声再生システム
CN102104388B (zh) * 2009-12-16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播放系统及其应用的耳机
KR101688141B1 (ko) * 2010-05-20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20120045990A1 (en) * 2010-08-23 2012-02-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lligent Audio Routing for Incoming Calls
CN202034054U (zh) * 2010-12-07 2011-11-09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音频播放系统及耳机
US20120244812A1 (en) * 2011-03-27 2012-09-27 Plantronics, Inc. Automatic Sensory Data Routing Based On Worn State
CN202276442U (zh) * 2011-05-31 2012-06-13 深圳市力合鑫源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感应控制的头戴式耳机
KR20130014752A (ko) * 2011-08-01 2013-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736276B2 (ja) * 2011-08-23 2015-06-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20115191A (ko) * 2012-09-04 2012-10-17 (주)스마트하우스 스마트 디바이스 센서를 이용한 동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24193A (zh) * 2012-12-25 2013-04-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播放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3257873B (zh) * 2013-04-18 2016-07-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6708A2 (pt) 2017-07-11
KR20150079826A (ko) 2015-07-08
EP2990943A1 (en) 2016-03-02
RU2613775C2 (ru) 2017-03-21
JP6275734B2 (ja) 2018-02-07
EP2990943B1 (en) 2019-12-04
BR112015016708B1 (pt) 2021-12-07
EP2990943A4 (en) 2017-03-08
MX2015008149A (es) 2016-02-05
JP2016509379A (ja) 2016-03-24
WO2014169609A1 (zh) 2014-10-23
RU2015125073A (ru) 2017-01-10
CN103257873B (zh) 2016-07-06
CN103257873A (zh) 2013-08-21
MX346697B (es)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77B1 (ko) 스마트 단말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4021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thereof
CA2740581C (en)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media
CN105430547B (zh) 蓝牙耳机的休眠方法及装置
JP656402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
KR100630204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7360458B (zh) 播放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WO2018201944A1 (zh)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512918B1 (ko) 미디어 검출에 기초한 시스템 타임아웃 리셋
US8549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on-screen imag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upon connection of earphone
WO2008005269A3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with interrupt processing and trick play functionality
WO2009063413A1 (en) Portable hands-free device with sensor
CN103631613A (zh) 一种触发终端解锁及程序运行的方法
WO2017166607A1 (zh) 基于耳机的录音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749456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uppressing notification of incoming communications during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KR20060106299A (ko) 이어폰 장착 여부의 감지를 통한 자동 멈춤 및 전원 오프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 방법
TW201423587A (zh) 被叫提示系統及方法
WO2020103045A1 (zh) 一种对应用程序进行处理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7634071B2 (en) Auto switch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IP phone and default audio device
EP26080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ting music reproduction in a wireless terminal
CN106657675B (zh) 一种通过蓝牙播放设备播放移动终端音视频的方法及系统
TWI583168B (zh) 手機及其通話過程中播放音樂的系統及方法
JP2008092210A (ja) 再生装置
JP2013197659A (ja) 携帯情報端末
KR101492322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