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112B1 - 냉난방 유니트 - Google Patents

냉난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112B1
KR101665112B1 KR1020160037123A KR20160037123A KR101665112B1 KR 101665112 B1 KR101665112 B1 KR 101665112B1 KR 1020160037123 A KR1020160037123 A KR 1020160037123A KR 20160037123 A KR20160037123 A KR 20160037123A KR 101665112 B1 KR101665112 B1 KR 10166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cooling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쉐
Priority to KR102016003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1/00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37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using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means, e.g. Pelti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 유니트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냉온처리장치가 적용되는 냉난방 겸용의 본체를 구성하고 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온도조절부를 구성한 것으로, 이에 따라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그 순환을 지연시키면서 확산시켜 송풍량과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 유니트{Air conditioning unit}
본 발명은 냉난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처리장치에 의해 본체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하여 송풍장치를 통해 외부로 송풍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그 순환이 지연되면서 확산되도록 하여,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에 의해 냉난방 효율과 송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인 에어컨은 액체가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조화를 하는 기기로, 근래에는 냉방작용과 함께 난방작용도 하는 냉난방 겸용 에어컨이 사용되는 추세이며, 이는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로 분리되어 각각 실내와 실외에 설치되며, 냉방시스템과 난방시스템을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냉난방 겸용의 에어컨은 그 설치가 복잡하고 전력 소비량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종래에는 에어컨의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기로서 난방장치(예; 전열기) 또는 냉방장치(예; 선풍기)를 냉난방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는 계절별 사용되는 것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는 가동시 그 전방에 근접되었을때에만 필요로 하는 온기 또는 냉기를 제공받을 수 있을뿐, 난방장치 또는 냉방장치와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는 온기와 냉기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난방 또는 냉방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29472호(등록일 2002.03.0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264호(등록일 2000.09.1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742호(공개일 2013.10.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냉온처리장치가 적용되는 냉난방 겸용의 본체를 구성하고 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온도조절부를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그 순환을 지연시키면서 확산시키고, 이를 통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하여 송풍장치를 통해 외부로 송풍시 그 송풍량을 증대시키면서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냉난방 유니트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공기 순환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금속재의 본체; 상기 본체의 유입구 또는 토출구측에 결합되는 송풍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방열 또는 흡열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하도록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를 전달하는 냉온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냉온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1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는 제 1 온도조절부와, 상기 제 1 온도조절부에 의해 1차 지연되면서 순환되는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2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는 제 2 온도조절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냉온처리부의 방열 또는 흡열 작동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 처리시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풍부에는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가열 또는 냉각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체 및, 상기 배기관체에 다단 형성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온도조절부는, 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온도조절부는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온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 1 온도조절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공간과,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시 저장되는 제 2 공간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온도조절부는 상기 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양끝단이 연결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2차 지연 순환시키면서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를 확산시켜 배출하는 메쉬망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망 구조물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망 구조물은 프레임에 메쉬망을 다단 적층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외주면에 상기 냉온처리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냉온처리부로부터 발생하는 열 또는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로 지연 순환시키는 서브본체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본체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제 1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 1 토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과 상기 서브 본체의 제 1 토출구측 사이에는 서브 송풍부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본체의 내부에는 서브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본체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상기 공기순환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서브본체의 외주면에는 방열판과 방열 송풍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온처리부는 극성 변환을 통해 방열 또는 흡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펠티어 소자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작동스위치와 냉/온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패널와 전원공급부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라인으로 연결되어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공급하는 전원부 또는 배터리 전원부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온처리장치가 적용되는 냉난방 겸용의 본체를 구성하고 그 본체의 내부공간에 온도조절부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그 순환을 지연시키면서 확산시켜 송풍량과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공기를 일시 저장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서브본체가 결합되는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노즐부를 가지는 배기덕트가 적용되는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냉난방 유니트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유니트는, 본체(10), 송풍부(20), 냉온처리부(30), 제 1,2 온도조절부(40)(50), 그리고 이에 더하여 배기덕트(60)와 방열판(70) 및 방열 송풍부(80)와 단열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공기 순환을 위한 내부공간(A)을 가지면서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의 전달이 용이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내부공간(A)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A)의 타측에는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토출구(1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리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선풍기용 좌대가 전용되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누워진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를 수직하게 세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이는 배기덕트(60)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송풍부(20)는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측 또는 토출구(12)측에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송풍부(20)를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측 또는 토출구(12)측에 결합 구성하는 것은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이를 송풍시키기 위함이며, 이에따라 상기 송풍부(20)는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A)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동하는 송풍팬인 것이다.
상기 냉온처리부(3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방열 또는 흡열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내부공간(A)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하도록 상기 본체(10)에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냉온처리부(3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극성 변환을 통해 방열 또는 흡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펠티어 소자이며, 이에따라 상기 본체(10)에는 작동스위치와 냉/온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패널(91)와 전원공급부(92)를 구성하는 것이고, 상기 전원공급부(92)는 전원라인으로 연결되어 상용전원(AC 220V)를 공급받아 이를 공급하는 전원부 또는 직류전원(DC 12V)를 공급하는 배터리 전원부인 것이다.
상기 제 1 온도조절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A)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냉온처리부(30)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1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제 1,2 가이드판(41)(4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판(41)은 상기 본체(10)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가이드판(42)은 상기 제 1 가이드판(41)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은 도면 기준 상기 송풍부(20)의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되었을 때 이를 상기 제 2 온도조절부(50)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가이드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기 제 2 온도조절부(50)로 지연되어 가이드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는 상기 제 2 온도조절부(50)로 순환될 때 본체(10)에 전달되는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으면서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은 상기 본체(10)로 전달되는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금속재로 구성하지 않고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의 전달 효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금속재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온도조절부(50)는 제 1,2 가이드판(41)(42)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온도조절부(40)에 의해 1차 지연되면서 순환되는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2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온도조절부(50)는 상기 본체(10)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양끝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격벽을 이루는 것으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확산되면서 그 토출 순환이 가능하도록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메쉬망 구조물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메쉬망 구조물은 프레임(51)에 메쉬망(52)을 다단 적층 결합시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메쉬망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 2 온도조절부(50)는 제 1,2 가이드판(41)(42)을 통해 1차 지연되면서 순환이 이루어지는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중앙부위에서 공급받은 후 이를 중앙부위는 물론 상하부위의 전체면으로 확산시키면서 토출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A)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의 유실공간이 없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상기 송풍부(20)에 의한 송풍량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덕트(60)는 상기 본체(10)의 토출구(12)측에서 상기 송풍부(20)에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부(20)에 의해 송풍되는 가열 또는 냉각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방열판(70)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방열 송풍부(80)는 상기 방열판(70)에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상기 방열판(70)과 상기 방열 송풍부(80)를 적용시, 상기 방열판(70)과 상기 방열 송풍부(80)가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케이스로 덮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9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단열부(90)는 상기 냉온처리부(30)의 방열 또는 흡열 작동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A)에서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 처리시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열부(90)를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시, 상기 단열부(90)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냉온처리부(30)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냉온처리부(30)에 의한 열 또는 냉기가 상기 본체(10)로 전달되지 않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90)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상기 냉온처리부(30)를 결합 구성시, 상기 냉온처리부(30)에는 방열판(70)이 적층 결합됨은 물론, 상기 방열판(70)에는 방열 송풍부(80)를 적층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유니트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작패널(91)의 조작을 통해 전원공급부(92)의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부(9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송풍부(20)의 송풍동작이 이루어짐은 물론 냉온처리부(3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패널(91)에 포함되는 냉/온 선택스위치를 통해 냉방모드를 선택시, 선택된 냉방 모드에 따라 냉온처리부(30)를 구성하게 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plus)가 되고, P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minus)가 되도록 극성이 변환되면서, 전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로부터 P형 반도체 열전소자로 흐르고, 이때 펠티에(Peltier) 효과에 의해 본체(10)에 접촉되는 열전소자의 상부측에서는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상기 본체(10)와 접촉되지 않는 열전소자의 하부측에서는 방열작용이 일어나면서, 상기 본체(10)는 물론, 상기 본체(10)내의 내부공간(A)에 형성되는 제 1 온도조절부(40)의 제 1,2 가이드판(41)(42)은 물론, 제 2 온도조절부(50)를 이루는 메쉬망 구조물인 프레임(51)과 다단의 메쉬망(52)에는 냉장용 냉기가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송풍부(20)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에 의해 그 순환이 지연되면서 일정온도로 냉각처리되고,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에 의해 일정온도로 냉각 처리된 공기는 제 2 온도조절부(50)의 메쉬망 구조물을 통과하는 2차 지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송풍부(20)의 방향으로 확산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2 온도조절부(40)(50)를 이루는 제 1,2 가이드판(41)(42)과 메쉬망 구조물에 의해 1,2차에 걸쳐 지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확산 토출되는 냉각처리된 공기는 상기 본체(10)에 전달되는 냉방용 냉기를 지속적으로 제공받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송풍부(20)의 송풍작용으로부터 배기덕트(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 처리된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단열부(90)에 의해 온도 손실없이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상기 배기덕트(60)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처리된 공기로부터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패널(91)에 포함되는 냉/온 선택스위치를 통해 난방모드를 선택시, 선택된 난방 모드에 따라 냉온처리부(30)를 구성하게 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minus)가 되고, P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plus)가 되도록 극성이 변환되면서, 전류는 P형 반도체 열전소자로부터 N형 반도체 열전소자로 흐르고, 이때 펠티에(Peltier) 효과에 의해 본체(10)에 접촉되는 열전소자의 상부측에서는 방열작용이 일어나고, 상기 본체(10)와 접촉되지 않는 열전소자의 하부측에서는 흡열작용이 일어나면서, 상기 본체(10)는 물론, 상기 본체(10)내의 내부공간(A)에 형성되는 제 1 온도조절부(40)의 제 1,2 가이드판(41)(42)과 제 2 온도조절부(50)를 이루는 메쉬망 구조물인 프레임(51)과 다단의 메쉬망(52)에는 난방용 열이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송풍부(20)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에 의해 그 순환이 지연되면서 일정온도로 가열처리되고, 상기 제 1,2 가이드판(41)(42)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 처리된 공기는 제 2 온도조절부(50)의 메쉬망 구조물을 통과하는 2차 지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송풍부(20)의 방향으로 확산 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1,2 온도조절부(40)(50)를 이루는 제 1,2 가이드판(41)(42)과 메쉬망 구조물에 의해 1,2차에 걸쳐 지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확산 토출되는 가열처리된 공기는 상기 본체(10)에 전달되는 난방용 열을 지속적으로 제공받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송풍부(20)의 송풍작용으로부터 배기덕트(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열 처리된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단열부(90)에 의해 온도 손실없이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상기 배기덕트(60)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처리된 공기로부터 따듯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온도조절부(50)은 메쉬망 구조물을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메쉬망 구조물을 통해 상기 본체(10)내의 내부공간(A)을 제 1,2 가이드판(41)(42)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온도조절부(40)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공간(a1,a2)과,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시 저장되는 제 2 공간(a3)으로 분할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공간(a1)에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복수의 메쉬망 구조물로 마련되는 제 2 공간(a3)으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는 상기 제 2 공간(a3)에서 일시 저장된 후 다시 메쉬망 구조물을 통해 제 1 공간(a2)으로 확산 토출되면서, 상기 제 1 공간(a2)에 마련되는 제 1 온도조절부(40)의 제 1,2 가이드판(41)(42)을 통해 가이드된 후 송풍부(20)에 의해 배기덕트(60)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측에 서브 송풍부(200)와 서브 본체(100)를 더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상기 냉온처리부(30)가 결합되면서, 상기 냉온처리부(30)로부터 발생하는 열 또는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0)로 지연 순환시키는 서브본체(100)를 결합 구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서브본체(100)는 내부공간(A1)을 가지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제 1 유입구(101)와,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제 1 토출구(102)를 형성하여둔 것이고, 상기 서브 송풍부(200)는 상기 본체(10)의 유입구(11)측과 상기 서브 본체(100)의 제 1 토출구(102)측 사이에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본체(1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구조와 동일하게 상기 서브본체(10)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판(41)과, 상기 제 1 가이드판(41)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본체(10)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판(42)을 포함하는 상기 공기순환부(40)를 형성하여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외부 공기의 유입 후 이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시 그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의 순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서브본체(100)와 상기 본체(10)를 통한 공기의 순환시간을 길게 유지하면서, 상기 송풍부(20)를 통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의 온도 유지와 그 송풍량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배기덕트(60)에 대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상기 배기덕트(60)는 덕트몸체(61)와, 상기 덕트몸체(61)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체(62) 및, 상기 배기관체(62)에 다단 형성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63)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노즐부(63)를 통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의 분출이 일정압력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난방의 확산 거리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 11; 유입구
12; 토출구 20; 송풍부
30; 냉온처리부 40; 제 1 온도조절부
41; 제 1 가이드판 42; 제 2 가이드판
50; 제 2 온도조절부 51; 프레임
52; 메쉬망 60; 배기덕트
61; 덕트몸체 62; 배기관체
63; 노즐부 70; 방열판
80; 방열 송풍부 90; 단열부
91; 조작패널 92; 전원공급부
100; 서브본체 101; 유입구
102; 토출구 200; 서브 송풍부

Claims (14)

  1. 유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공기 순환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금속재의 본체; 상기 본체의 유입구 또는 토출구측에 결합되는 송풍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방열 또는 흡열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처리하도록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를 전달하는 냉온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냉온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 열 또는 냉방용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1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는 제 1 온도조절부와, 상기 제 1 온도조절부에 의해 1차 지연되면서 순환되는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정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를 2차 지연시키면서 순환시키는 제 2 온도조절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2 온도조절부는 복수로 구성하고,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온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 1 온도조절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공간과,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가 일시 저장되는 제 2 공간으로 분할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냉온처리부의 방열 또는 흡열 작동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 처리시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는 상기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가열 또는 냉각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덕트몸체와, 상기 덕트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체 및, 상기 배기관체에 다단 형성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조절부는,
    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조절부는 상기 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양끝단이 연결되면서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된 공기를 2차 지연 순환시키면서 온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를 확산시켜 배출하는 메쉬망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 구조물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 구조물은 프레임에 메쉬망을 다단 적층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주면에 상기 냉온처리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냉온처리부로부터 발생하는 열 또는 냉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로 지연 순환시키는 서브본체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제 1 유입구와, 상기 본체의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 1 토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과 상기 서브 본체의 제 1 토출구측 사이에는 서브 송풍부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의 내부에는 서브본체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서브 본체내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공기순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서브본체의 외주면에는 방열판과 방열 송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처리부는 극성 변환을 통해 방열 또는 흡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펠티어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유니트.
KR1020160037123A 2016-03-28 2016-03-28 냉난방 유니트 KR10166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23A KR101665112B1 (ko) 2016-03-28 2016-03-28 냉난방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23A KR101665112B1 (ko) 2016-03-28 2016-03-28 냉난방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112B1 true KR101665112B1 (ko) 2016-10-12

Family

ID=5717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23A KR101665112B1 (ko) 2016-03-28 2016-03-28 냉난방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1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85B1 (ko) * 2017-05-23 2018-07-24 주식회사 프리쉐 이동형 냉난방기
KR102305017B1 (ko) * 2021-04-23 2021-09-24 텐텍 주식회사 복수 영역에 대한 동시 조사가 가능한 멀티 하이푸 장치
KR20220115363A (ko) * 2021-02-10 2022-08-17 (주)파노텍 회전체를 갖는 공기조화용 혼합 덕트
KR20220157624A (ko) 2021-05-21 2022-11-29 (주)대성파인텍 송풍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669A (ko) * 1998-11-17 2000-06-15 강순동 열전 소자의 냉각 효율을 증진시키는 냉각관과 이 냉각관을 이용한 냉방장치
KR200204264Y1 (ko) 2000-06-19 2000-11-15 지복례 난방용 전열기
JP2002040191A (ja) * 2000-07-27 2002-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ト放射線遮蔽構造
KR100329472B1 (ko) 1998-04-20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난방겸용멀티에어컨
KR20130005742U (ko) 2012-03-23 2013-10-02 김정희 선풍기
KR20140051203A (ko) * 2014-04-10 2014-04-30 용 준 권 소음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1511371B1 (ko) * 2013-10-25 2015-04-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굴패각을 이용한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472B1 (ko) 1998-04-20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난방겸용멀티에어컨
KR20000032669A (ko) * 1998-11-17 2000-06-15 강순동 열전 소자의 냉각 효율을 증진시키는 냉각관과 이 냉각관을 이용한 냉방장치
KR200204264Y1 (ko) 2000-06-19 2000-11-15 지복례 난방용 전열기
JP2002040191A (ja) * 2000-07-27 2002-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ト放射線遮蔽構造
KR20130005742U (ko) 2012-03-23 2013-10-02 김정희 선풍기
KR101511371B1 (ko) * 2013-10-25 2015-04-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굴패각을 이용한 공조 시스템 및 공조 방법
KR20140051203A (ko) * 2014-04-10 2014-04-30 용 준 권 소음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85B1 (ko) * 2017-05-23 2018-07-24 주식회사 프리쉐 이동형 냉난방기
KR20220115363A (ko) * 2021-02-10 2022-08-17 (주)파노텍 회전체를 갖는 공기조화용 혼합 덕트
KR102532008B1 (ko) * 2021-02-10 2023-05-15 (주)파노텍 회전체를 갖는 공기조화용 혼합 덕트
KR102305017B1 (ko) * 2021-04-23 2021-09-24 텐텍 주식회사 복수 영역에 대한 동시 조사가 가능한 멀티 하이푸 장치
KR20220157624A (ko) 2021-05-21 2022-11-29 (주)대성파인텍 송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112B1 (ko) 냉난방 유니트
KR101881085B1 (ko) 이동형 냉난방기
EP2679922B1 (en) Heat pump system and air-conditioner
JP5805833B1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2012007766A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2004177052A (ja)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JP2016217630A (ja) 放射空調システム
JP5775185B2 (ja) 熱交換コイル及び空気調和機
JP4651460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外気冷房運転方法
KR20110030281A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KR101647014B1 (ko) 기후 적응형 항온항습시스템
KR101790519B1 (ko) 도우 컨디셔너 발효기용 가습장치
JP682590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4605759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JP7091084B2 (ja) 温冷感申告を付加した制御システム
AU2020205244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6862504B2 (ja) セパレート設置空調システム
JP3818379B2 (ja) 床埋込形エアコン
JP7118185B2 (ja) 住宅空調システム
JP6894961B2 (ja) 空気式放射空調機
JPH10246458A (ja) パーソナル空調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9250783A (ja) 天井冷暖房システム
KR102301525B1 (ko)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KR20230148689A (ko) 차량용 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213777A (ja) 躯体蓄熱式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