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39B1 -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 Google Patents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39B1
KR101664339B1 KR1020160048903A KR20160048903A KR101664339B1 KR 101664339 B1 KR101664339 B1 KR 101664339B1 KR 1020160048903 A KR1020160048903 A KR 1020160048903A KR 20160048903 A KR20160048903 A KR 20160048903A KR 101664339 B1 KR101664339 B1 KR 10166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air
blade
seal
fram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비피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비피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04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1/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를 2중으로 기밀하게 밀폐하고, 연도가스의 차단시 유해가스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판부(110)(120)와 양측 측판부(130)로 이루어져 통기공(140)을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통기공(140)을 개폐시키도록 양측 측판부(130)에 회전축(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단차를 가지는 전,후판부(220)(230)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블레이드(200); 상기 상,하판부(110)(1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실플레이트(300); 상기 전,후판부(220)(230)의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실플레이트(300)와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서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400); 상기 양측 측판부(13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전,후판부(220)(230)의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패킹(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공급부재(6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Double sealing structure of tandem louver damper}
본 발명은 발전소나 대형 플랜트시설 등의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어 연도가스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고 차단하는 텐덤루버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댐퍼의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를 2중으로 한층 더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연도가스의 차단시 연도가스의 누출을 2중으로 기밀하게 차단하여 유해가스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실링구조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대형 플랜트시설 등의 바이패스라인에는 연도가스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고 차단하기 위해 댐퍼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연도가스를 제어하고 차단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루버 댐퍼가 사용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댐퍼(A1)는 1겹의 블레이드판(A2)이 회전축(A3)과 결합되어 있으며, 이 블레이드판(A2)의 회동에 의해 연도가스가 통과 및 차단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루버 댐퍼(A1)는 블레이드판(A2)을 통해 약 200~400℃ 정도인 고온의 연도가스 및 팬의 고압력의 기류가 통과되기 때문에 블레이드판(A2)의 열변형이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판(A2)의 각 부분의 형상 및 두께가 상이하여 신축률이 상이하며, 회전축(A3)도 블레이드판(A2)의 신축률과 상이하므로, 이들 간의 열변형이 불가피하게 된다. 특히, 유지보수를 위해 댐퍼(A1)를 냉각시켰을 경우에는 블레이드판(A2)과 회전축(A3)이 불균형으로 수축되어 열변형이 심하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A3)과 블레이드판(A2)과의 편심이 발생되며, 블레이드판(A2)에 균열이 발생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의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교체시간의 소요에 따른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4739호에는 고온가스를 통과 및 차단하는 고온가스 템덤 댐퍼 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통기로가 형성된 H-빔형 구조물과 상,하 부위에 결합되는 2겹 블레이드로 인하여 통기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OPEN시에는 2겹 블레이드 사이로 가스 및 고온기류가 통과하도록 하고, CLOSE시에는 텐덤 댐퍼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씰에어로 인하여 연도의 반대편으로 가스 및 고온기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며, 공급되는 씰에어로 인하여 블레이드의 변형도 최소화할 수 있는 H-빔 날개형 텐덤 댐퍼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텐덤 댐퍼에 따르면, 댐퍼 블레이드판과 H-빔형 구조물 및 회전축 등의 각 요소의 신축률 편차를 균등화함으로써 국소별 신축률 편차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겹 블레이드판 사이의 통기로로 씰에어를 공급하여 가스 및 고온기류를 차단하며, 블레이드의 변형을 방지 효과가 있으며, 보수시에 냉각에 의한 블레이드판의 변형, 균열 및 편심의 발생이 방지되어, 유지 및 보수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후 즉시 재가동할 수 있어 교체시간의 소요에 따른 가동률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텐덤 댐퍼에 있어서는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가 완전한 기밀을 보장하여 주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차단시 연도가스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발전소 등에서의 연도가스나 인체에 유해한 가스일 경우에는 매우 치명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댐퍼를 완전한 기밀차단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텐덤 댐퍼는 닫힌 상태에서 연도가스의 흐름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블레이드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닫히는 구조의 경우 블레이드와 접하는 부분 및 블레이드의 겹쳐진 부분이 집중하중에 의한 밀착도가 약하고, 또한 양측 부분의 밀착도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밀착도가 약한 부분으로 연도가스의 누출이 생겨 연도가스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를 한층 더 안전하고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텐더 댐퍼의 실링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4739호(공개일자 : 2010.04.0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발전소나 대형 플랜트시설 등의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어 연도가스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고 차단하는 텐덤루버 댐퍼의 실링구조를 개선하여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를 2중으로 한층 더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한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도가스의 차단시 연도가스의 누출을 2중으로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해가스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실링구조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기공이 구비되도록 상,하판부와 양측 측판부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통기공을 개폐시키도록 양측 측판부에 단차를 가지는 전,후판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하판부의 내측에 한 쌍의 실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전,후판부의 상,하부에 폐쇄시 실플레이트와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서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을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 측판부의 내측에 폐쇄시 전,후판부의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패킹을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폐쇄시 블레이드의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공급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플레이트는 전,후판부의 단차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수평패킹이 기밀하게 밀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패킹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후판부의 양측에는 수직패킹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직패킹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에어공급부재는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에어셧과, 상기 실에어셧에 연결되어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덕트와, 상기 실에어덕트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스팀으로 가열하는 스팀히터와, 상기 실에어덕트에 설치되어 실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실에어밸브와, 상기 실에어덕트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발생시키는 실에어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다수의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크랭크암과,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에 연결되는 링키지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핸들과, 상기 블레이드의 개폐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블레이드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에 따르면, 프레임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실플레이트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블레이드의 전,후판부의 상,하부에는 실플레이트의 경사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접촉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평패킹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를 2중으로 한층 더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도가스의 차단시 연도가스의 누출을 2중으로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유해가스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접촉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패킹이 설치되고, 블레이드의 전,후판부의 양측에는 수직패킹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가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실링구조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버 댐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폐쇄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개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4a의 "B"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판부(110)(120)와 양측 측판부(130)로 이루어져 통기공(140)을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통기공(140)을 개폐시키도록 양측 측판부(130)에 회전축(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단차를 가지는 전,후판부(220)(230)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블레이드(200); 상기 상,하판부(110)(1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실플레이트(300); 상기 전,후판부(220)(230)의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실플레이트(300)와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서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400); 상기 양측 측판부(13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전,후판부(220)(230)의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패킹(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공급부재(6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발전소나 대형 플랜트시설 등의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어 연도가스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고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프레임(100), 블레이드(200), 실플레이트(300), 수평패킹(400), 수직패킹(500), 실에어공급부재(600) 및 구동부재(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댐퍼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0)은 상판부(110)와 하판부(120) 및 양측 측판부(130)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통기공(140)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00)는 프레임(100)의 양측 측판부(130)에 회전축(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블레이드(200)는 프레임(100)의 통기공(14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00)는 폐쇄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하는 통기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레이드(200)는 전판부(220)와 후판부(230)를 구비하는 이중구조의 2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판부(220)와 후판부(230)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전판부(220)의 상부는 후판부(23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판부(220)의 하부는 후판부(230)의 하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실플레이트(300)는 프레임(100)의 상부판(110)과 하판부(120)의 내측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 쌍의 실플레이트(300)에는 폐쇄시 한 쌍의 수평패킹(400)이 2중으로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판(110)의 저부에 설치되는 실플레이트(300)에는 최상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400)이 기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하판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플레이트(300)에는 최하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400)이 기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수평패킹(400)은 블레이드(200)의 전판부(220)와 후판부(230)의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 쌍의 수평패킹(400)들은 폐쇄시 실플레이트(300)와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서 기밀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최상부 블레이드(200)의 상부와 최하부 블레이드(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플레이트(300)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한 쌍의 수평패킹(400)을 제외하고, 나머지 한 쌍의 수평패킹(400)들은 도 4a에서와 같이 폐쇄시 서로 인접하여 겹쳐지는 부위에서 서로 기밀하게 2중으로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실플레이트(300)에는 전,후판부(220)(230)의 단차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수평패킹(400)이 기밀하게 밀착되는 경사면(31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패킹(400)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플레이트(300)에는 전,후판부(220)(230)의 단차에 대응하는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패킹(400)의 접촉부는 경사면(310)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실플레이트(300)와 수평패킹(4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패킹(500)은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의 양측 측판부(13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한 쌍의 수직패킹(500)은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전판부(220)와 후판부(230)의 측면에 2중으로 기밀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판부(220)(2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패킹(500)에 각각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221)(2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패킹(500)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후판부(220)(230)의 양측에는 수직패킹(500)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221)(2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패킹(500)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실플레이트(221)(231)와 수직패킹(5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에어공급부재(6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에어공급부재(600)는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00)의 폐쇄시 실에어공급부재(600)는 블레이드(200)의 내부로 댐퍼의 외부에서 실에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실에어공급부재(600)에서 공급되는 실에어로 인하여 가스 및 고온기류가 블레이드(20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며, 또한 공급되는 실에어로 인하여 블레이드(200)와 수평패킹(400) 및 수직패킹(500)의 변형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에어공급부재(600)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에어셧(610)과, 상기 실에어셧(610)에 연결되어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덕트(62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스팀으로 가열하는 스팀히터(63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실에어밸브(64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발생시키는 실에어팬(6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상기 실에어공급부재(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구동부(7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부(700)는 블레이드(2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재(700)는 도 2,3에서와 같이 다수의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크랭크암(710)과,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는 링키지(720)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어 회전축(20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730)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어 회전축(200)을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핸들(740)과,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폐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50)와, 상기 블레이드(200)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스위치(7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700)의 실린더(730) 또는 핸들(740)을 이용하여 회전축(210)을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크랭크암(710)과 링키지(720)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200)는 연동하여 닫히게 되고, 상기 구동부(700)의 실린더(730) 또는 핸들(740)을 이용하여 회전축(210)을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크랭크암(710)과 링키지(720)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200)는 연동하여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700)의 인디케이터(750)를 통해 외부에서 블레이드(200)의 개폐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폐작동시 블레이드(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크랭크암(710)이 근접스위치(760)에 접촉되므로 구동부(70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의 상,하판부(110)(120)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실플레이트(300)에는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블레이드(200)의 전,후판부(220)(230)의 상,하부에는 실플레이트(300)의 경사면(310)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접촉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평패킹(400)이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연도가스의 차단시 블레이드(200)를 2중으로 한층 더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도가스의 차단시 연도가스의 누출을 2중으로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유해가스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00)의 양측 측판부(130)의 내측에는 접촉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패킹(500)이 각각 설치되고, 블레이드(200)의 전,후판부(220)(230)의 양측에는 수직패킹(500)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221)(231)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댐퍼의 실링구조의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프레임 110 : 상판부
120 : 하판부 130 : 측판부
140 : 통기공 200 : 블레이드
210 : 회전축 220 : 전판부
221 : 실플레이트 230 : 후판부
231 : 실플레이트 300 : 실플레이트
310 : 경사면 400 : 수평패킹
500 : 수직패킹 600 : 실에어공급부재
610 : 실에어셧 620 : 실에어덕트
630 : 스팀히터 640 : 실에어밸브
650 : 실에어팬 700 : 구동부재
710 : 크랭크암 720 : 링키지
730 : 실린더 740 : 핸들
750 : 인디케이터 760 : 근접스위치

Claims (5)

  1. 상,하판부(110)(120)와 양측 측판부(130)로 이루어져 통기공(140)을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통기공(140)을 개폐시키도록 양측 측판부(130)에 회전축(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00); 상기 상,하판부(110)(1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실플레이트(300); 상기 블레이드(200)의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실플레이트(300)와 서로 인접하는 부위에서 기밀하게 밀착되는 수평패킹(400); 상기 양측 측판부(13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수직패킹(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쇄시 블레이드(200)의 내부로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공급부재(6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70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0)는 전판부(220)와 후판부(230)를 구비하는 이중구조의 2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판부(220)와 후판부(230)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실플레이트(300)에는 전판부(220)와 후판부(230)의 단차에 대응하게 경사면(31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패킹(400)은 전판부(220)와 후판부(23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실플레이트(310)의 경사면(310)과 서로 인접하여 겹쳐지는 부위에서 서로 기밀하게 2중으로 밀착되며,
    상기 수직패킹(500)은 전판부(220)와 후판부(230)의 측면에 2중으로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판부(220)(2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수직패킹(500)에 각각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플레이트(221)(23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패킹(500)의 접촉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에어공급부재(6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에어셧(610)과, 상기 실에어셧(610)에 연결되어 실에어를 공급하는 실에어덕트(62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스팀으로 가열하는 스팀히터(63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실에어밸브(640)와, 상기 실에어덕트(620)에 설치되어 실에어를 발생시키는 실에어팬(6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700)는 다수의 블레이드(200)의 회전축(210)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크랭크암(710)과,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는 링키지(720)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어 회전축(20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730)와, 상기 다수의 크랭크암(710)들 중 어느 하나의 크랭크암(710)에 연결되어 회전축(200)을 수동으로 구동시키는 핸들(740)과,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폐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50)와, 상기 블레이드(200)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스위치(7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KR1020160048903A 2016-04-21 2016-04-21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KR10166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03A KR101664339B1 (ko) 2016-04-21 2016-04-21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03A KR101664339B1 (ko) 2016-04-21 2016-04-21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339B1 true KR101664339B1 (ko) 2016-10-11

Family

ID=5716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03A KR101664339B1 (ko) 2016-04-21 2016-04-21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43B1 (ko) * 2017-03-08 2018-05-10 주식회사 성지테크 증발 냉각기 일체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942711B1 (ko) * 2018-11-14 2019-01-28 (주)신한인더스트리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KR102000952B1 (ko) 2018-11-23 2019-08-09 유니슨이테크(주) 배연탈황장치의 댐퍼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조절용 연결구조체
KR102047515B1 (ko) * 2018-06-28 2019-11-21 (주)성신엔스텍 루버 장치
KR20200088596A (ko) * 2019-01-15 2020-07-23 에이치엘비파워(주) 씰링에어 단속 기능을 구비한 텐덤 댐퍼의 블레이드 액튜에이터 어셈블리
KR102283019B1 (ko) * 2020-11-27 2021-07-28 주식회사 무성 루프 실 댐퍼 장치
KR102602723B1 (ko) * 2023-02-16 2023-11-1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차음 방화 댐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334A (ja) * 1998-02-09 1999-08-17 Babcock Hitachi Kk ダンパ装置
KR20100034739A (ko) 2010-03-05 2010-04-01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고압, 고온 가스 차단용 에이치빔 형태의 텐덤 댐퍼 구조
KR20100036299A (ko) * 2010-03-18 2010-04-07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랙기어와 피니온기어 구조의 수직 개폐형 댐퍼
KR20110117370A (ko) * 2010-04-21 2011-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방지를 위한 실링 에어 댐퍼
KR20140052403A (ko) * 2012-10-24 2014-05-07 주식회사 진흥기공 유체 이송용 덕트에 결합 사용되는 댐퍼의 실 스트립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334A (ja) * 1998-02-09 1999-08-17 Babcock Hitachi Kk ダンパ装置
KR20100034739A (ko) 2010-03-05 2010-04-01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고압, 고온 가스 차단용 에이치빔 형태의 텐덤 댐퍼 구조
KR20100036299A (ko) * 2010-03-18 2010-04-07 주식회사 삼우파워시스템 랙기어와 피니온기어 구조의 수직 개폐형 댐퍼
KR20110117370A (ko) * 2010-04-21 2011-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역류방지를 위한 실링 에어 댐퍼
KR20140052403A (ko) * 2012-10-24 2014-05-07 주식회사 진흥기공 유체 이송용 덕트에 결합 사용되는 댐퍼의 실 스트립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743B1 (ko) * 2017-03-08 2018-05-10 주식회사 성지테크 증발 냉각기 일체형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047515B1 (ko) * 2018-06-28 2019-11-21 (주)성신엔스텍 루버 장치
KR101942711B1 (ko) * 2018-11-14 2019-01-28 (주)신한인더스트리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KR102000952B1 (ko) 2018-11-23 2019-08-09 유니슨이테크(주) 배연탈황장치의 댐퍼에 사용되는 블레이드 조절용 연결구조체
KR20200088596A (ko) * 2019-01-15 2020-07-23 에이치엘비파워(주) 씰링에어 단속 기능을 구비한 텐덤 댐퍼의 블레이드 액튜에이터 어셈블리
KR102199689B1 (ko) * 2019-01-15 2021-01-07 에이치엘비파워(주) 씰링에어 단속 기능을 구비한 텐덤 댐퍼의 블레이드 액튜에이터 어셈블리
KR102283019B1 (ko) * 2020-11-27 2021-07-28 주식회사 무성 루프 실 댐퍼 장치
KR102602723B1 (ko) * 2023-02-16 2023-11-16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차음 방화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339B1 (ko)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US4077432A (en) Purged valve
CA1304651C (en) Gas flow diverter
KR20110117370A (ko) 배기가스 역류방지를 위한 실링 에어 댐퍼
US7913815B2 (en) Automated seal oil by-pass system for hydrogen cooled generators
CN211117631U (zh) 一种烟气阀
KR102082663B1 (ko)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CN105889548A (zh) 一种用于火箭发动机的高温燃气调节阀
KR20140102531A (ko) 밸브 시스템
JP2020536373A (ja) デュアルポート遠隔プラズマクリーン分離バルブ
CN2573794Y (zh) 框架式空气密封单层叶片挡板门
CN104482240A (zh) 磁力传动器连接的核一级电动球阀
CN210290916U (zh) 一种气密封挡板门
CN105586457A (zh) 一种适用于高炉炉役后期局部炉皮冷却壁破损修复的方法
CN207569218U (zh) 一种密封排烟防火阀
CN108458355A (zh) 框架式空气密封单层叶片挡板门
CN205190778U (zh) 一种高防护型百叶阀
KR101352658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절단톱 구조
CN206222930U (zh) 用于焙烧机风箱的门体组件和具有其的焙烧机
CN212616353U (zh) 一种风阀
CN213512150U (zh) 一种高气密排烟防火阀
KR20200114785A (ko) 실링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실링댐퍼
KR102434250B1 (ko) 버터플라이형 스로틀밸브
CN220338827U (zh) 一种步入室独立风道的除霜装置及步入室
JP2003083007A (ja) タービンにおける温度調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