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711B1 -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711B1
KR101942711B1 KR1020180139681A KR20180139681A KR101942711B1 KR 101942711 B1 KR101942711 B1 KR 101942711B1 KR 1020180139681 A KR1020180139681 A KR 1020180139681A KR 20180139681 A KR20180139681 A KR 20180139681A KR 101942711 B1 KR101942711 B1 KR 10194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ade
sealing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신한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신한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8013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81Guillotine or blade-type valves, e.g. no passage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5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being operated by particula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부근 덕트에는 가스 및 고온 기류의 차단을 위해 길로틴 댐퍼(10)를 사용하며, 이때 댐퍼(1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00)의 승강 및 하강의 작동으로 가스 및 고온의 기류를 차단 및 개방을 동시에 수행과 밀폐력의 극대화함과 아울러 이러한 블레이드(100)의 작동시간을 신속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로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각형태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상호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1밀폐판재(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구조로 평면 단면이 “ㄷ”형의 가이드프레임(14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케이싱(200)은 상기 블레이드(10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제1공간부(201)를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수직형 제2밀폐판재(210)와 상기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축(221)이 연결되면서 블레이드(100)의 랙기어(150)에 치합되도록 회전축(221) 중앙에 피니언 기어(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제2밀폐판재(210) 각각을 커버하는 보강커버부재(23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상부통로부재(24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통로부재(25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300)은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311)과 상기 측면프레임(311) 하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310)와 상기 테두리부재(3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커버하여 내부에 블레이드(100)가 이동되는 제2공간부(301)를 확보하면서 사각의 둘레프레임(321) 내측에 격자프레임(322)이 결합되는 격자커버부재(320)가 일체로 구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Blade Sealing Device for Guillotine Damper}
본 발명은 길로틴 댐퍼(Guillotine Damper)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부근 덕트에는 가스 및 고온 기류의 차단을 위해 길로틴 댐퍼를 사용하며, 이때 댐퍼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승강 및 하강의 작동으로 가스 및 고온의 기류를 차단 및 개방을 동시에 수행과 밀폐력의 극대화함과 아울러 이러한 블레이드의 작동시간을 신속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복합화력발전은 천연가스나 경유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돌려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열을 다시 폐열회수보일러(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한 후에 2차로 증기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것이다.
복합화력발전은 두 차례에 걸쳐 발전을 하기 때문에 기존 화력보다 열효율이 10% 정도가 높고, 공해도 적으며, 정지했다가 다시 가동하는 시간도 짧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복합화력발전은 현재 연료를 태워 얻은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제너레이터(Turbine-Generator)를 돌려 전기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터빈을 지나친 증기를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함에 따라 아파트 등의 지역난방에 활용되기도 한다.
보통 복합화력발전은 크게 연료를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회수하여 고온고압의 스팀을 발생하는 폐열회수보일러와, 폐열회수보일러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스팀터빈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복합화력발전에 있어서, 덕트가 폐열회수보일러와 스팀터빈을 연결하며, 이때의 덕트에는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스팀터빈과 폐열회수보일러 사이를 흐르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인 고온가스 및 고압의 기류 차단용 길로틴댐퍼(Guillotine Damper- 이하 댐퍼로 표기함)구조를 사용하는 데, 댐퍼의 구동을 시키는 모터에서 연장된 회전축으로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회전운동 동력을 전달하며 블레이드 양단에 고정된 랙기어를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방식으로 정확한 동력 전달과 바란스를 유지시키며 토크 및 유격 편차가 없이 댐퍼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의 발명으로 소형 및 대형댐퍼까지 적용할 수 있고 가스 및 분진 고온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의 랙 및 피니언기어 길로틴댐퍼가 적용되며, 이때 종래 댐퍼의 약점인 가스 및 분진으로 인한 작동불량 및 유지보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으로, 외부에 부착된 모터와 모터기어박스 구동부위와, 내부 부착되어 구동되는 랙과 피니언기어는 각 부위별 유지보수가 쉽도록 하고 내부 구동부도 점검구를 개방하여 손쉽게 점검 유지 보수토록 하여 유지보수 등 비용을 절감하고, 가동율 저하를 획기적으로 방지하는 가스, 분진 및 고온용 댐퍼이다.
그러나, 이러한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작동에 있어 구조적인 결합관계의 복잡화로 인해 랙과 피니언 기어를 통한 블레이드의 이송에서 주위에 가스 및 분진 등으로 인한 고착화 현상 발생 및 열팽창으로 인한 블레이드의 열림(Open)과 닫힘(Close)시 동작의 오류로 인한 개폐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7624호(발명의 명칭 : 복합 화력 발전 배기가스 처리용 길로틴 댐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4339호(발명의 명칭 :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랙과 피니언 기어를 통한 블레이드의 작동을 단조로운 결합관계의 조합과 이를 통한 블레이드의 이동에 자체진동 또는 외부진동의 저감을 위한 견고한 밀착구조를 부가하여 우수한 작동성과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전소의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가스터빈과 폐열회수보일러 사이의 배기가스 통로에 위치한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배기가스 통로를 차단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부케이싱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부재가 장착되면서 블레이드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구동케이싱 및 상기 구동케이싱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동된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을 포함하는 길로틴 댐퍼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각형태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상호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1밀폐판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구조로 평면 단면이 “ㄷ”형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케이싱은 상기 블레이드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제1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수직형 제2밀폐판재와 상기 전/후면 제2밀폐판재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연결되면서 블레이드의 랙기어에 치합되도록 회전축 중앙에 피니언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제2밀폐판재 각각을 커버하는 보강커버부재와 상기 보강커버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상부통로부재와 상기 보강커버부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통로부재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은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하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커버하여 내부에 블레이드가 이동되는 제2공간부를 확보하면서 사각의 둘레프레임 내측에 격자프레임이 결합되는 격자커버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격자커버부재 각각의 둘레프레임 전체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둘레프레임에 결합되어 제2공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와, 상기 곡면돌출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과, 상기 곡면돌출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와,
상기 실링플레이트의 수평편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과 제2수직편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와,
상기 실링플레이트의 수평편 상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평밀착판과 상기 제2수평밀착판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수직편 외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직밀착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2밀착부가 더 포함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밀착부의 제2수평밀착판이 제1밀착부의 제1수평밀착판의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제2수평밀착판의 타단이 실링플레이트의 곡면돌출부 타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싱의 테두리부재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되어 이격된 한 쌍의 스톱탭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하면이 개방되는 단면이 “ㄷ”형태를 가지는 결속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하부케이싱으로 이동 후 스톱탭에 결속프레임 내측면이 긴밀히 밀착 결속되는 형태를 가지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통로부재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가이드홀 내경이 상부통로부재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홀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되, 상기 제2가이드홀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상측 및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판재가 더 포함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통로부재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 내측면 하부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와, 상기 곡면돌출부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과, 상기 곡면돌출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과 상기 수평편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와,
상기 실링플레이트의 수평편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과 제2수직편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가 더 포함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길로틴 댐퍼는 댐퍼의 개폐를 위한 블레이드의 작동시 블레이드 양측면 각각에 직접 결합된 랙기어가 구동케이싱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피니어 기어의 회전을 받아 상하 이동하면서 배기가스 통로를 차단 또는 개방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정확히 끼워지지 않거나 잘 빠지지 않는 등의 문제없이 블레이드의 개폐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우수한 작동성능 뿐만 아니라 완전한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상하 동작시 실링플레이트에 긴밀히 밀착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밀폐성뿐만 아니라 이동에 가이드역할을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의 상부케이싱 측면단면도(a), 하부케이싱의 측면단면도(b) 및 하부케이싱 내부에 블레이드가 설치된 측면단면도(c).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의 구동케이싱 측면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구동케이싱과 블레이드가 이송된 하부케이싱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구동케이싱-블레이드-하부케이싱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블레이드 결합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블레이드의 가이드프레임에 랙기어가 설치된 설치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블레이드의 랙기어와 회전부재의 구동되는 설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구동케이싱의 결합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가 적용된 길로틴 댐퍼에서 하부케이싱의 결합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하부케이싱의 둘레프레임에 설치된 실링플레이트-제1, 2밀착부의 결합단면도(a), 실링플레이트 단면도(b), 제1밀착부 단면도(c) 및 제2밀착부 단면도(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실링플레이트-제1, 2밀착부가 설치된 하부케이싱 하부 측면 단면도(a)와 블레이드가 이동된 상태의 하부케이싱 하부 측면 단면도(b).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실링플레이트-제1밀착부가 설치된 구동케이싱 하부 측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제2밀폐판재 내측에 실링플레이트-제1밀착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보강판에 실링탄성체와 지지보강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보강판에 실링탄성체와 지지보강체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보강판에 실링탄성체와 지지보강체가 결합되는 분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에서 보강판에 실링탄성체의 사시도(a)와 지지보강체의 사시도(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전소의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가스터빈과 폐열회수보일러 사이의 배기가스 통로에 위치한 하부케이싱(300)과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배기가스 통로를 차단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부케이싱(300) 상부에 위치하여 구동부재(600)가 장착되면서 블레이드(100)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구동케이싱(200) 및 상기 구동케이싱(200)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동된 블레이드(100)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400)을 포함하는 길로틴 댐퍼(1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각형태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상호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1밀폐판재(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구조로 평면 단면이 “ㄷ”형의 가이드프레임(14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케이싱(200)은 상기 블레이드(10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제1공간부(201)를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수직형 제2밀폐판재(210)와 상기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축(221)이 연결되면서 블레이드(100)의 랙기어(150)에 치합되도록 회전축(221) 중앙에 피니언 기어(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제2밀폐판재(210) 각각을 커버하는 보강커버부재(23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상부통로부재(24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통로부재(25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300)은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311)과 상기 측면프레임(311) 하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310)와 상기 테두리부재(3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커버하여 내부에 블레이드(100)가 이동되는 제2공간부(301)를 확보하면서 사각의 둘레프레임(321) 내측에 격자프레임(322)이 결합되는 격자커버부재(320)가 일체로 구성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길로틴 댐퍼(1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형 사면체구조를 가지는 1개의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하이동과정에서 상부이동시 블레이드(100)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400) 그리고 하부이동시 블레이드(100)를 수용하는 하부케이싱(300) 및 상부케이싱(400)과 하부케이싱(300) 사이에 배치되어 블레이드(100)의 상하이동을 작동시키면서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시 통과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동케이싱(20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먼저,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각형태의 테두리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상호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1밀폐판재(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구조로 평면 단면이 “ㄷ”형의 가이드프레임(14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0)가 설치되는 일체의 구조로 구성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각각의 프레임 측면 즉, 외면에 일측면이 부착 고정되어 타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개방된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0)가 구비되어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개방된 타측면 내면에 랙기어(150)가 노출된 형태를 가져, 후술되는 구동케이싱(200)에 마련된 회전부재(220)의 피니언 기어(222)에 치합되어 피니언 기어(222)의 회전으로 블레이드(100)가 수직의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기어(150)의 하단은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에서 상향의 소정의 길이에 위치한 내면 일면에 위치하며, 이는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 후 피니언 기어(222)가 랙기어(150) 하단 하부에 위치하여 피니언 기어(222)의 회전으로 랙기어(150)와 치합되지 않는 헛돌림현상으로 블레이드(100)가 더 이상 이동을 하지 않는 멈춤형태를 가지면서 피니언 기어(222)가 가이드프레임(140)의 내측에 위치하여 블레이드(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됨과 동시에 블레이드(100)의 하강시 신속히 피니언 기어(222)가 랙기어(150)와 치합되어 빠른 하강을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 전체를 밀폐시 가이드프레임(140)의 내면 상단에 위치한 랙기어(150)가 피니언 기어(222)에 항상 치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밀폐판재(130)는 가로프레임(120)이 마련된 지지프레임(110)의 후면만을 밀폐하거나 전면과 후면 각각 또는 전면에만 밀폐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내측면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가로프레임(120)이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120) 유닛이 지지프레임(110)의 내측 가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닛으로 배열되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제1밀폐판재(130)가 마련되면서 상기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120) 유닛에서 지지프레임(110) 전측에 배열된 가로프레임(120)과 후측에 배열된 가로프레임(120) 사이에 제1밀폐판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케이싱(200)은, 상기 블레이드(10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제1공간부(201)를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수직형 제2밀폐판재(210)와 상기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축(221)이 연결되면서 블레이드(100)의 랙기어(150)에 치합되도록 회전축(221) 중앙에 피니언 기어(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제2밀폐판재(210) 각각을 커버하는 보강커버부재(23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 상부에 위치하여 내측에 마련된 제1가이드홀(241)이 전/후면 제2밀폐판재(230)의 내부 공간인 제2공간부(201)를 연통하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상부통로부재(24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내측에 마련된 제2가이드홀(251)이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인 제2공간부(201)를 연통하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하부통로부재(25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300) 내측 또는 상부케이싱(400) 내측에 수용된 블레이드(100)가 상하이동시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 또는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시 블레이드(100)를 수용 또는 이동하도록 구동케이싱(200) 내측 즉,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 내측에 제1공간부(201)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20)는 수평의 회전축(221)과 상기 회전축(221) 중앙에 피니언 기어(222)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21) 양단은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양측 회전부재(220)에 각각 구비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221) 일단에 피동 연결되는 구동모터(610) 그리고 수동구동부(620)가 마련되며, 상기 양측 회전부재(220) 각각에 연결되는 구동모터(610) 또는 수동구동부(6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으로 양측 회전부재(220)가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양측 회전부재(220)를 상호 연결하는 구동연결축(630)이 형성되는 구동부재(6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가이드홀(251) 내경이 상부통로부재(240)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홀(241)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되, 상기 제2가이드홀(251)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상측 및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판재(252)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판재(252)는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완전히 승강 후 블레이드(100)의 하부가 제2가이드홀(251)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판재(252)에 면접되며, 반대로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으로 완전히 하강 후 블레이드(100)의 상부가 제2가이드홀(251)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판재(252)에 면접되어 블레이드(100)의 승강 또는 하강시 수직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신속히 이동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300)은,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311)과 상기 측면프레임(311) 하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310)와 상기 테두리부재(3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커버하여 내부에 블레이드(100)가 이동되는 제2공간부(301)를 확보하면서 사각의 둘레프레임(321) 내측에 격자프레임(322)이 결합되는 격자커버부재(3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싱(300)은 상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테두리를 구성하며 소정의 폭을 세로길이면이 마주하면서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311)과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311)의 하단을 연결하여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측면프레임(311)의 세로길이면과 동일 폭을 가지는 가로길이면을 가지는 하부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테두리부재(310)와 블레이드(100)를 수용 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공간부(301)를 형성도록 전면 후면을 커버하는 격자커버부재(320)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강 시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로 블레이드(100)가 이동되면서 블레이드(100)의 지지프레임(110)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이 테두리부재(310)의 하부프레임(312) 상부에 밀착되어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 제2공간부(301)에 수용되어 배기가스의 통로를 밀폐하게 되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 제2공간부(301)로 이동시 배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블레이드(100)의 지지프레임(110) 전면 또는 후면을 긴밀히 밀착되면서 블레이드(100)의 이동시 간섭없이 이동될 수 있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이 실링플레이트(500)의 밀착수단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격자커버부재(320) 각각의 둘레프레임(321) 전체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둘레프레임(321)에 결합되어 제2공간부(301)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301)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와,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520)과,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520)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530)과 상기 수평편(530)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520)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531)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541)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54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520)과 제2수직편(531)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54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54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상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평밀착판(551)과 상기 제2수평밀착판(55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수직편(531) 외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직밀착판(55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2밀착부(550)가 더 포함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도 11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링플레이트(500)는 박판의 재질로 곡면 및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면서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며, 블레이드(100)의 지지프레임(110) 전면 및 후면에 면접되면서 내부에 빈공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 상기 곡면돌출부(510) 일단에 연결되는 제1수직편(520) 그리고 상기 곡면돌출부(510)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수평편(530) 및 제2수직편(531)의 일체 연결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로 향하면서 노출되는 테두리부재(310) 내측 전/후면 각각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사각의 둘레프레임(321)에 있어 상기 각각의 둘레프레임(321)의 마주하는 둘레면 전체에 실링플레이트(500)가 결합되며, 이때 각각의 둘레프레임(321)에 결합된 실링플레이트(500)의 곡면돌출부(510)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부(301)로 블레이드(100)가 인입시 블레이드(100)의 전/후면 각각을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곡면돌출부(510)가 면접 및 밀착되게 된다.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제1, 2수직편(520)(531)이 곡면돌출부(510)의 일측으로 편심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복원력에 대한 힘이 곡면돌출부(51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직결되는 제1수직편(520)으로 편향되는 힘이 가중되어 복원력이 향상되어 블레이드(100)의 반복적인 이동에 따른 실링플레이트(500) 자체의 피로도 감소함과 아울러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제1수직편(520)이 둘레프레임(321)의 외측면에 직접 면접되어 편향된 복원력의 힘이 제1수직편(520)으로 집중되어 빠른 복원 및 밀착력을 증대하게 된다.
이때, 도 11의 (a)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부(540)가 실링플레이트(500)의 내측에 마련되면서 상술한 구성에서 제1수평밀착판(541)이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을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서 곡면돌출부(510)의 변형력을 방지함과 아울러 복원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의 (a)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밀착부(550)는 제1밀착부(540)와 동일 역할을 하게 되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을 밀착 지지하여 곡면돌출부(510)의 빠른 복원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상기 둘레프레임(321)에 마련되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제1, 2밀착부(540)(550)의 결합 일체를 볼트, 너트 및 와셔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둘레프레임(321)에 결합시켜 고정하게 되며, 이때 체결수단을 이용시 와셔는 고온용 실링재질이거나 별도의 고온용 실링수단을 체결수단에 더 포함시켜 실링플레이트(500)와 제1, 2밀착부(540)(550) 일체를 둘레프레임(321)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밀착부(550)의 제2수평밀착판(551)이 제1밀착부(540)의 제1수평밀착판(541)의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제2수평밀착판(551)의 타단이 실링플레이트(500)의 곡면돌출부(510) 타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기 수평편(530)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의 타단에서 절곡되는 위치에 제2수평밀착판(551) 자유단이 위치하여 곡면돌출부(510)의 반복적인 복원력에 의한 절곡부위에 대한 피로도를 저감하도록 블레이드(100)의 지지프레임(110)이 곡면돌출부(510)를 압박시 압박되는 힘을 지지하면서 분산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12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로 이동되어 제2공간부(301) 전체를 밀폐시 하부케이싱(300)에 블레이드(100)가 견고한 지지력 및 외압에 의한 이탈 등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테두리부재(3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12)의 상면에 돌출되어 이격된 한 쌍의 스톱탭(3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하면이 개방되는 단면이 “┌┐”형태를 가지는 결속프레임(160)이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으로 이동 후 스톱탭(313)에 결속프레임(160) 내측면이 긴밀히 밀착 결속되는 형태를 가지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톱탭(313)은 하부케이싱(300)의 테두리부재(3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12) 상면에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되며, 상향 돌출된 사면체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스톱탭(313)의 상부를 형성하는 밀착판(313-1)이 형성되면서 밀착판(313-1) 둘레의 외주단이 수평으로 더 연장 또는 확장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톱탭(313) 상부에 마련된 밀착판(313-1)이 확장된 형태를 가짐으로서 상기 블레이드(100)의 하부에 마련된 결속프레임(160) 내측에 스톱탭(313)이 결속된 상태에서 스톱탭(313)의 밀착판(313-1)과 면접되는 결속프레임(160)의 내부 상면과의 밀착력 증대. 지지력증대 및 블레이드(100) 자체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프레임(160)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 하면 및 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블레이드(100)와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테두리부재(3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12)의 폭에 비해 작은 폭을 가진다.
또한,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 전체를 밀폐시 그리고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 중에 블레이드(100)의 상부 전면 및 후면을 밀착하여 배기가스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201)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와,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520)과,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520)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530)과 상기 수평편(530)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520)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531)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541)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54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520)과 제2수직편(531)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54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540)가 더 포함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통로부재(250)는 구동케이싱(200)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부케이싱(300)의 상단과 결합되면서 전/후면의 제2밀폐판재(210)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하기 위해 내부에 통로인 제2가이드홀(2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링플레이트(500)는 전/후면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제2공간부(201)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져 상기 블레이드(100)의 전/후면을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 전체를 밀폐시 블레이드(100)의 상단부는 구동케이싱(200)의 제1공간부(201)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공간부(201)에 마련된 실링플레이트(500)에 밀착된 형태로 위치하며,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 상부는 제1공간부(201)의 실링플레이트(500)와 상술한 하부케이싱(300)의 상부에 위치한 실링플레이트(500)에 밀착되어 블레이드(100)의 상부가 이중의 밀착 및 실링구조를 가져 배기가스 자체 압력에 의해 블레이드(100) 상부로 누출될 우려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에 실링플레이트(500)와 제1밀착부(54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일면에서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보강판(211)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때 상기 보강판(211)의 상부에 실링플레이트(500)의 제1, 2수직편(520)(531) 및 제1밀착부(540)의 제1수직밀착판(542)이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통해 보강판(211)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공간부(301)에 배치되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제1밀착부(540)는 상술한 하부케이싱(300)에 배치되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제1밀착부(540)와 동일한 형태, 구조 및 결합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 전체를 밀폐시 그리고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 중에 블레이드(100)의 상부 전면 및 후면을 밀착하여 배기가스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다음과 같은 또다른 구조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보강판(211)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211)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에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강판(211)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1지지부(720)와 상기 제1지지부(72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2지지부(730)와 상기 제2지지부(73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볼록형을 가지면서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구형의 제1탄성부(740) 및 상기 제1탄성부(7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탄성부(740)의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탭(7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실링탄성체(700)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보강판(211)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실링탄성체(700)의 밀착탭(750)이 상호 면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11)의 상면과 실링탄성체(700)의 제1체결부(710) 사이 그리고 상기 보강판(211)의 하면과 실링탄성체(700)의 제1체결부(710) 사이에 각각 제2체결부(811)가 형성되어 내부에 체결홈(812)이 형성되어 보강판(211)을 삽입하도록 일측면은 개방되면서 타측면은 밀폐되어 밀착탭(750)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체결케이스(810)와 상기 체결케이스(810)의 밀폐된 타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서로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제1탄성부(740)와 좌우대칭형태의 반구형으로 타단이 실링탄성체(700)의 제2지지부(730)의 타단 내측에 면접되는 제2탄성부(8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지지보강판(800)이 더 포함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통로부재(250)는 구동케이싱(200)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부케이싱(300)의 상단과 결합되면서 전/후면의 제2밀폐판재(210) 하단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100)가 상부케이싱(400)으로 이동하기 위해 내부에 통로인 제2가이드홀(251)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실링플레이트(500)는 전/후면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제2공간부(201)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져 상기 블레이드(100)의 전/후면을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의 제2공간부(301) 전체를 밀폐시 블레이드(100)의 상단부는 구동케이싱(200)의 제1공간부(201)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공간부(201)에 마련된 실링플레이트(500)에 밀착된 형태로 위치하며,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 상부는 제1공간부(201)의 실링플레이트(500)와 상술한 하부케이싱(300)의 상부에 위치한 실링플레이트(500)에 밀착되어 블레이드(100)의 상부가 이중의 밀착 및 실링구조를 가져 배기가스 자체 압력에 의해 블레이드(100) 상부로 누출될 우려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또다른 밀폐구조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보강판(211)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에 배치되며, 즉 제1공간부(201)에 형성된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한 제2밀폐판재(210) 각각의 내측면에 형성된 보강판(211)에 의해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 중 또는 하강 후 블레이드(100)의 전면 및 후면을 밀착시켜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판(211)에 실링탄성체(700)와 지지보강체(800)가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링탄성체(700)는 보강판(211)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에 서로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며, 이때 실링탄성체(700)는 보강판(211)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1지지부(720)와 상기 제1지지부(72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2지지부(730)와 상기 제2지지부(73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볼록형을 가지면서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구형의 제1탄성부(740) 및 상기 제1탄성부(7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탄성부(740)의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탭(7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탄성부(740)는 외측으로 볼록형태인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제1공간부(201)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탭(750)의 일단이 제1탄성부(740)의 타단에서 수평 연결되어 제1탄성부(740)의 내측에 타단이 위치하면서 이때 상기 밀착탭(750)의 타단은 제2지지부(730)의 타단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제2지지부(730)의 타단에 위치하는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게다가, 서로 상하대칭구조로 형성되는 상측의 실링탄성체(700)와 하측의 실링탄성체(700)가 배치되면서 각각의 실링탄성체(700)의 밀착탭(750)이 서로 밀착 면접되어 제1탄성부(740)로 전달되는 가압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각각의 제1탄성부(740)의 복원성을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로도를 감소시켜 사용 연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6, 도 17 및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보강체(800)는 보강판(211)을 기준으로 서로 상하대칭구조로 형성되는 상측의 실링탄성체(700)와 하측의 실링탄성체(700) 사이에 보강판(211)에 의해 결합되어 배치되어 실링탄성체(700)의 복원성을 보강하면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보강체(800)는 체결케이스(810)와 상기 체결케이스(810)의 타측면에서 각각 연결되어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탄성부(820)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체결케이스(810)는 내부에 체결홈(812)을 형성하면서 상면 및 하면에 수평판재형의 제2체결부(811)가 형성되어 일측면은 개방되면서 타측면은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체결케이스(8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보강판(211)이 삽입되어 체결홈(812)에 보강판(211)이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체결케이스(810)의 타측면은 밀폐되어 보강판(211)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며, 이때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상호 실링탄성체(700)의 밀착탭(750) 단부 즉, 밀착탭(750)의 타단에 체결케이스(810)의 타측면이 마주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링탄성체(700)의 가압으로 밀착탭(750)이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밀착탭(750)의 타단이 체결케이스(810)의 타측면 즉, 상측 제2탄성부(820)와 하측 제2탄성부(820) 사이에 위치한 체결케이스(810)의 타측면에 밀착되어 더 이상의 밀착탭(750) 이동을 제한하여 실링탄성체(700)의 제1탄성부(740)가 블레이드(100)의 전면 및 하면을 긴밀히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강체(800)의 제2탄성부(820)는 체결케이스(810)의 밀폐된 타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서로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제1탄성부(740)와 좌우대칭형태의 반구형으로 타단이 실링탄성체(700)의 제2지지부(730)의 타단 내측에 면접되도록 배치되며, 이때 실링탄성체(700)의 제1탄성부(740)의 가압으로 변형되는 제1탄성부(740)의 복원 및 지지력을 제2탄성부(820)가 보강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상측의 실링탄성체와 하측의 실링탄성체 결합되어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링탄성체(700)의 제1체결부(710)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541)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54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지지부(720)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54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540)가 더 포함되어 실링탄성체(70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미도시되었지만, 전술한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 제2공간부(301)로 이동시 배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블레이드(100)의 지지프레임(110) 전면 또는 후면을 긴밀히 밀착되면서 블레이드(100)의 이동시 간섭없이 이동될 수 있는 격자커버부재(320) 각각의 둘레프레임(321) 전체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둘레프레임(321)에 결합되어 제2공간부(301)에 형성되는 실링플레이트(500)를 대체하여 상술한 실링탄성체(700)와 지지보강체(800)의 결합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밀착부(540)와 제2밀착부(550)가 그대로 사용되어 실링탄성체(700) 제1체결부(710)와 제1지지부(720) 일체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제1밀착부(540) 및 제2밀착부(550)가 면접되면서 지지보강체(800)의 제2체결부(811)가 제1밀착부(540)의 제1수직밀착판(542)과 둘레프레임(321)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길로틴 댐퍼 10 블레이드 100 지지프레임 110
가로프레임 120 제1밀폐판재 130 가이드프레임 140
랙기어 150 결속프레임 160 구동케이싱 200
제1공간부 201 제2밀폐판재 210 회전부재 220
회전축 221 피니언기어 222 보강커버부재 230
상부통로부재 240 제1가이드홀 241 하부통로부재 250
제2가이드홀 251 가이드판재 252 하부케이싱 300
제2공간부 301 테두리부재 310 측면프레임 311
하부프레임 312 스톱탭 313 밀착판 313-1
격자커버부재 320 둘레프레임 321 격자프레임 322
상부케이싱 400 실링플레이트 500 곡면돌출부 510
제1수직편 520 수평편 530 제2수직편 531
제1밀착부 540 제1수평밀착판 541 제1수직밀착판 542
제2밀착부 550 제2수평밀착판 551 제2수직밀착판 552
구동부재 600 구동모터 610 수동구동부 620
구동연결축 630 실링탄성체 700 제1체결부 710
제1지지부 720 제2지지부 730 제1탄성부 740
밀착탭 750 지지보강체 800 체결케이스 810
제2체결부 811 체결홈 812 제2탄성부 820

Claims (8)

  1. 발전소의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가스터빈과 폐열회수보일러 사이의 배기가스 통로에 위치한 하부케이싱(300)과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배기가스 통로를 차단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부케이싱(300) 상부에 위치하여 구동부재(600)가 장착되면서 블레이드(100)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구동케이싱(200) 및 상기 구동케이싱(200)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동된 블레이드(100)를 수용하는 상부케이싱(400)을 포함하는 길로틴 댐퍼(1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사각형태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상호 수평으로 가로질러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가로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후면을 밀폐하는 제1밀폐판재(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대칭구조로 평면 단면이 “ㄷ”형의 가이드프레임(14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5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케이싱(200)은 상기 블레이드(10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제1공간부(201)를 형성하면서 전면 및 후면에 수직형 제2밀폐판재(210)와 상기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회전축(221)이 연결되면서 블레이드(100)의 랙기어(150)에 치합되도록 회전축(221) 중앙에 피니언 기어(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제2밀폐판재(210) 각각을 커버하는 보강커버부재(23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 상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상부통로부재(240)와 상기 보강커버부재(2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후면 제2밀폐판재(21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통로부재(25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300)은 이격된 한 쌍의 수직형 측면프레임(311)과 상기 측면프레임(311) 하단을 상호 가로질러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12)으로 구성되는 테두리부재(310)와 상기 테두리부재(3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을 커버하여 내부에 블레이드(100)가 이동되는 제2공간부(301)를 확보하면서 사각의 둘레프레임(321) 내측에 격자프레임(322)이 결합되는 격자커버부재(320)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300)의 테두리부재(31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312)의 상면에 돌출되어 이격된 한 쌍의 스톱탭(3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하부에 결합되어 하면이 개방되는 단면이 “┌┐”형태를 가지는 결속프레임(160)이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100)가 하부케이싱(300)으로 이동 후 스톱탭(313)에 결속프레임(160) 내측면이 긴밀히 밀착 결속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커버부재(320) 각각의 둘레프레임(321) 전체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둘레프레임(321)에 결합되어 제2공간부(301)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301)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와,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520)과,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520)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530)과 상기 수평편(530)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520)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531)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541)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54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520)과 제2수직편(531)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54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54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상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평밀착판(551)과 상기 제2수평밀착판(55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2수직편(531) 외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2수직밀착판(55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2밀착부(550)가 더 포함되며, 이때 상기 제2밀착부(550)의 제2수평밀착판(551)이 제1밀착부(540)의 제1수평밀착판(541)의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어 제2수평밀착판(551)의 타단이 실링플레이트(500)의 곡면돌출부(510) 타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탭(313)의 상부를 형성하는 밀착판(313-1)이 형성되면서 밀착판(313-1) 둘레의 외주단이 수평으로 더 연장 또는 확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2가이드홀(251) 내경이 상부통로부재(240)의 내측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홀(241) 내경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되, 상기 제2가이드홀(251)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상측 및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판재(25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201)로 돌출 형성하면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곡면돌출부(510)와,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수직편(520)과, 상기 곡면돌출부(510)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제1수직편(520)의 위치로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편(530)과 상기 수평편(530)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끝단이 제1수직편(520)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편(531)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실링플레이트(500)와,
    상기 실링플레이트(500)의 수평편(530) 하면 전체를 밀착하는 제1수평밀착판(541)과 상기 제1수평밀착판(541)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편(520)과 제2수직편(531) 사이에 위치하여 밀착되는 제1수직밀착판(542)이 일체로 구비되는 제1밀착부(5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로부재(250)의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제2밀폐판재(210) 내측면 하부 일면에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보강판(211)에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공간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211)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에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강판(211)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1지지부(720)와 상기 제1지지부(72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의 길이로 절곡 연장되는 제2지지부(730)와 상기 제2지지부(73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측으로 볼록형을 가지면서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구형의 제1탄성부(740) 및 상기 제1탄성부(7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탄성부(740)의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의 길이로 연장되는 밀착탭(7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실링탄성체(700)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보강판(211)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된 실링탄성체(700)의 밀착탭(750)이 상호 면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211)의 상면과 실링탄성체(700)의 제1체결부(710) 사이 그리고 상기 보강판(211)의 하면과 실링탄성체(700)의 제1체결부(710) 사이에 각각 제2체결부(811)가 형성되어 내부에 체결홈(812)이 형성되어 보강판(211)을 삽입하도록 일측면은 개방되면서 타측면은 밀폐되어 밀착탭(750)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체결케이스(810)와 상기 체결케이스(810)의 밀폐된 타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서로 상하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제1탄성부(740)와 좌우대칭형태의 반구형으로 타단이 실링탄성체(700)의 제2지지부(730)의 타단 내측에 면접되는 제2탄성부(820)로 구성되는 일체의 지지보강판(8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KR1020180139681A 2018-11-14 2018-11-14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KR10194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81A KR101942711B1 (ko) 2018-11-14 2018-11-14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81A KR101942711B1 (ko) 2018-11-14 2018-11-14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711B1 true KR101942711B1 (ko) 2019-01-28

Family

ID=6526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681A KR101942711B1 (ko) 2018-11-14 2018-11-14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19B1 (ko) * 2020-11-27 2021-07-28 주식회사 무성 루프 실 댐퍼 장치
KR102585018B1 (ko) * 2023-01-04 2023-10-06 이상길 이중모션 구조의 길로틴 댐퍼장치
CN117878794A (zh) * 2024-03-13 2024-04-12 黑龙江瑞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线束规整的室外采集分机外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24B1 (ko) * 2009-03-12 2009-09-17 (주)남광엔지니어링 복합 화력 발전 배기가스 처리용 길로틴 댐퍼
KR101664339B1 (ko) * 2016-04-21 2016-10-11 주식회사 엠티에스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624B1 (ko) * 2009-03-12 2009-09-17 (주)남광엔지니어링 복합 화력 발전 배기가스 처리용 길로틴 댐퍼
KR101664339B1 (ko) * 2016-04-21 2016-10-11 주식회사 엠티에스 텐덤루버 댐퍼의 이중 실링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019B1 (ko) * 2020-11-27 2021-07-28 주식회사 무성 루프 실 댐퍼 장치
KR102585018B1 (ko) * 2023-01-04 2023-10-06 이상길 이중모션 구조의 길로틴 댐퍼장치
CN117878794A (zh) * 2024-03-13 2024-04-12 黑龙江瑞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线束规整的室外采集分机外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711B1 (ko) 길로틴 댐퍼의 블레이드 밀폐장치
CN201852122U (zh) 双叶片百叶窗式烟道挡板门
CN201496981U (zh) 立式多驱动串联叶片百叶窗式脱硫挡板门
KR100917624B1 (ko) 복합 화력 발전 배기가스 처리용 길로틴 댐퍼
CN205534628U (zh) 燃机余热锅炉穿墙管高温膨胀节
CN204854044U (zh) 一种太阳能平板集热器的过热保护装置
CN214886521U (zh) 一种多功能光伏窗
CN217762089U (zh) 一种生物安全型气密隔绝阀
CN211230880U (zh) 一种新型船用脱硫塔离心风机
CN210014556U (zh) 一种集成灶的加热装置
CN114389158A (zh) 一种电力节能用监控装置
CN208107161U (zh) 一种风力发电机主轴用剖分式油封
CN209819567U (zh) 用于烟道或反应器上的开孔装置
CN213150950U (zh) 电池包排水呼吸密封阀
CN207500179U (zh) 一种新型机壳轴封结构
CN206222930U (zh) 用于焙烧机风箱的门体组件和具有其的焙烧机
CN213237575U (zh) 搭接式密封调节风门
CN111088152A (zh) 一种基于腐烂食物的发酵与甲烷收集装置
CN212616374U (zh) 新型高温除尘器阀门密封装置
CN218721596U (zh) 一种新型烟风道关断门结构
CN211501652U (zh) 用于rto炉提升阀零泄漏的迷宫式密封装置
CN214223163U (zh) 一种烟道闸板阀
CN220687669U (zh) 一种带双蜗舌可换向的风轮组件及吸油烟机
CN213810714U (zh) 一种用于火力发电的燃烧装置
CN214148184U (zh) 一种转轮除湿机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