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63B1 -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 Google Patents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663B1
KR102082663B1 KR1020190155269A KR20190155269A KR102082663B1 KR 102082663 B1 KR102082663 B1 KR 102082663B1 KR 1020190155269 A KR1020190155269 A KR 1020190155269A KR 20190155269 A KR20190155269 A KR 20190155269A KR 102082663 B1 KR102082663 B1 KR 10208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uct
plate
damper
sea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성
편도영
김태진
박종규
손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파워텍
Priority to KR102019015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81Guillotine or blade-type valves, e.g. no passage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27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일측 덕트와 타측 덕트 사이에 결합되고, 덕트 내부로 이동하는 가스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댐퍼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00)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샤프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실링 에어의 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한 탄성 재질의 실링 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댐퍼의 몸체(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덕트와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120)와,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개수의 각면을 가지며 상기 각면 내측에 중공부(V)를 가지는 돌출부(130)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통공을 가지며 실링 에어가 주입되는 실링 에어 주입부(140)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210)와, 상기 한 쌍의 각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2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의 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면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 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주입된 실링 에어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실링 플레이트 사이로 유출되고, 상기 실링 에어는 덕트 내부의 가스 압력 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된다.

Description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DAMPER HAVING A SEALING PLATE}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와 블레이드의 결합영역에 형성되는 틈(gap)을 최소화하고, 몸체와 블레이드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에 관한 것이다.
댐퍼는 공기의 조절, 유해 가스의 차단 등을 목적으로, 공기 조화용, 가스터빈, 보일러 등 다양한 기계기구의 덕트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는 몸체 프레임 내면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샤프트에 의해 회동하며, 유체의 통로를 개방하거나 밀폐하거나 혹은 열림 각도에 따라 통과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의 블레이드는 주로 고온의 기체와 접촉하는데, 기체의 온도에 따라 열팽창을 고려하여야 하며, 또한 가스의 종류에 따라 재질이 결정된다.
종래 샤프트와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방식은 블레이드에 허브를 용접하고, 허브에 샤프트를 상호 결합한다. 그런데 블레이드와 허브, 허브와 샤프트의 재질이 달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거나, 블레이드와 샤프트 사이에 요구되는 진직도가 형성되지 않아서 블레이드가 회동할 때 몸체 프레임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간섭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0553호, 가스 배관용 댐퍼 유닛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663호, 스윙 버터플라이 댐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7337호, 댐퍼용 실링 구조 등록특허공보 제10-1268909호, 반도체 설비용 댐퍼 일본국 특개평07-310855호, 밸브장치(VALVE DEVICE) 일본국 특개평06-056571호,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댐퍼의 몸체와 블레이드 사이에서 유출되는 실링 에어의 과도한 유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돌출부와 블레이드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는 일측 덕트와 타측 덕트 사이에 결합되고, 덕트 내부로 이동하는 가스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댐퍼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00)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샤프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실링 에어의 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한 탄성 재질의 실링 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댐퍼의 몸체(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덕트와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120)와,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개수의 각면을 가지며 상기 각면 내측에 중공부(V)를 가지는 돌출부(130)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통공을 가지며 실링 에어가 주입되는 실링 에어 주입부(140)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210)와, 상기 한 쌍의 각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2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의 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면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는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실링 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주입된 실링 에어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실링 플레이트 사이로 유출되고, 상기 실링 에어는 덕트 내부의 가스 압력 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된다.
댐퍼의 블레이드는 고온의 유해 가스로 인해 열 팽창된다. 때문에, 블레이드는 돌출부의 내면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야 한다. 몸체의 돌출부와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는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 사이의 틈을 줄이고, 상기 틈을 통해 덕트로 유출되는 실링 에어의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틈을 통해 실링 에어가 유출되어 고온의 유해 가스가 일측 덕트에서 타측 덕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덕트(DT)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몸체와 블레이드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에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에 설치되고 일측 덕트에서 타측 덕트로 이동하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를 덕트(DT)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댐퍼는 덕트에 설치되며, 덕트에 흐르는 기체를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킨다. 실시예로서, 상기 기체는 고온의 유해 가스일 수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기체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기체는 댐퍼에 의해 일측 덕트에서 타측 덕트로 이동하거나 차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몸체와 블레이드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댐퍼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댐퍼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댐퍼의 몸체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열림 각도에 따라 덕트 내부에 이동하는 고온의 유해가스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DPR)는 상기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고 실링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통공을 갖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00)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샤프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통공을 통해 주입된 실링 에어의 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한 실링 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몸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몸체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덕트와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120)와,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개수의 각면을 가지며 상기 각면 내측에 중공부(V)가 형성되는 돌출부(130)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구비되고 통공을 통해 실링 에어가 주입되는 실링 에어 주입부(140)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30)의 중공부(V)에는 고온의 유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블레이드(200)가 결합된다. 블레이드는 샤프트(300)에 의해 회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한쌍의 각 플레이트(210)와, 상기 한 쌍의 각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2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각 플레이트는 상호 스페이스로 결합되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다. 상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의 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는 실링 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주입되는 실링 에어가 유입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실링 에어는 댐퍼에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경우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각 플레이트(210)는 몸체의 돌출부(130) 내면에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부에는 14개의 각면이 구비되어 있고, 각 플레이트 역시 14개의 각면이 구비되어 있다. 실시예로서, 돌출부와 각 플레이트에 구비된 각면이 개수를 동일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각 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면에는 실링 플레이트(400)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400)는 영문자 "U"자 형상으로 각 플레이트(21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샤프트가 결합되는 블레이드의 각면에 실링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각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각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블레이드는 고온의 유해 가스로 인해 열 팽창된다. 때문에, 블레이드(200)는 돌출부(130)의 내면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야 한다. 블레이드가 열팽창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블레이드의 각면이 돌출부의 각면에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는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 사이의 틈을 줄이고, 상기 틈을 통해 덕트로 유출되는 실링 에어의 유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틈을 통해 실링 에어가 유출되어 고온의 유해 가스가 일측 덕트에서 타측 덕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블레이드를 돌출부의 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블레이드를 돌출부의 각면에 밀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40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실링 플레이트는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에 결합된다. 실링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각면와 밀착이 된다하더라도 미세한 틈이 존재한다. 실링 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주입된 실링 에어는 실링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각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유출된다. 이때 실링 에어의 압력은 적어도 덕터 내부의 가스의 압력 보다 높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 플레이트를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에 결합함으로써 몸체와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유출되는 실링 에어의 유출량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실링 에어를 펌핑하는 펌프 및 모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에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블레이드로 돌출부 내측의 중공부(V)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링 에어(SAR)는 실링 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들어오고, 몸체의 돌출부를 거쳐,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실링 에어는 덕트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되어야 한다.
이어서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실링 에어는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실링 플레이트 사이로 유출된다. 이와 같은 실링 에어의 유출에 의해 유해 가스는 일측 덕트로부터 타측 덕트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몸체
110 : 바디
120 : 플렌지
130 : 돌출부
140 : 실링 에어 주입부
200 : 블레이드
210 : 각 플레이트
220 : 스페이서
300 : 샤프트
400 : 실링 플레이트
DT : 덕트
DPR : 댐퍼
V : 중공부
SAR : 실링 에어

Claims (3)

  1. 일측 덕트와 타측 덕트 사이에 결합되고, 덕트 내부로 이동하는 가스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댐퍼로서,
    상기 댐퍼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00)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샤프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고 덕트와 결합하기 위한 플렌지(120)와, 상기 바디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소정 개수의 각면을 가지며 상기 각면 내측에 중공부(V)를 가지는 돌출부(130)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통공을 가지며 실링 에어가 주입되는 실링에어 주입부(140)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210)와, 상기 한 쌍의 각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스(22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부의 각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면을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실링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 플레이트(400)는 탄성 재질의 영문자 "U"자 형상이며, 블레이드의 각 플레이트의 각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에어 주입부의 통공을 통해 주입된 실링 에어는 한 쌍의 각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각면과 실링 플레이트 사이로 유출되고,
    상기 실링 에어는 덕트 내부의 가스 압력 보다 높은 압력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20190155269A 2019-11-28 2019-11-28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KR10208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69A KR102082663B1 (ko) 2019-11-28 2019-11-28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69A KR102082663B1 (ko) 2019-11-28 2019-11-28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663B1 true KR102082663B1 (ko) 2020-02-28

Family

ID=6963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69A KR102082663B1 (ko) 2019-11-28 2019-11-28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563B1 (ko) * 2020-05-12 2021-09-01 주식회사 브이티엘 실링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실링댐퍼
KR20230025545A (ko) * 2021-08-12 2023-02-22 주식회사 브이티엘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어실링댐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468A (ja) * 1996-01-25 1997-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エア注入型ダンパー
KR200357337Y1 (ko)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20090081663A (ko) 2008-01-24 2009-07-29 (주)인코이앤이 스윙 버터플라이 댐퍼
KR101268909B1 (ko) 2011-08-18 2013-05-28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반도체 설비용 댐퍼
KR101320553B1 (ko) 2013-01-22 2013-10-28 (주)다리온 가스 배관용 댐퍼 유닛
KR20180133281A (ko) * 2017-06-05 2018-1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468A (ja) * 1996-01-25 1997-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ールエア注入型ダンパー
KR200357337Y1 (ko) 2004-05-04 2004-07-27 삼광공조 주식회사 댐퍼용 실링 구조
KR20090081663A (ko) 2008-01-24 2009-07-29 (주)인코이앤이 스윙 버터플라이 댐퍼
KR101268909B1 (ko) 2011-08-18 2013-05-28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반도체 설비용 댐퍼
KR101320553B1 (ko) 2013-01-22 2013-10-28 (주)다리온 가스 배관용 댐퍼 유닛
KR20180133281A (ko) * 2017-06-05 2018-1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진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국 특개평06-056571호,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일본국 특개평07-310855호, 밸브장치(VALV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563B1 (ko) * 2020-05-12 2021-09-01 주식회사 브이티엘 실링에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실링댐퍼
KR20230025545A (ko) * 2021-08-12 2023-02-22 주식회사 브이티엘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어실링댐퍼
KR102539329B1 (ko) 2021-08-12 2023-06-05 주식회사 브이티엘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어실링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663B1 (ko)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댐퍼
US9920678B2 (en) Heat recovery device
KR20130123361A (ko) 유체 밸브
US9845893B2 (en) Exhaust gate
KR101832325B1 (ko) 실링구조체가 구비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용 블레이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유동량 조절댐퍼
WO2004072527A1 (en) Control valve
TWI550220B (zh) 流體控制閥
US20100150544A1 (en) Iris damper
KR19980042500A (ko) 밸브장치의 시트 이격장치
KR20140028120A (ko) 내연기관 배가스 조절 밸브장치
US20180238459A1 (en) Check Valve
EP1998035B1 (en) Fluidic vectoring for exhaust nozzle
JP2016530437A (ja) フラッパ式排気切換バルブ
JPS63285248A (ja) 航空機の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排気ノズル
KR20060114632A (ko) 열 독립 바이패스 공기 계량 밸브용 부싱
JPH074311A (ja) 面積可変型先細/末広ノズル
US20150136061A1 (en) Engine control valve with improved operation
CN104160192B (zh) 流体循环阀
KR20230085648A (ko) 유체 흐름 방향 제어 밸브
EP3715682A1 (en) Valve for an air cooling machine
JP2892622B2 (ja) ルーバダンパ
JPH10288276A (ja) 高温用弁
KR20000020920A (ko) 버터플라이 밸브
CN208858958U (zh) 一种阀瓣外圆带凹型槽的高压差截止阀
JPH0719668U (ja) バタフライダンパにおける密閉シー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