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706B1 -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706B1
KR101663706B1 KR1020160027460A KR20160027460A KR101663706B1 KR 101663706 B1 KR101663706 B1 KR 101663706B1 KR 1020160027460 A KR1020160027460 A KR 1020160027460A KR 20160027460 A KR20160027460 A KR 20160027460A KR 101663706 B1 KR101663706 B1 KR 10166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losing
opening
door
ca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텍
Priority to KR102016002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A22C29/022Deveining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4Opening, shelling or peeling shell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렐뻘통조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외주면 일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개폐부를 일단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도어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일단 및 타단 외측에 상기 바렐뻘통조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되, 선택적으로 상기 바렐뻘통조와 별개 또는 동시에 회전되도록 이중축 결합되고,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가 상이하도록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바렐뻘통조 및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기 모터를 포함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Door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pre sorting machine of oystershells}
본 발명은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아 개폐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문제로 인하여 라인 자동화가 불가능 하였으나, 바렐뻘통기의 개폐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라인 자동화가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작업 효율과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채취한 꼬막이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는 크기에 따라 상품성에 차이가 있어 크기별로 선별하여야 하는 한편, 폐사하거나 껍질 내부에 패육 대신 뻘로만 가득차 있는 뻘통 패류를 선별하여야 상품성이 인정된다.
특히, 패류 중 바지락의 경우, 공장입고 - 세척 - 해감 - 선별(깨진 바지락, 폐사된 바지락, 뻘통바지락, 크기가 작은 바지락) - 세척 - 계량포장 등의 순서로 통상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선별 작업의 경우, 바렐뻘통기의 내부에 일정량의 바지락과 교반수를 넣고 임의의 시간 동안 바렐뻘통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운동에 의한 마찰 및 낙차에 의해 뻘통바지락의 껍질이 분리되거나 껍질이 벌어져 뻘물을 흘리므로 후에 진행하는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인 바, 바렐뻘통기는 선별 작업에 앞서 실행해야 하는 패류 선별 선행기 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바렐뻘통기의 경우 패류를 투입 및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된 개폐 도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하는 한편, 패류와 교반수 공급 및 배출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는 방법이어서 작업 효율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해야만 했던 기존 바렐뻘통기의 도어 개폐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렐뻘통조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외주면 일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개폐부를 일단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도어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일단 및 타단 외측에 상기 바렐뻘통조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되, 선택적으로 상기 바렐뻘통조와 별개 또는 동시에 회전되도록 이중축 결합되고,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가 상이하도록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바렐뻘통조 및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를 중 어느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개폐부가 회전되는 상기 바렐뻘통조의 상사점에 위치될 때 또는 지정각도에 위치될 때,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동작으로 개폐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는, 상기 바렐뻘통조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기 모터의 구동력을 직접 제공받는 종동측 캠플레이트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동측 캠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 및 피동측 캠플레이트의 외주 일부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되,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 및 피동측 캠플레이트에 형성된 기어치 각각에 기어 치합되는 종동측 아이들기어 및 피동측 아이들기어에 의하여 상기 바렐뻘통조와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에 의한 상기 개폐 도어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렐뻘통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렐뻘통조를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의 회전과는 별개로 고정시키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 및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 모터 및 상기 회전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렐뻘통조의 상기 개폐부가 상기 상사점에 위치될 때 또는 지정각도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될 때, 상기 회전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바렐뻘통조는 고정시키고,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패류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도록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를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열림 상태로 전환되도록 회전시키며,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닫힘 상태로 감지될 때, 상기 회전 고정부를 해제한 후 상기 바렐뻘통조 및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를 함께 정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개폐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수동 작업을 전공정 자동화 공정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전동기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 및 바렐뻘통조를 별개 또는 연동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바, 구조적으로 단순한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바렐뻘통기를 이용한 선별 선행작업을 통하여 본격적인 선별 작업 수행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패류껍질에 묻어있는 잔여 뻘 및 이물질을 세척하는 기능까지도 병행함으로써 보다 청결한 상태에서 본격적인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류 선별 선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바렐뻘통조의 일단 외측 및 타단 외측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설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류 선별 선행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 중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바렐뻘통조의 일단 외측 및 타단 외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패류 투입 호퍼(10)와 드럼선별기(25)와 낙하선별기(35)와 선별석정반(40) 및 자동계량 컨베이어(55) 로 구성된 패류 세척 및 선별 자동화 라인 중 드럼선별기(25)에 투입되기 전에 예비적으로 패류를 세척함과 동시에 뻘통패류(껍질 내부에 패육 대신 뻘로만 가득차 있는 뻘통조개 및 뻘통바지락)를 선별하기 쉽도록 행하는 선별 선행기로서의 바렐뻘통조(110)로 구비된다.
패류 세척 및 선별 자동화 라인(이하, '자동화 라인'이라 약칭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자동화 라인은, 조개나 바지락 등과 같은 패류가 투입되는 패류 투입 호퍼(10)와, 패류 투입 호퍼(10)를 통해 투입된 패류를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공급컨베이어(15)와, 제1공급컨베이어(15)를 통하여 이송된 패류를 낙하 투입식으로 공급받은 후 폐사 및 뻘통패류를 선별하기 전에 선행 작업을 수행하는 바렐뻘통조(110)와, 바렐뻘통조(110)에 의하여 선행 작업이 수행된 패류를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20)와, 제1이송컨베이어(20)로부터 패류를 공급받아 폐사 및 뻘통패류를 회전선별망으로 선별하는 드럼선별기(25)와, 패류가 경사면에서 굴러 떨어지는 거리를 이용한 낙하 방식으로 선별하는 낙하선별기(35)와, 백색 컨베이어벨트 위에서 작업자가 깨진 패류를 선별하는 선별컨베이어(30)와, 선별컨베이어(30)에 의하여 이송된 패류를 작업자가 손으로 석정반에 문지를 때 나는 소리에 의하여 최종 선별하는 선별석정반(40)과, 선별석정반(40)을 통과한 패류를 경사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45)와, 제2이송컨베이어(45)에 의하여 이송된 패류를 컨베이어 벨트 위에 겹치지 않게 골고루 분산시켜 미세계량이 용이하게 이송하는 제2공급컨베이어(50)와, 제2공급컨베이어(50)에 의하여 이송된 패류를 공급받아 자동으로 계량하는 자동계량컨베이어(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는, 상술한 바렐뻘통조(11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바, 이하에서는 '선별 선행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선별 선행기는, 드럼선별기(25) 및 낙하선별기(35) 그리고 선별컨베이어(30)와 선별석정반(40)을 통하여 본격적인 패류 선별 작업을 수행하기에 앞서 그 선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선행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먼저 패류 선별 선행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동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선별 선행기는,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렐뻘통조(110)와, 바렐뻘통조(110)의 외주면 일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개폐부(119)를 일단의 힌지(118)를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도어(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렐뻘통조(110)는, 대략 육각형의 수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육각면 중 어느 한 면이 전부 개구되어 상술한 개폐부(119)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바렐뻘통조(110)가 육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상술한 개폐부(119)가 구비되는 한도에서 팔각형의 수직 단면 등 여하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바렐뻘통조(110)는, 상술한 제1공급컨베이어(15)로부터 개방된 개폐부(119)를 통하여 패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패류를 소정 시간 동안 회전시켜 뻘통패류의 껍질을 분리시키거나 뻘물을 외부로 흘려주게 함으로써 드럼선별기(25) 및 낙하선별기(35) 그리고 선별컨베이어(30)와 선별석정반(40) 에 의한 본격적인 선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바렐뻘통조(110)는,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이 되는 뻘통 회전축(111)이 일단 및 타단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설치 프레임(17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엄밀하게 관찰하면, 뻘통 회전축(111)이 직접 설치 프레임(170)과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패류 선별 선행기를 회전시키면 바렐뻘통조(110) 내부의 패류에 의해 교반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바렐뻘통조(110)의 외부에 일정공간을 유지한 외부덮개(이중쟈켓)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개폐 도어(115)는, 바렐뻘통조(110)에 형성된 개폐부(119)에 일단이 힌지(118) 결합되고 타단이 회동되어 개폐부(119)를 개폐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개폐 도어(1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동 개폐가 아니라, 모든 작업이 자동화라인이 구축되도록 하는 측면에서 자동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렐뻘통조(110)와 개폐 도어(115) 및 바렐뻘통조(110)의 일단 및 타단 외측에 바렐뻘통조(110)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되, 선택적으로 바렐뻘통조(110)와 별개 또는 동시에 회전되도록 이중축 결합되고,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개폐 도어(115)의 개폐 정도가 상이하도록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와, 적어도 바렐뻘통조(110) 및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 중 어느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기 모터(130)를 포함한다.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는, 바렐뻘통조(110)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전동기 모터(130)의 구동력을 직접 제공받는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바렐뻘통조(110)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어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렐뻘통조(110)의 일단 및 타단이 상호 평행한 수직면을 이루는 바,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는 바렐뻘통조(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평행되게 각각 배치되는 원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종동축 캠플레이트(120A) 및 피동축 캠플레이트(120B)의 외주 일부에는, 기어치(127)가 형성되되, 종동축 캠플레이트(120A) 및 피동축 캠플레이트(120B)에 형성된 기어치(127) 각각에 기어 치합되는 종동측 아이들러기어(200A)와 피동측 아이들러기어(200B)에 의하여 바렐뻘통조(110)와는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종동측 아이들러기어(200A) 및 피동측 아이들러기어(200B)는 아이들러기어 연결축(210)에 의하여 동축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바렐뻘통조(110)는 단면경에 비하여 그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개폐 도어(115) 또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바 개폐 도어(115)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개폐 도어(115)에 의한 개폐부(119)의 폐쇄 시 밀폐도의 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바렐뻘통조(110)의 양단에 각각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에 의하여 개폐 도어(115)가 회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종동측 아이들러기어(200A) 및 피동측 아이들러기어(200B)가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비된 기어치(127)에 치합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일거에 해결되는 이점을 가진다.
여기에서,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를 바렐뻘통조(110) 외주면 밖에서 미도시의 연결바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이는 뻘통작업 회전시 회전반경이 커져 안전에 관한 새로운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바렐뻘통조(110)의 회전시 무게균형도 재검토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는, 각각 상술한 바렐뻘통조(110)의 뻘통 회전축(111)이 삽입되도록 중공을 갖는 중공축(121)이 구비되되, 상기 중공축(121)이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의 회전 중심이 된다.
각 중공축(121)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설치 프레임(170)의 상단에 구비된 축지지 베어링부(114)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중공축(121)은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되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와 연동 회전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와 결합된 중공축(121)과 바렐뻘통조(110)와 결합된 뻘통 회전축(111)은 일정 회전 구간에서는 별개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일정 회전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뻘통 회전축(111)은 중공축(121)에 삽입 결합되는 것일 뿐 여하한 구속 수단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구조는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술한 중공축(121)과 뻘통 회전축(111)의 별개 회전 및 연동 회전의 구체적인 모습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와 피동측 캠플레이트(120B)의 각각에 구비된 중공축(121) 중 종동측 캠플레이트(120A)의 중공축(121) 선단에는 구동벨트(135) 또는 구동체인 중 어느 하나가 감김되는 종동풀리(125)가 구비될 수 있고, 전동기 모터(130) 측의 기어가 직접 구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미도시의 종동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동풀리(125)는 구동벨트(135)가 감김되는 용어로 사용되는 것이나, 구동체인이 감김되는 경우에는 의미상 '종동풀리기어'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전동기 모터(130)의 모터축(131) 선단에는 상술한 구동벨트(135) 또는 구동체인 중 어느 하나가 감김되는 구동풀리(133)가 구비될 수 있고, 전동기 모터(130) 측의 기어가 직접 구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미도시의 구동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풀리(133)는 구동체인이 감김되는 경우에는 의미상 '구동풀리기어'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개폐 도어(115)는, 양단에서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됨과 아울러 바렐뻘통조(110)의 외측면과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 사이로 연장되는 도어 암플레이트(116)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 암플레이트(116)의 선단부에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일부에 구속되는 도어개폐 롤러(117)가 구비되고,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에는 도어개폐 롤러(117)가 삽입 구속되는 캠슬롯(12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캠슬롯(123)은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일직선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고,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가 일방향(여기서, '일방향'은 개폐 도어(115)가 닫힘 상태로 전환되는 회전 방향으로써, 이하에서는 '정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또는 타방향(여기서, '타방향'은 개폐 도어(115)가 열림 상태로 전환되는 회전 방향으로써, 이하에서는 '역방향'이라 칭하기로 한다)으로 회전될 때 구속된 상태의 도어개폐 롤러(117)를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개폐 도어(115)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렐뻘통조(110)의 외측면에는 도어개폐한계 롤러(113)가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를 관통하도록 고정 구비되고,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에는 그 회전 중심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되 소정 각도만큼 절개된 스토퍼 슬롯(124)이 절개 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 슬롯(124)의 절개량인 소정 각도는, 일단이 개폐 도어(115)가 완전히 열린 열림 상태일 때 도어개폐한계 롤러(113)가 접촉되고, 타단이 개폐 도어(115)가 완전히 닫힌 닫힘 상태일 때 도어개폐한계 롤러(113)가 접촉되는 크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 슬롯(124)은, 상술한 반경 크기의 곡선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렐뻘통조(110)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에 의한 개폐 도어(115)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와, 바렐뻘통조(110)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바렐뻘통조(11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와, 바렐뻘통조(110)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바렐뻘통조(110)를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회전과는 별개로 고정시키는 회전 고정부 및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 및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로부터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전동기 모터(130) 및 회전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바렐뻘통조(110)의 일단 측에는 전동기 모터(130)를 통하여 구동력이 바렐뻘통조(110) 또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로 전달되는 구성이 집약적으로 설치되고, 그 반대 측인 바렐뻘통조(110)의 타단 측에는 제어부에 의하여 전동기 모터(130)를 제어할 때 필요한 바렐뻘통조(110) 및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 및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를 집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적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는, 중공축(12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도어개폐용 센서 도그(180)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으로 개폐 도어(115)의 완전 열림 상태 및 완전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는, 뻘통 회전축(111)의 선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뻘통조용 센서 도그(190)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으로 바렐뻘통조(1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의 도어개폐용 센서 도그(180) 및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의 형태 및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자동화 라인 구축을 위하여서는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임은 당연하다.
한편, 회전 고정부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뻘통 회전축(111)의 선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고정용 판(165)과, 고정용 판(165)의 외주 일부에 형성된 고정홈(167)에 걸림되거나 고정홈(167)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왕복 이동되는 고정 돌출부(161)를 공기압으로 작동시키는 에어 실린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고정부는, 고정홈(167)에 고정 돌출부(161)가 걸림되어 있는 경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의 회전 중심이 되고 이에 연동하여 중공축(121)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바렐뻘통조(110)를 고정시킴으로써 도어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고정홈(167)으로부터 고정 돌출부(161)가 이탈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가 회전되면서 스토퍼 슬롯(124)의 일단 및 타단에 도어개폐한계 롤러(113)가 접촉되는 순간 바렐뻘통조(110)도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작동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100)의 작동 모습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패류 투입을 위한 개폐 도어(115) 개방 및 폐쇄 과정(도 6a 및 도 6b 참조), 패류 투입 후 선별 선행작업 과정(도 6c 및 도 6d 참조), 선별 선행작업 후 패류 배출 과정(도 6e 내지 도 6g 참조)의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패류 투입을 위한 개폐 도어(115) 개방 및 폐쇄 과정을 살펴본다.
제어부는,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패류를 제1공급컨베이어(15)로부터 바렐뻘통조(110)의 내부로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개폐부(119)가 회전되는 바렐뻘통조(110)의 상사점에 위치될 때(이는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150)를 통하여 감지된 값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회전 고정부의 고정 돌출부(161)를 고정용 판(165)에 형성된 고정홈(167)에 걸림되도록 에어 실린더부(16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개폐 도어(115)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동기 모터(1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도어개폐용 센서 도그(180)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와 연동하여 회전되므로,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에 의하여 개폐 도어(115)의 완전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는, 개폐 도어(115)가 완전 열림 상태로 감지된 경우 전동기 모터(130)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으로 전동기 모터(13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와 전동기 모터(130)의 전원이 연동되는 전자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
아울러, 개폐 도어(115)를 이용하여 개폐부(119)를 개방할 경우, 바렐뻘통조(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만 회전시켜야 하므로, 제어부는, 회전 고정부의 고정 돌출부(161)를 고정용 판(165)에 형성된 고정홈(167)에 걸림되도록 에어 실린더부(16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는,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렐뻘통조(110)의 내부로 작업 대상인 패류가 투입된 후에는, 개폐 도어(115)를 폐쇄하기 위하여 여전히 회전 고정부에 의해 바렐뻘통조(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동기 모터(130)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패류 투입 후 선별 선행작업 과정을 살펴본다.
제어부는, 개폐 도어(115)가 개폐부(119)를 완전히 차폐한 후(도 6c 참조), 선별 선행작업을 위한 바렐뻘통조(110)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고정용 판(165)의 고정홈(167)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부(160)의 고정 돌출부(161)가 고정홈(167)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동 제어한 후, 전동기 모터(130)를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시킨다.
여기서,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스토퍼 슬롯(124)의 타단에 도어개폐한계 롤러(113)가 접촉되어 있는 바, 전동기 모터(130)를 이용하여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순간 바렐뻘통조(110)도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바렐뻘통조(110) 내부에 투입된 패류들이 마찰되도록 회전 방식으로 섞어줌으로써 선별 선행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바렐뻘통조(110)의 내부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바렐뻘통조(110) 내부의 회전축심선 상에 브러쉬를 장착함으로써 뻘통패류로부터 흘러나오는 뻘물들을 씻겨냄과 동시에 패류 의 외관을 세척하는 멀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으로, 선별 선행 작업 후 수행되는 패류 배출 과정을 살펴본다.
제어부는, 도 6e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렐뻘통조(110)의 개폐부(119)가 회전 경로의 상사점에 위치될 때, 전동기 모터(130)를 정지시키고, 고정용 판(165)의 고정홈(167)에 에어 실린더부(160)의 고정 돌출부(161)가 걸림되도록 회전 고정부를 작동시킨 다음, 전동기 모터(130)를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시켜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120)를 역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도 6f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퍼 슬롯(124)의 타단에 접촉되어 있는 도어개폐한계 롤러(113)는 스토퍼 슬롯(124)의 일단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되고, 이 과정 동안 개폐 도어(115)는 완전 열림 상태가 된다. 개폐 도어(115)의 완전 열림 상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와 도어개폐용 센서 도그(18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도 6g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감지 센서(140)에 의하여 개폐 도어(115)가 완전 열림 상태로 전환되면, 고정용 판(165)의 고정홈(167)으로부터 에어 실린더부(160)의 고정 돌출부(161)가 이탈되도록 회전 고정부를 작동시킨 다음, 전동기 모터(130)를 역방향으로 1회 또는 수회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6g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선별 선행 작업이 완료된 패류는 바렐뻘통조(110)의 개폐부(119)가 회전 경로의 하부측에 위치될 때 개방된 개폐부(119)를 통하여 배출된 후, 제1이송컨베이어(20)에 의하여 본격적인 선별 작업이 수행되는 드럼선별기(25) 및 낙하선별기(35) 그리고 선별컨베이어(30)와 선별석정반(40) 으로 공급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10: 바렐뻘통조 111: 뻘통 회전축
113: 도어개폐한계 롤러 115: 개폐 도어
116: 암플레이트 117: 도어 개폐 롤러
120: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 121: 중공축
123: 캠슬롯 124: 스토퍼 슬롯
125: 종동풀리 130: 전동기 모터
131: 모터축 133: 구동풀리
140: 도어 개폐 감지 센서 150: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
160: 에어 실린더부 161: 고정 돌출부
165: 고정용 판 167: 고정홈
170: 설치 프레임 180: 도어개폐용 센서 도그
190: 뻘통조용 센서 도그

Claims (4)

  1.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렐뻘통조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외주면 일부에 개구되게 형성된 개폐부를 일단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동되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개폐 도어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일단 및 타단 외측에 상기 바렐뻘통조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되, 선택적으로 상기 바렐뻘통조와 별개 또는 동시에 회전되도록 이중축 결합되고,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개폐 도어의 개폐 정도가 상이하도록 개폐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바렐뻘통조 및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기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는,
    상기 바렐뻘통조의 일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기 모터의 구동력을 직접 제공받는 종동측 캠플레이트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동측 캠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 및 피동측 캠플레이트의 외주 일부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되, 상기 종동측 캠플레이트 및 피동측 캠플레이트에 형성된 기어치 각각에 기어 치합되는 종동측 아이들기어 및 피동측 아이들기어에 의하여 상기 바렐뻘통조와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개폐부가 회전되는 상기 바렐뻘통조의 상사점에 위치될 때 및 지정각도에 위치될 때,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동작으로 개폐 작동되는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에 의한 상기 개폐 도어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렐뻘통조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바렐뻘통조의 타단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렐뻘통조를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의 회전과는 별개로 고정시키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 및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 모터 및 상기 회전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렐뻘통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바렐뻘통조의 상기 개폐부가 상기 상사점 또는 지정각도에 위치되는 것을 감지될 때, 상기 회전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바렐뻘통조는 고정시키고,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패류가 투입되거나 배출되도록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를 상기 닫힘 상태에서 상기 열림 상태로, 상기 열림상태에서 상기 닫힘상태로 전환되도록 전동기 모터를 회전 및 정지시키며,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를 통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상기 닫힘 또는 열림 상태로 감지될 때, 상기 회전 고정부를 해제하여 상기 바렐뻘통조 및 상기 도어개폐용 캠플레이트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0160027460A 2016-03-08 2016-03-08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166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60A KR101663706B1 (ko) 2016-03-08 2016-03-08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460A KR101663706B1 (ko) 2016-03-08 2016-03-08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706B1 true KR101663706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460A KR101663706B1 (ko) 2016-03-08 2016-03-08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904B1 (ko) 2018-09-07 2019-03-18 (주)엠앤에스코리아 바렐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90136276A (ko) * 2018-05-30 2019-12-10 홍성윤 조개류 포장설비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343B2 (ja) * 1988-01-18 1997-10-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蓋自動開閉機構付きバレル装置
KR100188335B1 (ko) * 1995-11-17 1999-06-01 정채웅 패류 박피 장치
JP2009149921A (ja) * 2007-12-19 2009-07-09 Wazawa:Kk 蓋内開きバレル装置
KR20160010249A (ko) * 2014-09-18 2016-01-27 주식회사 씨앤텍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343B2 (ja) * 1988-01-18 1997-10-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蓋自動開閉機構付きバレル装置
KR100188335B1 (ko) * 1995-11-17 1999-06-01 정채웅 패류 박피 장치
JP2009149921A (ja) * 2007-12-19 2009-07-09 Wazawa:Kk 蓋内開きバレル装置
KR20160010249A (ko) * 2014-09-18 2016-01-27 주식회사 씨앤텍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276A (ko) * 2018-05-30 2019-12-10 홍성윤 조개류 포장설비
KR102145662B1 (ko) * 2018-05-30 2020-08-18 홍성윤 조개류 포장설비
KR101958904B1 (ko) 2018-09-07 2019-03-18 (주)엠앤에스코리아 바렐도어 자동개폐장치
KR102385593B1 (ko) * 2021-12-03 2022-04-11 이진석 보냉 기능을 갖춘 생선 투입용 호퍼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706B1 (ko) 패류 선별 선행기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180068402A (ko) 바지락 세척선별기
JP6745758B2 (ja) 粒状体選別装置
CN210411542U (zh) 一种能够对谷物进行预处理的谷物色选机
KR101652857B1 (ko) 쇼트블라스트 장치용 드럼 및 쇼트블라스트 장치
CN206828054U (zh) 一种自动化封坛系统
CN108580260B (zh) 高效率振动筛
CN211762810U (zh) 一种塑料桶回收用磁选装置
CN103757710A (zh) 斗式提升定量加茧装置
JP2008049335A (ja) 混合機及び混合方法
KR200436515Y1 (ko)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CN210625132U (zh) 一种茶叶进茶、甩茶、出茶装置
CN211160886U (zh) 一种代餐粉加工用原料清洗装置
CN211631600U (zh) 连续蒸煮机
KR101686805B1 (ko) 닥나무 박피장치
CN209665870U (zh) 一种便于清理可翻转的搅拌机
CN109027317B (zh) 泡料、瓶片循环均化装置的气流引料换向阀结构
CN209241966U (zh) 饲料原料投料绞龙
JP5807922B2 (ja) 米飯供給装置
CN208287964U (zh) 一种造粒生产线
CN117565088B (zh) 一种智能化粮仓清仓设备
JPH0632224Y2 (ja) 回転式の小型ペレツト選別機
CN218369957U (zh) 一种生料入窑提升机
CN109941706A (zh) 一种防漏料水平输送机
CN209720766U (zh) 一种便于清理积料的绞龙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